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한국인과 야스쿠니 신사 문제

        남상구(Nam, Sang-Gu)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5 No.-

        본고의 목적은 첫째, 야스쿠니 신사와 일본정부에 의한 한국인 합사 문제를 중심으로 야스쿠니 신사와 한국?한국인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 언론, 정부, 국회가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의 동 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검토하는 것이다. 자국의 전몰자를 국가를 위한 희생으로 현창하고 추도하는 것을 통해 국민을 전쟁에 동원하고 국민의 자발적인 충성을 유도하는 것은 비단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 라 한국을 포함한 근대 국민국가 일반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야스쿠니 신사 문제를 국민국가 일반의 문제로만 볼 수 없는 측면도 있다. 바로 식민지 출신자인 한국인 합사문제로,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에 의해 강제로 전쟁에 동원되었다가 사망한 한국인을 당시 일본인으로서 ‘국가<일본)를 위해 희생했다’는 논리를 내세워 창씨개명정책에 의해 강요된 일본식 성과 이름으로 합사했다. 이는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한국인 문제는 식민지 지배의 청산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본정부는 전후 한국인의 국적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근거로 한국인을 ‘보상’에서는 배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신상 자료를 야스쿠니 신사에 제공함으로써 한국인이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일본정부와 사법부는 아직까지 한국인 야스쿠니 신사 합사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야스쿠니 신사의 한국인 합사가 이러한 문제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와 국회, 언론은 이 문제를 도외시해 왔다. 이것은 한국사회가 야스쿠니 신사 문제를 일본 정치가의 역사인식을 가늠하는 잣대로서만 인식해 온 결과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Koreans and the Yasukuni Shrine issue,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nshrinement of Koreans at Yasukuni. Second, the study looks at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the issue over time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the Korean media,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Mobilizing citizens for war and inducing loyalty to the state by gloritying and memorializing the war dead as patriotic martyrs is not an issue confined to Japan; it is an issue shared by all modern nation-states, including Korea. Nevertheless, there is an aspect of the Yasukuni Shrine issue that is unique and particular. Koreans who are enshrined at Yasukuni were Japanese colonial subjects who had been mobilized for war against their will. Moreover, they were enshrined under the Japanese family and given names they had been forced to adopt as per Japan’s colonial policy. Finally, they were enshrined as Japanese citizens who had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 country (Japan).’, Therefore, the enshrinement of Koreans at Yasukuni legitimizes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Accordingly, the Yasukuni Shrine issue must be approached as a matter pertaining to the resolution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The Japanese government denied Koreans postwar compensation on the grounds that their citizenship had changed from Japanese to Korean. Nevertheless, the Japanese government provided Yasukuni Shrin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Korean soldiers, thereby making their enshrinement possible. Nonetheless,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judiciary have yet to acknowledge their accountability in the matter. Be that as it may, the Korean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and the media have not paid much heed to the Yasukuni Shrine issue. This is because the Korean society has only regarded the issue as a standard for gauging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Japanese politicians.

      • KCI등재

        기획논문- 문제의 야스쿠니(靖國) : 61)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 -야스쿠니의 천황중심 사상과 반사회세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충호 ( Chung Ho Lee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는 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천황과 일본 민중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야스쿠니신사는 천황과 신사와 군을 연결한 특이한 종교시설로 단순한 추도·위령의 시설이 아니라 천황을 위해서 싸워 전사를 한 국민을 칭찬하는 현창의 장이다. 따라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일본국민이라면 신분, 직업, 성별 등에 관계없이 제사지낸다는 의미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일본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민주적이고 평등한 종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8월 15일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신사의 풍경을 보면, 삐라를 나눠주고 확성기로 현 정권과 사회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야스쿠니신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등, 야스쿠니를 지탱하고 있는 에너지는 유족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참배객만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정부의 정책에 불만이 있거나 사회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세력이 집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의 반체제적이고 반사회적인 불온한 공기는 이전부터 이어져온 천황과 민중의 특수한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야스쿠니신 사는 근대일본에서 건립되었지만, 역사적으로는 권력쟁취를 위하여 일본사회의 하층부의 에너지를 이용한 천황과 사회의 중심부에서 탈락하여 주변부로 전락한 반체제적인 사상을 지닌 민중들이 천황이라는 대의명분을 통하여 결집하는 일본만의 독특한 권력 구조의 논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지탱하는 근본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막말(幕末)에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을 옹립하는 운동을 전개한 존왕양이의 지사들이 내전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제사지낸 초혼제가 야스쿠니신사의 기원이 되었다는 점은 야스쿠니신사가 천황의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권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시설이라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Yasukuni shrine and Japanese Emperor system ideology, focusing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Japanese people. The Yasukuni shrine is a peculiar religious facility that connects the Japanese Emperor with the shrine and the military and is not a simple memorial where people come to honor and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ad. Instead it was built to praise those who fought and died for the Japanese Emperor. In the sense that memorial services at the shrine are held for all the Japane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Japanese Emperor, regardless of their status, occupation and gender, the Yasukuni shrine is a democratic religious facility where all are equal in the eyes of the Japanese. If we viewed the surroundings of the Yasukuni shrine on the just passed August 15th,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we would see some people at the Yasukuni shrine expressing their complaints about the present administration and society with megaphones while others distributed flyer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nergy which supports Yasukuni is not provided only by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honored there but also by those wishing to voice their dissatisfaction with Japanese current affairs. Such a rebellious and anti-government atmosphere at Yasukuni on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can be said to have its foundation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ublic. The Yasukuni shrine was constructed in modern Japan and is supported by the logic of the peculiar power structure of Japan that unites those with rebellious ideologies and those who have dropped out of society or are on its peripheries with the Japanese Emperor and his leadership. The origins of the shrine lay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civil war dead which was carried out by patriots who respected the Emperor, aimed to repel foreign intruders and developed the movement to overthrow the bakufu, thus helping the Japanese Emperor take the throne. It is such a history that invests the Yasukuni shrine with the symbolic meanings and power to connect the Japanese Emperor`s ideological religious authority with the people.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靖国神社)와 천황제 이데올로기 - 야스쿠니의 천황중심 사상과 반사회세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이충호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Yasukuni shrine and Japanese Emperor system ideology, focusing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Japanese people. The Yasukuni shrine is a peculiar religious facility that connects the Japanese Emperor with the shrine and the military and is not a simple memorial where people come to honor and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ad. Instead it was built to praise those who fought and died for the Japanese Emperor. In the sense that memorial services at the shrine are held for all the Japane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Japanese Emperor, regardless of their status, occupation and gender, the Yasukuni shrine is a democratic religious facility where all are equal in the eyes of the Japanese. If we viewed the surroundings of the Yasukuni shrine on the just passed August 15th,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we would see some people at the Yasukuni shrine expressing their complaints about the present administration and society with megaphones while others distributed flyer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nergy which supports Yasukuni is not provided only by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honored there but also by those wishing to voice their dissatisfaction with Japanese current affairs. Such a rebellious and anti-government atmosphere at Yasukuni on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can be said to have its foundation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ublic. The Yasukuni shrine was constructed in modern Japan and is supported by the logic of the peculiar power structure of Japan that unites those with rebellious ideologies and those who have dropped out of society or are on its peripheries with the Japanese Emperor and his leadership. The origins of the shrine lay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civil war dead which was carried out by patriots who respected the Emperor, aimed to repel foreign intruders and developed the movement to overthrow the bakufu, thus helping the Japanese Emperor take the throne. It is such a history that invests the Yasukuni shrine with the symbolic meanings and power to connect the Japanese Emperor’s ideological religious authority with the people. 본고는 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천황과 일본 민중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야스쿠니신사는 천황과 신사와 군을 연결한 특이한 종교시설로 단순한 추도․위령의 시설이 아니라 천황을 위해서 싸워 전사를 한 국민을 칭찬하는 현창의 장이다. 따라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일본국민이라면 신분, 직업, 성별 등에 관계없이 제사지낸다는 의미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일본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민주적이고 평등한 종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8월 15일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신사의 풍경을 보면, 삐라를 나눠주고 확성기로 현 정권과 사회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야스쿠니신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등, 야스쿠니를 지탱하고 있는 에너지는 유족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참배객만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정부의 정책에 불만이 있거나 사회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세력이 집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의 반체제적이고 반사회적인 불온한 공기는 이전부터 이어져온 천황과 민중의 특수한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야스쿠니신사는 근대일본에서 건립되었지만, 역사적으로는 권력쟁취를 위하여 일본사회의 하층부의 에너지를 이용한 천황과 사회의 중심부에서 탈락하여 주변부로 전락한 반체제적인 사상을 지닌 민중들이 천황이라는 대의명분을 통하여 결집하는 일본만의 독특한 권력구조의 논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지탱하는 근본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막말(幕末)에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을 옹립하는 운동을 전개한 존왕양이의 지사들이 내전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제사지낸 초혼제가 야스쿠니신사의 기원이 되었다는 점은 야스쿠니신사가 천황의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권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시설이라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 봉납스모(奉納相撲)의 제의적 고찰 : 임시대제(臨時大祭)의 초혼식(招魂式)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규헌(曺圭憲)(Cho, Kyu-heon)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에서는 야스쿠니 신사 봉납스모의 제의적 성격을 초혼식(招魂式)과의 관련에서 중점적으로 고찰하고, 여기에 야스쿠니 신사 사쿠라의 상징성이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춘계예대제에 즈음하여 사쿠라마쓰리와 함께 화려하게 행해지는 봉납스모가 전전 야스쿠니 신사가 ‘본연’의 기능을 하던 시기와의 연속성 속에서 어떠한 문화적 특수성을 내포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야스쿠니 신사 봉납스모의 제의적 성격에서 가장 주목한 것은 초혼식 다음날 펼쳐진 본전 앞 도효이리 의식이다. 전전 봉납스모의 도효이리 의식은 전사자(戰死者) 영혼의 초혼(招魂)관념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야스쿠니 신사의 본전은 전사자의 영혼이 제신으로 모셔진 공간으로 본전에서의 봉납 도효이리를 통해 스모 요코즈나와 마쿠노우치 선수들은 야스쿠니의 영령이 강림하는 군신이자 충신이 된다. 야스쿠니신사의 봉납스모에 제신(祭神)의 성격인 군신?충신을 만들어 내는 것과 동일한 제의적 성격을 내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도 의 관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전 임시대제 초혼식의 봉납스모는 ‘사쿠라 꽃처럼 진’ 명예로운 죽음을 맞이한 전사자 영혼과 관계한다면, 현재의 봉납스모는 사쿠라마쓰리의 시기에 맞추어 열린다는 점에서 ‘만개한 사쿠라 꽃’인 환생한 전사자 영혼의 상징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점에서 야스쿠니 신사의 봉납스모는 전전과 전후를 관통하는 전사자의 ‘영혼’을 배경에 둔 일본만의 특징적 문화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udy is an inspection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the Yasukuni Shrine Dedication Sumoand the Sh?kon Ceremony, and examines how the symbolism of the Yasukuni Shrine Japanese cherry blossom is related. Through this, this research study attempted to show what type of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fancy Dedication Sumo that was celebrated together with the ‘Sakura Matsuri Festival’ in the current spring time festivals has in relation to the period and continuity where the prewar Yasukuni Shrine served its “true”. This aims to reexamine the Dedication Sumo in the context in which the Yasukuni Shrine showed the original function prior to the war, instead of the present perspective. The special festival at the Yasukuni Shrine is a ritual for the souls of the war dead from individuals’ souls to the deities of the national ritual. This study focused on the ceremony of entrance procession of Sumo wrestlers into the ring (Dohyo-iri) in the main Shrine as part of the ceremony of enshrinement for an analysis of the ritual of the Dedication Sumo. In addition, there is the same ritual in the actual Sumo Arena in the Yasukuni Shrine, too. To interpret this ritually, through the Dohyo-iri ceremony in front of the main Shrine before a Sumo game, the Sumo wrestlers who have become the gods of war hold the same ceremony at the Sumo Arena where intense Sumo games are held. Therefore, it is noted that the Sumo Arena of the Yasukuni Shrine where wild Sumo games are held by the gods of war symbolizes an intense ‘battlefield.’

      • KCI등재

        일본인과 靖國神社

        곽진오(Kwak Jin-O)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일본사회에 전후라는 용어가 사라진지 50여년이 되었지만 왜 야스쿠니신사문제가 지금도 일본사회 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전후 일본정치경제체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본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하지만 기존의 대부분의 유사 연구들은 야스쿠니를 일본의 국내적 역사인식의 도구차원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야스쿠니신사참배에 대한 일본국내여론의 찬성과 반대에 대한 분석연구는 제한적이라 하겠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와서 일본이 잃어버린 10년의 장기불황이후 수상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가 한중일간의 외교문제로 비화되기도 했다. 야스쿠니문제가 이처럼 국제적으로 비화 되어가는 이유는 야스쿠니신사에 A급 전범을 포함한 일본인전사자만이 아니라 조선인과 타이완인등 구 식민지전사자들도 합사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일본사회의 우경화 논란 속에서 고이즈미 전 수상의 야스쿠니신사 참배가 왜 문제가 되는지와 그리고 수상이 야스쿠니를 언제 참배하게 될지에 대해서 일본 국내는 물론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전후 일본지도자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가 일본에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야스쿠니의 역사적 견해, 그리고 야스쿠니문제를 둘러싼 참배 찬성과 반대에 대한 일본 국내의 현상을 분석하려한다. This article aims to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why the Yasukuni Shrine issue is still important in the Japanese society even now, when fifty years have passed since postwar. The Yasukuni Shrine issue still has a big influence on the Japanese society, even though there has been changes in the Japanese political economy since the postwar. Mean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f the Yasukuni Shrine issue were focused on domestic historical context, and payed little attention to the domestic pros and cons of worshiping Yasukuni Shrine. Since year 2000, after the Japanese economy depression, Prime Minister Koizumi"s visit to the Yasukuni Shrine was blamed by the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s due to Japan"s non-reflection of the war. It led to diplomatic issues among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insisted that worshiping at the Yasukuni Shrine is a domestic issue rather than an international issue. The reason why Yasukuni issue is turning into a global debate is that in the shrine, not only first class Japanese war criminals were dedicated, but also Korean and Taiwanese former soldiers. And as the Japanese society is swinging to the right, the issue of when Premier of Japan will visit the Yasukuni Shrine is becoming important to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analyze how Japan views the issue of Japanese Premiers visiting the Yasukuni Shrine, and the pros and cons on worshiping the Yasukuni Shrine.

      • KCI등재

        GHQ 일본 점령하 야스쿠니신사의 변화

        김현아(Hyun-Ah Kim) 일본사학회 2024 일본역사연구 Vol.63 No.-

        이 논문에서는 GHQ 일본점령 시기에 야스쿠니신사에서 ‘위령’ 중심의 평화주의가 지향(志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평화적 ‘위령’과 관련하여 어떠한 제사가 거행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GHQ는 일본점령 직후 신도지령과 종교법인령을 개정 공포하였다. 이로써 야스쿠니신사는 국가적 지원이 중단되고 일개 종교법인이 된 이상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야스쿠니신사는 군국주의 신사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해 평화적 ‘위령’을 내세우게 되었다. 그 이유는 GHQ 점령정책 아래 야스쿠니신사의 경제적 입장을 고려하면 유족이나 일반 민중을 숭경자로 삼기 위해서는 보편타당한 평화주의 신사로 바꿀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평화적 ‘위령’의 제사에는 전시기에 ‘집단성’이 강조되었던 제신의 제사를 야스쿠니신사에서 유족이 전사자 개인의 이름으로 신청하면 거행할 수 있는 에이타이카구라사이 제도를 들 수 있다. 또한 조상숭배 ‘위령’의 성격을 지니는 미타마마쓰리 외에 다양한 마쓰리가 처음으로 거행되었다. 야스쿠니신사가 대중 지향적이고 평화적 ‘위령’를 추구한 것은 GHQ에 의해 강요되어 출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렇지만 GHQ 점령하 야스쿠니신사에서 새롭게 거행된 다양한 마쓰리는 야스쿠니신사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일련의 노력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ituals performed in relation to peaceful commemoration, with a focus on Yasukuni Shrine’s pursuit of pacifism centered on the appeasement of the spirits during the occupation by the General Headquarters (GHQ). The GHQ issued the Shinto Directive and the Religious Corporations Ordinance immediately after the occupation of Japan. This meant Yasukuni Shrine was no longer supported by the state and was reduced to a mere religious corporation, necessitating self-reliant measures. Departing from its militaristic image, Yasukuni Shrine chose to advocate for peaceful commemoration. Considering its economic position under GHQ’s occupation policy, the shrine needed to transform itself into a universally acceptable pacifist shrine in order to attract bereaved families and the general public as worshippers. The peaceful memorial rituals include the Eitai Kagura Festival, which allowed bereaved families to apply to conduct an individualized memorial ritual for fallen soldiers at Yasukuni Shrine, departing from the collective nature of previous deity-centric ceremonies during wartime. In addition, various other festive occasions (“matsuri”) were held for the first time, including the Mitama Matsuri, which is an ancestor worship memorial festival. Yasukuni Shrine’s pursuit of a public-oriented and peaceful approach to commemoration was essentially initiated as a result of pressure or coercion from the GHQ. However, the various new rituals (“matsuri”) initiated at the shrine during the GHQ’s occupation can be seen as part of its efforts to transform itself.

      • KCI등재

        기획논문- 문제의 야스쿠니(靖國) : 야스쿠니신사 봉납스모(奉納相撲)의 제의적 고찰 -임시대제(臨時大祭)의 초혼식(招魂式)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규헌 ( Kyu Heon Cho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에서는 야스쿠니 신사 봉납스모의 제의적 성격을 초혼식(招魂式)과의 관련에서 중점적으로 고찰하고, 여기에 야스쿠니 신사 사쿠라의 상징성이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춘계예대제에 즈음하여 사쿠라마쓰리와 함께 화려하게 행해지는 봉납스모가 전전 야스쿠니 신사가 ``본연``의 기능을 하던 시기와의 연속성 속에서 어떠한 문화적 특수성을 내포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야스쿠니 신사 봉납스모의제의적 성격에서 가장 주목한 것은 초혼식 다음날 펼쳐진 본전 앞 도효이리 의식이다. 전전 봉납스모의 도효이리 의식은 전사자(戰死者) 영혼의 초혼(招魂)관념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야스쿠니 신사의 본전은 전사자의 영혼이 제신으로 모셔진 공간으로 본전에서의 봉납 도효이리를 통해 스모 요코즈나와 마쿠노우치 선수들은 야스쿠니의 영령이 강림하는 군신이자 충신이 된다. 야스쿠니신사의 봉납스모에 제신(祭神)의 성격인 군 신·충신을 만들어 내는 것과 동일한 제의적 성격을 내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도 <스모계 -군부 -야스쿠니 신사>의 관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전 임시대제 초혼식의 봉납스모는 ``사쿠라 꽃처럼 진`` 명예로운 죽음을 맞이한 전사자 영혼과 관계한다면, 현재의 봉납스모는 사쿠라마쓰리의 시기에 맞추어 열린다는 점에서 ``만개한 사쿠라 꽃``인 환생한 전사자 영혼의 상징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점에서 야스쿠니 신사의 봉납스모는 전전과 전후를 관통하는 전사자의 ``영혼``을 배경에 둔 일본만의 특징적 문화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udy is an inspection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the Yasukuni Shrine Dedication Sumoand the Shokon Ceremony, and examines how the symbolism of the Yasukuni Shrine Japanese cherry blossom is related. Through this, this research study attempted to show what type of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fancy Dedication Sumo that was celebrated together with the ``Sakura Matsuri Festival`` in the current spring time festivals has in relation to the period and continuity where the prewar Yasukuni Shrine served its "true". This aims to reexamine the Dedication Sumo in the context in which the Yasukuni Shrine showed the original function prior to the war, instead of the present perspective. The special festival at the Yasukuni Shrine is a ritual for the souls of the war dead from individuals`` souls to the deities of the national ritual. This study focused on the ceremony of entrance procession of Sumo wrestlers into the ring (Dohyo-iri) in the main Shrine as part of the ceremony of enshrinement for an analysis of the ritual of the Dedication Sumo. In addition, there is the same ritual in the actual Sumo Arena in the Yasukuni Shrine, too. To interpret this ritually, through the Dohyo-iri ceremony in front of the main Shrine before a Sumo game, the Sumo wrestlers who have become the gods of war hold the same ceremony at the Sumo Arena where intense Sumo games are held. Therefore, it is noted that the Sumo Arena of the Yasukuni Shrine where wild Sumo games are held by the gods of war symbolizes an intense ``battlefield.``

      • KCI등재

        동아시아의 과거,현재,미래 ; 감정기억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야스쿠니 문제 재론

        이영진 ( Yung Jin Lee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5 기억과 전망 Vol.0 No.32

        야스쿠니신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논의와 비판이 있어왔지만, 이 신사가 왜 여전히 일본사회에서 중요한 정치적 이슈가 되는지에 대한 내밀한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야스쿠니신사를 어떤 단일한 정치적 주체가 독점, 영유하는 이데올로기적 시설이라기보다는 전후를 살아가는 일본인들의 복잡다단한 감정과 기억들이 교차하는 장으로 보는 시각이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전후 일본사회의 대표적인 기억의 장으로서 야스쿠니신사가 갖는 감정기관(emotive institution)으로서의 성격과 더불어, 야스쿠니신사를 둘러싼 일본사회의 감정의 구조(structure of feelings)를 분석한다. 전시기(戰時期) 야스쿠니신사는 제국 일본의 가장 성스러운 공간이었다. 패전 이후, 연합군의 점령정책과 전쟁체험에 대한 전 사회적 성찰적 분위기로 인해 야스쿠니가 가지고 있던 상징적 위상은 많이 축소되지만, 그럼에도 유족들의 정신적 거점으로서의 기능을 잃지 않았다. 왜냐하면 전후 일본사회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죽은 자와 산 자가 관계를 맺는 독특한 행위로서 ‘위령(慰령)’이라는 문화적 실천을 계속해서 수행해온 기관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후 70주년에 접어들면서 전쟁에 대한 기억들이 풍화되고 기념의 영역으로 화하는 과정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새로운 기억의 장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야스쿠니의 사설 전시관인 유슈칸(遊就館)에 주목하면서 그 전시가 만들어내고 있는 ‘표상 체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야스쿠니신사가 불러일으키는 ‘감정의 힘’의 근원에 대해 고찰과 함께 그러한 구속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Although the Yasukuni controversy has long been subjected to much discussion and criticism, it has not been fully examined why the shrine still brings about one of the major political issues in the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I propose that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is issue, we need to take the view that the shrine is the venue in which post-war Japanese people’s complex feelings and memories of the lost war criss-cross rather than an ideological institution exclusively claimed by one single political entity. In this manuscript, I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Yasukuni shrine as the emotive institution as well as the structure of feelings in Japanese society surrounding the shrine. This perspective takes note of Yasukuni shrine as the arena where “community of emotion” sprouted during the war era. Although the symbolic status of Yasukuni shrine during the war was reduced due to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s occupation policies and the self-reflective tendency in the post war Japanese society, the shrine did not lose the function of the spiritual centre among the family of deceased soldiers enshrined in Yasukuni.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cultural practice of mourning(irei), in which the deceased and mourners spiritu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has been performed in the shrine. Furthermore, as 70 years passed since the end of the war, memories about the war at have gradually faded, and the war is now being remembered in different ways than before in and out of Yasukuni shrine. Focusing on Yushukan, a private war-exhibit within Yasukuni, I analyze the symbolic structure and the origin of the power of emotion engendered by the exhibit, and explore how the bondage of the emotive memory can be escaped in the current Japanese society.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의 공간적 변용

        박삼헌(Park, Sam-h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4 No.-

        야스쿠니신사는 근대 일본의 전쟁에서 발생한 전사자를 모시는 ‘위령’ 공간이다. 하지만 아시아태평양전쟁 A급 전범도 모시고 있으므로, 국내외로부터 일본 우익의 상징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메이지 전기에만 해도 경마가 개최되는 등 야스쿠니신사는 ‘위령’과 사뭇 다른 ‘여흥’의 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야스쿠니신사를 바라보는 시선에서 ‘여흥’은 사라지고 ‘위령’과 ‘현창’만 남게 되었을까. 본고의 분석에 따르면, 메이지 전기의 야스쿠니신사는 서양식 경마가 개최되는 등 신정부의 문명개화 정책을 선전하는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하지만 1894년 청일전쟁, 1899년 배전(拜殿) 건축 결정 등을 거치면서 점차 ‘여흥’보타 ‘현창’의 기능이 강화되어 갔다. 그리고 1904년 러일전쟁은 야스쿠니신사의 ‘현창’ 기능이 굳건히 자리 잡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Yasukuni Shrine is a Shinto shrine located in Chiyoda, Tokyo, Japan. It was founded by Emperor Meiji to commemorate those who died in service of the Empire of Japan. However, since war criminals who died during World War II were also enshrined in the shrine, critics at home and abroad evaluate it as a space for honoring Japanese right wings. In the early Meiji period, Yasukuni Shine took extremely different aspects from ‘commemoration of war deads’ in that the site was used as a horse-racing space for ‘entertainment’. If so, when did Yasukuni Shrine’s ‘entertainment’ function disappear and start to be used for ‘commemoration of war deads’ and ‘glorification’? According to this manuscript, Yasukuni Shrine in the early Meiji period was primarily used as a space publicizing the new government’s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campaigns such as Western horse-racing events. However, the symbol of Yasukuni Shrine from ‘entertainment’ was gradually transformed to ‘glorification’ for war deads following the First Sino-Japanese War in 1894. The decision to construct Shinto shrine (拜殿) was made in 1899 by Emperor Meiji. Since then, the Russo-Japanese War in 1904 provided a critical opportunity to solidify Yasukuni Shrine’s glorification’ function.

      • KCI등재

        靖國神社法案의 정치지형 -≪日本遺族通信≫・≪靖國≫・≪神社新報≫의 검토를 통한 試論-

        이세연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political topography of the Japanese right wing over the Yasukuni Shrine Bill. In this study, the main righ wing forces involved in the Yasukuni Shrine Bill were assumed to be the Nihonizokukai, Yasukuni Shrine, Jinja Honcho and Liberal Democratic Party. By grasping the movements of the four forces in a timely and organic manner, I tried to reveal the political topography of the time more clearly and concretely. The main review material is Nihonizokukai Tsushin, the organ of the Nihonizokukai, Yasukuni, the organ of the Yasukuni Shrine and Jinja Shinpo, the organ of Jinja Honcho. That seems to be connected without any bending at first glance, but the two layers are twisted and joined together. Located at the junction were the Nihonizokukai and Yasukuni Shrine. The two sides, while building a common front, seemed to be sub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Such a crack is confirmed before 1969. Looking at the situation macroscopically, beyond the Nihonizokukai, there was a field of institutional politics that communicated closely with the real world, and beyond Yasukuni Shrine there was another field of politics that communicated with steep fundamentalism. This shape was temporarily transformed through Nemoto plan and Nakasone conception, but no fundamental transformation was made. 본 논문은 일본유족회의 기관지인 ≪日本遺族通信≫, 야스쿠니 신사의 기관지인 ≪靖 國≫, 神社本廳의 기관지로 간주되는 ≪神社新報≫를 광범하게 비교 검토함으로써, 靖 國神社法案을 둘러싼 보수 우익 세력의 정치지형을 드러내고자 한 試論이다. 靖國神 社法案에 관여한 주요 보수 우익 세력으로 일본유족회, 靖國神社, 神社本廳, 자민당을상정하고, 이들의 움직임을 통시적, 유기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당대의 정치지형을 보다 선명하고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靖國神社法案을 둘러싼 보수 우익 세력의정치지형은 일견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두 가지 층위가 뒤틀린 채 접합되어 있는 모양을 띠고 있었다. 분기점에 위치한 것은 일본유족회와 야스쿠니 신사였다. 양자는 표면적으로 공동전선을 구축하면서도 실제로는 미묘하게 엇갈리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 같은 균열은 법안의 국회 상정 이전부터 확인된다. 거시적으로 사태를 조망해 보면, 일본유족회 너머로는 현실 세계와 긴밀히 소통하는 제도권 정치의 장이 펼쳐져 있었고, 야스쿠니 신사 너머로는 가파른 근본주의와 교감하는또 다른 정치의 장이 펼쳐져 있었다. 이 같은 모양은 根本案과 ‘中曽根구상’을 통해일시적으로 변용되기도 했지만, 근본적인 변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