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皇龍寺 九層木塔의 건립과 그 배경

        남미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wangnyongsa Temple(皇龍寺) had been founded in 553, the 14th year of King Jinheung(眞興王)'s reign and then Changyuk Noble Images(丈六尊像), Geumdang hall(金堂), and Nine-story Wooden Pagoda(九層木塔) were additionally built. Among these, the construction of Nine-story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which was built in 645(the 14th year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 reign) was suggested by Jajang(慈藏). It is considered that Jajang intended to improve queen's authority and gather domestic public opin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By the way, this intention was first mentioned by Anhong(安弘) in former period. After Sui Dynasty(隋) where Anhong studied established the unified dynasty, it publicized Emperor's achievement by building pagodas all over the country. An-hong who experienced this intented to improve Queen Seondeok's authority by bringing Buddha's ashes(佛舍利) in Silla and placing them inside Nine-story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In the present the academic world,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value of『Dongdo seongnip gi(東都成立記, Recor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stern Capital)』as a historical material and An-hong's life. However, according to」Stele for Great Master Sinheung(神行禪師碑)」, because the blood relationship between Great Master Sinheung and Anhong is clearly showed, Anhong can be seen as a person who lived in the seventh century. In the late reign of King Jinpyeong(眞平王), the royal authority became stable, the political forces who supported Queen Seondeok's enthronement led political situation. Also, in Buddhism, as Wongwang(圓光) lived and studied at Hwangnyongsa Temple, he showed the sociopolitical influence. On the other hand, Anhong seems to have reached the limit of his status considering that historical records about him doesn't remain clearly. Thus, his opinion about the foundation of Nine-story Wooden Pagoda didn't attract attention in 631. But Jajang knew Anhong's idea well ahead of 638 when he studied in Tang Dynasty(唐) and met Manjusri Bodhisattva(文殊菩薩) and got Jinsinsari(眞身舍利, Buddha's bones). After he returned to Silla in 643 with this, he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Nine-story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and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public opinion which could deal with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situations was attracted. 皇龍寺는 新羅 眞興王 14년(553) 창건되었고, 이후 丈六尊像 및 金堂과 九層木塔이 추가적으로 건립되었다. 이 가운데 善德女王 14년(645)에 건립된 황룡사 구층목탑은 慈藏의 건의로 이루어졌다. 자장은 황룡사 구층목탑 건립으로 여왕의 권위를 높이고 국내 여론을 결집시키고자 의도하였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주장은 앞선 시대의 安弘이 최초로 언급한 내용이었다. 안홍이 유학했던 隋는 통일왕조를 수립하면서 전국에 佛塔을 세워 황제의 업적을 선전하였다. 이를 체험한 안홍은 신라에 佛舍利를 입수해 와 황룡사 구층목탑에 안치함으로써 선덕여왕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였던 것이다. 현재 학계는 『동도성립기』의 사료적 가치와 안홍의 생애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神行禪師碑」에 신행선사와 안홍의 혈연관계가 분명히 보이므로, 안홍이 7세기에 생존했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眞平王代 후반 왕권은 안정되어 있었고, 선덕여왕의 즉위를 지지하는 정치세력이 정국을 주도하고 있었다. 또한 불교계에서는 圓光이 황룡사에 주석하며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반면 안홍은 역사적 기록이 분명하게 남아있지 않을 만큼 위상에 한계를 보였던 것 같다. 따라서 안홍의 황룡사 구층목탑 건립 주장도 631년에는 주목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자장은 638년 唐에 유학하기 전부터 안홍의 사상을 잘 알고 있었고, 당에서는 文殊菩薩을 직접 만나 眞身舍利 등을 얻게 되었다. 643년 신라로 귀국한 자장은 이것을 배경으로 황룡사 구층목탑 건립을 추진하였고, 국내외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여론 결집을 이끌어냈다.

      • KCI등재

        ‘九韓’의 용례와 ‘韓’에 대한 인식

        전진국(Jeon, Jin-kook)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6

        이 글의 목적은 삼국통일 이전 신라에서 쓰인 ‘韓’의 명칭과 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때 주목되는 것이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구한의 용례이다. ≪삼국유사≫에서는 신라 중고기 안홍이 지은 ≪東都成立記≫를 인용하여 구한의 명칭과 그 개념을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때 구한으로 열거한 9개의 나라(종족)는 신라 중고기의 상황과 맞지 않는다. 그리하여 구한은 신라 중고기의 용례와 개념이 아니라는 비판이 있어 왔다. 하지만 9개의 국명 열거는 후대의 추기로 판단됨으로 그 비판은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 안홍은 황룡사에 건탑을 제안하면서 구한의 용례를 제시하였다. 구한의 용례는 중국에서 동북쪽 변방의 오랑캐를 일컫는 九夷九服을 변형한 것이다. 특히 안홍은 隋의 대흥선사에서 유학할 때에 ≪歷代三寶記≫를 접하고, 거기서 구복이 등장하는 구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구복을 바꾸어 구한으로 쓸 수 있었던 것은 한반도 지역의 종족성 내지 지명을 ‘韓’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신라 사료에서 구한 이전 ‘韓’의 명칭이 나타나는 것은 ≪삼국사기≫ 초기기록이다. 그러나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 등장하는 한 삼한의 용례는 후대 편찬자의 의도에서 정리된 것이므로 當代의 인식이라 할 수 없다. 신라에서 구한의 용례가 쓰이기 이전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이미 ‘韓’의 명칭을 쓰고 있었다. 고구려와 백제에서 지칭한 ‘韓’의 용례는 새로이 복속한 변방 지역 또는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인접 국가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이는 구한이 신라를 침공하는 주변 나라들을 일컫는 의미였다는 점과 유사하다. ≪삼국지≫ 한조에서 ‘韓’은 백제와 신라를 포함한 한반도 중남부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이었으며, 통일 이후 신라의 삼한 인식도 자신들을 포함한 자의식이었다. 그에 비해 구한의 용례는 고구려 백제에서 쓰인 韓의 용례와 마찬가지로 타의식이었다. 그러므로 신라는 인접한 고구려나 백제를 통해 ‘韓’에 대한 인식은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rm ‘Han(韓)’ and it"s perception in Silla befor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orthy of notice is the usage of Guhan(九韓) which appears in the Samguk Yusa. The Samguk Yusa(三國遺事) descibes the term Guhan and it"s concept while quoting from Anhong(安弘)"s Dongdoseongnipgi(東都成立記) of the early seventh century. However, the nine states(people) listed here does not match the situation of Silla in the 7<SUP>th</SUP> century. Therefore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Guhan is not the usage and concept of 7th century Silla. However the nine states listed here seem to be a later addition therefore this criticism is no longer relevant. Anhong presents the usage of Guhan while recommending the erection of the Hwangnyongsa(皇龍寺) monastery pagoda. The usage of Guhan is a variation of the term Guyi(九夷) Gubok(九服) which the Chinese used to denote the barbarians of the Northeast frontier. It is thought that Anhong came across the Yeokdaesambogi(歷代三寶紀) while studying in Sui Dynasty China and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passage where the term Gubok appears. The reason Gubok was able to be changed into Guhan was because the ethnicity or place-name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understood in terms of ‘Han’. In Silla historical records the term ‘Han’ which pre-dates Guhan appears in the early records of the Samguk Sagi(三國史記). However the usages of Han Samhan(三韓) which appear in the early records of the Samguk Sagi was compil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a later editor and cannot be seen as reflecting the thought of the time. Before the term Guhan was used in Silla the term ‘Han’ was already being used in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The usage of ‘Han’ in Goguryeo and Baekje denoted newly conquered frontier areas or a neighboring state that was under their influence. This is similar to the term Guhan being used to denote neighboring states that were invading Silla. In the Sangokushi(三國志) ‘Han’ refers to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ncluded Baekje and Silla and the Samhan perception of Unified Silla was a self-consciousness that included themselves. In contrast the usage of Guhan, like the usage of Han in Goguryeo and Baekje was a alien-other-consciousness. Therefore Silla seems to have accepted the perception of ‘Han’ from neighboring Goguryeo or Baekje.

      • KCI등재

        신라 神行禪師碑의 건립과 그 정치적 배경

        최홍조(Choi, Hong-jo)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1 No.-

        신라 憲德王5년(813) 斷俗寺(경남 산청)에 神行禪師碑가 건립되었다. 이 비석은 신라 말 고려 초에 크게 유행한 禪師塔碑의 시초라는 의의가 있다. 碑와 부도는 滅失되어 전하지 않지만, 비문 전체의 탁본이 현전하고 있어 불교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비문에 의하면 神行(704~779)은 8세기 中代(654~780)에 생존한 인물로 唐에 유학하여 神秀系의 北宗禪을 배우고, 귀국 후 신라 사회에 선법을 펼친 승려이다. 신행선사가 입적한 때는 혜공왕 15년(779)이지만, 사후 35년 만인 9세기 초반에 다시 부도를 만들어 사리를 안치하고, 이와 함께 영정을 그리고 비석을 세우는 일련의 현창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는 下代(780~935) 초 불교계의 입장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정치적 의도와 목적이 강하게 내재된 佛事였던 것으로 보인다. 신행선사비 건립의 주체는 신행의 제자인 三輪禪師이며, 조정 관료들과 왕실 세력이 대거 단월로 참여하였다. 그 가운데 비문의 찬자이기도 한 金獻貞은 국왕의 최측근 인사로 헌덕왕대(809~826) 초반의 비상한 정국에서 매우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809년 헌덕왕은 조카인 애장왕을 살해하는 정변을 단행한 후, 이듬해(810) 김헌정을 唐에 朝貢使로 파견하여 憲宗의 신임을 얻었던 것이다. 그런 연후에 재위 4년(812) 새로 사신을 파견하여 정권 교체 사실을 알리고 당제의 책봉을 받아냈다. 신행선사비문의 분석을 통해 碑건립의 정치적 배경을 유추해볼 수 있다. 비문에는 신행의 先祖이자 先師로서 安弘이 특기되어 있다. 안홍은 中古期(514~654) 眞平王과 善德女王의 정치에 불교적 이념을 제공한 승려로, 當代에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중대 말 하대 초에 이르러 크게 부상하였다. 안홍은 隋에 유학한 후 文帝의 佛敎治國策을 신라 사회에 원용하였는데, 안홍의 사상과 활동이 헌덕왕의 통치이념과 숭불정책에도 부합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즉 文帝가 隋朝창업과 황제 등극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불교부흥에 부심했듯이, 헌덕왕도 정권안정과 民心收攬을 위하여 불교 고승과 聖人의 ‘기념비’ 건립에 집중하였던 것이다. 신행선사비문 속에는 9세기 초반의 혼란했던 시기, 헌덕왕의 정치적 고뇌와 야심이 숨어 있다. The headstone of Silla Zen master Sinhang(神行) was established at Dansok Temple(斷俗寺) in King Heondeok(憲德王). It is of significance that this stone is the root of Zen master headstones flourishing from the end of Silla Dynasty to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That stone was disappeared, but the rubbing of its inscription has been handed down and taken advantaged of as one of precious historical materials for studying Silla Buddhist history.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Sinhang(704- 779) was a great Zen master who was affected with Northern sect of Zen Buddhism in Chinese Tang and returned Silla to propagate Zen Buddhism. Sinhang entered Nirvana in AD 779, but his stone was established in AD 813, when they made Stone Stupa containing his sacred crystal relics and established its headstone. That means the establishing was a great Buddhist ritual which strongly revealed political purposes of the government. It can be known from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the ritual was a Zen master Samryun(三輪), Sinhang"s disciple, but main monetary offering was from the bureaucrats of the government and the royal family members. The inscription was written by Kim Heon-jeong(金獻貞), the high-ranking official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deok. So it"s maybe of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political backgrounds of those days. This study focused on Buddhist monk Anhong(安弘), Sinhang"s great grandfather, because he was significantly recorded on the inscription. Anhong was a Buddhist monk who provided Buddhist ideology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眞平王) and Queen Seondeok(善德女王). He was unnoticed in his life, but remarkably emerged in the early years of 9th century. His Buddhism was shed strong light on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deok, because his thought corresponded to the ruling ideology of that government. The fact that the headstone of Zen master Sinhang, Anhong"s descendent, was established in King Heondeok period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background of the period. In those days, the establishment of the headstone meant the official approval of the Zen sect of Buddhism, and as a result, Zen Buddhism(Southern sect of Zen Buddhism) was spread around in Silla society.

      • KCI등재후보

        『해동고승전』 안함전 연구

        곽승훈(Kwaak, Seung-ho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한국고대사탐구 Vol.17 No.-

        『海東高僧傳』 安含傳은 「安含碑」와 「安含傳」으로 추정되는 전기물을 바탕으로 覺訓이 찬술하였다. 安含은 601년 중국에 유학하여 5년간 공부한 뒤, 인도 승려 毘摩羅등과 함께 귀국하여 佛法을 전한다. 이후 신라에서는 인도로 佛法을 공부하러 가는 승려들이 많이 나왔다. 이에 각훈은 안함을 弘法을 펼친 聖人으로 평가하였다. 안함이 앞날을 예견하는 讖書를 지었는데, 모두 국왕의 權威와 국가의 安危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각훈은 讖書의 내용이 모두 명확하게 맞아들었다고 하면서 안함의 預知力을 높이 평가하였다. 각훈이 안함전을 찬술한 의도는, 高僧安含의 預知力을 통해 신라가 국가불교로 나아가야 하는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이는 불교의 위대성을 선양하는 한편으로, 국가를 위해서는 護法이 필요함을 역설한 것이다. 一然은 『三國遺事』에 안함과 安弘에 대한 전기를 立傳하지 않았다. 이는 일연이 새로운 자료를 얻지 못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각훈이 「안함비」의 내용을 토대로 안함전을 찬술하여 전한 것은 신라불교사의 이해는 물론 史學史上에 있어서도 그 의미가 적지 않다. Anhamjeon(安含傳) of Haedong Kosung Chon( 海東高僧傳) was written by Gak Hun(覺訓) based on the biographical writings estimated to be Anhambi(?安含碑?) and Anhamjeon(?安含傳?). Anham(安含) went to China for further study in 601 and studied there for five years. After returning with Indian Buddhist priests such as Kapimala(毘摩羅), he spread the Buddhism in the country. Since then, many Buddhist priests went to India to study the Buddhism. Gak Hun thus evaluated Anham as the saint that spread the Propagating Buddhism. Anham wrote Chamseo( 讖書) that predicted the future and contained content all related to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safety of the country. Gak Hun thought highly of his power to foresee, saying that all the content of the book was accurate. Gak Hun wrote Anhamjeon to grant the legitimacy of Silla becoming a Buddhist nation through the high priest"s power to foresee. It exalted the greatness of Buddhism and also highlighted the need for the defense of the constitution for the country. Ilyeon(一然) did not include biographies of Anham and Anhong(安弘) in his Samgukyusa( 三國遺事) probably because he failed to obtain new materials. In that context, Gak Hun"s compilation of Anhamjeon based on the content of Anhambi holds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studies as well as in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history of Silla.

      • KCI등재

        신라하대 사회와 불교계 동향 -도의국사 선사상 이해를 중심으로- 신라하대 사회와 불교계 동향 한국불교학 52집

        김양정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2 No.-

        The study is a treatise to examine the society of the Shilla’s latter period and the Buddhist circles in order to understand in that the national master Doeui’s Seon thought. We should have a detailed grasp of the Buddhist circles’s tendency in order to know the national master Doeui’s Seon thought and the character of the Southern school of the Chan that the national master Doeui brought before his return to Shilla kingdom from China. In this point of view, this manuscript is to be illuminated the Society of the Shilla’s latter period and the Buddhist circles’s tendency. This is to recognize that human being and history is mutually inseparable existence. Such character is from the view what religion and thought are same point. Accordingly this writer illuminated socio-political situation, the Buddhist circles’s tendency of the Shilla’s latter period and transmission of the Northern school of the Chan. However in this manuscript I commented on the point of paying no attention to the Northern school of the Chan in emphasize excessively the Southern school of the Chan and observed the reality of Ahnhong who is the previous figure of Shinhaeng who transmitted the Northern school of the Chan. Namely, it is a new understanding of the Langkavatara Sutra which Ahnhong spread and the way of Seon practice centering around the Langkavatara Sutra. This meant that Seon practice is autogenous within the Shilla society. About this public discussion is required in the academic world. 본 고찰은 도의국사의 선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에서 신라하대 사회의 불교계 동향을 살펴본 글이다. 도의국사의 선사상, 그리고 도의가 갖고 온 남종선의 성격을 알기 위해서는 도의국사가 중국에서 귀국하기 이전의 불교계 동향을 세밀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런 입장에서 본고는 신라하대의 사회와 불교계 동향을 조명하였다. 이는 역사와 인간은 상호 불가분의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고 이런 성격은 종교와 사상도 동일하다고 본 입장에서 나온 것이다. 이에 필자는 신라하대의 정치 사회적 상황, 신라하대의 불교계의 움직임, 북종선의 전래 등을 조명하여 보았다. 그런데 본고에서는 지금껏 남종선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북종선을 소홀하게 여겼다는 입장을 비판하고, 북종선 전래자인 신행의 선대 인물인 안홍의 실체를 주목하였다. 즉 안홍이 유포한 능가경과 능가경을 중심으로 한 수행방법을 재인식 해야 함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신라사회 내부에서 선수행이 자생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학계의 공론화가 요청된다.

      • 『삼성기』 저자 안함로에 관한 고찰

        노종상(Roh Jong Sang)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1

        이 논문은 우리 상고사를 기록한 「삼성기三聖記」의 저자 안함로安含老에 대한 연구이다. 「삼성기」는 1911년 만주 관전현寬甸縣에서 독립운동가 계연수桂延壽에 의해 간행된 『환단고기』를 통해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다섯 편의 사서로 이루어져 있는 『환단고기』의 첫 권이 「삼성기전」이다. 「삼성기전」은 상, 하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함로는 「삼성기」 상권의 저자이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안함로가 누구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안함로는 「삼성기」저자로서 그 모습을 드러낸 이후 일부의 주장에 의해 의혹의 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안함로에 대한 의혹을 해명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본고가 연구목적을 위해 주목하는 것은 『삼국유사』 고조선 조에 인용되고 있는 『고기』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기존 사학계에서 우리 상고사를 논의할 때 가장 먼저, 그리고 반드시 언급되는 것이 바로 이 기록이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고기』와 「삼성기」가 우리 상고사를 기록한 사서라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고기』가 「삼성기」 저자 안함로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본고는 기존 사학계의 연구 성과는 물론 각종 문헌자료를 통해 다양한 고증을 시도하였다. 논의 결과 『고기』가 『삼한고기』 혹은 『해동고기』의 약칭으로서 동일서책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삼한고기』의 저자가 신라의 고승 안홍安弘(→안함安含)이라는 문헌자료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삼성기」가 『고기』의 내용과 일치한다는 내용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삼성기」의 저자 안함로가 바로 안함(→안홍)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AhnHamlo, the author of SamSeonggi. Samseonggi is a Book about our ancient history. Samseonggi is a Book in Hwandangogi that was published by Yeonsoo Gye, in Gwanjeonhyeon, Manjoo in 1911. The first volume of Hwandangogi was Samseonggijeon. That was composed of Book 1 and 2. AhnHamlo was the author of Book 1.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termine who AhnHamlo was. After he wrote Samseonggi, he became the object of suspicion by claim of others. Therefore, first of all, this study had to explain his ident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payed attention in Gogi that had been quoted in GoJoseon, Samgukyousa. There were some reasons. First, that was the article which must be referenced when we discussed our ancient history. Second, Gogi and Samseonggi had common because they were books about our ancient history. Finally, Goggi was believed to become a clue that could solve the problem about AhnHamlo. This study tried to ascertain historical truths by searching historical studies and literature materials. As a result, Gogi was considered to be equal to Samgangogi or haedonggogi. And the author of Samhangogi was thought to be Anhhong(→Anham), the high priest of Buddhism, in Silla. Lastly, Samseonggi and Gogi had similar content. Therefore,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that AhnHamlo, the author of Samseonggi was Anham(Ahnhong).

      • KCI등재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밀본의 실체

        장활식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6 新羅文化 Vol.47 No.-

        『Remaining Records of Three Kingdoms』(『三國遺事』), a late 13th century text, introduced a mysterious 7th-century Esoteric Buddhist monk called MilBorn(密本). The literal meaning of ‘MilBorn’ is the Founder or Root of Secret Buddhism. The text stated MilBorn had two main disciples who developed their own sects of Secret Buddhism in Silla(新羅): MyungRang(明朗) of Shin-In-Jong(神印宗) that emphasized to dissolve kingdom-wide crises by performing rituals at alters and HyeTong(惠通) of Chong-Ji-Jong(摠持宗) that focused on relieving personal misfortunes, such as diseases, by chanting secret spells. However, nothing is known about MilBorn except that he had cured the diseases of Qeen Seondeok(善德女王: reigned 632~647) and Kim, Yaang-Dou(金良圖), a young noble boy who later became an envoy to China. A troubling fact is that there is no indication that MyungRang, who is claimed to defeat Chinese invasions in 670 by performing the Mudra Rituals(文豆婁秘法), can in any way be related to MilBorn who mainly engaged in curing diseases. 『Biographies of Eminent Korean Monks』(『海東高僧傳』), an early 13th century text, described AhnHaam(安含), an Esoteric Buddhist monk also referred to as AhnHong(安弘), who contributed to the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populating Buddhism in Silla, according to 『Remaining Records of Three Kingdoms』. AhnHaam(i.e, AhnHong) had many great achievements in his life: bringing from Sui(隋) to Silla in 605 numerous sutras and a śarīra(舍利) claimed to be that of Śākyamuni(釋迦牟尼), inviting three Indian Tripiṭiaka Masters(三藏法師) and two Chinese monks in 625 from Tang(唐) to translate an esoteric sutra titled 『A Mysterious Woman of Sandalwood Incense and Burning Star Lights』(栴檀香火星光妙女經), proposing to bury Queen SeonDeok after her death at Trayastriṃśa(忉利天) and to consequently build the Four Devas Temple(四天王寺) below the Trayastriṃśa, and demanding to construct a nine-story pagoda at HwangYong Temple(黃龍寺九層塔)to defeat neighboring kingdoms. MyungRang is considered by many scholars to be most strongly influenced by AhnHaam(AhnHong) who laid out the master plan for building the Buddha Land(佛國土) in Silla. This paper found that AhnHaam(AhnHong) was arbitrarily renamed as MilBorn by Monk EelYeon, the author of 『Remaining Records of Three Kingdoms』. Monk EelYeon considered AhnHaam(AhnHong) as the founder of Secret Buddhism in Silla, but did not to explicitly state that MilBorn is an alias for AhnHong. For that reason, many historians up to this point have considered AhnHaam(AhnHong) as a totally different person with MilBorn. EelYeon hid the true identity of MilBorn because AhnHaam(AhnHong) was the one who predicted the downfall of Koguryo(高句麗) in his prophetic writings. EelYeon regarded the prophecy as a curse, because he was a monk of Koryo(高麗), a descendant kingdom of Koguryo.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