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익태와 마요르카 교향악단 : 레퍼토리 연구

        허영한(YoungHan Hur) 낭만음악사 2009 낭만음악 Vol.22 No.1

        안익태는 1947년부터 1959년까지 마요르카 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로 있었다. 이 논문은 안익태가 초대 상임지휘자로 초청받는 과정과 안익태와 마요르카 교향악단의 레퍼토리 형성 과정을 살펴본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마요르카 교향악단의 콘서트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안익태의 교향악단은 70명 정도의 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현악기에 비해 관악기가 훌륭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안익태는 마요르카 교향악단과 베토벤의 교향곡 5번과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5번을 가장 자주 연주했으며 전반적으로 고전주의 작품보다는 낭만주의 작품을 선호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신의 창작곡중에는 〈교향시 마요르카〉가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며 바흐의 곡을 안익태가 편곡한 작품도 자주 지휘하였다. 이 기간 동안 안익태와 협연한 인물 중에 주요 연주자로는 쇼팽 연주로 잘 알려진 니키타 마갈로프와 신동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루지에로 리치를 들 수 있다. EakTai Ahn (aka EkiTai Ahn at that time) was named music director of Orquesta Sinfonica de Mallorca, Spain when it was founded in January of 1947. Since then he held the position until 1959 when he began to conduct more often outside Mallorca. This paper surveys the repertory of Ahn and the Orquesta during those 12 years. The concert programs of the Orquesta kept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studied. It appears that Ahn preferred works of the Romantic era over those of the Classical period. Also his own composition, Symphonic Poem Mallorca was very well received by audience and he frequently conducted his own orchestral transcriptions of J. S. Bach. The famous solo players who performed with Ahn include the renowned Chopin interpreter Nikita Magaloff and the virtuoso violinist Ruggiero Ricci.

      • KCI등재

        안익태와 미국 신시내티

        허영한 한국서양음악학회 2013 서양음악학 Vol.16 No.3

        This paper tries to reconstruct EakTai Ahn's life at Cincinnati, Ohio, U.S.A. Newly found documents of Ahn's Immigration Arrival files and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Service at NARA, Washington show how Ahn came to the Conservatory of Cincinnati and why he was investigated for illegal stay in America. According to these documents he was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Conservatory for the first year. As the Conservatory reduced the financial support later on, Ahn had to work for living and tuition. There are newspaper articles of Findlay, Ohio that tell us Ahn was invited several times to the churches of the city to have cello recitals, which obviously helped him financially. The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of Findlay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him, because Ahn was from PyungYang, Korea where American foreign missionaries were sent. 이 논문은 안익태가 미국, 신시내티 음악원으로 유학가는 과정과 신시내티에서 필라델피아로 전학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미국 국립자료보관서(NARA)에서 새롭게 발견된 안익태의 입국 서류와 미 노동부 이민국의 서류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안익태의 초기 미국 생활을 비교적 자세하게 재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 자료들에 의하면 안익태가 신시내티 음악원에서 수업료 면제를 받으며 공부했으나 음악원의 운영 주체가 바뀌면서 안익태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사라졌고 미국 이민국은 안익태가 불법으로 체류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추방 절차를 개시한다. 안익태는 필라델피아의 템플대학의 음대로 전학가면서 추방 위기에서 벗어난다. 이민국 조사로 압박을 받으면서도 안익태는 신시내티에서 멀지 않은 작은 도시 핀들레이의 교회 초청으로 연주활동을 하면서 경제적인 도움을 받는다. 또한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잘못 알려진 안익태의 커티스 음악원 수학과 유명 지휘자인 프리츠 라이너와의 만남 등이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반면에 입국 서류에 포함된 그의 호적은 논란이 있던 그의 탄생 연도가 1906년임을 보여주기도 한다.

      • KCI등재후보

        안익태의 음악세계에 대한 연구

        진환주(Jin Hwan Ju)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1 No.31

        안익태는 민족이 처한 현실에 깊은 애정을 갖고 있었고, 민족과 조선에 대한 사랑으로 음악을 했으며 또 애국가를 작곡하였다. 그러나 일제 말기에 이르러서는 친일협력의 행보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만약 그가 ‘민족운동가’ 혹은 ‘독립투사’였다면 그는 분명 ‘변질’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민족의 독립을 위해 싸우는 투사가 아니다. 그래서 이러한 시각과 잣대로 안익태를 보면 안익태의 인생을 제대로 읽을 수 없다. 우리가 분명히 견지해야 하는 사실은 그는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예술가’라는 것이다. 예술가는 ‘예술적 재능’을 통해 ‘조선과 민족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가 조선을 사랑하는 도구는 ‘음악’이었다 애국가를 작곡할 때는 애국가가 “민족운동과 애국정신을 도우는” 역할을 하였다. 일제가 전 세계를 향해 침략전쟁을 벌이던 때, 조선인 신분을 내세우는 것이 불가능할 그 때에는 조선의 음악과 가락을 세계에 알리는 일을 통해 그는 조선을 사랑하였다. 특히 그는 유럽에서 민족음악을 보았고, 일제강점기시대에 해외의 경험 속에서 민족에 대한 사랑과 의식이 싹텄다. 안익태의 민족사랑은 그의 작품의 소리의 저항에서 알 수 있다. 그것이 민요의 선율이다. 민요의 선율로 그의 음악의 바탕을 그렸고, 가장 한국적인 우리의 정서를 음악으로 소통시켜 세계에 알렸다. 그의 음악 활동들은 시대의 제약 속에서 시대를 초월한, 안익태 만이 할 수 있었던 음악작품들이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필자는 안익태를 ‘문화예술주의자’라는 관점에서 보자고 제안하는 것이다. An Ik-Tae had deep love toward the reality that his nation was dealt with and did music and composed a song of patriotism. However, he showed steps of pro-Japanese cooperation in last years of colonial period. It may be said that he became 'changed in quality' if he was a 'racial activist' at 'independence fighter'. But, he was not a fighter fighting for independence of a nation. Thus if we have this point of view, we cannot read his life properly. The fact that we must keep on is that he was an 'artist' who had genius talent. As an artist, he loved Korea and his people through 'art talent'. The tool that he loved Korea was 'music'. When he composed a song of patriotism, it played a role of inspiring national movement and patriotism mind to his nation. When it was impossible to play as korean because of the japanese rule, he loved Korea through playing Korean music and melody in the worldly stage at that moment. Especially he experienced nationalism in Europe and he began to develop love and consciousness of his nation under japanese rule. We can see his love for the nation through the sound of resistance from his works which are melodies of folk song. He drew a base of his music with a melody of folk song and he communicate with world through his music, and made known of korean sentiment. His activities as musician was the musical works which transcended the times in limitation of the times and it was the thing that only he could do.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s to see An Ik-Tae as a 'cultural artist'.

      • KCI등재

        안익태 VI 1941년 10월 10일의 지휘 무대와 그 평가

        김보국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2

        This study concerns the materials related from December 1940, when Ahn Eak-tai left the Ötvösch boarding school, to October 10, 1941, when there was a concert in Bigedo, Budapest. Contrary to what has been known thus far, this study claims that Ahn Eak-tai’s first encounter with Koichi Ehara was when he visited Romania in November 1940 for a performance, based on the performance program recorded at the time. Therefore, Ehara said in her writing that Ahn Eak-tai stayed in Europe and sought him to continue his studies, which was in December 1940, when Ahn Eak-tai had no choice but to leave the Báró Eötvös József-Collegium. The reason this point is important is because the point at which Ahn Eak-tai stayed in Ehara’s mansion and the point where his career as a conductor rose splendidly overlap. On October 10, 1941, he first stood on the conducting stag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nducting stage and was more formal in form and content. Starting with this concert, Ahn Eaktai’s musical career reached its peak for about two years, focusing on activities in Germany. In this research, we took a closer look at this October 10th concert through data from Hungarian sources. And the harsh criticism that was published in some newspapers and music journals at the time was ultimately attributed to his inability to conduct in Hungary. 본고에서는 안익태가 외트뵈쉬 기숙학교를 떠난 후인 1940년 12월부터 부다페스트의 비거도(Vigadó)에서 음악회가 있었던 1941년 10월 10일까지의 그의 행적과 그의 지휘 무대에 대한 헝가리의 평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당시 기록된 공연 프로그램 등을 근거로 하여 안익태와 에하라 고이치의 조우는 1940년11월, 루마니아에서 일본 측이 주최한 행사에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에하라는 자신의 글에서 안익태가 유럽에 머물며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그를 찾았다고 하였는데, 그때는 안익태가 외트뵈쉬 기숙학교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시기와 일치함을 알 수있다. 이 시기가 중요한 이유는 안익태가 에하라의 저택에 머물렀던 시점과 지휘자로서조명 받기 시작하는 시점이 겹쳐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1941년 10월 10일, 안익태는 이전의 지휘 무대와 다른 형식과 내용으로 보다 ‘제대로 된’ 지휘 무대에 서게 된다. 이 음악회를 시작으로 그의 활동은 독일에서 본격화되며, 이후 약 2년 동안 자신의 경력에 있어서 최고의 시기를 맞게 된다. 본고에서는 헝가리 자료들을 통해 이 10월 10일의 음악회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이 음악회와 관련하여 당시 일부 신문과 음악 전문 저널에 실린 비평을 중심으로 그에 지휘에 대한 음악적 평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안익태와 미국 버몬트주의 앱나키 여름캠프

        허영한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音樂論壇 Vol.44 No.-

        This paper gives a detailed look at Ahn Eak Tai’s activities in a summer boys camp of the States, which has so far been little known. Starting with the summer of 1934 and continued in the summer of 1935 and 1937, Ahn was invited to the Abnaki camp in Lake Champlain, Burlington, Vermont as a music teacher. The author traces Ahn’s camp activities, based on newspaper articles in Burlington City. During this period, Ahn was expanding his range of musical activities from cello players to conducting and composing, and this paper sheds more lights o n the process. In particular, the two concerts of Burlington military band in the summer of 1937 could be recorded as Ahn’s debut in the United States as a conductor. The paper also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re was wide support from the American Protestant community introducing Ahn to the mainstream American society. Among them were celebrity politician Charles H. Tuttle and his wife, who was the 1930 Republican candidate for Governor of New York. 본 논문은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안익태의 미국 여름캠프에서의 활동을 세세하게 살펴본다. 안익태는 1934년 여름을 시작으로 1935년과 1937년 여름을 미국 버몬트주의 벌링턴시 챔플레인 호수가에서 열린 앱나키(Abnaki) 캠프에 음악 교사로 초빙되어 학생들을 지도했다. 저자는 벌링턴시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안익태의 캠프활동을 추적한다. 이 기간 동안 안익태는 첼로 연주자에서 지휘와 작곡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으며 이 논문은 그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밝혀준다. 특히 1937년 여름에 있었던 2회의 벌링턴 군악대 지휘는 안익태의 지휘자로서의 공식 미국 데뷔 무대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안익태의 이러한 미국 주류 사회에서의 활동을 가능하게 한 데에 미국 개신교계의 폭넓은 지원이 있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그 중에는 미국 공화당 주지사 후보였던 유명 정치인 찰스 터틀(Charles H. Tuttle) 부부도 포함되었다.

      • KCI등재

        안익태와 부다페스트

        허영한(Young-Han Hur) 한국서양음악학회 2023 서양음악학 Vol.26 No.2

        이 논문은 안익태와 부다페스트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안익태는 1936년 여름 부다페스트에서 지휘자로 정식 데뷔한다. 1936년 잘츠부르크 여름 아카데미에 참여하면서 얻게 된 행운이었다. 1937년 말 미국을 떠나 유럽을 향한 안익태는 그의 두 번째 체류 국가를 헝가리로 결정한다. 부다페스트에 도착 직후 에르뇌 도흐나니를 개인적으로 사사한 안익태는 부다페스트에서 그의 《한국환상곡》을 지휘했고 리스트 음악원에서 정식으로 코다이를 사사하게 되었다. 또한 헝가리와 문화교류를 활성화시키고 싶어 했던 일본은 안익태를 각종 음악회에 동원하게 되며 안익태는 두 명의 일본인과 각별한 관계를 갖게 된다. 특히 그의 만주국 합창 악보가 베를린 초연을 앞두고 부다페스트에서 출판된 것은 이번 논문에서 처음 알려진 것이며 이를 통해 그동안 확실치 않던 합창 부분의 가사 내용이 밝혀졌다는 점에도 의미가 있다. 그 외에도 이 논문은 지금까지 초연 연도가 불확실했던 그의 《에텐라쿠》가 부다페스트에서 작곡되었으며 로마에서 1940년 4월에 초연되었음을 보여준다.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hn EakTai(aka Ekitai Ahn) and Budapest, Hungary. He made his official debut as a conductor in Budapest in the summer of 1936, when he was fortunate enough to participate in the Salzburg Summer Academy. At the end of 1937, Ahn left the United States for Europe and decided to make Hungary his second destination. Ahn, who studied privately with Ernst von Dohnanyi immediately after arriving in Budapest in April of 1938, conducted his Korea Fantasy and formally studied with Zoltan Kodai at the Liszt Academy of Music. In addit ion, Japan, which wanted to revitalize cultural exchanges with Hungary and other countries of Eastern Europe, mobilized Ahn to various concerts from 1940 to 1943.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his choral score of the Symphonic Fantasy ‘Manchukuo’ in Budapest just before the Berlin premiere is the first known in this thesis, and the contents of the lyrics of the chorus part, which had not been clear so far, were revealed fully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his orchestral work Etenraku, whose premiere year was uncertain until now, was composed in Budapest and premiered in Rome in April 30th, 1940.

      • KCI등재

        안익태 연구Ⅱ - 1938년, 부다페스트에서 지휘와 언론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보국(Kim, Bo-Gook)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33 No.-

        안익태는 평소 꼼꼼하게 자필 기록을 남긴 것으로 부인 탈라레바 여사가 전한 바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안익태 관련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유의미한’ 기록의 부재이다.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 환상곡〉의 경우 1938년 2월에 더블린에서 초연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고, 이후 부다페스트와 베오그라드 등지에서 공연되었다고 하지만 현재 전해지는 악보는 1944년판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심지어 그의 레퍼토리에서 1940년 이후 거의 빠짐없이 등장하는 〈에텐라쿠〉는 현재 전해지는 악보조차 없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안익태 관련 헝가리 자료들을 소개하고 그 내용들을 해석해보았다. 1938년 6월 27일, 안익태는 1936년 9월에 이어 두 번째로 헝가리 라디오에서 지휘를 하게 되는데, 당시 헝가리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에 알려진 사실들과 비교해 보았다. 또한 이 연주회를 소개한 단신기사들 및 헝가리 신문에 실린 그의 인터뷰 기사도 함께 소개하고 그 내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research on Ahn Eak-tai, a South Korean classical composer and conductor, is the absence of any meaningful records. Thus, his representative work, ‘Symphonic Fantasy Korea’, is known to have premiered first in Dublin in February 1938, but a 1944 edition of the scores is the first one used for the 1986 edition which were restructured by another composer. Even the score of the Etenraku was not passed down, which was the one of the most heavily performed compositions from his repertoire in the first half of the 1940s. In this paper, Hungarian materials related to Eak-tai Ahn have been unrecognized until now are being introduced and interpreted. On June 27, 1938, he conducted at the Hungarian Radio studio again, following September 11, 1936. Thus, this paper compiles the known facts on this performance from Hungarian sources, trying to analyze and interpret a short article on the concert and Eak-tai Ahn’s interview published in a Hungarian newspaper.

      • KCI등재
      • KCI등재

        안익태 연구 Ⅰ - 리스트 음악원 재적 시기를 중심으로 -

        김보국(Kim, Bogoo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2 No.-

        안익태의 행적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관련 자료가 부족하고 자료의 기술 내용들이 일관적이지 않기에 연구의 어려움이 있다. 김경래는 안익태의 구술을 바탕으로 1960년대에 이미 그의 전기라고 할 수 있는 책을 출판하였고, 허영한은 주로 미국 출처의 자료들을 중심으로 충실하고 꼼꼼하게 조사하여 꾸준히 그의 행적과 음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전정임은 그의 음악과 작품세계에 대한 실질적인 최초의 학술서적을 선보이기도 하였으며, 이경분과 송병욱은 주로 독일 출처의 자료들을 깊이 있게 해석한 바 있다. 헝가리에서 안익태의 행적에 대해서는 그 동안 언론과 학술지에서 간간이 다루어졌으나 헝가리 출처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고에서는 안익태의 리스트 음악원 등록 시기 자료들을 중심으로 그의 행적을 살펴보았으며, 그가 음악원에 등록하기 이전에 지휘하였던 음악회에 대해서도 기존 자료들과 헝가리 자료들을 토대로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Eak-tai Ahn"s tracks have been continuously studied until now,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research because of the lack of related research materials and even the described contents of his life are inconsistent. Kyung-rae Kim has already published his biographical book in the 1960s but it was based on An Ik-tae"s dictation, so the there is a lot of part that can be open to doubt. Chung-Im Chun presented the first practical scholarly books on the world of his music and works, and Kyung-Boon Lee and Byeong-Uk Song have interpreted mainly from German sources concerned in him. The period of Eki-tai Ahn’s satying in Hungary and his traces have been intermittently covered in the press and academic journals, however the full-scale studies based on Hungarian sources have been lacking. In this paper, I reviewed his traces focusing on the materials of Liszt Ferenc Academy of Music, and the meaning of the concerts he conducted before enrolling in the Conservatory.

      • 〈한국환상곡〉의 여행

        허영한(YoungHan Hur) 낭만음악사 2009 낭만음악 Vol.21 No.3

        이 논문은 안익태의 대표작인〈한국환상곡〉이 작곡된 1937년부터 해방 후 바르셀로나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초연되는 1946년까지 이 작품의 변천과정을 추적한다. 새롭게 발굴된 자료들을 바탕으로〈한국환상곡〉이 1937년 3월 미국에서 완성되었으며 1938년 더블린 초연 이후 같은 해 6월에 수정된 버전으로 부다페스트에서 공연되었고 1940년5월과 9월에는 각각 베오그라드와 부다페스트에서 안익태가 일본인 신분으로〈한국환상곡〉을 지휘했음을 처음으로 밝힌다. 또한 이 논문은 그 이후〈한국환상곡〉이 부다페스트를 비롯한 유럽의 일본 외교 당국의 관여로 작품명을 변경하며〈쿄쿠토〉와〈만주국〉으로 새롭게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필자에 의해 처음 발굴된 안익태의 오케스트라 곡〈전원〉이 신민요 ‘방아타령’의 선율에 기초한 곡이며 이곡이〈한국환상곡〉과〈쿄쿠토〉,〈만주국〉에서도 계속적으로 2악장에 위치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세 개의 교향적 환상곡이 각기 다른 곡이 아니라〈한국환상곡〉의 변형된 작품임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traces remaking of Symphonic Fantasy, 'Korea' (1937) by Eak Tai Ahn from 1937 to 1946. The author claims that the Symphonic Fantasy was composed in March, 1937 in the United States while he was studying at Philadelphia. When Ahn arrived at Budapest after having premiered the piece in Dublin, with Ernst von Dohnanyi he revised it substantially and performed it at Budapest in June, 1938. Born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 peninsular, Ahn's nationality became Japanese and held a Japanese passport while he traveled outside of Japanese territory. As a composer of the Korean National Anthem he showed a great passion for his home country, Chosen up until 1940. While the World War II began to develop in Europe and the Pacific, the author argues that he became the subject of Japanese exploitation for the Japanese military propaganda of the European allies, such as Germany, Italy, France, Spain, Hungary, Romania, Bulgaria and Yugoslavia. It seems that Ahn had to change the original title of the piece, 'Korea' to 'Kyokuto' (the Far East in Japanese), 'Manchukuo' and 'Toa' (the Eastern Asia in Japanese) in order to meet the changing political ends of Japan while touring all the capital cities of her allies with his Symphonic Fanta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