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 아트페어의 성공 요인 분석과 한국 아트 페어의 발전 방안 연구

        선영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4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주요 아트페어들의 현황과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아트페어는 미술 시장 활성화와 문화 예술 저변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수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아트페어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한국에서도 다양한 아트페어가 매년 새롭게 등장하고 있지만, 여러 도전 과제와 한계로 인해 국제적인 수준으로 도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아트 바젤, 아트 쾰른, 프리즈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아트페어들의 사례를 통해 한국 아트페어가 성장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차별화된 콘텐츠 기획, 다채로운 문화 행사 기획, 후원 및 협찬 네트워크 확장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success factors of major European art fairs. Art fairs play a crucial role in revitalizing the art market and expand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base, with their number increasing globally. However, the number of successfully operated art fairs remains limited. In Korea, various art fairs are newly emerging every year, but they face numerous challenges and limitations in achiev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for the growth of Korean art fairs through the cases of globally renowned art fairs such as Art Basel, Art Cologne, and Frieze. To this end, specific measures such as differentiated content planning, diverse cultural event planning, and expansion of sponsorship and partnership networks were proposed.

      • KCI등재

        기업후원 특성과 문화예술 마케팅 기여도에 관한 연구 -아트페어 스폰서십의 매개적 역할-

        신동우,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문화소비지형도의 변화에 따라 기업들이 시각예술산업을 효과적인 마케팅 기법으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기업 브랜딩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아트페어와 스폰서십을 통하여 기업의 문화예술 후원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 강화와 소비자와의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후원의 효과와 아트페어의 매개 역할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기업후원과 아트페어에대한 이론적 고찰과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주요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성들을 반영해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예비조사 결과를 반영해 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30.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해 병렬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분석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후원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과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기업후원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후원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β=0.6379, p<0.05)와 총 효과(β=0.7760, p<0.05)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기업후원 특성이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β=0.4933, p<0.05)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β =0.2799, p=0.0252)도 유의하였다. Bootstrapping 기법을 활용한 간접효과 검증에서도 유의성이 확인되었다(LLCI=0.0015, ULCI=0.2604). 이는 기업후원이 직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을 매개로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는 기업후원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후원 특성은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을 매개로 그 효과가 더욱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후원은 아트페어의 운영 방식과 성격을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며, 아트페어는 기업과 예술 간의 접점을 확대하고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플랫폼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은 개별 후원에 그치지 않고, 전략적으로 아트페어와 같은 매개적 요소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업후원과 문화예술마케팅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아트페어의 중개적 역할을 밝힘으로써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cultural consumption patterns evolve, corporations increasingly recognize the visual arts industry as a valuable marketing tool and actively incorporate it into their branding strategies. Among various approaches, sponsorship through art fairs has become particularly effective in enhancing brand image and fostering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sponsorship in the cultural and arts sector and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art fairs in enhancing the contribution of sponsorship to cultural and arts marketing. By clarifying these relationships, the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companies can maximize the strategic value of cultural sponsorship and build stronger partnerships with the cultural sector. (Method) This study derived ke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previous studies on corporate sponsorship and art fairs, and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ccordingly. Subsequently,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followed by a preliminary survey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30.0 and PROCESS macro to verify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through parallel mediation analysi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sponsorship and strategic measures to enhance the contribution of cultural and arts marketing. (Results) Empirical analysis confirms that corporate sponsorship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nfluence contributions to cultural and arts marketing. Both the direct effect (β = 0.6379, p < 0.05) and total effect (β = 0.7760, p < 0.05)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porate sponsorship characteristic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 art fair sponsorship characteristics (β = 0.4933, p < 0.05),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fluence cultural and arts marketing contributions (β = 0.2799, p = 0.0252). Bootstrapping analysis further confirms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LLCI = 0.0015, ULCI = 0.2604), indicating that corporate sponsorship enhances cultural and arts marketing contribution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art fairs.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rporate sponsorship is more than financial support, actively shaping the structure and positioning of art fairs. These fairs serve as key intermediaries that connect corporations with the cultural sector while increasing public engagement. Companies should adopt a strategic, long-term approach, treating art fairs not just as sponsorship recipients but as collaborative partners that enhance cultural and arts marketing effectiveness. By clarifying the interconnected roles of corporate sponsorship, art fairs, and cultural and arts marketing, this study offers valuable academic insights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both corporate sponsors and cultural institutions.

      • KCI등재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성 연구

        김경현,김선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0 No.-

        Recently, many alternative art fairs have been created one after another, but most of them are disappearing without being able to endure for long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ir operational structur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nd competition with similar art fair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plan of the alternative art fai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and pointing out the problems pointed out in the operation process. As the research method, multi-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dopted. ‘Eulji Art Fair’ was selected as a domestic example, and ‘Independent Art Fair’ and ‘Spring Break Art Show’ were selected as overseas art fai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are that, first, it serves as a new space and a place of information exchange for up-and-coming artists. Second,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up-and-coming artists and new spaces, and broadens the spectrum of artists and media to form a diversity of works. Third, although it focuses on enhancing the credibility of the event managem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stitu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galleries, it is insufficient to evaluate the credibility of the work value. Fourth, the openness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through SNS PR, field events, and side events. Fifth, a network is formed naturally when new spaces and emerging artists with similar situations and interests gather. In addition, as problem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publicity focused on SNS, lack of budget, inexperienced operation, and monotonous profit structure were derived. As a development plan, a plan for profit improvement was prepared for expanding various PR channels and stable finance, securing sufficient labor and thorough preparation in advance were suggested. 최근 많은 대안형 아트페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지만 대부분 운영 구조의 한계, 재원의 부족, 유사 아트페어와의 경쟁 등으로 인해 오래 버티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징을 분석하고, 운영 과정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을 짚어봄으로써 대안형 아트페어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중사례 분석 및 심층 면접을채택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을지아트페어’를, 해외 아트페어로는 ‘인디펜던트 아트페어’, ‘스프링 브레이크 아트쇼’를 각각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성은 첫째,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의 정보 교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둘째, 신진작가와 신생공간에 기회를 제공하고 작가와 매체에 스펙트럼을 넓혀 작품의 다양성을 형성한다. 셋째, 기관과의협업과 갤러리들 간의 소통을 통해 행사 운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집중하지만, 작품 가치에 관한 신뢰성 면에서는평가하기 부족한 면이 있다. 넷째, SNS 홍보와 현장이벤트, 부대행사를 활용하여 관객의 참여를 높여 개방성을 높이고 있다. 다섯째, 비슷한 상황과 관심사가 비슷한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이 모이기에 자연스럽게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한편 대안형 아트페어의 문제점으로는 SNS에 치중된 홍보, 예산 부족, 운영 미숙, 단조로운 수익구조 등이 도출되었다. 발전 방안으로는 다양한 홍보 채널을 확대, 안정적 재정을 위해 수익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 충분한 인력 확보와 철저한 사전 준비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아트페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정종효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8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2

        There has been a remarkable change in the Korea art market for the last 10 years in order to revitalize the art trade. Both art sellers and buyers are increasingly dependent on art fair and the total number of art fairs in Korea, which was only 21 in 2008, is estimated to be 47 in total, including Seoul in 2017[1]. However, there are few places that are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and international art fair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art fair.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professional directors and professional manpower systems, budgeting costs, the lack of strategies for attracting galleries and collectors, and the absence of long-term strategies, etc. Besides, although the Korea art fair moved toward international art fair,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 art fair because the numbers of participating overseas galleries and artists are too low. In this study, I used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status of Korea art market by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s references and I will try to help to promote the Korea art market by diagnosing the problem of Korea art fair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for them. 최근 10년간 한국아트마켓의 작품거래 방법에서 다른 분야보다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이 아트페어이다. 작품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아트페어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아트페어가 2008년에 21개 정도에 불과했으나 2017년에는 총 47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 그러나 늘어난 아트페어의 수에 비해 글로벌 아트마켓에서 전문적이고 국제적인 아트페어로 인정받는 곳은 두 개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원인은 총괄디렉터와 전문 인력시스템의 문제, 열악한 예산 문제, 참가갤러리와 콜렉터의 유입전략 문제, 장기전략의 문제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주최자는 국제아트페어를 지향하고 있으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에서 국내외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한국미술시장실태조사 결과를 주요 참고수치로 하여 국내아트페어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한국미술시장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런던 프리즈 아트페어의 성공 전략 : 마케팅, 담론, 도시 활성화

        조사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23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4 No.1

        London magazine Frieze launched the London Frieze Art Fair in 2003, which presents a large number of young and experimental works that are different from existing art fairs. Since then, the host city has expanded from New York in 2012 to Los Angeles in 2019 to Seoul in 2022, and the Frieze Art Fair, which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compared to other international art fairs,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in the art world beyond the art market in a short time. In addition, with the first Frieze Seoul held in Asia,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est in the art market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art market, art fairs have been formed from artists and critics to art dealers and collector, and since the 2000s, art fairs have been centered on auction companies and art fairs, and art fairs are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art world. Frieze London's success strategy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sponsorship and marketing, exhibition, and city. Frieze London expanded significantly when Deutsche Bank began sponsoring Fair as its main sponsor in 2004, suggesting that it needed stable funding, expanding from the image of the art market for art sales, holding various academic events, and implementing trends in the biennale. In particular, while making good use of London's cultural and artistic infrastructure, art galleries and galleries held exhibitions promoting or focusing on their own art during the Frieze London period, expanding the entire city to cultural and artistic sites. Through this thesis, I hope it can be applied to festivals as well as domestic art fairs. 런던의 잡지회사인 프리즈(Frieze)가 기존의 아트페어와 차별화된 젊고 실험적인 작품을 대거 선보이는 런던 프리즈 아트페어(Frieze Art Fair)를 2003년 시작하였으며 이후 2012년 뉴욕, 2019년 로스앤젤레스에 이어 2022년 서울까지 개최도시가 확장되었다. 여타 국제적인 아트페어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역사가 길지 않은 프리즈 아트페어는 단시간에 세계 3대 아트페어로서 미술시장을 넘어 미술계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권에서 프리즈 서울이 처음으로 개최되면서 미술시장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더욱고조되는 상황이다. 특히 미술시장이 작가와 비평가 중심에서 아트 딜러와 컬렉터 중심으로 그리고2000년대 이후에는 경매회사와 아트페어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아트페어가 국제 미술계에서입지는 강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술시장의 흐름 속에서 프리즈 런던의 성공 전략을 기업의 후원및 마케팅 차원과 전시의 관점, 도시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프리즈 런던은 도이치뱅크가 2004년부터 메인 스폰서로 협찬하기 시작하면서 그 규모가 크게 확장되었으며, 이는 곧 안정적인 재원 조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프리즈 런던을 전시의 관점에서 보면 동시대 미술의 담론 장인 비엔날레 등에서 보여졌던경향들을 미술시장 체제 안에서 실행시키면서 또 다른 미술적 권위와 담론의 지표로서 역할을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런던의 문화예술 인프라를 잘 활용하면서 프리즈 런던 기간 동안 미술관및 갤러리들이 자국 미술을 알리거나 주력하는 전시를 개최하면서 도시 전역이 문화예술 현장으로활성화되고 있었다. 본 소논문은 런던 프리즈 아트페어의 성공 전략을 마케팅, 담론, 도시 활성화 차원에서 분석하면서국내 아트페어를 비롯해서 축제에도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아트페어 방문객의 세분화와 고객 경험 연구: 키아프 서울 2024를 중심으로

        김두이,왕연주,이고은,주연화 한국예술경영학회 2025 예술경영연구 Vol.- No.73

        최근 미술시장의 역동적인 환경 속에서 아트페어 업계의 변화와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국내 아트페어 시장은 키아프 서울(Kiaf SEOUL)이 프리즈(Frieze)와의 공동 개최를 결정한 2022년경부터 국제화, 다양화, 차별화의 측면에서 기존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국내 아트페어 업계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아트페어 방문 경험과 고객 행동은 단순한 참가 수치를 넘어 아트페어의 성과, 인지도, 그리고 향후 성장 가능성을 예측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키아프 서울 방문객의 방문 경험과 구매 경험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분화한 고객 유형별 키아프에 가진 인식, 태도, 고객 행동과 그 변화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키아프 서울 2024 방문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N=604)와 심층인터뷰(N=8)를 진행했다. 설문 결과를 토대로, 아트페어 방문빈도와 구매 작품 보유량 기준에 따라 네 그룹(액티브 고관여층, 선택적 고관여층, 성장가능 저관여층, 관람중심 저관여층)으로 고객을 유형화했다. 이어진 심층인터뷰를 통해 각 유형별 고객 경험(브랜드 가치 인식, 만족도, 고객 행동 및 구매 패턴)의 특징과 잠재적 위험 요인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키아프 서울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차별화된 고객관리 방안을 설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나아가 국내 아트페어 업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In the dynamic environment of the contemporary art market, changes and competition within the art fair industry are intensifying. Particularly, the domestic art fair market has been showing different patterns since Kiaf SEOUL decided to co-host with Frieze in 2022, demonstrating aspects of internationalization, divers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thereby inducing structural changes across the entire domestic art fair industry. Within this evolving context, art fair visitor experiences and behaviors have transcended mere participation metrics, serving as elements that predict an art fair's performance, recognition, and potential for future growth.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visitors' experiences at Kiaf SEOUL and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s, attitudes, customer behaviors, and their changes among different customer segm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an online survey (N=604) and in-depth interviews (N=8) with Kiaf SEOUL 2024 visito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custom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art fair attendance frequency and artwork collection volume: Active High-Involvement, Selective High-Involvement, Growth-Potential Low-Involvement, and Viewing-Centered Low-Involvement. Through subsequent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specificall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 experiences (brand value perception, satisfaction, customer behavior, and purchasing patterns) and potential risk factors for each segment.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differentiated customer management approaches for Kiaf SEOUL, while also offering insights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 Korean art fair industry.

      • KCI등재

        ‘작가미술장터’와 작가들 - 대안적 미술시장에 참여한 작가들의 경험담 -

        고동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7

        지난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작가 주도형(작가 직거래) 아트페어가 확산되었다. 국 내에서도 예술경영지원센터가 2015년부터 후원하는 ‘작가미술장터’가 작가들의 경 제적인 권익을 향상하고 미술시장의 대중화를 위한 대표적인 연례행사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작가주도형 아트페어의 특징과 필요성을 문화정책, 미술시 장, 그리고 작가 권익과 연관된 사회적 이슈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미술사에서 등장해온 작가 직거래 아트페어와 최근 작가 주도형 아트페어가 지닌 차이점, 나아가서 대안적인 미술시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 역 사적, 사회적 배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연구자는 ‘유니온아트페어,’ ‘블라인 드데이트,’ ‘그림도시’의 3개 국내 ‘작가미술장터’에 참여하였던 12명 작가들에 대한 10개 문항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도 진행하고자 한다. 판매액이나 관람객의 수치가 아닌 미술장터에 참여한 작가들의 경험담을 분석하는 질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자 한다. 이것은 작가미술장터의 중요한 목적인 미술시장의 대중화나 컬렉터 층의 확대에 대한 향후 개선책, 문제점 등을 정책가가 아닌 참여자의 목소리와 경험담을 통하여 도출해 내기 위함이다. For the last decade,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become international phenomena. In Korea, “Artist Art Market,” which is financially supported by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establishes itself as the top annual event that promotes artists’ rights and the popularization of arts market. This study examines the key traits and needs of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in light of art policy, art market,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artist’s rights. Through this, I highlight the differences between historical artists’ art fairs and recent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as well as particular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that necessitate alternative art market for the last decade. In addition, I proceed with the survey of ten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of twelve artists who participate at the three “Artist Art Market”--namely Union Art Fair, Blind Date, and Art City. Rather than relying on the statistics of total revenues and number of visitors, I apply the qualitativ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narratives of participating artists. This aims to reflect the voice of artists participating at “Artist Art Market” related to issues of the popularization of art market and diversification of collectors in Korea; and to drew the guideline for corrections, criticism for future improvement of “Artist Art Market” based upon artists’ stories and experiences--rather than based upon those of policy makers.

      • 아랍에미리트 산업 다각화 기제로서의 예술 산업

        이수정 (Yi Soojeong) 한국미술경영학회 2024 한국미술경영학회 논문집 Vol.- No.6

        이 논문은 아랍에미리트의 예술 산업 발전 과정을 분석하며, 특히 두바이와 아부다비의 아트페어를 중심으로 산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예술 산업이 어떻게 성장했는지 고찰한다. 아랍에미리트는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경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특히 예술 산업은 국가 이미지 개선과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바이 아트페어와 아부다비 아트페어는 지역 예술가들에게 플랫폼을 제공하며, 국제적 예술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논문은 아랍에미리트의 예술 산업이 산업 다각화를 꿈꾸는 아랍에미레이트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분석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art industry in the United Arab Emirates, focusing on the Dubai and Abu Dhabi Art Fairs, and explores how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ies has facilitated the growth of the art sector. The UAE has been reducing its dependence on oil and pursuing sustained economic growth by developing various industries. The art industry, in particula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and generating economic value. The Dubai Art Fair and Abu Dhabi Art Fair provide platforms for local artists and hold significant positions in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This article analyzes what the arts industry in the UAE means for the country as it seeks to diversify its industries.

      • 세계 아트페어 동향과 한국아트페어의 전략

        정종효 유럽문화예술학회 2016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7 No.1

        The art fair depends on the business type and activities of the g머leη , a key player in the art market under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rtworks. Nowadays, the art fair has gained more focus in the 따t market as the 따t market evaluation depends on the gallery performance in the art fair, as well as the positive or negative auction result in the global 따t market.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the emergence of art fair is outstanding in the art market for the recent 10 years. The survey on the Korean art market by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indicated that the total transaction amount of loc머 galleries reached 275.1 billion KRW in 2012 but decreased to 204.8 billion KRW in 2015 even though the total transaction amount of local art fairs marked 42 billion KRW in 2012 but showed large increase to 62.4 billion KRW in 2015. It is the evidence that the artwork transactions by galleries have expanded the sales network through art f려rs and the 따t market maintained by galleries has attracted collectors and ordinary people for robust art fairs and rapid gro찌7th. Art fairs in the world have set up their positions as a new distribution channel in the global art market and the sales revenue of galleries from art fairs increase even though the sales portion of exhibitions by galleries shrink in the aspect of the gallery business. The concept that a gallery holds an individual or group exhibition through internal planning and sells artworks has lost its meaning and collectors have changed their minds to choose wider range of selections rather than narrow range of gallery exhibitions. That is why galleries have sought the breakthrough for their activities from the art fair. In addition, the art fair sells artworks during the event, provides networks for galleries, 따tists , 따t museums and collectors and has taken its root as an influential art event for the 따t culture to be quickly absorbed to the public through the synergy. Another merit of the 따t fair is to expand the 따t market area of the gallery. In P따ticular, it is characterized that countries with weak art market infrastructure or unstable scale and in the economic recession may perform global business beyond the gallery regardless of national or regional boundaries and the 따t fair leads customers worldwide to be within the boundary and utilizes customer base beyond the border. The Korean art market has joined more global art fairs since Jean Art Gallery took part in the FIAC for the first time in 1984 and local art fairs have rapidly increased. Against this backdrop, it is time for one of local 따t fairs to raise its recognition as a global art fair and play a role in vitalizing the Korean art. Here is to mention several key requirements for the local 따t fair. First, the strategy shall be developed for independent organizations and personnel and the expert pool be expanded. Second, it is urgent to secure the database for local and global infrastructure of collectors depending on participating galleries and set up direct management systems. Third, PR marketing strategies by experts sh머1 be e바lanced and contain distinct contents for local and foreign markets. Fourth, the art fair shall overcome its independent features and limited network and enhance functions for converged contents. Last, it is required to provide direct assistance in attracting galleries through realistic marketing strategies for artwork sales and lead a lot of foreign g떠leries. These conditions are prerequisite for setting up long-term strategy and specific vision of the 않t fair and it is important whether collectors visit art fairs and galleries show their willingness to partlclpate in.

      • KCI등재

        2023 프리즈와 키아프 서울 아트페어를 방문한 중국계 아트 컬렉터의 수집 동기와 취향 연구

        왕우심(Yuxin Wang),권지연(Cheeyun Kwon) 한국문화경제학회 2024 문화경제연구 Vol.27 No.3

        The number of Chinese visitors to the Frieze Seoul art fair has been increasing in the past two years. The Chinese art collectors have shown great interest in the Korean art market and artists. This has led to the purchase of artworks, impacting on the Korean art market. Based on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nalyzes the collecting motivations and taste of 10 Chinese VIP art collectors (from Beijing, Shanghai, Hong Kong, and Taiwan) who visited Seoul during the Seoul Art Week from September 6-9,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using the NVivo 14 and analyzed by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resulted in 112 concepts and 25 sub-categories, which derived into 12 categories. The core categories of the Chinese art collectors’ motivations in purchasing Korean art included 1) economic investment, 2) aesthetic taste, 3) social leisure, and 4) emotional connection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purchasing artworks by analyzing the collect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Chinese art collectors during the 2023 Frieze and Kiaf Seoul Art Fa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