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성 연구

        김경현,김선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0 No.-

        Recently, many alternative art fairs have been created one after another, but most of them are disappearing without being able to endure for long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ir operational structur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nd competition with similar art fair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plan of the alternative art fai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and pointing out the problems pointed out in the operation process. As the research method, multi-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dopted. ‘Eulji Art Fair’ was selected as a domestic example, and ‘Independent Art Fair’ and ‘Spring Break Art Show’ were selected as overseas art fai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are that, first, it serves as a new space and a place of information exchange for up-and-coming artists. Second,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up-and-coming artists and new spaces, and broadens the spectrum of artists and media to form a diversity of works. Third, although it focuses on enhancing the credibility of the event managem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stitu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galleries, it is insufficient to evaluate the credibility of the work value. Fourth, the openness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through SNS PR, field events, and side events. Fifth, a network is formed naturally when new spaces and emerging artists with similar situations and interests gather. In addition, as problem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publicity focused on SNS, lack of budget, inexperienced operation, and monotonous profit structure were derived. As a development plan, a plan for profit improvement was prepared for expanding various PR channels and stable finance, securing sufficient labor and thorough preparation in advance were suggested. 최근 많은 대안형 아트페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지만 대부분 운영 구조의 한계, 재원의 부족, 유사 아트페어와의 경쟁 등으로 인해 오래 버티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징을 분석하고, 운영 과정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을 짚어봄으로써 대안형 아트페어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중사례 분석 및 심층 면접을채택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을지아트페어’를, 해외 아트페어로는 ‘인디펜던트 아트페어’, ‘스프링 브레이크 아트쇼’를 각각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성은 첫째,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의 정보 교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둘째, 신진작가와 신생공간에 기회를 제공하고 작가와 매체에 스펙트럼을 넓혀 작품의 다양성을 형성한다. 셋째, 기관과의협업과 갤러리들 간의 소통을 통해 행사 운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집중하지만, 작품 가치에 관한 신뢰성 면에서는평가하기 부족한 면이 있다. 넷째, SNS 홍보와 현장이벤트, 부대행사를 활용하여 관객의 참여를 높여 개방성을 높이고 있다. 다섯째, 비슷한 상황과 관심사가 비슷한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이 모이기에 자연스럽게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한편 대안형 아트페어의 문제점으로는 SNS에 치중된 홍보, 예산 부족, 운영 미숙, 단조로운 수익구조 등이 도출되었다. 발전 방안으로는 다양한 홍보 채널을 확대, 안정적 재정을 위해 수익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 충분한 인력 확보와 철저한 사전 준비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아트페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정종효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8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2

        There has been a remarkable change in the Korea art market for the last 10 years in order to revitalize the art trade. Both art sellers and buyers are increasingly dependent on art fair and the total number of art fairs in Korea, which was only 21 in 2008, is estimated to be 47 in total, including Seoul in 2017[1]. However, there are few places that are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and international art fair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art fair.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professional directors and professional manpower systems, budgeting costs, the lack of strategies for attracting galleries and collectors, and the absence of long-term strategies, etc. Besides, although the Korea art fair moved toward international art fair,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 art fair because the numbers of participating overseas galleries and artists are too low. In this study, I used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status of Korea art market by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s references and I will try to help to promote the Korea art market by diagnosing the problem of Korea art fair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for them. 최근 10년간 한국아트마켓의 작품거래 방법에서 다른 분야보다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이 아트페어이다. 작품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아트페어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아트페어가 2008년에 21개 정도에 불과했으나 2017년에는 총 47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 그러나 늘어난 아트페어의 수에 비해 글로벌 아트마켓에서 전문적이고 국제적인 아트페어로 인정받는 곳은 두 개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원인은 총괄디렉터와 전문 인력시스템의 문제, 열악한 예산 문제, 참가갤러리와 콜렉터의 유입전략 문제, 장기전략의 문제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주최자는 국제아트페어를 지향하고 있으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에서 국내외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한국미술시장실태조사 결과를 주요 참고수치로 하여 국내아트페어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한국미술시장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런던 프리즈 아트페어의 성공 전략 : 마케팅, 담론, 도시 활성화

        조사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23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4 No.1

        London magazine Frieze launched the London Frieze Art Fair in 2003, which presents a large number of young and experimental works that are different from existing art fairs. Since then, the host city has expanded from New York in 2012 to Los Angeles in 2019 to Seoul in 2022, and the Frieze Art Fair, which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compared to other international art fairs,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in the art world beyond the art market in a short time. In addition, with the first Frieze Seoul held in Asia,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est in the art market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art market, art fairs have been formed from artists and critics to art dealers and collector, and since the 2000s, art fairs have been centered on auction companies and art fairs, and art fairs are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art world. Frieze London's success strategy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sponsorship and marketing, exhibition, and city. Frieze London expanded significantly when Deutsche Bank began sponsoring Fair as its main sponsor in 2004, suggesting that it needed stable funding, expanding from the image of the art market for art sales, holding various academic events, and implementing trends in the biennale. In particular, while making good use of London's cultural and artistic infrastructure, art galleries and galleries held exhibitions promoting or focusing on their own art during the Frieze London period, expanding the entire city to cultural and artistic sites. Through this thesis, I hope it can be applied to festivals as well as domestic art fairs. 런던의 잡지회사인 프리즈(Frieze)가 기존의 아트페어와 차별화된 젊고 실험적인 작품을 대거 선보이는 런던 프리즈 아트페어(Frieze Art Fair)를 2003년 시작하였으며 이후 2012년 뉴욕, 2019년 로스앤젤레스에 이어 2022년 서울까지 개최도시가 확장되었다. 여타 국제적인 아트페어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역사가 길지 않은 프리즈 아트페어는 단시간에 세계 3대 아트페어로서 미술시장을 넘어 미술계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권에서 프리즈 서울이 처음으로 개최되면서 미술시장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더욱고조되는 상황이다. 특히 미술시장이 작가와 비평가 중심에서 아트 딜러와 컬렉터 중심으로 그리고2000년대 이후에는 경매회사와 아트페어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아트페어가 국제 미술계에서입지는 강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술시장의 흐름 속에서 프리즈 런던의 성공 전략을 기업의 후원및 마케팅 차원과 전시의 관점, 도시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프리즈 런던은 도이치뱅크가 2004년부터 메인 스폰서로 협찬하기 시작하면서 그 규모가 크게 확장되었으며, 이는 곧 안정적인 재원 조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프리즈 런던을 전시의 관점에서 보면 동시대 미술의 담론 장인 비엔날레 등에서 보여졌던경향들을 미술시장 체제 안에서 실행시키면서 또 다른 미술적 권위와 담론의 지표로서 역할을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런던의 문화예술 인프라를 잘 활용하면서 프리즈 런던 기간 동안 미술관및 갤러리들이 자국 미술을 알리거나 주력하는 전시를 개최하면서 도시 전역이 문화예술 현장으로활성화되고 있었다. 본 소논문은 런던 프리즈 아트페어의 성공 전략을 마케팅, 담론, 도시 활성화 차원에서 분석하면서국내 아트페어를 비롯해서 축제에도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작가미술장터’와 작가들 - 대안적 미술시장에 참여한 작가들의 경험담 -

        고동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7

        지난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작가 주도형(작가 직거래) 아트페어가 확산되었다. 국 내에서도 예술경영지원센터가 2015년부터 후원하는 ‘작가미술장터’가 작가들의 경 제적인 권익을 향상하고 미술시장의 대중화를 위한 대표적인 연례행사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작가주도형 아트페어의 특징과 필요성을 문화정책, 미술시 장, 그리고 작가 권익과 연관된 사회적 이슈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미술사에서 등장해온 작가 직거래 아트페어와 최근 작가 주도형 아트페어가 지닌 차이점, 나아가서 대안적인 미술시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 역 사적, 사회적 배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연구자는 ‘유니온아트페어,’ ‘블라인 드데이트,’ ‘그림도시’의 3개 국내 ‘작가미술장터’에 참여하였던 12명 작가들에 대한 10개 문항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도 진행하고자 한다. 판매액이나 관람객의 수치가 아닌 미술장터에 참여한 작가들의 경험담을 분석하는 질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자 한다. 이것은 작가미술장터의 중요한 목적인 미술시장의 대중화나 컬렉터 층의 확대에 대한 향후 개선책, 문제점 등을 정책가가 아닌 참여자의 목소리와 경험담을 통하여 도출해 내기 위함이다. For the last decade,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become international phenomena. In Korea, “Artist Art Market,” which is financially supported by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establishes itself as the top annual event that promotes artists’ rights and the popularization of arts market. This study examines the key traits and needs of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in light of art policy, art market,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artist’s rights. Through this, I highlight the differences between historical artists’ art fairs and recent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as well as particular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that necessitate alternative art market for the last decade. In addition, I proceed with the survey of ten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of twelve artists who participate at the three “Artist Art Market”--namely Union Art Fair, Blind Date, and Art City. Rather than relying on the statistics of total revenues and number of visitors, I apply the qualitativ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narratives of participating artists. This aims to reflect the voice of artists participating at “Artist Art Market” related to issues of the popularization of art market and diversification of collectors in Korea; and to drew the guideline for corrections, criticism for future improvement of “Artist Art Market” based upon artists’ stories and experiences--rather than based upon those of policy makers.

      • 세계 아트페어 동향과 한국아트페어의 전략

        정종효 유럽문화예술학회 2016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7 No.1

        The art fair depends on the business type and activities of the g머leη , a key player in the art market under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rtworks. Nowadays, the art fair has gained more focus in the 따t market as the 따t market evaluation depends on the gallery performance in the art fair, as well as the positive or negative auction result in the global 따t market.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the emergence of art fair is outstanding in the art market for the recent 10 years. The survey on the Korean art market by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indicated that the total transaction amount of loc머 galleries reached 275.1 billion KRW in 2012 but decreased to 204.8 billion KRW in 2015 even though the total transaction amount of local art fairs marked 42 billion KRW in 2012 but showed large increase to 62.4 billion KRW in 2015. It is the evidence that the artwork transactions by galleries have expanded the sales network through art f려rs and the 따t market maintained by galleries has attracted collectors and ordinary people for robust art fairs and rapid gro찌7th. Art fairs in the world have set up their positions as a new distribution channel in the global art market and the sales revenue of galleries from art fairs increase even though the sales portion of exhibitions by galleries shrink in the aspect of the gallery business. The concept that a gallery holds an individual or group exhibition through internal planning and sells artworks has lost its meaning and collectors have changed their minds to choose wider range of selections rather than narrow range of gallery exhibitions. That is why galleries have sought the breakthrough for their activities from the art fair. In addition, the art fair sells artworks during the event, provides networks for galleries, 따tists , 따t museums and collectors and has taken its root as an influential art event for the 따t culture to be quickly absorbed to the public through the synergy. Another merit of the 따t fair is to expand the 따t market area of the gallery. In P따ticular, it is characterized that countries with weak art market infrastructure or unstable scale and in the economic recession may perform global business beyond the gallery regardless of national or regional boundaries and the 따t fair leads customers worldwide to be within the boundary and utilizes customer base beyond the border. The Korean art market has joined more global art fairs since Jean Art Gallery took part in the FIAC for the first time in 1984 and local art fairs have rapidly increased. Against this backdrop, it is time for one of local 따t fairs to raise its recognition as a global art fair and play a role in vitalizing the Korean art. Here is to mention several key requirements for the local 따t fair. First, the strategy shall be developed for independent organizations and personnel and the expert pool be expanded. Second, it is urgent to secure the database for local and global infrastructure of collectors depending on participating galleries and set up direct management systems. Third, PR marketing strategies by experts sh머1 be e바lanced and contain distinct contents for local and foreign markets. Fourth, the art fair shall overcome its independent features and limited network and enhance functions for converged contents. Last, it is required to provide direct assistance in attracting galleries through realistic marketing strategies for artwork sales and lead a lot of foreign g떠leries. These conditions are prerequisite for setting up long-term strategy and specific vision of the 않t fair and it is important whether collectors visit art fairs and galleries show their willingness to partlclpate in.

      • KCI등재

        문화예술기반 도시재생의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2020 순천 아트페어 ‘사운드 가든 in 순천’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김희연(Kim Hi Y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본 논문은 문화예술을 매개로 하는 도시재생의 이론적 배경 및 문헌 고찰을 토대로 재생 도시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연구를 기반에 둔다. 도시가 갖고 있는 문화적 유산과 상징적메시지를 담고 있는 스토리텔링 적용 방안을 고찰하여 도시재생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고자하였으며, 음악 콘텐츠 창작의 과정 및 공연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본 논문에서는2020 순천 아트페어 ‘사운드 가든 in 순천’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 주제가 갖는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공연 프로그램을 위한 스토리텔링 적용 방안을제안하였다. ‘명상’과 ‘자연’의 이미지를 주제로 하는 스토리텔링 접근을 통해 도시재생 문화 공간에서 음악적 연출 및 음악의 청각적 이미지가 어떠한 배경으로 도시의 이미지를 연출하였는지분석한다. 또한 재생 공간에서 연출되는 음악 콘텐츠가 공연 및 ‘푸드 테라피’ 등 프로그램과연계되어 지역 시민과 소통함으로써, 도시재생과 관련된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그 지역의 도시재생과 맥락을 함께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자는 음악 창작 및 기획자의 관점에서음악 콘텐츠 중심의 도시재생 스토리텔링 모델을 도출하고 도시재생을 위한 공연 프로그램의가능성 및 확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a study of storytelling that uses urban cultural contents built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literature review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e and arts. Through research on the city cultural heritage and storytelling centered on symbolic messages, the paper aims to meet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analyzing the creative process and performance programs of music contents. The 2020 Suncheon Art Fair “Sound Garden in Suncheon” program was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research topics. In addition, the works were analyzed through storytelling application for performance programs. The storytelling approach was based on images of meditation and nature, and it was used to analyze how auditory elements have produced urban regeneration images in connection with performance programs in urban regeneration cultural spaces. By applying storytelling based on the city locality,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will be able to share the context with urban regeneration in the region. In addition,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will be able to share the context with local urban regeneration by connecting music contents to performances and “food therapy” programs. This paper thus proposes the possibility and proliferation of performance programs for urban regeneration by deriving a music content-oriented urban regeneration storytelling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creation and planners.

      • 유럽의 아트페어

        나애리 유럽문화예술학회 2016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7 No.1

        L"’Art fair", c'est-à-dire la foire d'art est une manifestation d’art contemporain qui se tient la plupart du temps annuellement dans le monde entier. Toutes les formes d ’따t Y sont représentées peinture, sculpture, installation, impression, vidéo, photographie et performance. Contrairement à d' autres évènements artistiques, la foire d' 따t relie les artites aux galeries et agrandit le marché des beaux-arts. Elle n' est donc pas un simple évènement référé aux beaux 따ts. Elle prend le grand rôle d'investir dans le domaine d' 따t. En europe, il faut d’ abord nommer trois foires d ’따t principales bien connues dans le domaine Art Basel, FIAC et Art Colon. Mais en Europe, il y a beaucoup d' autres foires d' arts bien réussies sans soutien des patrimoines déjà établis dans la v피e. Art Karlsruhe, Kassel documenta et Münster Skulptur Projekte sont les bons exemples qui nous montrent non seulement la propre valeur de la foire d’ art mais aussi la valeur que ces évξnements peuvent rapporter à leurs villes et à leurs habitants. Ces foires d ’따t se sont développées dans de petites villes ou des villes relativement désertes. Mais le succès de ces foires a valorisé le nom de leurs villes et les a enrichies à la fois artistiquement et économiquement. Et c’est probablement le point essentiel sur lequel les foires d' 따t coréennes ayant peu d'histoire devraient bien considérer.

      • KCI등재

        MZ세대의 아트페어에 대한 인식과 행동 특성 연구

        이민하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2

        Korea's art market has been rapidly growing since 2020, following a long recession. Despite the COVID-19 pandemic, the key factor driv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art market is the growth of art fairs. Recently, the total amount of art transactions at domestic art fairs has continued to rise, and the number of visitors has also increased unprecedentedly. One of the main causes of art fair growth is the new influx of Generation MZ. Art fairs have recently begun to attract attention due to visits by celebrities and influencers, and have gained popularity among Generation MZ as a so-called "Instagrammable" spot, including art exhibitions and parties with many attrac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MZ visitors regarding art fairs, who will be the main customers of the future art market.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art fair visitor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art fairs as a form of 'intellectual entertainment' and used them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to boost their intelligence and economic power. For the Generation MZ, art fairs are also an object of self-development and investment. Unlike older generations, they tend to be active collectors who aggressively invest overseas, and actively promote and sponsor artis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day's art market, which welcomes new customers, must fully understand the values and benefits pursued by these new customers and explore and discuss the development of new content and services to meet their needs.

      • [특별기고] 키아프(Kiaf)와 프리즈(Frieze) 동시 개최 성과와 그 이후의 전망

        박준수(Park Junesoo) 한국미술경영학회 2023 한국미술경영학회 논문집 Vol.- No.3

        2022년 서울에서 키아프와(Kiaf)와 프리즈(Frieze)가 동시 개최된 배경과 성과에 대해 아트페어 실무자의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그 이후의 전망을 조망해본다. 프리즈와의 동시 개최 및 협업을 통해 키아프와 한국 미술시장은 한층 업 그레이드 할 수 있는 계기를 맞이하였다. 첫째, 키아프에 참가하는 주요 해외 갤러리가 늘어났다. 둘째, 국내 갤러리들 도 키아프 기간 중에 해외 갤러리와 협업하여 연계 전시와 파티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셋 째, 프리즈와 키아프에 참여하는 180여개의 해외갤러리들이 한국 시장에 진출하였다. 넷째, 국내 작가의 해외 진출 가 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키아프와 프리즈와의 동시 개최를 통한 규모의 확대를 넘어 미술관, 박물관, 재 단 등이 함께 움직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Korean art market had an opportunity to further upgrade itself through joint hosting and collaboration between Kiaf and Frieze. First, the number of major overseas galleries participating in Kiaf has increased. Second, domestic galleries also collaborated with overseas galleries during the Kiaf period to conduct various programs, including linked exhibitions and party programs. Third, more than 180 overseas galleries participating in Frieze and Kiaf have entered the Korean market. Fourth, the possibility of domestic artists entering overseas markets has increased. The event show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programs that allow art museums, museums, and foundations to move together beyond simply expanding the scale through joint hosting.

      • KCI등재

        국제사회 : 미술경영의 범위와 확장에 관한 연구 -국제미술시장을 중심으로-

        정인서 ( In Seo Cheong ) 국제지역학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예술경영의 한 영역으로 다루어졌던 미술경영의 범위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경영학적 시각에서 문헌고찰과 통계자료를 근거로 정리하였다. 공연예술 분야의 예술경영은 경영학적인 조직관리, 인력관리, 마케팅, 재무관리 등을 접목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러나 미술경영은 경영이론의 파생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분야가 있는 반면 미술이라는 특수한 학문영역에 대한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시각이 요청되는 분야이다. 미술은 미술작품의 미학적 관점과 미학사적인 해석이 필요한 전문영역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지난 10여년 사이에 미술시장의 개방과 활발한 국제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어 미국과 유럽, 중국 등의 주요 국제미술시장에 대한 경영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국제미술시장은 국제경매시장, 국제비엔날레, 국제아트페어, 화랑의 해외진출 등과 관련하여 첫째, 국내 작가의 스타작가 양성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비엔날레와 아트페어를 비롯하여 세계 유명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작품에 대한 대규모 블록버스터 전시기획력이 요청된다. 국제미술시장에 대한 경영전략적인 접근은 바로 국가의 문화경쟁력을 높여주며 국가이미지 제고와 다른 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organized various perspectives on the scope of arts management in terms of business management based on bibliographical speculations and statistical data. Management of arts such as performance art involves organizational manage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marke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However arts management needs a new perspective in terms of access to specific academic area of arts while it can be approached in a derivative perspective of management theories. For arts include professional areas that need aesthetic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of aesthetic history. As art market were opened where active international exchanges have been made over the past ten years, a new strategic approach in management is needed for major international arts markets such as the U.S.A., Europe and China. Such international arts markets involve international auctions markets, international Biennale, international art fair and overseas advance of galleries. First, we need strategic approaches such as nurturing star artists. Second, large-scale exhibition planning of artistic works from world-famous museums or art museum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