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 선발의 심층면접에서 인성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분석

        장경혜(KyeongHye Jang),박창언(Changun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이 연구는 영재 선발의 심층면접 과정에서 주관적일 수 있고 즉각적인 효과가 약해 자칫 외면되기 쉬운 ‘인성’ 영역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그 반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영재교사로서의 어려움을 묻는 도입 질문에 대해 전문성과 업무량 과다를 많이 답변한 이들은, 영재 선발 시 심층면접에서 다룰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성을 꼽았다. 또한 교육의 가장 기본 덕목이자 사회적 공헌을 위해 인성면접은 꼭 필요하다고 인식했으며, 인성면접에서 다룰 하위 요소로는 협동, 배려, 양보의 순으로 꼽았다. 교사관찰추천제의 심층면접에서 사실상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특히 간과되고 있는 인성 영역의 평가가 타당성을 지닌 문항 개발과 캠프나 토론 토의 등의 깊이 있는 관찰로 보완될 필요성을 또한 살폈다.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교사관찰추천제의 보다 세밀하고도 정교한 진행을 위해 심층면접을, 그중에서도 인성면접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미 선발된 영재들의 인성교육과, 탁월한 영재이지만 인성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는 어떻게 지도할 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시행할 필요성이 부각된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of the personality area, which can be subjective in the in-depth interview process of selecting gifted children and is easily shunned due to its weak immediate effect. To this end, First, when asked about their difficulties as gifted teachers, many of them answered professionalism and workload and cited personality as the most important area to address in-depth interviews in selecting gifted students. It also recognized that personality interviews are necessary for the most basic virtues of educ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and cited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concession as the sub-components to be dealt with in the personality interview. It was necessary to check whether each student s capabilities were evaluated in a variety of ways in an in-depth interview of the teacher’s observing and recommending system. And it needed to be supplemented by in-depth observa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valid question, camp or debate in the evaluation of the personality area.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the education field,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ersonality interview in the gifted children s selection. And there is also a need to continue to study how to guide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already selected gifted children.

      • KCI등재

        건강생활환경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신화경 ( Shin Hwakyoung ),조인숙 ( Jo In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 생활환경이 도시 커뮤니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 건강생활환경의 개념을 설정하고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건강생활환경 개념 정립과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이론연구를 실시하였다. 건강생활환경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생태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성요소와 생활환경이 구성요소에 대해 이론연구를 실시하였고, 2000년 이후 관련 21편의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환경의 개념을 설명하는 키워드에 대해 축코딩을 실시한 후 비슷한 개념의 키워드를 그룹핑하여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키워드 분석을 위해서는 MAXQDA를 활용하여 키워드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건강생활환경의 개념과 구성요소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심층면접과 전문가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심층면접은 개방형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심층면접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이론연구를 통해 정립된 건강생활환경 개념의 적절성, 건강생활환경 구성요소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전문가델파이조사는 2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전문가심층면접결과를 토대로 수정된 개념과 구성요소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구조화된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건강생활환경 개념 정립을 위해 생태학적 관점을 검토하여, 건겅생활환경의 대안적 관점으로 적용하였다. 건강생활환경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키워드를 도출 결과, 112개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유사한 의미를 가진 키워드를 그룹핑하여 주체적 인간, 환경적 지원, 사회적 관계, 이념적 가치로 구성 요소를 분류하였다. 이에 대해 전문가조사 결과, 건강생활환경 개념 정립에 있어 생태학적 접근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건강생활환경의 개념을 수정하였다. 건강생활환경 구성요소는 이론연구에서 도출된 주체적 인간은 인간으로, 환경적 지원은 지원으로, 사회적 관계는 관계로, 이념적 가치는 가치로 변경하였다. 전문가조사결과를 토대로 각 구성요소별 하위 세부 요소를 구성하였다. (결론) 건강생활환경 개념은 인간이 공유된 물리적 환경인 생활환경에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정서를 공유하면서 변화에 적응하는 유기체적 속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생활환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건강생활환경의 구성요소는 인간, 지원, 관계, 가치 4개의 요소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인간의 하위요소는 주체적 인간, 객체적 인간, 매개체적 인간으로, 지원은 물리적 지원과 활동적 지원으로, 관계는 개인적 친밀관계, 사회적 관계, 공적 관계로, 가치는 가치와 정서로 구성하였다. 건강생활환경 마련을 위해서는 인간에 대한 배려와 인간들의 관계를 기본으로 그들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과 가치적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its components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of urban communities in modern society. (Method) The components of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were derived from a study of the ecological theory and the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keyword analysis was performed on 21 studies that were published since 2000. The keywords were axially coded and similar concepts were grouped to deduce the components using MAXQDA.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cept and the components of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and through Delphi survey. For the interviews, open research tools were us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healthy living environment were established through an evaluation of theoretical research.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vised concepts and components that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were evaluated. (Results) As an alternative, the ecological theory was us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A total of 112 keywords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the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keywords with similar meanings were grouped together. The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subjective human beings, environmental support, social relations, and ideological values. The findings of the Delphi survey revealed that an ecological approach was desirable i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which was revised based on expert opinions. Consequently, the components of the healthy living environment were revised from subjective human to human, environmental support to support, social relationship to relationship, and ideological value to value. Secondary elements were also constructed for each component. (Conclusions) The concept of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is defined as a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 that is based on the organic attributes of adapting to changes while sharing emotions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in the living environment, which is a shared physical environment. The components of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were divided into four factors: human, support, relationship, and value. The secondary elements for each factor are, respectively: subjective human, object human, and intermediary human; physical support and active support; personal intimate relationship, social relationship, and public relationship; and value and emotion. To create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various support and value factors in forming relationships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영재선발을 위한 심층면접 문항의 경향성(편중현상) 분석: 영재선발 교사들의 관점에서

        송용준,고은영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1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lic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which questions the judges prefer in an in-depth interview. For this purpose, reportedly used in education institutes for gifted children located in Gyeoggi-do, 336 in-depth questions are analyzed. The questions are categorized by type and difficulty in order to see the distribution and hierarchy of the meaning of the questions between institutions. In addition, we analyze the gifted selection items through analyzing the items that are preferred or excluded when selecting the gif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judges prefer question-type items to performance- or debate-type ones; lower-level items to higher-level ones; and low-level openness to answers to high level openness to answers. This implies that the judges put an emphasis more on such factors as objective scoring (objectivity and easy scoring) than other factors when they select interview questions.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children and school classes for gifted children, which may result from the number or the level of applicants and the environmental support. From the findings above, it is implied that an urgent need for development of question items to secure both convenience and objectivity and multilateral support for the selection of the gifted. 본 연구는 영재선발을 위한 심층면접 과정에서 실제 문항을 활용하는 영재담당자들이 어떠한 문항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실태 탐색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영재교육기관에서 사용하였다고 보고한 336개의 심층면접문항을 분석 하였다. 심층면접 문항의 유형별, 난이도별 분포 현황과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교육기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재 선발 시 선호 또는 배제 되는 문항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영재선발 문항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영재담당자는 수행형이나 토론형의 문항보다는 질문형의 문항을, 난이도가 높은 문항보다는 낮은 문항을, 문항의 구조화 및 채점의 용이성이 낮은 문항보다는 높은 문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재담당자들이 면접 문항을 선택함에 있어 채점의 용이성과 객관성과 같은 요인을 중시함을 뜻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차이는 영재교육원보다는 영재학급에서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영재기관별로 지원자의 규모와 수준, 면접을 진행하기 위한 환경적 지원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판단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발을 위한 다각적 측면의 지원 및 편의성과 객관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현지조사 시 설화 구술상황에서의 ‘몰입(flow)’

        권은영(Kweon, Eun-yeo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1 民俗硏究 Vol.0 No.22

        이 글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의 ‘몰입(flow)’이란 개념을 적용하여 현지조사(field work)에서의 설화 구술 상황의 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칙센트미하이는, 행복이란 외부적 조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최선을 다하는 태도를 통해 성공적인 ‘몰입’에 이르렀을 때에야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런 ‘몰입’ 현상은 심층면접 방식으로 행해지는 설화의 구술 조사상황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심층면접은 의례와 유사하게 ‘분리(separation)-전이역(limen)-재통합(re-aggregation)’의 단계를 갖는데, 두 번째 단계에서 ‘몰입’의 구성요소인 목표, 기술(skill), 집중, 피드백, 통제, 합일감, 잡념이나 불안의 배제, 시간의 왜곡이 나타난다. 심층면접에서 조사자는 인터뷰의 ‘목표’를 제시하여 제보자가 이에 협력하도록 하며 제보자가 알아채지 못하도록 상황을 내밀하게 ‘통제’ 하면서 심층면접을 진행시킨다. 여기에서 제보자에게는 기억력과 구술능력이, 조사자에게는 구술 내용에 대한 이해력과 질문능력이 요구된다. 조사자의 질문과 요청에 따라 제보자는 설화를 구술하고, 이에 대한 조사자의 반응은 ‘피드백’ 되어 분위기가 고양되면 제보자는 설화 구술에 더욱 적극성을 보이게 된다. 이런 상호작용은 인터뷰에 대한 ‘집중’을 높여주어 ‘합일감’을 형성하고 일상에서 갖고 있는 ‘잡념이나 불안이 배제’되면서 제보자는 재미를 느끼게 된다. 이런 재미 때문에 긴 시간을 짧게 느끼는 것과 같은 ‘시간의 왜곡’을 경험하기도 한다. 심층면접에서 이러한 몰입이 일어나면 제보자는 조사자의 협력자가 되어 설화를 기록 수집하고자 하는 조사자의 목표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이로써 조사자는 성공적인 설화조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질적으로 우수하고 양적으로 풍부한 설화가 기록 수집되기 위해서 설화 구술상황에서 몰입이 잘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pplies Mihaly Csikszentmihalyi’s concept of ‘flow’ to analyze a case of the tale-telling situation at field work. Mihaly Csikszentmihalyi says that happiness is not something coming from external conditions but what can be experienced when one reaches successful ‘flow’ through an attitude to do one’s best voluntarily. This phenomenon of ‘flow’ can be found in the tale-telling research situation that is conducted in the style of in-depth interview. In-depth interview has steps of ‘separation - limen - re-aggregation’ similarly to a ritual. And in the second step, the components of ‘flow’, goal, skill, concentration, feedback, control, unity, exclusion of earthly thoughts or anxiety, and distortion of time are shown. In an in-depth interview, the researcher presents the ‘goal’ of it to induce the informer’s cooperation and proceeds as ‘controlling’ the situation implicitly so as to make the informer unnoticed. In here, memory and telling skills are required from the informer, and comprehension of the contents told and questioning skills are demanded from the researcher.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questions and requests, the informer talks about the tale, and as the researcher’s response to it works as ‘feedback’ and enhances the atmosphere, the informer shows a more active attitude for the tale-telling. This interaction improves ‘concentration’ on the interview and helps form ‘unity’. And as his ‘earthly thoughts and anxiety’ in his usual life are ‘excluded’, the informer gets to feel interest. Due to having this interest, he may get to experience time flows fast as in ‘distortion of time’. When such flow occurs in an in-depth interview, the informer becomes a cooperator to the researcher and actively agrees on the researcher’s goal to record and collect tales. Through this, the researcher can conduct his research on tales successfull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orm ‘flow’ properly in a tale-telling situation in order to record and collect tales with excellent quality and abundant quantity.

      • KCI등재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혜림,김성천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2

        This study of the issues related to the rights of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used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essential rights of these children, issues that can be resolved and main issues of rights arising from specific developmental stages. According to delphi survey, the most essential rights for currently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Korea are right to stay in Korea, right to live with their parents,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equality, and right to social welfare, in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On the other side, the issues which are highly probable to be addressed are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live with parents, right to equality, right to social welfare, and right to stay, in order of decreasing probability. It appear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se issues and the probability of their resolution among the respondents(t=5.8, p<.001).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showed differences for various developmental stages(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본 연구는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집단심층면접, 미등록 이주아동의 개별 심층면접 등을 활용하여 미등록 이주아동의 중요한 권리영역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와 면접결과는 다음과 같다. 델파이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에게 중요한 권리는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부모와 살 권리’,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등의 순인 반면, 현실적으로 해결가능성이 높은 권리영역은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부모와 살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별 중요성과 그 해결가능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권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8, p<.001). 또한 미등록 이주아동과 전문가 면접결과,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는 발달단계별(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정 기본계획』의 필요성과 미래 교정정책의 방향 : 교정 고위직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를 중심으로

        윤옥경 아시아교정포럼 2020 교정담론 Vol.14 No.3

        본 논문은 형의 집행 및 수용자 처우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 으로 제1차 교정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행을 앞두고 교정기본 계 획의 방향과 주요내용에 대한 교정 고위간부들의 의견을 심층면 접을 통해 파악하고 그 내용을 제시한 것이다. 기본계획의 수립 과 시행에서 당사자로서의 위치에 있는 교정간부들의 생각을 파 악하고 그들이 생각하는 장기적 계획의 내용을 교정 기본계획에 담아 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먼저 한국 교정행정의 발자취를 살펴 보고, 최근의 교정정책의 성과를 공식문건을 근거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교정고위 간부 11명을 대상으로 교정 기본계획의 필요성 과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교정당국의 대응, 그리고 법률에 근거 하고 있는 영역별 교정정책의 방향에 대해 심층면접을 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심층면접 결과, 대부분의 교정간부들은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위해서 기본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보 았고, 정책의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영역별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소규모 교정시설의 확충, 미결과 기결의 완전한 분리, 교정시설 특성화, 전문분야 인력 확대, 승진제도 개선, 직업훈련 대상선정의 체계화, 지역별 특성 에 맞는 맞춤형 종목 개발, 개별처우의 확립, 의료인력 확대, 심 리치료 프로그램 확대, 시설환경 개선, 독립된 감시위원회 설치, 과밀해소와 독거실 확대, 정신질환자에 대한 체계적 치료방안 마 련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으로 교정정책의 장기적 추진과 체계적 평가를 위해 법률적 근거가 된 『교정 기본계획』수립을 계기로 삼아 보다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 교정정책이 추진되기를 촉구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the need for the strategic plan for Korean corrections and the directions that the 5 year policy plan must pursue. To do this work, this study examined three points. First, it traced the history of Korean corrections: its origin and the development. Second, it examined the legal provisions that outline the contents of the strategic plan. Third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high-rank correctional officials. After reviewing the histo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corrections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formal documents that are released by the Korean Correctional Service (hereafter KCS), this article showed the results of face-to face interview with 11 high-rank correctional officials. They all agreed that the KCS needs more long-term, systematic, evidence-based correctional policies to make our community more safe, and the 5 year strategic plan must contain the establishments of smaller correctional facilities, clear separation of the accused and the convicts, specialization of facilities, recruits of more professionals, establishment of individualize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o on.

      • KCI등재

        면담,면접 지도의 원리와 실제 ; 국어과 고교-대학 연계 교육 연구 -고교 <화법>과 대학 <교양 화법>의 면접 수업을 중심으로-

        김평원 ( Pyoung Won Kim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1

        이 연구의 목적은 면접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 연계 교육 전략을 구안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화법 교수?학습 전략 차원에서 면접 교육은 ``평가 기반 학습(Evaluation-Based Learning:EBL)``을 적용할 수 있으며, 대학 화법 교육과 고등학교 화법 교육을 결합한 연계 교육(Articulation Education)모형을 시도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 제안한 고교-대학 연계 면접 교육 프로그램은 모의 면접을 매개로 고교화법 교육과 대학 교양 화법 교육이 서로 만나 궁극적으로 각자의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면접 교육을 위한 평가 기반 학습에서 다루는 지식은 평가하며 듣는 능력, 즉 타인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다른 사람의 말하기를 평가하는 능력은 결국 자신의 말하기를 점검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전이된다. 따라서 타인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이론은 타인의 말하기를 분석하는 틀인 동시에 자신의 말하기를 반성하는 틀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국어과 화법 교육에서 고교와 대학이 연계할 수 있는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2년에 걸쳐 직접 실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ormulate a learning-teaching strategy and to design a strategy for combining high school education with college education, analyzing its effect. The former proposed Evaluation-Based Learning (EBL) for an articulation teaching-learning strategy. The latter suggested the Articulation Education Model, which links articulation education of college and that of high school together, verifying the effect. The EBL in this study includes ``learning about assessment``, which is more comprehensive notion than ``learning through assessment``. The knowledge for the interview in the EBL is associated with evaluating ``while listening``, that is, evaluating other people`s speaking skills. The ability to evaluate other people`s speaking skills enables us to monitor our own speaking skills. Therefore, the theory on evaluating other people`s speaking skills can serve as a tool not only for analyzing their speaking skills but also for examining ourselves.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s and contents for combined curricula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in communication education. Practicing the methods for 2 years provided a basis for the effect and significance of the methods.

      • KCI등재

        심층면접법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패션의 산업 특성과 소비활성화 전략 연구 - 재사용·재활용 패션산업 중심으로 -

        윤수인 ( Yoon Su In ),진기남 ( Jin Ki-nam ),강혜승 ( Kang Hae Se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2000년 이후 급성장 한 패스트 패션산업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의류를 과소비하고 손쉽게 폐기하는 등의 21세기 메가트랜드인 지속가능성과는 거리가 먼 소비 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의류 폐기물은 과다하게 증가하였으며 지구오염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의류매립과 관련된 심각성을 인지하고 해결하고자, 폐기물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재사용·재활용 패션산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로는 의류의 수명주기 중 폐기단계에 해당하는 재사용, 재활용패션으로 하였으며, 다운사이클링은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재사용·재활용 패션산업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법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접을 통해 재사용·재활용패션의 산업 특성을 도출하려 하였다. 결과 산업 특성은 7가지로 내용은 `유일하고 유니크한 디자인`, `수제 소량생산`, `원재료조달의 용이성`, `디자인중심 소비자층`, `환경중심소비자층`, `정확한 정보전달`, `SNS 및 영상이용의 극대화` 가 도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결과에 기반 한 시사점들이 논의 되었다. Due to the skyrocketing fast fashion industry, consumers have shown behaviors that are far from sustainability, which is the megatrend of 21st century, such as overconsuming and rapidly disposing clothes. Consequently, amount of disposed clothes has excessively increased and led to global pollution like landfill.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ognize the severity and solve problems associated with landfill issues, we seek ways to activate recycling fashion industry, reusing and recycling without generating waste. The scope of the research included reuse and recycle fashion that are on disposal stage of the life cycle of clothes (excluded down-cycling). In-depth interview, targeting the interested parties who work in reuse and recycle fashion industry, was conducted for a research method and through the interview,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reuse and recycle fashion industry. As a result, seven characteristics were found and the contents are: `only and unique design,` `hand-made low production quantity,` `ease of procurement of raw materials,` `design-oriented customer group,` `environment-oriented customer group,` `delivery of accurate information,` and `maximization of the use of SNS and images.` Lastly, thought-provoking points, based 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심층면접법을 활용한 도시재생 테스트베드사업의 개선방안

        최필성(Choi, Pil Seong),유창호(Yu Chang Ho) 한국지적정보학회 2014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6 No.1

        도시재생법이 발효되면서 도시재생이 노후된 도시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시재생법을 발효하기 앞서 두 곳의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도시재생을 위한 다양한 기법을 시험하고 효율적인 도시재생 수단의 개발에 노력해 왔다. 하지만 도시재생의 개념과 방법 등이 기존의 재개발사업과 명확한 구분이 어렵고, 두 곳의 시범지역에 유사한 형태의 기법을 도입하여도 그 효과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의 개념을 도입하여 시범사업을 운영했던 전주시와 창원시를 사례지역으로 사업의 주요 특성과 함께 실태에 대한 문헌분석으로 문제점을 조사한다. 또한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의식조사 및 의견 청취 등 심층면접(In Depth Interview)을 수행하고 이 내용을 종합하여 도시재생 테스트 베드 사업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Urban regeneration policy has attracting attention as a urban activation alternatives. In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launched Urban Regeneration agency according to thes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is agency was selected two test bed area(Jeonju city and Changwon city) to perform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bout urban regeneration scheme. However, the effects of project are different because of the ambiguity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testbed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two testbeds area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s well as to analyze the resident"s opinion this research perform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concluded the combined of these two categories of analysis.

      • 고찰심층면접법을 통한 여고생들의 피부관리 및 메이크업 행동 양상

        한동조 ( Dong Jo Han ),김수경 ( Soo Kyoung Ki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0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5 No.-

        사람들은 서로 얼굴을 마주보고 의미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사회생활을 영위한다. 그러므로 타인의 얼굴에 반영되는 자신의 얼굴에 매우 신경 쓰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획일화된 연구방식에서 벗어나 개개인의 의식과 행동이 중요한 자료로 취급되어지는 심층면접법을 통해 여자고등학생들의 피부 관리 및 메이크업행동양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면접 대상자는 여자고등학생들로 선생님들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로 외모에 관심이 많고 자기표현을 잘한다고 여겨지는 학생들로 추천을 받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기간은 2009년 10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진행하였고, 면접 시 사용된 질문지는 양적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를 토대로 전문가 집단 8인과 토의한 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면접대상자는 총 20명이다. People engage in meaningful communication and social lives while looking at one another`s faces. As a result, they come to focus a great deal of attention on their own faces as they are reflected in the faces of others. This study seeks to examine skin care and makeup behavior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by departing from standardized research methods and applying the technique of the in-depth interview, in which the individual`s understanding and behavior are treated as important data.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commended by their teachers as being strongly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and effective at self-express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2009 and May 2010. The questions used for the interviews were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following discussions with eight members of a specialist group. A total of 20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