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 변인으로

        김민정,이희경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낙관성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잘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 지각하며,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의 수가 많았고 심리적 안녕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중다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셋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가 있는 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 즉 지각된 부모의 지지, 지각된 친구의 지지, 친구의 수는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부모 및 친구의 지지를 높이 지각하고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관계를 더 넓게 형성하고 있기에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을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대학생들의 안녕감을 높이고 심리적인 문제의 예방적인 측면에서 특히 낙관성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346 Korean undergraduates in Seoul and Gyeonggi completed the optimism scale,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the number of friend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ndard regression showed that optim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and positive reappraisal i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that is, perceived parent support, perceived friend support, the number of friends partially mediate the e딴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a stepwise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in order to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follow certain procedure: optimism,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perceived friend support, positive refocusing, blaming others, and self blam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to understanding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현주,함경애,천성문,주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과 AMOS 7.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애착회피차원, 애착불안차원 모두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중학교 교사는 성인애착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이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인애착은 쉽게 바꿀 수 없는 특성으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애착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아탄력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에서 애착관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 증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유머대처 및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재선,민현기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9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유머대처 및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유머대처척도(CHS), 유머스타일 척도(HSQ),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유머대처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머대처와 심리적 안녕감 전체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에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머스타일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머스타일 중 순응적 유머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비순응적 유머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머대처는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스타일 중 순응적 유머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윤주 ( Jung Yoon Ju ),염은하 ( Yeom Eun Ha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하여 학계에 유용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현장에 적용하고 실천적인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네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심리적 안녕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교사효능감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에 따라 보육교사의 인성인식, 교사 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도덕성, 사회성, 소명의식에 대해서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학생참여 의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 효능감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인성 수준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직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인성과 교사 효능감, 그리고 심리적안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인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이 검증되었으며, 영·유아교사의 인성은 교사 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고 교사 효능감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academic world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of child 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t is also aimed at applying it to the site and enhancing practical possibilities in a way that can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character of a child care teacher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teacher's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have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question 3. What mediating effect does the teacher's efficacy represent between the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 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 4.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personality cognizance,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 care teachers who working in field of the day care centers.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600 copies of survey were distributed to the study participants and were collected 588 by subjects and recovery rate is 98%. The final 573 copies of the survey were used as statistical analysis data for the study, excluding 15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insincerity or inappropriate for research purpo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a way of structural equation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4.0,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ity of a child care teacher was found to have a static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morality, sociality, and sense of calling in the sub-areas. Seco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ne of the lower areas, the consciousness of students' participation has a relatively high impac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the character of a child care teacher on the recogni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efficacy in teaching was meaningful, and the direct effect of the level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in the statistics. Fourth, personality,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bove findings confirm that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can be seen that infant care teacher's personality influences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t firsthand and has a structure by mediating teacher's efficacy that affects to th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each sub-factor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path between the personality,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a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on psychological well-being to prospective or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요인

        김미정 ( Mi Jeong Kim ),김귀분 ( Kwuy B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본 연구는 노인이 될 45세 이상 중년과 현재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의 영향요인을 희망, 자아 존중감, 우울,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재확인함으로써, 향후 그들을 위한 간호에 도움이 되고자 지역사회 중년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이 삶의 질 보장을 위한 적절한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첫째, 두 집단 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결과, 성별, 종교유무, 교육수준, 결혼상태, 직업유무, 건강상태, 동거가족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남성 비율은 노인집단이 더 많았고, 여성 비율은 중년집단이 더 많았다. 종교 활동과 관련하여 종교를 가지고 있는 비율은 중년(73.5%)과 노인(59.8%)이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고등교육 이상을 받은 사람으로 중년(26.5%)이 노인(13.9%)보다 많았고, 노인집단의 대부분은 고등교육 이하 중등교육 수준(74.1%)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로는 중년(76.8%)이 노인(60.3%)보다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비율이 더 많았다. 직업유무는 중년(68.0%)이 노인(34.9%)보다 직업이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 역시 노인(32.1%)의 경우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이 중년(16.6%)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거 가족관계를 보면, 자녀와 함께 거주를 하는 경우가 중년(60.8%)이 노인(40.2%)보다 다수를 차지하였다. 경제적 수준은 두 집단 모두 보통수준(중년=69.6%, 노인=70.8%)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다수를 차지하여, 동질성 검증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집단 간의 세대 차이에서 오는 결과로 보인다.이러한 결과는, 노인에 있어 심리적 안녕감이란, 다른 환경적 여건이나 역할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고 한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타 연구 결과(Kim, 2007; Son, 2005)를 볼 때, 현대 사회에서는 교육이 점차 대중화됨에 따라 부모와 자녀 세대 간에 교육수준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자녀들이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제도로,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이 1990년 33.2%에서 2010년 79.0%로 증가(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한 것만 보아도 두 집단 간의 학력의 차이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종교 활동을 하는 사람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Son & Lee, 2006)고 한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는 독립적이기 보다 어딘가 의지하고 싶어 하는 심리적 반영의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또한, 동거 가족구성원에 있어 자녀와 함께 거주하고, 건강상태는 신체적으로 건강 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는 Kim (2007)의 연구결과와 본 연구결과가 일치하였다.이상의 선행연구와 비교한 본 결과 연구대상의 차이에 따라 약간씩 결과에 차이가 있으나, 종합해 보면 본 연구결과가 대부분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둘째, 두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과 연구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 자아 존중감, 생활만족도는 정적관계, 우울은 부적관계로 서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결과, 중년과 노인의 희망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희망이 높은 사람일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대상 Shin 등(200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희망이 노인이나 모든 사람에게 긍정적 정서의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노인들이 평안한 노후 준비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특히 전 생애를 통해 항상 희망이 유지 보존될 수 있는 전략 개발이 요구된다.자아 존중감의 연구 결과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몇 선행연구 결과(Kim, 2009; Lee, 2006; Son, 2006; Song, 2003)와 일치하는 것으로, 즉, 두 집단 간의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숙지하고, 올바른 가치관 립시킬 수 있는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된다.우울에서는, 노인보다 중년이 우울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울증이 높으면 심리적 안녕감이 낮고 삶의 의미를 낮춘다(Feldman & Snyder, 2005)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우울이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45세 이상 64세 이하 중년 그룹은 현재 출산율이 이전보다 크게 높아진 시기에 태어나 급격한 경제 성장과 IMF 외환위기,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경험한 세대로 분주한 현실 생활 속에서 한 가정의 가장으로 책임감과 의무감으로 나날이 피곤한 일상을 살아야 하므로 노인에 비해 자신에 대한 가치부여를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 우울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주요 요인들로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 결속력이 강할수록 우울 정도가 낮아진다(Kang & Kim, 2000; Kim, 2001)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생활만족도에서는, 노인보다 중년이 생활만족도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가 높으면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 연령이 낮으며 종교와 용돈수준에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내부적으로 가족관계와 같은 관계문제, 건강의 문제, 경제문제와 여가활동 등 사회참여문제 등으로 요약하고 있다(Lee & Hong, 2012)는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과 노인 간 생활만족도에 대한 차이가 직업, 경제적 수준, 현재 건강상태의 영향임을 나타낸 본 연구 결과와도 동일한 결과이다.셋째, 중년과 노인의 연구변수 차이비교 결과, 심리적 안녕감 정도는 중년이나 노인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t=3.61***), 자아 존중감, 우울, 희망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 존중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노인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 영향변수로 자아 존중감(Kim, 2009; Lim & Jeon, 2003; Son, 2006)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인생을 의미 있고 중요한 것으로 바라보며, 학문적 수행이 우수하고, 실패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적으며, 심리적 손상을 적게 경험하고, 적절하게 분노를 표현하며, 성공하든 실패하든 그 이후에 수행을 더 잘하는 경향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자아 존중감을 증진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넷째,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요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중년의 경우 희망, 자아 존중감, 우울, 결혼상태 순으로 변수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생활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모형의 설명력은 51.9%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인의 경우 그 영향력의 순서는 희망, 우울, 생활만족도 순으로 희망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중년집단에서 자아존중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과 비교된다. 최종모형의 설명력은 59.4%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이 연구를 토대로 희망, 자아 존중감, 우울, 생활만족을 명확히 가질 수 있도록 사회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긍정적인 삶의 질을 위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간호중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또한, 그 영향 변인을 중심으로 이들에게 보다 성공적인 노화로 자신의 노후를 신체, 심리, 정서 및 영적으로 건강하고 긍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중년에게는 노년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노인은 기존환경을 그대로 수용하고 즐기면서, 두 집단 모두 향후 보다 나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 제공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개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또한,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본 연구가 일부지역의 중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연구이므로 확대 해석함에 있어서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psycho-social in the elderly and middle aged Adults. Methods: A sample of the 209 elderly and 181 middle aged adults. Data analysis was done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gender, religion, educat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family coresidence in homogeneity tests.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hope,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each other in the both group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hope, self-esteem and depression between two groups. For middle aged adults self-esteem was influencing most in psychologic well-being while hope affected most for the elderl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important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to prepare successful elderly life.

      • KCI등재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함경애,변복희,천성문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gratitud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401 male and female third grade students from 4 middle schools in Busan. The data analysis were use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titud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following stress coping strategies: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Gratitude also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and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atitud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influence of gratitude on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s according to high and low level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such as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Therefore,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it is important not only to promote their gratitude but also to provide enough support for them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of active problem solving in stressful situations. In additi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in counseling situa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감사성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역할을 규명하려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곳의 중학교 3학년 남녀 401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감사성향은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과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나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한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높은 관련성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혜택을 떠올려 감사를 느끼고 표현하게 하는 활동들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감사성향이 낮다 하더라도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진다는 것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어야 하며 주변의 충분한 격려와 지지는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문제들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감사성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녕감이 증진되고,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지만 감사성향과는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비록 문제 해결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감사성향을 높여주면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안녕감을 느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활동을 개발할 때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정서적 특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덧붙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배숙자 ( Bae Sug-ja ),최성규 ( Choi Sung-ky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교직헌신 15문항, 연민 30문항,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24문항으로 총 69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국의 특수학교 교사 500명에게 배부하였다. 그 중 426(85.2%)명이 응답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404(80.8%)부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통계 처리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2.0와 AMOS 22.0을 활용한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특수교사의 교직헌신, 연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세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및 직·간접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 연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은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특수 교사는 교직헌신, 연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등과 같은 변인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관계없이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 연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따라서 세 변인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연민이 매개역할을 하며 모형 적합도도 타당하였다. 그러나 교직헌신이 직접 심리적 안녕감으로 연계되는 경로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이 연민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확보하는 경로를 제안하고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교직헌신과 연민은 직접적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은 연민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므로 특수교사의 연민은 교직헌신이 심리적 안녕감을 촉진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연민은 심리적 안녕감을 촉진하여 교사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져 특수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mpassion in teach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pecial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pecial school. Methods: The questionnaire with teaching commitment 15 items, compassion 30 i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24 item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426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in teaching commitment, 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y the specia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b)High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teaching commitment, 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and (c) Special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mediated compassion, and the fit index of the model. Conclusion: The special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had a structure to connect with compassion. In addition, teaching commitment with compassion had to go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teaching commitment had no explanation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ompassion would be able to show mediating effect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한‧중 대학 학위과정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비교

        서범원(Beom Won Seo),권인탁(In Tak Kwon),김대명(Dae Myung Kim),엄정화(Jung Hwa Um),정혜경(Hye Kyeong Jeong)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학위과정 성인학습자의 교육서비스 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관계에 의하여 분석하고,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대한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의 LiFE 사업에 참여한 대학의 성인학습자 303명과 중국의 대학평생교육원 학력인정과정 성인학습자 5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가정의 검토, 구조방정식 추정 및 매개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한국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는 교육서비스 질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육서비스 질과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 학습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중국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는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 교육서비스 질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육서비스 질과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 학습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학위과정 성인학습자의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는 학습몰입만이 단일매개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이 이중매개하는 결과로 한국과 중국이 같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중국 성인학습자의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대하여 중국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반면에 한국은 관계가 없고, 나머지 변인들은 심리적 안녕감에 한국과 중국이 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 learners in the university degree achievement courses in Korea and China, and compar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well-being.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a survey of 303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 project in Korea and 528 adult learners in the academic qualification course of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China to compare and analyze the assumptions, structural equation estimation, and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dult learners was significant in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learn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nese adult learners, the path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learning commit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but the path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not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 learners in the degree acquisition process was the same as that of Korea and China as a result of single-mediation of learning commi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commitment. 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China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nese adult learners, while Korea has no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the variables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고객불량행동이 카지노 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최은미,진찬호,유지혜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4

        The center of the casino business is the casino dealer it as human resources is increasingly the dealer is always exposed to the customer badness behaviors. This study explores how customer badness behaviors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urrent casino employees based on interaction with customers. First, in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customer badness behaviors on self-esteem of casino employees, customer badness behaviors showed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higher customer badness behaviors are recognized, the lower casino employees’ self-esteem appeared in the result. Secon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effect of customer badness behaviors on casino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at customer badness behaviors had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 the result of examination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casino employees’ self-esteem revealed that among self-acceptance, life purpose, positive personal relation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personal growth, 4 factors except environmental mastery and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life purpose, positive personal relations, and autonom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t resulted that the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of service employees, the higher self-esteem gets. Fourth, in terms of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customer badness behaviors and self-esteem, it revealed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badness behavior and self-esteem. It can be interpreted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badness behaviors and self-esteem. In other words,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when casino employees go through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recognizing customer badness behavior, they experience the effect of enhanced self-esteem effect. Fifth, i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hen customer badness behaviors affect self-esteem, wh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recognition of self-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were accepted while others’ emotion appraisal and use of emotion were dismissed, and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 when customer badness behaviors were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t proves that casino employees, even when customer badness behaviors provoked anger, psychological well-being for successful and systematic expression of anger.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proven to partially perform moderation only between customer badness behaviors and self-esteem. It carried out examination about th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caused by customer badness behaviors are recognized by casino employees to find whether sum of psychological aspects that are considered to affect personal life quality contributes to effectiv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self-esteem,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suggested how to use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for casino employees regarding such customer badness behaviors in the future. 카지노 산업의 핵심은 카지노 종사원이며 고객과의 접점에서 서비스를 하다 보니 고객불량행동을 경험하게 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고객과의 상호작용 통하여 근무하고 있는 카지노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종사원이 지각하는 고객불량행동이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고객불량행동이 카지노 종사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연구결과, 고객불량행동은 자아존중감에 저하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불량행동을 높게 인식하게 될수록 카지노 종사원들의 자아존중감은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고객불량행동이 카지노 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연구결과 고객불량행동은 심리적 안녕감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불량행동을 높게 인식할수록 카지노 종사원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감소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이 카지노 종사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결과 개인적 성장, 자기수용,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력의 하위요인 중에서 낮은 설명력을 가진 환경통제력, 개인적 성장을 제외한 요인이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카지노 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인식할수록 자아존중감이 올라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고객불량행동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삶의 질 즉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역할과 관련해서는 고객불량행동과 자아존종감과의 사이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이 고객불량행동,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한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고객불량행동을 경험한 카지노 종사원이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다섯째, 고객불량행동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경우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본 결과 감성지능 전체, 자기감성이해, 감성조절은 채택되었고 타인감성이해와 감성활용은 기각되었으며, 고객불량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경우 감성지능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곧 카지노 종사원은 고객불량행동으로 분노를 느끼더라도 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통제하고 컨트롤 하는 대처능력이 높았다고 할 수 있다.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는 고객불량행동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만 부분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카지노 종사원이 지각하는 고객불량행동으로 인하여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연구결과로 개인의 삶의 질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어지는 심리적 측면들을 통하여 자아존중감 높이기 위한 인적자원관리시스템에 기여함이며, 연구결과를 기초로 고객불량행동에 대한 카지노 종사원의 인적자원관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 종업원의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상리(Cho, Sanglee),강명주(Kang, Myong Ju) 한국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연구 Vol.31 No.1

        서비스 접점에서 활동하는 종업원들의 심리적 건강은 기업의 관리자에게 가장 걱정스러운 문제 중 하나인데(Watson 2005), 많은 연구들은 단순히 정신적 질병의 치료보다는 종업원의 적절한 심리적 부 즉, 심리적 안녕감의 개발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Page and Vella-Brodrick 2009). 본 연구는 심리적 안녕감의 선행요인으로 감사성향을 제안하고, 이것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심리적 자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종업원의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사성향은 상황이나 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재해석하게 한다. 서비스 종업원의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자신의 직무나 상황의 부정적인 면보다는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긍정적으로 재해석하게 함으로써 부정적 경험이나 좌절감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성향이 서비스 종업원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됨을 의미한다. 둘째, 서비스 종업원의 감사성향은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안녕감은 친사회적 행동(즉, 고객지향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리자가 종업원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감사성향이 개인의 기질적 특성이기는 하나 선행연구에서는 그것의 개발 및 향상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관리자는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차원의 노력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감사성향의 개발은 서비스 종업원 자신의 태도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높임으로써 조직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셋째, 서비스 종업원의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다양한 심리적 자원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감사성향은 주변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는 것을 느끼게 하고 자신이 존중받는다고 생각하게 하며 스트레스 환경에서도 평정을 되찾게 하면서 심리적 자원을 강화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Psychological health at work is one of the most worrisome issues for managers(Watson 2005). Practitioners and academics further advocat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optimal psychological health of employees rather than merely trying to heal mental illness(Page and Vella-Brodrick 2009). This study addresses the influence of service employees" grateful disposi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social behaviors(Customer-Oriented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psychological resources to build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service employees" grateful Disposition has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Grateful disposition focuses to positive sides than negative ones of situations or environments. And this reduces the levels of negative experiences and frustration. This means that service employees" grateful disposition is one of the factors for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has positi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s(customer-oriented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ult means managers should be interested in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 development of service employees" grateful disposition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by increasing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s well as service employees" attitude. Lastly, psychological resources of service employees such as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mediate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Grateful disposition makes people perceive social support, are respected from the surrounding, and restored well-being under stressful environments and enhances the psychological resources, which consequently improve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