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실험미술의 정치적 표현 연구

        리춘송 ( Chunsong Li ),양지현 ( Jeehyun Yang ),김규정 ( Kyuj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3 예술과 미디어 Vol.12 No.1

        실험미술은 미적체험을 목적으로 하는 미술에 대 해 부단히 도전을 하며 저항하고 새로운 미술적 가능성을 추구하는 구체적 실천 미술 행위이다. 중국 실험미술은 1970년대 말기 문화대혁명이 끝남으로 서 나타난 자유로운 정치 환경에서 발생 되었다. 단 일 리얼리즘의 표준, 미술제도, 정치제도에 도전을 내건 급진적 실험미술은 천안문사태로 제약을 받았으나 1990년대 시장계제로 인한 물질적 삶의 발전으로 이데올로기적 갈등은 심화되었고, 실험미술과 정치제도 및 체제는 공존하게 되었다.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글로벌화는 현재의 미술이 점차 물질기반에 서 메시지기반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러 한 변화는 이전의 미술과 다르게 사회와 더욱 긴밀 한 관계 안에서 발생되고 있다. 중국 실험미술이 이러한 기술적,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 관점에서 어떻게 변화되어왔고 이에 따른 표현방식을 전개시켜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 실험미술은 1990년대 이후 냉소현실주의, 정치 팝아트 같은 일 부 서구 미술작품의 취향을 영합하고 시장경제논리 에 편성하거나, 공익 광고나 독립다큐멘터리같은 미술형식을 통해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비판성에 중심을 둔 표현방식을 전개시켜 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실험미술이 정치 및 사회적 관 점에서 출현된 배경과 시대별로 표현된 다양한 미술형태들을 살펴보고 비교하여 사회성 및 미술적 이념에 대한 의의와 표현방법 그리고 대중과의 관 계 및 중국현대 미술의 정체성과 발전 가능성을 밝히는 것이다. The Chinese experimental art is a kind of continual challenge. It is confronted with the skill of purpose of aesthetic and actual practice embodying in pursuit to new possibility. Chinese experimental arts were started from the late 1970s. Hence, at the clos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re appearance of open and free political environment in China; and then the experiment arts, which challenging to the single realism and political and arts institution, began to enfeeble its effects after the June 4 Tiananmen Incident. However, experimental arts became concomitant of the ideology at 1990s, which the ideological irreconcilable contradiction was impaired with the improvement of standard of corporeal liv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are making artistic basis turning into information form from corporeal living. This change designates difference in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Therefore, it is comparatively important to study society, relative 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arts. However, Cynical Realism, Political Pop and other style of arts are now questioned about catering Western and marketing rules. Therefore, the Independent documentary, which possesses comparative independent attitude and less influences by political, economic agent, might be utilization of showing the society and relative 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arts.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politic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Chinese experimental arts and the difference art forms in each difference period, and to compare among the latest comparatively influential works; and besides, the study revolved around some Independent documentary, which has critical, social, and expressible idea of artist. In addition to,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Independent documentary and the people, and the presence and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arts in China.

      • KCI등재

        ‘비주류’의 개념미술가, 성능경의 ‘망친’ 모더니즘 미술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4 No.-

        SUNG Neung Kyung(b. 1944-) is a renowned conceptual artist who led the experimental art movement in South Korea. His artwork uses nontraditional methods such as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In 1973, he appeared in the art scene as a member of ST, a avant-garde art group. Until the late 1980s, he showcased newspaper-related installation art and performance which challenged government censorship of media and press’s power to edit. He was also one of the first artists to use photography in fine art in the 1970s. He began with photographs that explored tautology as a concept. He then presented photography installation art which took pictures of the newspaper itself or used his personal life as motif. Sung is also well known as a pioneer of Korean performance art starting in the mid-1970s, which then was referred to as “events.” From his earlier self-referential events to his post-1990s artwork which express the complex nature of life in a distinct manner, the world of his performance art has not only been colorful but also extremely unique. Sung, who has been dedicated to creative production for the last fifty years, has produced artwork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trajectory of South Korean art history—including avant-garde, experimental art, modernism, art for art’s sake, realism, and postmodernism. Sung’s approach to art has not been properly evaluated, however, in mainstream Korean art history or even within 1960-70 experimental art itself. This essay seeks to study Sung’s oeuvre, periodize and characterize his work,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periods, and locate its place in Korean art history. As a minority conceptual artist, Sung has remained in the periphery of Korean art scene. This project then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is artistic expression. This research finds that Sung, as a conceptual artist, always distanced himself from the mainstream and reified the attitude of the minority. What he sought as conceptual art was anti-modernism, which stood outside of the inside of Korean modernism. His artwork, which 227 crossed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and aimed for realism, rejected the purity and medium-specificity of modernism and challenged norms of Minjung art. Furthermore, his photo installations from the 1980s onward or his performance from the late 1980s onward, by definition, lacked marketability. Such works remained in the peripheries of art, outside of the institutions of art. This research considers the non-mainstream character of Sung’s conceptual art as fundamental to his approach to art, and as an opening for a new interpretation of post-1970s South Korean art history. When locating Sung within modernism, much fruitful and varied discussion emerges on conceptual art within Korean modernism, that is, experimental art outside of genre boundaries. When placing Sung within realism, historical avant-garde’s precedence on purity meets that of Minjung art to expand the horizon of purism in Korean art history. Sung’s conceptual art, which offers a minority’s alternative view, allows a reconsideration of Korean art beyond the dichotomies of modernism and real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center and periphery. 성능경(Sung, Neung Kyung, 1944~)은 비전통적 미술 창작의 수단인 신문, 사진, 행위 등을 이용한 작품으로 실험미술의 흐름을 주도한 한국의 대표적인 개념미술가이다. 그는 1973년 전위미술 단체 ‘ST’의 회원으로 미술계에 본격적으로 등장해, 정부의 대중 매체 검열이나 언론의 편집 권력에 도전하는 신문 관련 설치와 행위를 1980년대 말까지 선보였다. 그는 또 1970년대에 사진을 순수미술의 영역에서 처음으로 다룬 작가 중 한 명으로서, 초창기의 동어반복 개념을 다룬 사진들에 이어, 신문 자체를 촬영하거나 본인의 개인사를 소재로 삼은 다양한 사진 설치작품을 꾸준히 발표했다. 성능경은 나아가 1970년대 중반부터 ST 동료들과 함께 당시 ‘이벤트’로 불리던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를 소개한 선구적 존재로도 잘 알려져 있다. 자기 지시적 특징을 지닌 초창기 이벤트에서부터 복잡다단한 삶의 본성을 고유의 양식으로 예술화한 1990년대 이후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의 퍼포먼스는 다채롭기 그지없을 뿐 아니라 매우 독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성능경은 이처럼 50여 년의 세월 동안 한결같이 창작 활동에 매진하면서, 한국 미술사의 핵심 개념어인 전위, 실험, 모더니즘, 예술지상주의, 현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그간 그의 예술세계는 주류 한국 미술사는 물론이고 1960~70년대 한국 실험미술의 역사 내부에서도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능경 전작(全作)의 시대별 특징과 상호 영향 관계, 그것이 한국 미술사에서 지니는 의미 등을 포괄해 고찰하려 시도했다. 이로써 일평생 한국 미술계의 주변부에서 비주류 개념미술가로 활동한 그의 예술적 발언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그 결과 성능경은 늘 주류와 스스로 거리를 두고 일평생 ‘비주류의 태도를 형식화한 개념미술가’라는 점을 밝혔다. 애초에 그가 추구한 개념미술은 한국 모더니즘의 내부에 위치하는 외부, 반(反)모더니즘이었다. 또 그 자체로 신문, 사진, 행위의 잡종이면서 현실주의를 지향했던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의 순수성과 매체 특수성을 위반하면서, 동시에 민중미술의 전형적 형식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225 이었다. 나아가 그가 1980년대부터 생산한 사진 설치나 1980년대 후반 이후 창조에 전념한 퍼포먼스는 본성상 시장성이 부족하거나, 미술 제도의 외부에 자리할 수밖에 없는 주변적 미술이었다. 본 연구는 성능경 개념미술의 이 같은 비주류적 성격을 그의 예술세계의 본질이자, 1970년대 이후 한국 미술사를 새롭게 해석하게 할 가능성으로 간주했다. 성능경을 모더니즘의 내부에 둘 때, 한국의 모더니즘으로서의 개념미술, 즉 탈장르적 특징을 지닌 실험미술은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논의 거리를 갖게 된다. 또 성능경을 현실주의 미술의 범주 내부로 이동시킬 때,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순수지향성은 민중미술의 그것과 만나 한국 미술사에서의 순수주의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다. 성능경의 개념미술은 이처럼 비주류의 대안적 관점으로 모더니즘과 현실주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중심과 주변 등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한국 미술사를 재고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한국 미술치료의 연구동향 -한국미술치료학회지 게재논문(1994~2010)을 중심으로-

        기정희,이숙미,김춘경,정종진,최웅용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by analyz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A total of 475 published articles were categorized by the purpose of the studies into the following types: the investigation type, the experiment type, the case type, and other types. Especially in the articles belonging to the experiment type and the case type, the relevance between the subjects investigated and the study theme was examined. Percentage and frequencies were used to analyze the tren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creased on a yearly basis. In the study method, the experiment type (38.7%) and the case study type(24.7%) made up the majority. Second, a majority of the investigation type articles focused on the reaction studies of projection tests(65.4%), especially on KFD(41.2%). Third, in the case study type, child participants made up 56.1% and adult participants 62.2%. The therapy was performed mainly individually to improve their adaption problem or to remedy their behavior problems. Fourth, in the experiment type, child participants made up 41.7% and adult participants 57.6%. Group-based therapy treatment was most common in this type. The therapy was performed mainly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fth, in other types, an analysis of art works(35.9%) made up the majority. With this in mind, it is desirable that subsequent article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show more variety in study methods and projection techniques. 본 연구는 한국미술치료학회지「미술치료연구」게재논문들을 분석하여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75편의 게재논문을 연구목적에 따라 조사연구, 실험연구, 사례연구, 기타연구로 구분했고, 특히 실험연구와 사례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과 주제의 관련성을 고려했으며,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에서는 게재논문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유형별 연구동향에서는 실험연구(38.7%)와 사례연구(24.7%)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조사연구는 투사검사의 반응특성(65.4%), 특히 KFD(41.2%)에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사례연구의 경우, 대상은 아동(56.1%)과 일반(62.2%), 치료목표는 부적응 및 문제행동개선이 가장 많았으며, 주로 개인치료로 실시되었다. 넷째, 실험연구의 경우, 연구대상은 아동(41.7%)과 일반(57.6%), 치료목표는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개선이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집단치료로 실시되었다. 다섯째, 기타연구의 동향에서는 미술작품분석(35.9%)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향후 미술치료연구에는 연구유형과 투사기법에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추상과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정하윤 미술사학연구회 2014 美術史學報 Vol.- No.43

        중국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1949년부터 1980년대 초까지 예술 제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며 강력한 통제력을 거머쥐고 있었고, 따라서 공산당과 미술의 관계는 중국현대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그 통제의 정도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였지만 공산당, 더 구체적으로는 당의 산하 단체인 중공중앙선전부(中共中央宣传部)는 사상적으로 적합한 양식과 주제를 규정함으로써 예술계를 감독, 규제하며 이끌어갔다. 추상미술 역시 중화인민공화국의 근본 토대인 사회주의 이념에 따라 공산당의 평가 대상이었고 이 평가에 따라 추상미술이 허용되기도 하고 금지되기도 하였다. 특히 추상미술은 마오쩌둥의 시대에 “퇴폐한 미술”로 낙인 찍힌 채 그 제작과 전시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고, 이어지는 덩샤오핑 정권 아래에서도 사상적으로 매우 민감한 주제로 여겨졌다. 중국공산당이 사회주의 사상에 입각하여 추상미술에 부여한 사상적 의미는 중국현대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룬 연구는 국내외의 학계에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학술적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마오쩌둥의 중국 공산당이 추상 미술에 부여한 사상적 의미를 분석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발전함에 따라 추상미술에 대한 공산당의 공식적 입장이 변화하는 양상을 추적하며, 당시의 사회·정치적 맥락 내에서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론의 1장에서는 마오쩌둥의 공산당이 갖고 있던 추상미술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덩샤오핑의 공산당이 어떻게 수정, 또는 계승하였는지를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사이의 정치·사회적 문제들과의 관련하여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1980년대 후반의 추상미술에 대한 공산당의 느슨해진 검열이 작가들의 예술적 자유에 대한 요구와, 더 나아가서는 국민들의 민주주의적 가치에 대한 요구를 반영했음을 실증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고는 추상미술이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민감한 문제가 된 이유와 함께 추상미술이 당시 사회의 이념과 정치·사회적 상황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보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deological meaning that Chinese abstract art was imbued with by Mao Zedong’s Chinese Communist Party (CCP), traces the changes in the CCP’s official stances toward abstract art throughou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and analyzes the reasons for those changes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time. I will first investigate how Mao’s Party regarded abstract art, and then scrutinize how Deng Xiaoping’s Party altered and/or succeeded that official stance toward abstract art in relation to the sociopolitical issues during the late 1970s and 1980s. Last, I will demonstrate that the Party’s loosened censorship on abstract art reflects the requests for artistic freedom, and by extension, the democratic values, of the people. This paper will ultimately reveal not only the way and the reason that abstract art became an ideologically sensitive issue in the PRC but also the way that abstract art relates to the ideology and sociopolitical situations of its society.

      • KCI등재

        이승택 작품 연구: ‘비조각’ 개념을 중심으로

        이인범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Seung-taek Lee’s art works. Lee’s early works had their roots in sculpture, but he would later explore various genres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ranging from drawing, modern painting, objet,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photo-picture. Le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for Korean experimental art, as evidenced by the numerous exhibitions and research under his name. One of the most notable exhibitions was the Seung-taek Lee Invitiational Exhibition in 1997, which attempted to highlight the 50 year history of Korean experimental art. Despite his importance in Korean experimental art, most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fail to consider the full picture and chronological importance of Lee’s artwork. Instead, they would only focu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Lee’s art by looking at each piece separately. Furthermore, these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would often rely on non-credible records, casting even more doubt on credibility. This article will first thoroughly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Lee’s ar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I identify four phases of Lee’s art as follows: 1) while embracing the western practice of sculpture, Lee would experiment with traditional Korean objects such as totem poles and pottery, or with ordinary industrial objects such as wood, glass, vinyl, and steel. Lee would also experiment with anti-sculpture installation art with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smoke, fire, and wind to reflect on the memories of cultural anthropology (1955-1971). 2) Lee also combined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objects—such as sculptures, white porcelain, books, currency—by using a “rope” to contemplate on their existence via methodical and conceptual thoughts (1972-1983). 3)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 Lee intervened in various aspects of reality such as shamanism, self-burning, environment, division of the country, and sexuality via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 (1984-Early 1990s). 4) Finally, Lee shifted his focus from 3-dimensional experimental art with objet and sculpture to a photo-picture experiment with collage, montage, painting, and drawing (1990s and after). As a result,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non-sculpture is ironically very limited in identifying the experimental nature of Lee’s non-sculpture art. In addition, by treating photo activity as just a byproduct of installation art, the previous literature fails to account for the importance of photo-picture, which was the main focus of Lee starting from the 1990s. Lee’s art i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and post-industrializa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objects within this time period. There is much more to his art than the experimental aspect, which warrants a more fundamental approa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life. 이 글은 이승택(1932-)의 작품세계 연구다. ‘조각’에서 출발한 그는 ‘비조각’을 내걸며 드로잉·회화·오브제·퍼포먼스·설치·‘포토픽쳐’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실험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국 실험미술 50년을 조명하고자 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이승택 초대전》(1997)을 비롯한 여러 전시와 연구들을 통해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실험미술의 아이콘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나 연구들이 십중팔구 그의 작품 전모나 시기별 전개를 간과한 채, 단편적 형식적으로 그 실험성에만 주목하고, 그마저 엄정하지 못한 1차적인 기록들에 의존하고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설득력을 지닌다. 이 글은 우선 그의 작품에 관한 선행 기록들이나 연구들을 엄밀히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그 전개를 4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1) 서구 ‘조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장승·옹기 같은 민속 오브제나 각목·유리·비닐·양철 같은 산업화 시대의 일상 재료로 형태실험을 하고, 연기·불·바람 같은 비물질적인 재료로 반조각적인 설치 퍼포먼스로 문화인류학적 삶의 기억을 불러내는 시기: 1955-1971, 2) 조각·백자·책·화폐나 돌·나뭇가지 같은 인공물과 자연사물들을 ‘줄’로 묶어 그 존재를 방법적·개념적으로 묻는 시기: 1972-1983, 3) ‘비조각’ 개념을 내걸며 설치·퍼포먼스로 무속·분신·환경·남북분단현실·섹슈얼리티 같은 삶의 현실에 개입해 들어간 시기: 1984-1990년대 초, 4) 지금까지의 3차원적인 오브제·조각 매체 실험에서 무게 중심을 사진콜라주·몽타주·페인팅·드로잉 등 이미지 실험으로 옮긴 ‘포토픽쳐’작업을 한1 990년대 이후 등. 그 결과 ‘조각’을 향한 ‘비-조각’적 실험에 주목했던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정작 그 실험성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서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게다가 사진작업은 단지 설치·행위의 기록으로 부수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이승택이 일찍부터 추구했고 특히 1990년대 이후엔 몰입하다시피 했던 ‘포토픽쳐’에 관한 평가가 간과되었다는 점이 확인된다. 더불어 남북분단과 전쟁, 산업화, 후기산업시대 등으로 전개되며 급변하던 사물들의 체계를 배경으로 펼쳐진 이승택의 작품은 실험성만이 아니라, 인위성과 자연성, 오브제와 삶 사이에서 살아있는 새로운 사물의 질서 모색이라는 보다 근본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청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미술놀이수업에서 도자장식 개발실험에 관한 연구

        안재영 ( An Jae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초등미술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교 현장에서 미술놀이 수업 일환으로 도자미술놀이 수업과 관련하여 초등도예수업 도자 장식에 대한 확장을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각도의 조형탐구를 하고자 한다. 더불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도자 장식놀이 실험논문이다. 또한, 초등미술교과에서 초등 도자교육은 전통적이고 감상적인 부분에 많이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다. 교육대학교에서는 초등 도예 수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각도의 응용된 도자장식, 도예 수업 프로그램을 연구해서 활성화시키고 교과서에 기인하여 보완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도자장식 프로그램을 초등교육현장에 정규화 시켜 확장시켜나가는 것도 필요한 점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놀이수업에서 도자장식 개발실험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단순이미지방법을 시작으로 은박지 도자장식방법, 두꺼운 종이와 관련한 방법, 모자이크 펀치와 도자장식방법, 섬유재료와 도자장식방법, OHP 필름과 관련된 도자 장식방법 등으로 초등도자 미술놀이를 응용실험 하였고 본 구성을 통해 형태 응용구성, 공간 응용구성, 조형 응용구성의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로서 도자장식과 초등미술놀이 초등수업개발 프로그램을 완성해보고 초등학생들에게 알맞고 다양한 도자장식기법과 융합된 도예의 창의성과 접근성을 부여하여 초등도자미술의 동기부여를 시켜나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 실험을 통해 초등도자 놀이수업의 프로그램의 확장과 분석을 수업 프로그램 관련한 특색을 찾아 볼 수 있었고 본 초등도자 미술놀이 응용을 통해서 다양한 융합 시각적 효과를 가져다줌을 살필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2016-17년 초등도예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 200여 수강 학생들을 중심으로 탐구하고 실험하였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examined the elementary school art class decoration experiment through the elementary ceramic art play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est and the effect utilizing the ceramic decoration groundwork such like art play. For this, a researcher examin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e ceramic-art play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significance making the research object with 200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GNUE. The significance of A Study on an experiment designed to develop ceramic ornaments in a game-based primary school art class. First, can raise the comprehension degree about the character of primary school art class and ceramic decoration utilizing the nature of multi-groundwork than the usual teaching-art play. Second, for the elementary art teaching, can contribute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having an affinity for environment through ceramic play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using various decoration. Third, can contribute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hat could get the abundant inspiration utilizing a nature object. Fourth, can contribute the originality prompt that get the student to make the various plastic arts with the mud having the simple and plain nature.

      • KCI등재

        196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에 관한 사회학적 논의

        全英柏(Chun Young-Paik) 미술사연구회 2009 미술사연구 Vol.- No.23

        In the field of research on Korean art history, there have been lots of excellent papers working on certain specific period or genre of Korean art. However, it seems very few of which research scope cover overall period of history of Korean art with a macroscopic perspective. Nor has been many dealing with various genres of korean art crossing over from one to another via synthetic viewpoint. This paper thus attempts to fill this gap by trying a relatively new research methodology. It adopts sociological approach to look at Korean art since 1960s. Pierre Bourdieu’s concept of‘capital’is a theoretical framework through which I would like to explore the discourse of art history via a more structural and less microscopic perspective. Bourdieu has presented the most elaborate theoretical statement about the structure of cultural fields. He goes beyond the Marxist concept of class as a system of property rights and introduces a more complex class notion that takes account of different forms of capital-that is, social and cultural as well as economic. He defines the structure of a field as a network, or configuration of objective relations among positions. Utilizing Bourdieu’s concepts of capital as theoretical framework, my research on Korean contemporary art since 1960s attempts to analyse what has constituted the dominant power structures of art world and how the mainstream has been formed and progressed. In my article, the concept of‘cultural capital’has been imported to the field of art history to look at the past half-century history with a macroscopic perspective. Revealing the relations and networks that art practice has with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symbolic domains, I try to shed light on art-making in relaiton to the social‘field’as Bourdieu emphasizes. What is beneficial about sociological approach is that it allows us to face the fact that mainstream of art movement or even art historical stream is hardly formed only by aesthetic movement. My research thus explores Korean art practice since the 1960s and its relation to cultural phenomena in various domains, ranging from the political attributes to the power structure of art associations and social network of alumni of art college to the economic situation in Korean society. This concept of‘capital’is important because it has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hierarchical structure and social network that are maintained in art world. The art world is a complex site where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This research thus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capital in Bourdieu’s term, on Korean scene especially, and eventually how dominant history of Korean art is constituted and directed for the last 50 years or so. Bourdieu’s theory assumes that differences in capital endowments are in fact related to the social structure(social topography) of cultural field in signigicant way. I intend to unlevel the complicated relations between forms of capital and social structure in Korean art since 1960s. Bourdieu’s concept of capital refers to a generalized‘resource’that assume monetary and nonmonetary as well as tangible and intangible forms. He distinguishes between three general types of capital, that are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According to him, dominance of specific forms of capital is characteristic of different types of social fields. Here I suggest another form of capital, that is, Political capital to be added for a proper analysis of stratification of Korean art world. Looking into those ways in which the various progressive art groups, art associations and art movements are constituted and developed, my article aims to enlighten the inner strata which are formed by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symbolic capitals. Basically, it follows general development of Korean art history since the 1960s. If I look through what were major art events which led every decades from the end of

      • KCI등재후보

        대학생 대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태분석(2005-2016)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지현,유경미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6 임상미술심리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술연 구정보서비스에 검색된 연구 가운데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위논문 19편을 분석하였 다.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 대상 집단미술의 발전방향과 실험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 그램에 사용되어진 도구를 분석해보면 그림투사 검사 측정도구보다 객관적 검사 측정도구 가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 연구를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양적·질적 분석방법을 많이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참여 대상 학 생수는 6-10명, 총 회기수는 13-17회기, 회기별 중재시간은 90분, 주당 시행 횟수 2회, 활 동단계는 4단계, 중재환경은 기술하지 않고 많이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치료목표는 스트레스 감소, 활동방법으로는 자유화를 많이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19 dissertations from 2005 to 2016. These dissertations were found using a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nalysing the tools used for this research, objective test measurement tools were used more than picture projection test measurement tools. Second, we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mostly use the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ir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are used for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Fourth, the targe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is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is approximately 6-10,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ranges from 13-17, with the arbitration time of each session being 90 minutes, 2 trials in a week, the activating step is 4, and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was not described. Fifth, The treatment goal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is the reduction of stress and they treat liberalization as content of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박정희 시대의 민족주의와 미술의 변화에 대한 연구

        안인기 ( In Kee Ah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1 예술교육연구 Vol.9 No.3

        1960-70년대 미술은 앵포르멜의 정착, 실험미술의 전개와 쇠퇴, 단색조회화의 광범위한 확산과 함께 국가주도의 대규모 미술품의 제작, 국전 및 문화재정책을 통한 사회·문화적 통합 정책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양면성을 갖는 당시의 미술은 정부 주도의 문화 정책 영향 속에서 많이 평가되어 왔다. 본 논문은 1960-70년대의 지배적 이념을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미술 문화정책에 나타난 양상과 이에 따른 미술의 실천 및 변화를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문은 담론적 연구의 방법을 따른다. 특히 당시의 민족주의 담론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그것과 미술의 변화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논문에서 필자는 1960-70년대 민족주의 담론을 형성기(1961-1967년), 수립기(1968-1972), 문예중흥기(1973-1979)로 나누어 각 시기별 정책과 미술의 전개양상을 설명하였다. 형성기는 과거보다는 미래를, 전통보다는 근대화를 향한 관심이 강했다. 기념물, 역사적 건축물 제작 등과 함께 앵포르멜이 확산되면서 국전 중심의 화단이 재편되었다. 특히 박정희 정부는 앵포르멜의 전위성과 혁신성을 군사정부의 개혁성과 새 시대적 분위기로 지지하였다. 수립기는 민족기록화나 동상 제작 등으로 대변되듯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강해지며 근대화와 반공 이미지가 강조되었다. 반면 실험미술이 확산되면서 상대적으로 제도화된 앵포르멜과 민족주의적 미술 경향을 비판하였다. 문예중흥기는 한국식 민주주의 실현이라는 정치적 구호 속에 백색, 한지를 강조하는 국수적 민족주의가 이슈가 되었다. This study is for the art scene during Park Jung Hee years in the sight of nationalism. At that era, the core era of post-war Korean history during which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were achieved. On the other hand, in art world, nationalism led by government and cultural policy affected to artists and their works. Nationalism during that regime can be devided three period. - formative years, establishing years, and the period of cultural revival. In the Formative years, they had more interested in the future than past, modernization than tradition. Historical monuments and statues were erected in public spaces and Informel, the modern korean art movement was spreaded. Park`s government supported the Informel considering it`s avant-garde spirit and the neweness as the reformation bought by military government. At the establishing years, historical painting and public statues were made for boosting patriotism. The period of cultural revival, under the political moto like realization of Korean democracy, nationalism led the painting to white monochrome unsing korean paper. The achievement of monochrome painting could be discursive reproduc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al dynamics of 1970`s as well as cultural and artistic breakthrough. The Korean Modernism in art was restricted achievement of specific social group and artists. It was a product of alliance between enforced modernization and invented tradition under censorship of government.

      • KCI등재후보

        한국 <AG> 그룹에서의 "아방가르드" 연구

        김전희 ( Junhee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4

        본 글은 1960년대 한국 미술에 등장한 예술 운동인 <AG>그룹에 관하여 탐구한다. 이들은 한국미술사에서 최초로 전위적인 미술운동을 표방하며 스스로를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칭하였다. 또한 당시 서구의 선진 미술 현상을 적극적으로 연구하면서, 한국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연구하고 활동하였다. 필자는 이들 운동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양상들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특히나 ‘아방가르드’라는 용어에 집중하여 살펴볼 것이다. 최초로 아방가르드라는 용어가 시작된 19세기 유럽에서부터 20세기 후반의 네오 아방가르드까지, 그 의미와 그 발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는 필연적으로 이용어가 미술로 수용되어 사용된 흐름을 되짚어보는 작업을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아방가르드 미술의 흐름과 그에 대한 비평을 전개한 이론가들을 차례로 살펴보며, 서구 아방가르드에 대한 개략적인 지형도를 만들어 볼 것이다. 이러한 지형도 위에서 한국의 <AG> 그룹에 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들의 운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본고에서는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 중에서도 이들 운동의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선택적으로 설명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이들 운동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인 이론과 현상의 합일적 실천에 집중할 것이다. <AG>그룹은 작가들과 이론가들이 최초로 함께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실천과 이론의 양상 모두를 선진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나아가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들 운동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이론가의 글들을 함께 고찰해 봄으로써, 그룹이 나아가고자 하였던 목표에 대하여 살피고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근거로 AG 그룹의 작품들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탐구를 바탕으로 하여 필자는 한국의 <AG>그룹의 양상이 서구의 아방가르드와 제도 비판이라는 본질을 공유하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당시 한국 아방가르드 운동이 수용하였던 서구의 아방가르드 이론과 현상은 초기 아방가르드 이후의 네오 아방가르드였음을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과 당시 한국의 사회상을 살펴봄으로써 AG 운동에서 ‘아방가르드’라는 용어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맥락과는 별로 부합하지 않으며, 미술의 제도 안에서의 변혁을 목표로 하였음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초기의 유럽 아방가르드가 아니라 동시대의 네오 아방가르드적 양상과 의미를 공유한다고 하여 <AG>그룹의 의의나 의미가 희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 그룹은 당시 한국 미술에서 아카데미적인 기존의 미술제도를 공격하고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미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이어나갔으며, 그 결과 새로운 실험정신을 한국 미술에 도입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Korean avant-gard art movement, named AG movement, was emerged in 1960s in Korea. This paper will be focused on the AG movenment, compared to Western avant-garde theories and art where oriented it. The AG movement accepted the practices of modern Western art and the ideas/theories of ‘modern art’ at the time, and tried to proceed the avant-garde art in Korea. Therefore the AG movement was founded by a group of artists and theorists to aim the leading a new stage of Korean art. I, however, argues that the Korean AG movement actually share more similar idea with Neo-avantgard which was influenced by the European AG art rather than Ag in Europ in 1930s-40s. There will be three steps to support the argument. First, start with the etymologic approach of the term, which will explai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and how the word started to use in art world. Followed by the meaning of the word, we will study several significant theorists to explain the idea of avant-garde and neo-avantgarde. Based on the former of Europe and American avant-garde, I will explain that the essene or the nature of avant garde is the character of resistance, whether toward social-politic or art institution. Therefore, the Western/European’s avant-garde works had various artistic practices which show the art is more than a image on the flat canvas, so it includes the relation with participating in a political parties or presenting new genre of arts. Neo-avantgarde also inherits from it. Unlike its ancestor, however, Neo-avantgarde was more focused on destructing artistic institution rather that politic of social issues in 1960s. As a conclusion, the Korean AG movement shared the idea of contemporary western art, Neo-avantgard, which allow them to create various experimenting art to attack the existing Korean academic art and its system in 1960s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