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통합’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과정모델의 연구

        양만재(Yang, Man-Ja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3 비판사회정책 Vol.- No.41

        본 논문은 한국의 『지역사회복지론』 교재와 논문에서 기술된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모델과 영국학자들의 대표적인 두개의 모델에 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서 대안적인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모델을 예시적으로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의 교재와 논문은 주로 미국학자들의 지역사회 실천모델을 소개하지만,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개입과정에 관해서는 거의 규명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학자 P. Henderson과 D. N. Thomas의 실천기술과 조직화 단계를 중시한 ‘이웃공동체 실천모델(neighbourhood work model)’과 P. Stepnney과 K. Popple, D. Evans 등의 구조변혁과 비판적 실천의 원칙을 강조한 ‘비판통합 실천모델(critical integrative community work model)’을 분석한다. 그리고 두 모델의 강점 요소를 살리고 약점 요소를 보완하는 ‘통합’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과정모델을 제안한다. 통합모델은 실천과정에서 비판반성 실천을 위한 학습조직, 지역사회의 집합적 역량강화를 위한 조직, 참여, 네트워크, 대중학습, 평가에서 주민의 참여를 중시한 실천과정에 역점을 두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prefiguratively an alternative model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by analysing and criticizing both the model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described by articles and text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published in Korea and two models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proposed by the UK’s scholars. Korean texts and articles have introduced mainly community work model of American professionals, but there have seldom been explained intervention processes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To achieve the aim of this paper, I examined the neighbourhood work model of T. Henderson and D. N. Thomas and the critical integrative community social work model of P. Stepnney, K. Popple and D. Evans. The integrative model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will be suggested through selecting their strength and making up for their weaknesses. The process model of integrative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composed in terms of 6 phases is underlined the critical reflection practice,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s,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for practising collective empowerment, participation of service users, social network based social capital, popular education, empowerment measurement based on the inputs, processes, and outcomes.

      • KCI등재

        20대 소비자의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의 실천 경로 분석 :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 모델의 적용

        천혜정,민문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Miller, Sendrowitz, Connacher, Blanco, Miniz de la Pena, Bernardi, 그리고 Morere (2009)가 개발한 사회정의 관심 및 실천 모델(A model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을 적 용하여 한국 20대 소비자의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의 실천 경로를 분석하였다. 즉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은 사회 책임 적 소비실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사회정의 관심 및 실천 모델이 사 회 책임적 소비행동을 설명하는데 적합한지 검증한 후 사회적 지지와 장애가 직접적으로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 모델과 두 변인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 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다 적합한 모델로 제안된 간접효과모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 는 20대 소비자 551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0일부터 8월 28일까지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을 설명한 Miller 등의 모델은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관심, 실천 등 사회정의관심 및 실천 모델의 핵심 적인 변인들이 사회책임적 소비행동 영역에도 유용하게 적용되었다. 둘째, 맥락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장애가 사회 책임적 소비 실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 모델과 두 변인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실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 모델을 검증하여 두 모델의 적합도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 간접모델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접효과 모델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 고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 모두 자기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 기 효능감은 결과 기대에,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 모두 관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천에 대한 영향에서는 결과 기대, 관심, 사회적 지지가 정적인 영향을, 사회적 장애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 효능감은 직접 적으로 관심에 영향을 주거나 결과 기대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 은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모두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were interested in elucidating the psychological process associated with 20s consumers’ interest in and commitment to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On the basis of social-cognitive theory, we identified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as a plausible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This framework includes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related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interests,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t first, it was analysed whether or not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is satisfied with the goodness of fit to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domai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econdly, it was compared direct effect model which were supposed social support and barriers affect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to indirect effect model which were estim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indirectly through self-efficacy. Lastly, we examined the more appropriate model’s path coefficient. The data came from 551 consumers between 20 and 29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 it supported the use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within the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domain. (b) it supported the indirect effects model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over the direct effect model. (c)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s contextual factors were shown to influence self-efficacy and commi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Self-efficacy was shown to influences outcome expectation, and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were shown to influence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interest.

      •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최근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실증분석에 기초한 연구와 더불어 방법론적으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만 패러다임의 흐름과 관점, 그리고 이론과 모델은 아직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모델이 커다란 변화 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모델은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 및 사회, 그리고 국가 간의 상황변화에 따른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이데올로기(Ideology)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실천에 근간이 되는 전통적 방법론을 역사적으로 전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시대적 변화의 당위성을 찾는다. 특히 사회복지실천 발달현상으로서의 통합적 방법과 문제해결과정모델의 등장배경 및 이론적 기반을 통해 역량강화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이론으로 대두되고 있는 독일의 사회학자 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인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이론적 함의를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대한 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es on Social Work Practice are actively increas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ore elaborate research is performed methodologically along with a research based on empirical analysis. However, a flow & perspective and a theory & model in paradigm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model of traditional Social Work Practice is being applied yet without a big change. However, the existing theory and model in Social Work Practice have limitation in understanding a social change according to a situational change among individual, society and nation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which had influenced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and Social Work Practice, and searches for necessity of a historical change in Social Work Practice while historically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ology,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Practice. Especially, it examines usefulness of Empowerment Model through the integrative method as the developmental phenomenon in Social Work Practice, and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model, and considers theoretical implication on new Social Work Practice through communication theory, a German sociologist Jurgen Habermas's critical theory, which is being emerged as new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In conclusion, the aim is to suggest new theoretical frame through consider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a cause for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실천교육모델 연구

        김기태,양옥경,홍선미,박지영,최명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적합한 실천교육의 합리적 틀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이론적․실증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천교육과 관련된 기존 연구 및 이론적 기반을 고찰하였으며, 현장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실천교육의 적합성을 탐색하였고, 외국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교육체계별 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이수학점을 60학점으로 하는 학부모델은 폭넓은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생리심리사회적 접근의 학문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실천방법 및 실습을 강화한 모델이다. 학부과정과 차별화된 교육내용의 30학점으로 구성된 일반대학원모델은 실습을 통한 현장경험과 이론의 접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문대학원모델은 5개 교육영역으로 구성되며 학부 전공자 45학점/비전공자 60학점 체제로 운영하여 사회복지전문학위로서의 석사학위를 수여하는 석사학위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한 모델이다. 전체적으로 모든 모델들이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제시된 모델들에 관한 다양한 의견교환을 통해 한국 사회복지실천교육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통합심신치유의 통전적 패러다임 모델 : Ken Wilber의 AQAL 모델을 넘어서

        조효남,안희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심신치유 분야의 연구패러다임 부재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심 신치유의 포괄적인 개념과 통합패러다임의 모델을 통전적으로 정초하는 것이다. 동양의 전 일적 생명관․인간관과 현대의 신과학․양자과학적 생명관․우주관을 바탕으로 Ken Wilber의 AQAL 통합패러다임의 ‘틀’을 기초로 하면서도, 이를 넘어서는 통전적 통합심신치 유의 체계적인 연구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이에 상응하는 ‘통합심신치유’의 기초모델을 제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온건강과 통합심신치유의 체계 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Ken Wilber의 AQAL 통합모델에 기초한 새로운 통합치유 모델에 따라 통합심신치유 기법으로서 통전적 통합치유생활실천/HIHLP(Holistic Integral Healing Life Practice)모델을 제시하였다. 논의를 통해서 Ken Wilber의 AQAL통합패러다 임에 의해 통전적으로 통합된 통합치유의 모델을 바탕으로 동서고금의 모든 전통 민간 치 유, 자연의학적 치유, 전일의학적 치유, 대체보완/통합의학적 치유, 전일의학/전인의학적 치 유기법들을 모두 포괄하는 통전적 심신치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holistic integral model for comprehensive Mind-Body healing. It aims to overcome a lack of a meta-theory in the emerging field of the integrative Mind-Body healing. This study is based on Ken Wilber's AQAL model but attempts to go beyond his theoretical trajectory to offer a more inclusive and explanatory framework for a holistic and integrative Mind-Body healing. In achieving this proposed goal,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tasks: first, presenting a systematic framework for holistic health and integrative Mind-Body healing; second,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Ken Wilber's AQAL framework when applied in terms of holistic and integral Mind-Body healing; and lastly, offering the Holistic Integral Healing Life Practice(HIHLP) Model. Though not comprehensive, this model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Ken Wilber's integral theory but transcends it by including such knowledge as modern physics, new science, and quantum physic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model could be the expansion of the possibility of highlighting the interconnectedness and complementary nature of a wide variety of healing modalities and approach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is HIHLP model helps healing program developers view their programs from a wider, more holistic, and integral perspective.

      • 음주문제를 가진 저소득 실업자의 구직 효율성 증진을 위한 직업준비 프로그램 개발연구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실천 모델을 중심으로?

        조현순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3

        본 연구는 음주문제를 가진 저소득 실업자의 구직 효율성 증진을 위한 직업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다시 말하면 지역사회복지관의 제너럴리스트 실천가들이 영구임대단지 내의 음주문제를 가진 저소득실업자를 대상으로 직업준비를 이슈로 집단을 형성하고 구직행동의 장애요인인 실업과 빈곤에 대한 부정적 심리 정서적 문제의 완화(우울 및 불안의 해소, 불신감 해소 등), 음주문제의 완화를 꾀하고 구직동기 및 구직기술 증대를 목표로 마이크로, 메조, 매크로 차원의 개입을 시행함으로써 장기 실업자가 되는 것을 방지 하고 적극적 대처행동을 늘리는 “구직 효율성 증진을 위한 직업준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Design & development model)에 근거하여 진행되어 실천 현장에서의 실천 지혜를 발견하여 낼 수 있으며 질적 평가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가 갖는 의의는 첫째, 음주 문제에 대한 개입 관점을 치료적 관점에서 탈피하고 환경적 관점에서 찾으려는 시도를 하였다는 점과 음주 및 실업이라는 이슈에 대해 마이크로 수준의 개입에서 매크로 수준까지의 다양한 개입방법을 활용하였다는 점 특히 사회적 기능을 유지하기위해 가장 시급한 직업준비를 중심으로 개입하여 음주 문제를 경감 시키는데 기여함으로서 저소득계층의 자활 및 음주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둘째, 본 연구를 통하여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 모델이 제시하는 사회사업가의 역할과 개입과정을 적용하고 제너럴리스트들이 개입할 수 있는 직업준비프로그램모델을 상세한 지침 및 매뉴얼과 함께 제시함으로서 저소득계층의 음주문제 개입에 대한 제너럴리스트로서의 전문성을 제고시키는 데 있다. 셋째, 실천 현장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를 위해 개발조사연구(Design & Development) 모델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발견되는 실천지혜가 이론축적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ssible job preparation programs for the better job hunting efficiency of the low-income unemployed even with alcoholic problem.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sk the generalist social workers in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to cluster a group of the low-income unemployed with alcoholic problem, who live within permanent rental housing lot, according to an issue titled ‘job preparation' in order to relieve their negative psycho-emotional problems about unemployment and poverty(e.g. depression, anxiety, distrust, etc.) as critical disorder factors of their job hunting behavior and alcoholic problem as well. Furthermore,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facilitate generalist social workers to intervene in the low-income unemployed for their better job seeking motivation and skills so as to prevent them from being unemployed on a long term basis, so that it can develop so-called “model of job preparation program for the better job hunting efficiency" that may contribute to the more positive reactions of the low-income unemployed.The modified version of job preparation program model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s:First, initial model considered the alcoholic problem of the low-income unemployed to be an individual challenge that requires solution, while making clear that alcoholic problem of subjects was somewhat relieved along with their changing attitudes to job seeking skills and motivation shown as the result of test. Modified model defined the function of job preparation program as the operation of job club focused on better job hunting efficiency. Here, alcoholic problem was not considered as special issue but to be the negative reactions of subjects to their unemployment situation. Modified model was focused on natural drop of such reaction by motivating subjects to take more aggressive job hunting attitudes. Secondly, cognitive method theory was adopted for the modified model. Here, the basic concept of this theory was identical with that of initial model, but the model was modified in the form of various activities and follow-up impression sharing after activities in terms of its application by allowing for subjects' responsiveness. In addition, the modified model involved growing self-esteem and self-respect through voluntary service works and other practices of social skill training like learning in-house 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side job outreach and leisure activities, how to assert oneself, experience in high quality culture and so on. Thirdly, since the procedure of effect and process evaluation revealed some unrealistic aspects for its application to practical works, evaluation was performed only through job hunting efficiency test and NMH's Alcoholism Screening Test(NAST), which all contain some components of initial model. Fourthly, other factors unexpected even in initial model were found out and provided as a guideline useful for running job preparation program.

      • KCI등재

        실천신학의 학문적 발달에 대한 고찰과 포스트모던 상황에서의 방향성 모색

        주연수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실천신학의 학문적 발달은 18세기 근대주의의 출현과 함께 시작되었다. 과학적 합 리성과 전문화된 연구프로그램을 강조하기 시작한 근대의 지적, 사회적 도전에 응답 하기위해 고민하던 당시 신학은 변화된 유럽 대학 안에서 학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신학백과사전을 출간하였다. 당시 신학백과사전 패러다임을 따라 실천신학은 주로 교회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철학신학과 역사신학의 연구결과 를 적용하는 응용신학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실천신학의 근대적 패 러다임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실천신학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고유의 방법론을 개발하려는 다양한 논의가 북아메리카와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 러한 논의는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되었지만, 공통적으로는 근대와 다른 포스트모던 시대의 문화적, 지적 상황이 던지는 새로운 도전에 응전하기 위한 시도들이라 볼 수 있다. 캐서린 카하란(Kathleen A. Cahalan)은 최근 30년간 전개된 다양한 실천신학 분야에서의 논의들을 ‘모더니즘의 위기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대한 응답양식을 기준 으로 세 그룹, 후기 모던(the late modern), 반 모던(the countermodern), 급진적 포스 트모던 (the radical postmodern)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로부터 현재에 이르 기까지 실천신학의 학문적 발달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다원주의와 불확실성으 로 대표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실천신학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재조명해본다. 중세나 근대의 종교 지도자들이 사회 내에서 누리던 위계 질서적 권위나 거대담화 (metanarrative)로서의 종교적 기능이 퇴색한 포스트모던 상황에서 실천 신학자와 기 독교 공동체의 지도자들은 그들의 역할을 새로운 시각에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다원 적인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실천신학자나 기독교 공동체 지도자들은 개인적이고 구체 적 차원에서 공동체 구성원의 삶을 인도하고 해석해주는 해석자의 역할을 감당함으로 써 여전히 현대인들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나아가 더욱 개인적이고 인격적 차원에서 의미있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포스트 모던 시대의 실천신학은 교차학제적 대화를 통하여 실천 신학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 하면서도 타 학문의 관점을 참조함으로써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삶의 상황을 심도 있 게 해석하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다면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실 천신학자와 기독교 공동체 지도자들은 포스트모던 자아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인생의 다양한 역할과 문제에 직면한 현대인들이 기독교적 전통과 대화할 수 있도록 촉진하며, 이 대화를 기초로 자신의 삶을 해석하고 매일의 인생 사건에 새 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신앙적 가치 가운데 일상의 삶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인도한다. Practical the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emerged in the 18th century, in the context of modernity. The academic atmosphere of modernity was characterized by scientific rationality and a specialized research program as a form of rationality. Faced with a question whether it had any place at all in the modern research university, modern theology adopted the methods of modern scholarship and following a specific literary genre emerged in the modern university, that is, encyclopedias, it too produced field-oriented encyclopaedias. Yet, in the scheme of this encyclopedic organization of theology, practical theology was identified as an applied theology to serve for the church leadership. Since the 1980's, practical theologian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have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ed notion of practical theology and its tasks. Katheleen A. Cahalan categorizes the recent approaches in practical theology into three groups, that is, the late modern, the countermodern, and the radical postmodern,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to the crisis of modernity.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approach, all of these types of practical theology in recent discussion, commonly concern on cultural and intellectual feature of postmodern context. This article historically reviews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the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and searches for a new direction of practical theology in postmodern context. In postmodern society, practical theologians and the congregational leaders can invite individuals to have a conversation with Christian traditions and lead them to interpret everyday experiences in light of such dialogue and to construct existential meanings of life events. In postmodern context in which neither a hierarchical view of pastoral authority nor a modern perspective of religion as "meta-narrative" is accepted, the congregational leaders can help people formulate and reformulate their interpretation of self, work, family and ethical obligation in society based on Christian values and on dimension of life's ultimate meaning. In highly pluralized and uncertain postmodern world, where individuals are free yet anxious in choosing their own value and life path, an important task of practical theology is to provide interpretive guide to lead people to construct a meaningful "life project." Also in order to grasp multi-dimensional complexity of life and offer specific and practical suggestions in particular context, practical theology need to engage in cross-disciplinary dialogue. Particularly, I introduced transversal model of cross-disciplinary dialogue based on postfoundational rationality.

      • C4P모델을 활용한 공공조직 및 기업 실천공동체(CoP) 국내 연구동향 분석: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김주연,김영주,임규연,은주희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기업 및 공공조직에서 운영, 지원하고 있는 실천공동체 연구흐름과 테크놀로지 기반 실천공동체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천공동체는 기업과 공공조직에서 지식 공유에 의한 생산적 조직문화 구축뿐만 아니라 지식 창출에 의한 조직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공조직도 실천공동체를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최근 4차 산업혁명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현 시점에 이에 대한 조직차원의 준비와 새로운 전략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 관련 연구흐름으로 연도와 연구방법, 학문분야에 따른 국내 기업 및 공공조직 실천공동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테크놀로지에 기반한 실천공동체 모텔인 C4P를 활용하여 기업 및 공공조직 실천공동체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천공동체 연구는 2000년 한 편의 기업맥락 연구를 시작으로 2013년까지 꾸준히 진행되었으나, 최근에서는 기업, 공공조직 모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실천공동체 구성요소를 살펴본 결과 기업과 공공조직에서 드러난 구성요소는 내용(content)과 목적(purpose) 중심에서 점차 소통(conversation), 연결(connection), 맥락(context)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실천공동 체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기업과 공공조직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업무 환경 및 기술 발전에 부합하는 체계적이고 유연한 실천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과정분석

        박범규 ( Bum Gyu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사회복지실천의 실천모형은 임상사회사업, 통합사회사업, PIE이론 실천기법, 사례관리 기법으로 분류되었으며 대부분 사회복지 기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되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연구과정에서 공통적인 특성은 실천모형에 따라 사회복지 실천과정이 각각의 특색을 갖고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에 개입되고 적용되고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단지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기술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사회복지사는 변화매개인으로 예술성과 과학성을 근거하여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며 개인의 직업적 소명인 동시에 윤리와 가치를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어떻게 응용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실천과정에서 적용되는 원리로서는 클라이언트의 복지권이 보장되어야 하며 서비스 이용자의 존엄성과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기법이 모든 사회복지 실천과정에서 핵심적 과제로 평가받고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의 핵심은 이용자의 사회적 기능(Social functioning)을 회복시키고 예방하며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 사회복지 실천은 개인 중심에서 가족과 집단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지 실천이 각광을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clinical social work. Classified as a unified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techniques .PIE. Case management has been confirmed that this technique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mos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 common characteristic in the research process is that social work courses have individual traits apply intervention to resolve the issue of the client and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model could be analyzed. Only expertise is a social worker, under any circumstances, the social worker is to apply the techniques on the basis of the artistic and scientific change as every individual professional skills of social workers and how the individual`s professional ethics and values at the same time calling on the problem-solving process was confirmed that this is meant to application. The principles to be applied in practice, and bokjigwon process as the client has to be ensured, practical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user of dignity and social justice has been demonstrated that considered as a key challenge in all social work courses. And the core of social work practice is to restore the social function (Social functioning) prevention education of users and can be interpreted as a goal of the social work that remains optimal. Korea social work center is moving from individual to family and community center were analyzed as a social work in the community center to receive the limelight.

      • KCI등재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 비교 분석: 식습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형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 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습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2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접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함께 서울 지역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건강기능식품) 건강신념 수준(식이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이익,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습관(식품선택 습관)은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습관(식 행동)은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습관(식품선택습관, 식 행동)은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대 여성들을 위한 건강 행동 실천력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etary life guidelines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of health belief levels for health behavior practices of 20s’ wome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ating habits. After we ha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wo 20s’ women in Seoul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5th to October 15th, 2021 20s’ women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belief level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t salty, low calori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health functional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Second,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enefit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traditional Koran foo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ird,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 salty, low calorie)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Also, Eating habits(eating behavior)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Forth, Eating habits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gave basic data to improve health behavior practices for 20s’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