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학협력형태의 디자인 접근에 의한 실내조경 상품화 프로세스

        김수연 한국꽃예술학회 2009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건설업체와 협동으로 실내조경을 간편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실내조경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조사 분석하고 기업체의 요구사항과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현장적용이 가능한 실내조경 요소와 디자인 유형을 개발하고, 이를 계속적으로 설계 및 시공에 적용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삼았다. 즉, 기업체 요구에 따라 실내조경 상품 아이템을 선정하고 사무 공간과 주거 공간에 도입할 수 있는 적용 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실내조경 아이템을 웹상에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체 디자인의 기준을 정할 때 산업체의 요구사항을 체크리스트 방식으로 조사하고, 이 요구에 따른 디자인 안을 최종 결과물로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의 인터뷰 조사를 통하여 가장 중요한 디자인 기준으로 범용성을 도출하고 범용적으로 다양하게 디자인 적용이 가능한 타입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연구는 디자인을 클라이언트와 협의하며 설득하여 맞춤형으로 진행하는 과정이므로 기존의 작품성 위주의 연구 방식과는 달리 클라이언트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해결하는 방식으로 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을 연구의 포커스로 하므로 연구의 시각을 전환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내조경 전공생들에게 산학 협력 방식의 디자인 접근 방식을 제시해주고, 업체와 디자이너의 협의에 의한 합리적이고 실용성 있는 실내조경 상품을 고안해 내는 현실적 연구가 활성화되어 실내조경 영역의 확대와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The research which sees with the constructive enterprise with cooperation the interior landscape simply, will be able to introduce, investigation analyzed the pre-ference of the consumer about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 After analyzing the re-quirement and the consumer of enterprise synthetically, the interior landscape element where the site application is possible and a design type and developed prepares the guide line which will apply in this continuously plan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enterprise demand will select the interior landscape goods item and the application will introduce in business space and house space. The interior landscape item which is developed with this character about low of the data base constructed the system where the application is possible in web as a matter of. When setting the standard of whole design from this process, investigated the requirement of the industrial enterprise in checking list method and inside the design which follows in this demand. Also interview investigation of the specialists leads and a peculation characteristic in the design standard which is most important and developed the type where the design application is possible. Because of design approach method in industry and academy the interior landscape goods which is practicality. The discussion of the enterprise and the designer of the interior landscape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industrialization in order, put the questionable matter of the research.

      • KCI우수등재

        지하철역 공간의 실내조경계획을 위한 선호도 조사

        김원지,이태경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ubway station users’ preferences regarding interior landscaping plans in subway stations. A surveywas conducted online for about a week from November 11, 2022 to November 18, 2022 on 124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residing in Busan with experience using subways. The 124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analysis, χ2 -test, and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program SPSS Statistics 27.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satisfaction level of subway station users was average.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 of the subway station space needs improvement dueto the subway station image being recognized as clean, modern yet complex, confused, hard, and uniform. There was a high demand forenvironmental, psychological, decorative, and healing effec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nterior landscaping. In this regard, it was identifiedthat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nagement status and planning, and overall landscape design should be centrally consideredwhen planning interior landscap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ferred plant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spatial composition of asubway station space, green wall or pillar style and garden style were preferred at the entrance, garden style and tree planting style for theconcourse or hall, green wall or pillar style was preferred at the passageway, and green wall or pillar style, container or pot style for thefare gate and platform. For plants, plants with wide leaves and various leaf shapes were mainly planted. In the case of the greenness indexrange, it was calculated by including containers or pot. The preferred plant introduction form was mixed plants consisting of natural andartificial, and the preferred landscaping constituent method was mixed of plants and orna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expand themethod and scope of subway station interior landscaping by using it as basic data for a healthy and pleasant subway station interiorlandscaping plan that users can be satisfied with. 본 연구는 지하철역의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조경계획을 위하여 지하철역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하철역 실내조경계획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지하철역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 남녀 124명이다. 설문조사는 2022년 11월 11일부터 11월 18일까지, 약 1주일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124부의 설문지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 SPSS Statistics 27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χ2-test,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역 이용자들의 지하철역 공간 만족도는 보통이었다. 그리고 평소 지하철역 이미지에 대하여 깨끗하고, 현대적이지만 복잡하고 혼란스러우며 딱딱하고 획일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하철역 공간의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하철역 이용자들은 실내조경 도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로 환경적, 심리적, 장식적, 치유적 효과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실내조경계획 시 주변환경과의 조화와 관리상태 및 계획, 전체적인 조경디자인에 대하여 중심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지하철역 출입구의 경우 벽면/기둥형과 정원형, 광장의 경우 정원형과 교목형, 대합실 복도와 연결통로, 환승통로의 경우 벽면/기둥형, 개찰구와 승강장의 경우 벽면/기둥형과 화분형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물 종류의 경우 식물은 잎이 넓고, 잎 모양이 다양한 관엽식물을 우선 식재한다. 녹시율의 경우 화분과 화단까지 모두 포함하여 산출한다. 다섯째, 식물 도입형태의 경우 자연식물과 인공식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식물뿐만 아니라 첨경물을 함께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건강하고 쾌적한 지하철역 실내조경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지하철역 실내조경의 방법과 범위를 확장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실내식물 기르기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식물 기르기 인식 차이

        김예하,홍종원,김종윤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1

        A survey comprising 387 Korean citizen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plant growing based on whether they did or did not grow plants indoors. The respondents who grew indoor plants had a better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plants than those who did not grow indoor plants (p < 0.001). The reasons indicated for growing indoor plants were as follows: 1) “I just like plants” (highest response), 2) plants provid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nd 3) plants create a cozy and pleasant atmosphere while not disrupting daily life. Those who did not grow indoor plants cited the lack of plant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primary reason; however, rarely indicated that they disliked touching soil or plants or had plant allergies. All the respondents agreed that indoor plants provid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nd decorative effects. Those who grew indoor plants intended to continue the practice; those who did not currently grow plants indoors showed little motivation to begin the activity. Proper education on easy indoor plant growing might be needed to promote this practice. By developing companion plant-related products that receive high public attention as a new trend and by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on horticulture, the perception of indoor plant growing can be enhanced, and the domestic horticultural industry would be expected to expand. 본 연구는 현대인들의 실내식물 기르기에 따른 삶의 질에대한 관심도, 삶의 만족도 및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 행하였다. 실내식물을 기르는 응답자들이 실내식물을 기르지않는 응답자들에 비해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삶의 만족도, 일반적인 식물 및 실내식물 관심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수록 삶의 만족도, 식물 관심도, 실내식물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실내식물을 기르는 사람들의 실내식물을 기르는 이유로는 그냥 식물을 좋아한다는 원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해 기르는 기능적인 측면도 높 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식물을 기를 때 일상 생활에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실내 분위기를 아늑하고 좋게 만들어 주는 측면에서 실내식물 기르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응답자들의 기르지 않는 이유는식물에 대한 재배 지식 및 경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 타났으며, 흙이나 식물을 만지는 것을 싫어하거나 식물에 대 한 알레르기가 있어서 기르기를 꺼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나타났다. 실내식물 기르기에 상관 없이 실내식물의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에 대하여는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실내식물을 기르고 있는 사람들의 향후 실내식물 기르기 의향은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사람에 비해 높게 나타나, 실내식물을 길러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재배 지식의 부재로 인한 경험 부족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해 향후 손쉬운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교육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대의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받 고 있는 ‘반려식물’ 관련 상품 개발과 원예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국내 원예 산업의 확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업무공간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선호도 분석

        신현철,윤재성,최경옥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공간의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내정원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연구방법은 서울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 내 실내정원 10개소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2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실내정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2013년 5월 20일부터 2013년 10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336부는 SAS Ver. 6.12(SAS Institute Inc., 199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 유형은 감상형 3개소, 휴식형 4개소, 감상과 휴식을 겸한 복합형 3개소였으며 실내정원에 도입된 실내식물의 종류는 총 38과 66속 82종이었으며 자생식물은 14과 17속 18종이었다. 주요 도입 첨경물 및 시설물은 조명등, 분수, 바위, 물확, 석탑, 조각품 등의 순이었으며 휴식형의 실내정원에 의자와 탁자 등이 주 시설물로 도입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실내정원 이용현황은 주 1회 이용자가 가장 많았고 월요일, 점심식사후, 30분정도를 이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 아름다움 및 쾌적한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업무공간에 실내정원 도입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었다. 경관유형 선호도의 경우 동양식 풍경의 정원형으로 편안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휴식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실내정원의 위치 및 형태는 사무실 인접 휴식공간에 고정식으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훨씬 높았으며, 허브식물, 관엽식물, 야생화 순으로 선호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의 기능 및 효과의 경우 도입필요성에 대한 선호도와 비슷하여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회사의 이미지 전달, 자연에 대한 그리움 및 소중함, 일의 능률에 대한 기여도, 실내공기정화 순으로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 landscape formation state of indoor garden in the working space and the analysis of preference, and to propose the introduction plan of indoor garden to increase a user's satisfaction.The studying method was to research 10 indoor gardens in the office building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for the indoor garden state was from December 10, 2012 to October 30, 2013,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from May 20, 2013 to October 28, 2013.A statistical analysis for 336 answered questionnaire was done by a program of SAS Ver. 6.12(SAS Institute Inc.,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ypes of prepared indoor garden in the office building are 3 places of appreciation-type, 4 places of relaxation-type, and 3 places of complex-type combined the appreciation and the relaxation. The types of house plant introduced in indoor garden are total 38 families, 66 genera, and 82 species, and the wild plants are 14 families, 17 genera, and 18 species. The main garden ornament and facility are lighting, fountain, rock, mul-hwak(a stone puddle as waterscape facilities), stone tower, and sculptured tower in order, and the chair and table are introduced in the relaxation-type indoor garden as the main facility.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most frequent using for the indoor garden is once a week, and Monday is most frequent for 30 minutes after lunch. In case of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indoor garden in the working space, it is needed highly for preparation of visual beauty and pleasant environment, and pastime and stress reduction. In case of the preference for landscape, the demand for relaxation-type impressing the comfortable image is high as the garden-type of the oriental scenery. In case of the place and form of the indoor garden, the fixed-type' in the rest area near the office is preferred., In case of the preference for plant, the preference for the wild plant is high rather than the exotic plant, and herbaceous plant, foliage plant, and wild flower are preferred in order. In case of the function and effectiveness of prepared indoor garden in the office building, it is similar to the preference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The effectiveness is preparation of the pleasant and beautiful environment, pastime and stress reduction, transmission of company's image, longing and preciousness for the nature, level of contribution for the efficiency of work, and indoor air pollutants removal in order.

      • KCI등재

        Life Satisfaction and the Perception of Plants Are Increased by Growing Indoor Plants

        Yeha Kim,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현대인들의 실내식물 기르기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삶의 만족도 및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실내식물을 기르는 응답자들이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응답자들에 비해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삶의 만족도, 일반적인 식물 및 실내식물 관심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수록 삶의 만족도, 식물 관심도, 실내식물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실내식물을 기르는 사람들의 실내식물을 기르는 이유로는 그냥 식물을 좋아한다는 원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해 기르는 기능적인 측면도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식물을 기를 때 일상 생활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실내 분위기를 아늑하고 좋게 만들어 주는 측면에서 실내식물 기르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응답자들의 기르지 않는 이유는 식물에 대한 재배 지식 및 경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흙이나 식물을 만지는 것을 싫어하거나 식물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어서 기르기를 꺼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식물 기르기에 상관 없이 실내식물의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에 대하여는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실내식물을 기르고 있는 사람들의 향후 실내식물 기르기 의향은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사람에 비해 높게 나타나, 실내식물을 길러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재배 지식의 부재로 인한 경험 부족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해 향후 손쉬운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교육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대의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반려식물’ 관련 상품 개발과 원예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국내 원예 산업의 확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 survey comprising 387 Korean citizen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plant growing based on whether they did or did not grow plants indoors. The respondents who grew indoor plants had a better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plants than those who did not grow indoor plants (p < 0. 001). The reasons indicated for growing indoor plants were as follows: 1) “I just like plants” (highest response), 2) plants provid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nd 3) plants create a cozy and pleasant atmosphere while not disrupting daily life. Those who d id not g row indoor p lants cited the lack of plant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primary reason; however, rarely indicated that they disliked touching soil or plants or had plant allergies. All the respondents agreed that indoor plants provid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nd decorative effects. Those who grew indoor plants intended to continue the practice; those who did not currently grow plants indoors showed little motivation to begin the activity. Proper education on easy indoor plant growing might be needed to promote this practice. By developing companion plant-related products that receive high public attention as a new trend and by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on horticulture, the perception of indoor plant growing can be enhanced, and the domestic horticultural industry would be expected to expand.

      • KCI등재

        자생 상록 굴거리나무의 실내조명 하에서 적정광도 분석 및 도입방안

        신현철,윤재길,최경옥,Shin, Hyeon-Cheol,Yun, Jae-Gill,Choi, Kyoung-Ok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종 굴거리나무에 대한 실내조명 하에서 광적응성을 조사해 보고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도입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수종인 굴거리나무는 제주도 농가에서 1년생을 구입한 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종합농장 유리온실에서 40일간 순화시킨 후 2010년 2월 15일에서 2010년 11월 15일까지 실험하였다. 첫째, 형광등의 경우, 100lux에서 500lux까지 식물이 고사하거나 잎이 지는 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좋지 못하였으며, 1,000lux부터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엽수나 수형, 체내 광합성률, 관상가치 등을 토대로 살펴볼 때, 형광등 1,000lux에서 가장 양호한 생장을 하여 최적광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LED등의 경우,100lux에서 1,000lux까지 고사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불량하였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원활한 생장을 보였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셋째, 삼파장의 경우,1,000lux까지 고사현상이 심하여 도입한 4개의 광원 중 생육상태가 가장 좋지 않아 전반적으로 삼파장은 굴거리나무 생육에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넷째, 광섬유의 경우 100lux하에서도 식물 전체가 고사하는 현상은 보이지 않아 생육이 가능하여 도입광원 중 생육 및 생장상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대체적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생장률이 높았으나,2,000lux보다 1,000lux하에서 엽수의 출엽률 및 수형이 흐트러지지 않아 관상가치가 더 좋았으며, 체내 광합성률도 높아 1,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적응성을 고려하여 굴거리나무를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광섬유, 형광등, LED등의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적합하며, 삼파장 등은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원별 최적광도는 광섬유와 형광등을 도입할 경우 1,000lux, LED등을 도입할 경우 2,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생종 굴거리나무는 외래종인 대엽홍콩을 대체할 수 있는 수종으로 실내조경식물로 도입이 가능하며, 중심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light-adaptability under indoor lighting for Korean wild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to provide an introduction plan for indoor spa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experimental plants, Daphniphyllum macropodum were purchased from a farmhouse in Jejudo as anannualplant, and it was acclimatized in the glass-green house of the general farm of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40 day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February 15, 2010 to November 15, 2010. First, in the case of the fluorescent lamp,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 was poor because the plants withered, or the leaves fell off under the 100lux to 500lux, but the condition under 1,000lux was good In the aspects of the number of leaves, form of the tree, photosynthesis rate in its body, and the value of sight, the best ligh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the 1,000lux. Second, in the case of the LED l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 was poor because the plants withered, or the leaves fell off under 100lux to 1,000lux, but the smooth growth and development was done under a more light intensity.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2,000lux. Third, in the case of the three-wave light, the withering was serious by 1,000lux,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worst amongst the four introduced lighting systems, therefore, growth under the three-wave light was incongruous.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2,000lux. Fourth, in the case of the optical fiver, the withering did not existed under 100lux and growth was possible.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amongst in the four introduced lighting systems. Generally, in the more light intensity, more growth was observed, but the value of sight was higher under 1,000lux than under 2,000lux because the falling rate of leaves and the form of the tree was stable. The most effective light was under 1,000lux due to the high photosynthesis in its body. When Daphniphyllum macropodum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landscaping space considering the light, the optical fiber,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are suitable to introduce. The three-wave light is unfit. The most proper light intensity by the light source, in the case of the optical fiber, and fluorescent lamp, is 1,000lux, and, in the case of LED light, is 2,000lux. The wild Daphniphyllum macropodum is the species of tree to substitute the Schefflera actinophylla which is the introduced specie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 as the central tree in indoor spaces.

      • KCI등재

        실내용기 내 슬릿(Slit)처리가 내음성 조경식물의 생육과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주진희,한정화,Ju, Jin-Hee,Han, Jung-Hwa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3

        본 연구는 실내용기 내 자연환기처리인 슬릿(Slit)에 대한 내음성 조경식물의 생육반응과 뿌리발달을 살펴봄으로써 실내용기에 대한 다양한 신기술을 활성화키고, 용기 내 바람직한 식재환경을 조성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슬릿처리 실내용기에 따른 팔손이의 지상부 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용기높이가 250mm이상에서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 슬릿처리보다는 적정 토심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팔손이의 근장은 Control 2(250mm) > Slit 2(250mm) > Control 1(195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의 순으로 슬릿처리가 없었던 Control 2에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나타내었다. 근폭은 모든 처리에서 초기값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뿌리 발달이 횡적이기 보다는 종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엽맥문동의 초장은 슬릿처리가 없었던 대조구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슬릿처리에서는 확연한 생장을 보이지 않았다. 신초수는 슬릿처리 실내 용기들이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낸 반면, 생체중과 건조중은 대조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소엽맥문동의 근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Slit 2(25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3(360mm) > Slit 3(360mm) > Control 1(195mm) 순으로 나타났다. 자금우는 대체적으로 대조구보다는 슬릿처리 실내용기에서 초장이 높았고, 특히 Slit 2(250mm)에서 Slit 1(195mm)이나 Slit 3(360mm)보다 초장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장과 신초수를 제외하고 지상부와 뿌리발달은 슬릿처리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장은 Slit 2(250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1(195mm)의 순으로 슬릿처리 실내용기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반면, 근폭은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acilitate various new technologies related to indoor containers and develop a desirable planting environment after investigating the growth (including root growth) of shade-tolerant landscape plants under slit processing, a natural indoor ventilation syst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erms of the shoot growth of Fatsia japonica in a slit container, no distinctive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growth was good when the container 250mm tall or taller.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optical soil depth is more important than slit processing in shoot growth of Fatsia japonica. In Fatsia japonica root length was observed as follows: Control 2(250mm) > Slit 2(250mm) > Control 1(195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 The largest growth was observed in Control 2(250mm), which had no slit processing. In term of root width, this was lower than the initial value in all groups, which means that the root grew vertically, not horizontally. In terms of plant height of Ophiopogon japonicus, a gradual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at had no slit processing. No significant growth was detected in the slit system, however. In terms of shoot number, slit container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fresh and dry weights, on the contrary, slit containers were mos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Ophiopogon japonicus, root length was observed as follows: Slit 2(25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3(360mm) > Slit 3(360mm) > Control 1(195mm). In Ardisia japonica, slit containers were mostly greater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plant height. The greatest plant height was observed at Slit 2(250mm) instead of Slit 1(195mm) and Slit 3(360mm). Except for plant height and shoot number, however, no significant shoot and root growth was observed. Root length was observed as follows: Slit 2(250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1(195mm). Therefore, root length in slit containers was mostly great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width of root, however, declined in general.

      • 실내조경시 자생식물의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이종석,오혜원 한국화훼연구회 2002 화훼연구 Vol.10 No.2

        실내조경시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이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호텔과 백화점, 고급식당, 오피스빌딩, 공항건물, 골프클럽하우스, 대학의 건물, 고속도로의 화장실, 종합병원 등 총 82개소에 식재된 자생식물의 종류와 이용빈도, 식재유형 등을 2001년과 2002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된 자생식물의 종류는 상록교목류로서 동백나무, 후피향나무, 굴거리, 호랑가시나무, 후박나무, 측백나무, 향나무, 까마귀쪽나무 등과 상록관목류로서는 팔손이, 백량금, 산호수, 자금우, 식나무, 돈나무 등이었다. 초본류는 문주란, 털머위, 맥문동, 소엽맥문동, 맥문아재비, 석창포, 꿩의 비름, 양치류는 봉의꼬리와 도깨비고비, 만경류는 마삭줄과 송악, 그리고 내나무류로는 조릿대 등 모두 19과 27종이었으며 거의 모두가 상록성 식물이었다. 자생식물의 이용빈도는 자금우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백량금이었고 산호수와 동백나무, 팔손이, 소엽맥문동, 맥문아재비 등이었다. 실내조경공간별로는 오피스빌딩과 공항건물에서 자생식물의 이용도가 높았고 호텔과 백화점에서는 낮았다. 실내조경의 유형은 공항과 오피스빌딩에서는 정원형으로서 적극적으로 도입된 형태이었고 백화점, 병원, 글프클럽하우스, 식당 등은 화분과 걸이형으로서 소극적으로 도입된 형태이었다. The present situation of native plants using for interior landscape in Korea were discussed with special reference to plant species, frequency rate and utilization type. The results were surveyed from 2001 to 2002 at 82 interior landscaping sites divided to 9 landscaping patterns, which are big and higher level of hotel, department store, restaurant, office building, airport building, golf club house, university building, herbaceous perennials, ferns and bamboo, were used for interior landscape plant materials. Evergreen trees were Camellia japonica, Ternstroemia, Daphniphyllum macropodum, Ilex cornuta, Machilus thunbergii, Thuja orientalis, Juniperus chinenesis and Litsea japonica. Evergreen shrubs were Fatsia japonica, Ardisia crenata, Ardisia japonica, Ardisia pusilla, Aucuba japonica, and Pittosporum tobira. Evergreen climbers were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and Hedera rhombea. Evergreen perennials were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Farfuguim japonicum, Liriope platyphlla, Ophiopogon jaburan, Ophiopogon japonicus and Acorus gramineus. Ferns were Pteris multifida and Cryptomium fortienei. And bamboo was Sasa borealis. Ardisia japonica, A crenata, and A. pusilla were the most high rate using plant and O. japonicus were observed widely used plants for interior landscpe. In using trend of Korean native plants, high frequency rate was observed in office and airport building; however rare in hotel and department store. Interior landscapes were established positively in airport and office building as garden style, but decorated negatively in depqrtment store, hospital, golf club house and restaurant used as container or hanging plant in general.

      •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유형에 따른 실내조경 특성에 관한 연구

        최은미(Choi, Eun-Mi),최상헌(Choi, Sang-Hu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Interior landscaping is the decorative level still now even though it is much more preferred because it functions the mental stability and perceptual easefulness of users of hospitals properly and cannot lead managers and users’ satisfaction. So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s which are introduced to interior according to the lobby types of five general hospitals by case focusing on the one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many people gather. First, as for space type because the target pla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spitals, most of them include the hall type and the complex type in plan composition and multi-layer and the compromise type in the composition of section. Also most of targe places very much received light through windows. But on the other hand, use of the plants and water were built in small space. And they are mostly connected to exterior landscaping or they were partially planted or done in pots. As for stones and soil, most of them tend to put stones (marble) on the floors except one place. According to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is study, it could be found that the small quantity was introduced compared to the effect of the natural element even though the interior space is large and the quantity of the natural element is comparatively small even though it is prepared. In the future, facilities which actively introduced the natural elements to the interior should be investigated and the in-depth studies on the more realistic interior landscaping which can draw according to them and can introduce should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