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의 대응 전략

        임형백(Lim, Hyung Baek) 한국지역개발학회 202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2 No.4

        이 논문은 우선 팬더믹의 개념을 고찰하고, 팬더믹의 원인으로 미생물, 인구증가와 환경파괴,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와 같은 전염병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오히려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에 초점을 맞추어,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2019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은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가 원인임을 고찰하였다. 즉 이 3가지 전염병이 모두 코로나바이러스라는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것임을 고찰하였다. 또 COVID-19의 원인인 SARS-CoV-2(2019-nCoV)가 계통분류학적으로 MERS-CoV 보다는 SARS-CoV에 가까움을 고찰하였다. 한국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대응을 고찰하였고, 이전의 MERS 사태에서 이루어진 변화와 경험이 어떻게,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대응전략을 의료적 차원, 법적·제도적 차원, 인력교류 차원, 윤리적 차원, 정치적 차원, 공간적 차원의 6가지 차원에서 모색하였다. Even in modern times, infectious diseases have constantly threatened humanity. The Spanish flu broke out from 1918 to 1919. The Spanish flu disappeared after infecting a third of the world s population at the time. Smallpox brought by Europeans killed 90% of Native Americans. The most common microorganisms that cause disease are fungal, bacteria and viruses. The problem is that various causes such as domestication of animals, destruction of animal habitats due to population increas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cities, increase in population movement, and climate warming increase the frequency and extent of infec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other words, population growth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re the causes of infectious diseases. Domestication of animals has brought a zoonosis. As animals became domesticated, human contact increased, and germs adapted to humans appeared. More than 75% of recent human infectious diseases are infectious diseases, and about 250 species are known to date. Cities cluster humans, the host of viruses. As a result, the city acts as an incubator for infectious diseases. On the other hand, the causes of these infectious diseases cannot be easily blocked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human survival, lifestyle, and economic and social systems. As humanity increases, human mobility increases, and the area of residence and activity of humanity increases, it is the root cause of contact with new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new epidemics will continue to occur, and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more often. This paper considered response direction to COVID-19 the in six dimensions, in other words, medical dimension, leg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 manpower exchange dimension, ethical dimension, political dimension, and spatial dimension.

      • KCI등재후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유행의 대응과 치료

        이승화,김종명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the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the first outbreak in China, are currently pandemic in the world, including in Korea.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aused by SARS-CoV-2 has not been proven and there has been no proper target medicine and vaccine, so it is virtually unprotected and is a serious health problem. A mitigation strategy that lowers and slows the peak of the epidemic is required to ensure efficient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and time to development of therapeutic medicines and preventive vaccine. For this,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medical practitioners are required, and national prevention and prevention of the spread of the community and preparation for inflow from abroad will be required. In addition, large-scale studies on drugs including hydroxychloroquine, remdesivir, etc., which are known to be effective as therapeutic agents for COVID-19, are required to develop a vaccine for prevention. The authors hope that this review will assist primary care physicians currently engaged in patient care. 중국에서 첫 발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로 인한 감염증은 현재 국내를 포함하여 전세계에 창궐하고 있는 등 세계적 대유행(pandemic) 상황이다. SARS-CoV-2에 의해서 발생하는 COVID-19은 아직까지 입증된 치료제가 없고,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사실상 무방비 상태로 보건학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분배와 치료제 및 예방백신의 개발까지의 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유행의 정점을 낮추고 늦추는 완화전략(mitigation strategy)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정부와 의료진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며, 국가적인 방역과 함께 지역사회의 확산 방지와 해외로부터의 유입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겠다. 더불어 현재까지 COVID-19의 치료제로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hydroxychloroquine, remdesivir 등을 비롯한 약제들에 대한 대규모 연구와 더불어 예방백신의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본 종설이 현재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환자진료에 열중하고 있는 개원가 원장님들을 비롯한 일차진료의사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최신지견과 임상적용

        안상현,이승화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4

        The global epidemic of 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which began at the end of 2019, is currently in progress, and the largest number ofconfirmed cases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renewed day after day as of July 2021 due to COVID-19 virus variants. Vaccines have effectivelysuppressed many infectious diseases in human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vaccines are also essential for prevention andreduction of severity and death in COVID-19. This paper provides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e four types of COVID-19vaccine currently used in Korea.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the COVID-19 vaccine in various targetgroups and situations encountered in the clinic. 2019년 말부터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의 세계적 유행은 현재 진행형이며, 변이형바이러스에 의해 2021년 7월 현재 국내에서 연일 최다 확진자가 갱신되고 있다. 백신은 인류 역사에서 많은 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했고, COVID-19 역시 예방과 중증ㆍ사망 감소를 위해 백신의 도입과 보급이 필수적이다. 본고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있는 코로나19 백신 4종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관한 과학적인 정보를제공하고, 진료현장에서 접하는 다양한 대상군에서의 코로나19 백신 사용에 대한 고려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최아린(Arin Choi),이매화(Li Mei-hua),한경아(Han Kyeong-a)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mprising a total of eight 90-minute sessions, was developed based on a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del, along with surveys and experts consultations,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testing the program with an experimental group(N=5) and a control group(N=5), which together included 10 Chines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from April 28th to June 16th, 2020. The states of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 Wilcoxon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stat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in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in their resilience(p=.009), in which self-control abilities(p=.009), interpersonal skills(p=.008) and positivity(p=.008), were included. Notably these result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요구 조사와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총 8회기, 회기당 90분으로 구성되었다.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2020년 4월 28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인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N=5)과 통제집단(N=5)을 운영하여 검증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처치 사전-사후 시점에 따른 비교를 통해 양적 분석하였으며, 활동 보고서 및 개인별 면담자료를 통해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비모수 통계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의 차이를 그룹 간에 비교한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p=.009), 하위 자기조절능력(p=.009), 대인관계능력(p=.008), 긍정성(p=.008)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제시했으며, 향후 비대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돌봄의 교수법”을 찾아서: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발과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의 도전

        김유곤(Yug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필자가 2020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운영한 학부 온라인 영문학 수업의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에 국내 온라인 교육이 어떠한 어려움과 과제를 지녔는지 함께 점검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부 신입생의 전공기초 교과목인 <영미시 입문>과 학부 고학년 학생들의 전공심화 교과목이자 국제어(영어)로 수업을 진행한 <영미 생태문학 읽기>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 글의 목적은 단순히 팬데믹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온라인 강의의 설계과정에서 학습자를 배려하는 민주적 소통이나 동료를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과 같은 교육의 보편적 가치와 원칙을 실천하는 일이 훨씬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한계를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화이트보드’, 교수와 학습자의 실시간 질의응답 활동을 돕는 ‘슬라이도’, 그리고 협업을 통해 완성하는 온라인 마인드맵 프로그램인 ‘마인드마이스터’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극복해보려는 일련의 고민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필자가 수업사례를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상호작용’과 ‘협력학습’이라는 대학 교수법의 보편적 원칙이며, 본문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팬데믹 시대의 온라인 교육이라는 문맥 속에서 각각 ‘멀리서 소통하기’와 ‘자기주도적 협력학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이 현재 응급의 단계를 넘어 팬데믹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특성과 수요에 맞춘 유연한 수업 진행방식과 함께 디지털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돌봄의 교수법”을 수업 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한다. Due to the threat of COVID-19,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begun to offer online classes to help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Onlin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pandemic can be best described what Charles Hodges calls “Emergency Remote Teaching” (ERT), a term that suggests the paradigm shift of instructional delivery during a crisis.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that shows the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line in South Korea. The move to ERT requires that instructors take more control of the cours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varying levels of digital fluency, especially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for distant learning. By sharing my experience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course with emerging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Zoom Whiteboard, Slido, and Mindmeister,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nline teaching pedagogi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 interac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manage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Ultimately, I suggest a “pedagogy of care” for online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at instructors should be more attentive to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challenges in this uncertain time.

      • KCI등재

        변화의 시대를 맞이한 한국 고등교육의 주요 과제 및 대안

        김경근(Kim, Kyung-k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학령인구의 감소, 교육격차의 심화, 4차 산업혁명의 전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이라는 엄중한 도전에 직면한 한국 고등교육에 지워진 과제를 점검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그간 한국 사회에서 고등교육이 선발과 변별에 경도된 배경과 과정 및 그 유산을 살펴보고,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고등교육이 선발과 변별에서 탈피하여 새롭게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한 고등교육 단계의 교육격차 실태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부와 사회적 지위 대물림의 해소방안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의 전개가 갖는 의미와 그것이 한국 고등교육에 던져준 과제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최근 지구촌을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한국 고등교육에 남긴 과제와 그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 고등교육이 입학생의 다양성 담보에 더욱 힘쓰고 평생교육의 대상과 지평을 확대하며 온라인 교육의 보편화가 가져올 고등교육의 시장화에 적절히 대비할 것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I examine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 higher education, such as decline in school-aged population, widening education gaps, the transi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pread of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COVID-19), and provide an overview of possible solutions. First, I explore the background, processes, and legacie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at have hitherto been devoted to selection and discrimination, and discuss ways to set off on a new path in response to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Next, I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gaps between classes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which have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based on this, suggest ways to alleviate the inheritance of wealth and social status through education. In addition, I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transi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asks that it has given to higher education in Korea. I delve into th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of the spread of the new coronavirus infection (COVID-19), which has recently hit the global village, as well. Based on the discussion, I suggest that Korean higher education should strive to ensure the diversity of enrolled students, expand the subject and scope of lifelong education, and appropriately prepare for the market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at the univers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will bring.

      • KCI우수등재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영향요인: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유나,박주영 기본간호학회 2022 기본간호학회지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lexity,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crafting in hospitals dedicated to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thods: The study surveyed 202 nurseswith at least 3 months of work experience who encountered COVID-19 patients at a dedicated COVID-19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25.0,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theSPSS PROCESS macro, using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job crafting fully mediated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lexity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Furthermore, this study showed that job craft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n preventionenvironment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Conclusion: It was confirmedthat job crafting of nurses in a hospital dedicated to COVID-19 wa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in their nursing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this finding is expected to support efforts to furtherimprove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COVID-19 대응 법제 비교 ― 국내 확산 방지 및 의료체계 대응을 중심으로 ―

        황지혜 ( Hwang Jihye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2

        COVID-19에 의한 팬더믹은 2021년 5월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COVID-19에 의한 인명피해는 세계적으로 1억 6천만명의 확진자와 330만명의 사망자에 달한다. 이 COVID-19 팬더믹은 국민의 생명 등을 보호할 국가의 의무가 강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의무는 감염병 대응 법제를 통해 실현된다.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은 감염원의 국내 확산만 방지해서는 그 효과를 보기 어렵고, 의료체계의 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감염병 대응 법제도 국내 확산 방지와 의료체계 대응의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중 의료체계 대응은 구체적으로 병상 확보와 백신 접종을 의미한다. 한국에서 COVID-19 대응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국내 확산 방지와 의료체계 대응에 관한 COVID-19 대응 법제가 COVID-19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 법제만 고찰하기보다 외국 법제와의 비교를 통해서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을 비교법 대상 국가로 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일본의 COVID-19 대응 법제가 한국 법제와 매우 유사한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2020년 이후 일본에서는 긴급사태선언 등 법제 신설 및 관련 법률 개정들이 상당 부분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하여 한국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아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COVID-19 대응 법제를, 국내 확산 방지와 의료체계 대응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법제 비교를 바탕으로 한국 법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법제를 비교함으로써, 제4차 유행이 예상되는 때에 보다 적절하게 COVID-19에 대응하는 법제로 기능하는 것이 기대된다. COVID-19 pandemic is on going as of May 2021. COVID-19 victims amount to 160 million confirmed cases and 3.3 million deaths worldwide. COVID-19 pandemic ha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mphasize “the state's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lives of its people. This responsibility is fulfilled through legislation in a wide sense against infectious diseases countermeasur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can be effective not only by prevention of domestic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but by countermeasure of public healthcare system matters. In this respect, the legisla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s needs to be considered in two ways: prevention of domestic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and countermeasure of public healthcare system. Countermeasure of public healthcare system means securing a large number of beds in hospitals and enough vaccination of people. The COVID-19 countermeasure in Korea is based upon the Infectious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Act of 2021. In order to ensure that COVID-19 countermeasure(including prevention of domestic spread and function of public healthcare system) can perform appropriately, it is necessary to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with foreign legal institutions rather than just considering Korean legal institutions. This paper chooses Japan as a country for comparative study. There are two reasons: First, legal institutions of COVID-19 countermeasure in Japan are very similar to those in Korea. Second, Although in Japan “the State of Emergency Declaration” and related law revisions have been made, Korean comparative legal scholars have not noticed the recent trend of Japanese countermeasure to COVID-19.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legal institutions of COVID-19 countermeasure in Korea and those in Japan, focusing on preventing the spread in Korea and counter measure of the medical system. It also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n legal institutions from the comparison with Japanese legal institutions. By comparing the legal institutions of COVID-19 countermeasure in Korea and those in Japan, it can be expected to get better viewpoint for comparative legal institutions of COVID-19 countermeasure before the fourth epidemic is coming.

      • KCI등재

        코로나19 전담격리병동 신규간호사의 근무경험

        류지원,김수미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professional nurses for new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expected to become more serious in the future. From August to September 2022, eight new nurses with less than 12 months clinical experience working in the COVID-19 isolation ward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were conducte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Colaizzi (1978). The research content of this study was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Special nursing starting with COVID-19’, ‘Burnout and conflicts due to overburdening’, ‘Difficulties due to lack of clinical experienc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COVID-19 Patient-Specific ward’ and ‘A Wish for better nursing’. Ultimately, this study hopes that it will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provide professional and high-quality nursing to patients receiving nursing services as well as national and hospital policies for new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