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재효의 풍류인으로서의 면모와 판소리 활동

        최동현 판소리학회 2013 판소리연구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Sin Jae-hyo's pungryu and pansori activities. People say that Sin Jae-hyo is a man of pungryu. But the meaning of pungryu has many different connotations. We can define the meaning of pungryu as to enjoy aesthetically. In this aspect, Sin Jae-hyo is really a man of pungryu. Especially meeting in Buyongheon to write poems shows the highest level of Sin Jae-hyo's pungryu. In his pansori literature, Sin Jae-hyo used the pungryu as the meaning of the man of pungryu and the music. This indicates the fact that Sin Jae-hyo considered the music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pungryu. In reality we can't call Sin Jae-hyo the man of pungryu without pansori. Sin Jae-hyo found the pansori as a means of expression of his own discontent. But he did not express his discontent explicitly. Instead, he decided to hide himself in the anonymity of pansori. This is his limit. The Sin Jae-hyo's pungryu exercises best in meot(멋). The meot of Sin Jae-hyo is expressed in his pansori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parts of humor, to put it concretely, joke or satire and absurdity. The humor of Sin Jae-hyo's pansori literature synchronizes with rationality. This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pansori. But it appears more than common especially in Sin Jae-hyo's pansori literature. 이 논문에서는 신재효의 풍류인으로서의 면모와 판소리 활동에 대하여 밝혀보려고 하였다. 신재효를 ‘풍류인’이라고 하는 데는 이견이 없으나, ‘풍류’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 쓰임새가 매우 다양해서 종잡을 수 없을 정도이다. 동양 3국의 공통된 풍류개념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그것은 ‘예술적으로(혹은 미적으로) 노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풍류를 이렇게 규정하고 보면, 신재효의 삶에서는 풍류인으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다. 집안을 운치 있게 꾸민 것이라든가, 판소리 창자들을 모아 가르치고 즐긴 것, 또 진채선에 대한 애틋한 연정 등도 다 신재효를 풍류인으로 규정짓게 하는 요소들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특기할 만한 것은 부용헌에서의 시 모임이다. 신재효가 부용헌을 짓고 판소리 소리꾼들을 가르치기 시작한 시점과 시 모임을 갖기 시작한 시점은 비슷하다. 따라서 부용헌에서 자연스럽게 판소리 감상도 이루어졌을 것으로 본다면 부용헌은 신재효판 풍류방이라고 할 수 있다. 부용헌에서의 시작과 판소리는 신재효 풍류의 한 정점을 보여준다. 신재효가 풍류를 어떻게 생각했을지 알아보기 위해서 신재효 판소리 사설 속의 ‘풍류’의 쓰임새를 조사한 결과 풍류인, 풍류객과 같이 사람을 대상으로 사용한 경우와 음악이라는 의미로 쓴 경우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신재효가 어떤 사람을 풍류인이라고 할 때는 음악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 신재효의 삶과 활동을 보면, 판소리라는 음악을 제외하고도 신재효를 풍류인이라고 할 수 있을지 심히 의심스럽다. 이념적 측면에서 볼 때 풍류는 사물․현상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이나, 사물․현상의 극(極)까지 추구해 들어가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신재효는 다양한 판소리 활동을 통해 판소리의 본질에 다가가려고 했다. 그러나 신재효가 판소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능동적인 탐색의 결과는 아니었다. 자신의 불만의 표현 수단으로 판소리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기는 했지만, 자신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려고는 하지 않았다. 판소리라는 익명성 속에 숨어서 소극적으로 의사 표시를 했다. 결국 신재효의 풍류는 판소리를 통해서만 발현되는데, 이 또한 매우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부분에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신재효를 평가하는 말 중에서 풍류인과 가장 근사한 것은 아무래도 민요에 있는 “한량 멋 알기는 고창의 신오위장이 날개라”라는 표현일 것이다. 신재효의 멋은 그가 정리한 판소리 사설에 잘 나타난다. 신재효 사설의 ‘멋’은 골계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드러나는데, 구체적으로는 해학, 풍자, 터무니없음 등으로 나타난다. 신재효 사설의 골계는 합리성과 표리를 이루며, 때로는 각각 독립적인 부분에서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복합되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그 결과 일관성을 심각하게 저해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러한 양상이 신재효 사설만의 특징이 아니라, 판소리 일반의 특징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특징으로 신재효 사설을 특징지을 수 있는 것은 다른 곳에서보다 신재효 사설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데 있다.

      • KCI등재

        19세기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와 그의 가족, 그리고 생애 주기

        이훈상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39 No.-

        This study explores local clerk Shin Jaehyo’s family and his life cycle in Gochang county of Jeolla Province. Since the major studies on Shin Jae Hyo has been on his pansori text and its performance, not that many has been known about his personal family and life cycle. The lack of documents on his family has been an obstacle to explain his devotion to pansori and his various cultural experiments. Fortunately new old documents were recently found from his descendents, which helped finally to grasp and represent his family and life cycle.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focuses on Shin Je Hyo’s marriage lives, process of making his family, and his mourning for the deaths of his first daughter and his two wives who did not give birth to a son until he became quite old. I also noticed his feeling of insecurity as a local clerk specifically after peasant uprising of 1862 and also his efforts to overcome his anxiety. This can be confirmed in his self control and efforts to keep distance from any conspicuous rite, which seems to have been the mainspring of his pansori. 이 연구는 신재효의 가문에서 발굴한 고문서들을 토대로 신재효의 직계 가족과 생애 주기를 밝힌 것이다. 판소리의 발전과 관련하여 신재효를 대상으로 한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이 그의 텍스트와 연행에 관심을 쏟았으며 가족이나 생애 주기는 중요 관심이 아니었다. 그 결과 신재효의 중요성에 비추어 알려진 것은 많지 않으며 공백도 적지 않은데 이 공백은 주로 구전과 정확하지 않은 사실이 채우고 있다. 이것은 신재효의 판소리에 대한 헌신과 그의 다양한 문화적 실험을 설명하는 데 장애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신재효의 일상과 관련된 모든 사안을 풍부하면서도 엄밀하게 논의하는 것이 판소리 연행의 역사를 밝히는 기본일 것이며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같은 구도 아래 신재효가 세 배우자를 맞이하고 가족을 이루는 과정을 시작으로 배우자와 부모 그리고 첫 딸과 사별하고 애도하는 모습 등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렇듯 배우자와 사별하고 딸을 먼저 떠나보낸 비운과 오랫동안 자손이 없는 불운 그리고 농민 봉기 등을 겪은 후 자리 잡은 불안 등을 넘어서려 한 모습을 손자들의 사회적 향방을 통하여 접근하여 보았다. 이렇듯 사별의 슬픔과 애도, 자손의 출생에 대한 희구와 기쁨을 기술하여 생애 주기를 그의 시선과 감성 아래 구성하였다. 배우자를 만나 처음으로 자신의 가족을 꾸리고 부모의 죽음을 맞이하여 장사지내며 자손을 낳아 이들을 키운 뒤 결혼시키고 안녕을 비는 신재효의 모습은 여느 인간의 생애주기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두 배우자와의 연이은 사별과 나이 든 부모를 의식하여 자손을 보기 위하여 오랫동안 노력한 사실 그리고 딸의 죽음에 대한 쓰라린 회한 등은 각별하게 느껴진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서 신재효는 감정 표출을 절제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을 뿐 아니라 이 시기에 만연한 의례의 현시성에도 집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 시기 향리들이 예를 내세워 사회 지위의 차등을 넘어서려 한 새로운 동향과 신재효가 거리를 둔 것도 주목되는 데, 이것은 분명히 俗의 문화에 집중하는 힘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신재효는 門地 중심 사회의 한계를 깊이 인식하였으나 이서로서의 삶과 현실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았다. 대신 판소리의 세계를 통하여 운명을 희화화하고 그 한계를 넘나들었다. 그런데 이렇게 판소리에 집중한 기간이 손자들과 함께 생활한 기간과 겹친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이것이 그 후 자손들의 사회적 향방에도 작용하였음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해서 신재효는 당시 직면한 불안에서 벗어나도록 손자들에게 어떠한 형태로든 교육을 시켰겠지만, 이와 동시에 그가 운명을 희화화했던 힘은 후손들이 역경 속에서 운명과 맞서는 문화적 저력으로 전유되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 신재효 서사의 양상과 스토리텔링의 방향

        서보영(Seo B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로서 신재효 서사에 주목하여 2000년 이후 자료 21개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피고 이를바탕으로 신재효 스토리텔링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판소리사에서 신재효의 역할과 위상은 그간의 연구를 통해 많은 부분 조명되었지만 대중적으로 그를 알리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이에 지향과 향유층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교육콘텐츠, 문학콘텐츠, 미디어콘텐츠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신재효 서사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양상을 조망하였다. 신재효 서사는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 위인전, 팩션을 중심으로 한 장편소설, 드라마나 영화 등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어린이책에서 가장 활발하게 유통되었고 현대소설에서는 조선 최초의 여류 명창의 스승이자 이루지 못한사랑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미디어콘텐츠에서 신재효 서사는 매우 소략하다. 신재효의 판소리에서의 역할과 기여에 주목하는 것, 역사 인물로서 신재효의 의미를 찾는 것, 진채선을 비롯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교육콘텐츠에서 신재효 스토리텔링의 방향은 신재효를 적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상징적인 명명이 아니라 인물이 가진 현재적 가치를 탐색하려는 것이어야 한다. 이는 미래세대에게 신재효를 의미화 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학콘텐츠에서 신재효 스토리텔링의 방향은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문학콘텐츠는 다양한 매체로 구현될 가능성을 가진 원천 소스라는 점에서 관심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콘텐츠에서 신재효 서사의방향은 기존 콘텐츠와 연계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판소리 콘텐츠와 지역 문화 콘텐츠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미디어콘텐츠는 파급력을 고려할 때 신재효 서사에서 중요시 될 필요가 있다. 신재효는 고창을 대표하는 인물인 동시에 판소리사의 거인이다. 신재효라는 산은 높고 험하지만 충분히 정복할가치가 있는 산이라는 점이 여러 논자를 통해 증명되었고 이제 그를 대중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s of Shin Jae-hyo’s narrative as 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data after 2000.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Shin Jae-hyo storytelling was proposed. Shin Jaehyo’s status has been studied in many parts. Nevertheless, he is still a stranger to many. Accordingly, the aspect of Shin Jae-hyo’s narrative as cultural content was viewed by dividing it into three areas: educational content, literary content, and media content. Shin Jae-hyo’s narrative existed in the form of children s books, novels, dramas, and movies. There are many children s books about Shin Jae-hyo. In modern novels, she appears as the teacher of Joseon’s first female singer and the protagonist of a tragic love story. There are few narratives of Shin Jae-hyo in media content. In terms of content, it is common to approach Shin Jae-hyo’s role in pansori,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hin Jae-hyo, and his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people such as Jin Chae-seon.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storytelling in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to explore the present value of a character.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is for growing children.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storytelling in literary content should be fun and enjoyable. Literary conten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adapted in a variety of media.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narrative in media content is to link and interact with existing content.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narrative in media content is to link and interact with existing content. The combination of pansori and local culture is an example.

      • KCI등재

        『金三不本 신재효 판소리 사설』 소재 자료 연구 -「신오위장극가집 별사(申五衛將劇歌集 別寫)」와 「심청가 초(沈睛歌 抄)」를 대상으로

        이해진 ( Lee¸ Hae-jin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89 No.-

        이 글은 2020년 출간된 『金三不本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영인되어 있는 김삼불 수집의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들 중 「신오위장극가집 별사(申五衛將劇歌集別 寫)」와 「심청가 초(沈睛歌 抄)」를 연구하였다. 「신오위장극가집 별사」와 「심청가 초」는 기존에 신재효의 작품들로는 알려진 바 없었던 텍스트들을 담고 있다는 점, 김삼불이 직접 필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자료들이다. 김삼불이 손수 필사하여 자신의 신재효 자료집에 포함시켰다는 것은 그가 이 안에 수록된 텍스트들을 신재효 작으로 보았거나 적어도 신재효와 밀접하게 관계된 텍스트들로 보았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이 글은 먼저 「신오위장극가집 별사」와 「심청가 초」에 수록된 텍스트들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그중 특히 판소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보이는 텍스트 2편(선행 논의를 참고해 붙인 잠정적 명칭 <춘향 이별 사설>, <인당수 심청 영접 사설>)의 특징을 기존의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작품들(<춘향가>(남창/동창), <오섬가>, <심청가>)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본 다음, 김삼불의 신재효 판소리 사설관에 입각해 이 두 텍스트의 필사 및 수록 취지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이를 통해 『金三不本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소재한 새로운 신재효 관련 텍스트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구체적으로 환기하는 한편, 이들 텍스트들은 신재효 사설에 대한 김삼불의 관점(입론)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Shin Owijang Geukgajip (申五衛將劇歌集 別寫)” and “Simcheongga Cho (沈睛歌 抄),” which were collected and transcribed by Kim Sam-Bul (金三不). These are notable in that they contain previously unknown texts for Shin Jae-Hyo’s (申在孝) works. The fact that Kim Sam-Bul transcribed these two texts and included them in his collection of Pansori texts of Shin Jae-Hyo indicates that he regarded them as Shin Jae-Hyo’s creations or at least as texts closely related to him. Accordingly, this study first provides an overview of all texts in “Shin Owijang Geukgajip Byeolsa” and “Simcheongga Cho.”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wo texts (provisional title: “the text of Chunhyang’s goodbye” and “the text of reception of Simcheong in Indangsu”) contained therein are analyzed, especially in relation to Shin Jae-Hyo’s Chunhyangga, Oseomga and Simcheongga. Finally, Kim Sam-Bul’s purpose of collection and transcription are discussed.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ttention to these new texts related to Shin Jae-Hyo, which were collected by Kim Sam-Bul, and suggests that they will need to be understood in close relationship with Kim Sam-Bul’s perspective on the aforementioned Pansori texts.

      • KCI등재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판소리 창자의 양성과 관련하여-

        이훈상 ( Hoon Sang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전라도 고창의 향리 가문 출신인 신재효가 19세기 후반에 판소리 창자들의 교육에 헌신한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의 교육은 창자로부터 일정 사례를 받고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이들을 기거하는 경비까지 부담할 정도로 헌신적인 것이었다. 여기에는 여성 제자들의 연행을 주선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판소리에 전업하려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는 것까지 포함된다. 더욱이 그는 지역사회를 위해서도 적지 않은 돈을 기부하였는데, 그의 기부 활동은 35세 때부터 시작하여 66세가 되는 1876년까지 계속 이어졌다. 이 일련의 사실들이 신재효의 재부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을 촉발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제까지는 사실상 구전에 기초한 이야기가 대부분일 뿐 구체적인 내용은 물론 의미도 밝혀진 것이 사실상 거의 없었다. 전승되는 이야기들은 막연하게 신재효가 부친 신광흡의 유산을 물려받아 살림이 넉넉했고 나아가 근검으로 재산을 일구어 창자들을 교육시켰다고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대한 자산가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 같은 구전은 여전히 애매하며 신재효와 부친, 그리고 후손들의 그것이 뒤섞여 있기도 하다. 그의 재부에 대하여 연구자들이 쉽게 거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구체적인 논거에 기초하지는 않은 것이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사실을 비판하면서 그 구체적인 실태를 밝히고 이어 그 의미를 분명히 한 것이다. 이 연구는 재부만으로 판소리 창자의 교육에 대한 그의 헌신과 판소리 발전에 대한 기여를 설명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면서도 신재효의 재부가 어느 수준이며 이 재부를 어떻게 축적하고 경영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작업은 판소리의 발전과 그 방향을 논의하는데 매우 중요함을 강조한다. 한편이 같은 작업이 가능한 것은 재부의 축적과 관련된 일련의 문서들을 최근 발굴하였기 때문인데, 이제 이를 토대로 그의 재부와 이를 기초로 한 판소리 교육과의 상관관계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제 아래 이 연구는 그의 경제 기반과 경영을 수입과 재부 축적, 그리고 기부와 소비라는 큰 구도 위에서 논의하였다. 한편 이 연구는 신재효가 창자의 교육에 헌신한 시기가 이른바 포퓰러popular 문화가 크게 확산되기 시작한 시기이라는 점도 주목한다. 그렇다고 그가 단순히 시대의 조류를 추종하거나 반영한 것은 아니다. 연행에 대한 그의 다양한 실험은 포퓰러 문화의 확산을 촉진하고 새로운 방향을 만들었다. 이와 관련하여 19세기 후반은 구체제의 동요와 이에 따른 긴장이 고조된 시기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재부의 축적만이 아니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그의 태도를 각별히 주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시 말해서 그가 직면한 가혹하면서도 불안한 환경과 이에 대응하는 노력에 논의를 집중하였는데, 이것은 그의 사후 그의 가족이 겪은 곤경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전제 아래 수입과 재부의 축적을 이서로서의 수입과 대부 행위, 그리고 토지 투자와 축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어 소비의 경우 그 전모를 알기는 어렵지만, 일단 기부 등 중요 사안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가 여성 제자들의 교육시키는 헌신에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음을 드러냈다. 한편 이 같은 재부 관리와 관련된 신재효의 신중한 자세는 19세기 후반 향리 사회가 직면한 불안과 연관되며 신재효도 늘 의식하여야 하는 살아 있는 현실이라고 보았다. 한편 그의 검약 수준이 통상 기대되는 것을 훨씬 넘어선 것도 주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인색하다는 비난 대신 주위로부터 끊임없이 칭송을 받은 것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일상생활에서 늘 인심을 잃지 않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재부를 축적하는 한편 주위에 계속해서 인정을 베푼 모습을 보여준다. 사망하고 불과 11년 후 고창은 동학농민봉기의 중심지에 포함되었다. 이미 임술농민봉기를 겪었던 신재효로서는 계속해서 자신을 둘러싼 현실이 악화되어 가는 것을 감지했다고 보았다. 그의 경제 행위도 이 같은 신재효의 현실 인식과 연관 지어 접근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 Jaehyo`s wealth and the development of Pansori. It has been the general understanding that his education of pansori singers was due to his wealth. Contending this view has devaluated his indefatigable devotion to pansori, this paper emphasizes Shin Jaehyo`s passion and devotion to pansori in addition to his wealth which was accumulated through his self-control and thrift and made it possible to support and educate pansori women singers.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women pansori singers in Korean history was possible only through Shin Jaehyo`s devotion and financial support. Another concern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way his wealth was distributed among his relatives after his death. The way of distributing his wealth can be interpreted as a social contexts and anxiety surrounding hyangli of the latter part of the 19 century. After all, Shin Jaejyo was uncommon man of his times who used his wealth in fulfilling his ideal arts of pansori.

      • KCI등재

        가람 이병기의 신재효 연구와 신재효 위상의 확립

        조은별 ( Jo Eun-byeo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본고는 가람 이병기(李秉岐, 1891~1968)가 국문학 연구에 있어 판소리 개작가(改作家) 신재효(申在孝, 1812~1884)에 특히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것에 주목하여 가람의 신재효 연구의 실제와 이에 따라 신재효의 위상을 확립한 양상을 살폈다. 김재철, 조윤제, 김태준, 정노식 등에 의한 초기 국문학 저술들이 대체로 신재효라는 인물을 단편적으로 다루었던 것과 달리 이병기는 신재효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오랜 시간에 걸쳐 신재효 판소리 가사들을 확보하고 정리해내었다. 『가람일기』에는 이병기가 1930년대 초반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의 꽤 오랜 시간 동안 신재효의 생애를 조사하는 한편 신재효의 판소리 가사를 수집 및 정리하고 그 결과 6책 분량의 『신오위장본집』을 엮어낸 과정이 상세하게 드러나 있다. 이후 이병기는 자신이 수집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해 『국문학전사』, 『국문학개론』 등 국문학 논저를 저술하고 신재효 판소리 가사 중 <가루지기타령>의 교주본을 출간하면서 신재효의 존재와 그의 판소리 가사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다. 신재효에 대한 이병기의 이 같은 천착은 초기 판소리 연구에서 신재 효라는 인물의 우뚝한 위상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후대 연구자들의 판소리 연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Garam Lee Byong-Gi(李秉岐, 1891~ 1968)'s interest about Pansori adaptor Shin Jae-Hyo and investigates substance of Garam's study about Shin Jae-Hyo. Most of early studies about Korean literature mentioned Shin Jae-Hyo fragmentarily, but Garam collected and arranged Shin Jae-Hyo's Pansori lyrics for a long time with great interest about Shin Jae-Hyo. Garam's investigation about Shin Jae-Hyo's life and process of publishing 『ShinOwijangbonjip』 are verified minutely by records of 『Garam's Diary』 from early 1930's to late 1950's. After this, Garam wrote books about Korean literature for example 『Gukmunhakchunsa』, 『Gukmunhakgaelon』 based on research materials he had collected and annotated < Garujigitaryeong > which is one of the Shin Jae- Hyo's Pansori lyrics, and published it. Thereby Garam gave worth to Shin Jae-Hyo's existence and his Pansori lyrics. Garam's interest in Shin Jae-Hyo established Shin Jae-Hyo's status in early study about Pansori, and had an important effect on later studies of Pansori.

      • KCI등재

        한류시대에 본 신재효 판소리 교육의 선구성

        김수미 ( Su Mi Kim ) 판소리학회 2013 판소리연구 Vol.35 No.-

        적층문학이자 구전심수의 판소리는 시작부터 현재까지, 시대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거듭하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판소리사를 18세기 형성기, 19세기 전성기, 20세기 쇠퇴기로 간략하게 보았을 때, 현재 21세기는 매우 중요한 시점에 와 있는 듯 하다. 21세기가 20세기 쇠퇴기의 연장선으로 갈 것인가, 아니면 제2의 전성기가 될 것인가 하는 초두에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제2의 전성기를 맞고자 한다면, 이에 따른 준비와 실천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이런 점에서 판소리 후원자, 지도자, 이론가, 논평가, 사설 창작 개작자 등의 역할을 했던 신재효(申在孝:1812~1884)의 행적은 한류시대로 일컫는 오늘날, 미래를 준비하는 판소리 교육의 귀중한 한 전형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우선 신재효는 개인의 유희적 판소리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광대들의 후원자와 지도자가 되었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 신분 사회에서 천민인 광대들에게 신재효의 관심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히 고무적이며, 이러한 소통과 교류는 판소리의 지평이 더욱 성장 발전하는데 밑거름이 되었을 것이다. 둘째,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 창작과 개작이 갖는 의미이다. 판소리는 이 면의 음악이기 때문에 ``어떠한 사설이냐``는 판소리 음악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광대들의 입장에서 보면, 다양한 사설을 소리로 만들어 불러보는 것이 자신의 음악 세계가 풍성해지는 방편이 될 수 있다. 이 때, 신재효는 사설의 이면이 잘 묘사될 수 있도록 광대들에게 지도자와 논평자의 역할을 하였을 것이고, 광대들에게도 작창자로서의 기회와 경험이 주어지는 것이다. 셋째, 신재효의 판소리 교육의 선구성은 남성들만의 전유물이었던 판소리를 여성에게로까지 확장시킨 점이다. 신재효는 경복궁 낙성연에 최초의 여류명창인 진채선을 준비시켜 내보냈고, 이는 대원군의 총애를 받을 만큼 성공적인 무대를 만들었다. 현재 판소리계에서 여자명창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본다면, 진채선의 등장은 단지 개인의 사건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진채선 이후 지금까지 여류명창들의 대거 등장은 신재효의 선구성과 혜안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신재효는 판소리에 관한 전체적인 시각과 균형 감각을 가지고, 광대들과 교유하고 교육함으로써 판소리 미래를 준비시킨 실천가적 선구자라 할 것이다. Pansori, literature and an oral transmitted vocal genre, has reached today through constant changes from its emerg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genre, pansori is briefly divided into four distinctive periods in accordance with each century : formative years of the 18th century, the heyday of the 19th century, the 20th century decline, and the current 21st, which is considered as the crucial stage comparing to any other period in the history of pansori.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the performance of pansori have been declined, a continuation of the 20th century, or will be the heyday of the second. To achieve pasonri as the heyday of the second era desperatelyneeds preparation and practice accordingly. In this regard, the achievements of Sin Jae-hyo (1812-1884), a patron, educator, theorist, commentator, and editorial creative author of pansori, present avaluable archetype to prepare the future pansori education today labeled as the era of the Korean Wave. Considering his roles and contributions on the development of pansori, the paper examines the followings. First, Sin Jae-hyo never treated pansori to stay in an individual`s pleasurable way. Instead, he became an active supporter and leader for pansori singers. Pansori singer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ere untouchable in society. His attention to the singers is quite encouraging.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pansori would have been fertilizer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Second, Sin`s creative editorial and adaptations on pansori text are very significant. Since pansori is regarded as the music of imyeon (depicting every angles of the dramatic situations and the sensitivity of the characters and protagonists through singing and reciting), the editorial contributions of Si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music of pansori. From the perspectives of pansori singers, creating a sound through various editorials can be a means to enrich their own musical world. Sin must have played the roles of leader and commentator to describe imyeon for singers. At the same time, singers are also given an opportunity and experience to be a creative composer. Third, the pioneering educational work by Sin Jae-hyo on pansori was extended to female. Prior to Sin`s attempt, pansori was a gender-specific genre reserved for male singers (known as gwangdae) only. However, Sin began to train female singers, especially the legendary singer, Jin Chae-seon, the first female singer to participate in Nakseong Festival at Gyeongbok Palace. She made a successful debut to earn the favor of the Daewonkoon (the father of King Gojong). Today female pansori singers outnumbered the male singers, and Jin`s emergence should not be overlooked just as a case of an individual. Since the time of Sin and Jin, a large number of female singers have emerged, and thi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valuable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 of the pansori education by Sin Jae-hyo. With having the holistic perspectives, as well as the sense of balance between music and text of pansori, Sin is considered as the most influential figure and pioneer on the development of pansori. In his advance view and forward thinking, Sin had already prepared the changes and transformation of the genre, and broadened the scope of teaching and education in pansori.

      • KCI등재

        김창환제 〈심청가〉에 끼친 신재효의 영향

        김석배 ( Sug Bae Kim ) 판소리학회 2004 판소리연구 Vol.18 No.-

        20세기 전반기의 대표적인 서편제 명창 김창환은 신재효에게 판소리 지도를 받았기 때문에 그의 판소리에는 신재효의 직접적인 영향이 폭넓게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김창환제 <춘향가>와 <홍보가>에 끼친 신재효의 영향을 검토한 바 있는데, 본고는 그 후속 작업으로 김창환제 <심청가>에 끼친 신재효의 영향을 검토한 것이다. 김창환제 <심청가>는 정광수에게 비교적 온전하게 전해졌으므로 정광수의 <심청가>를 통해 김창환제 <심청가>의 실체를 가늠할 수 있다. 정광수의 <심청가>를 통해 김창환제 <심청가>에 끼친 신재효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략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신재효는 자신의 문하에서 지도를 받던 다양한 유파의 창자들이 부르던 <심청가>를 자신의 세계관 및 판소리관에 입각하여 개작 정리하였기 때문에 그의 <심청가>는 독자적 성격이 강다. 신재효의 <심청가>는 김창환제 <심청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폭넓게 끼쳤는데, 특히 초입부터 곽씨부인 유언 대목과 심봉사 황성 올라가는 대목 등 특정 부분에서 집중적인 수용이 이루어졌다. 서술 분량으로 볼 때 <신재효본>의 약 25%가 <장광수본>과 일치하는데, 그것은 <정광수본>의 약 25%에 해당한다. <신재효본>과 일치하는 것 중에서 아니리 대목은 <정광수본>의 약 13%에 해당하고, 그것은 일치된 부분의 55%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실에서 김창환이 신재효의 문하에서 정창업의 <심청가>에서 부족하다고 여긴 일부 특정 부분과 아니리 대목에 대해 중점적인 지도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imcheongga> adapted by Shin Jaehyo on <Simcheongga> of Kim Changhwan taught by Shin Jaehy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hin Jaehyo adapted <Simcheongga> on the basis of various versions of <Simcheongga> sung by pansori singers who were being taught by him. It was rewritten wholly to the details with the influence of Shin Jaehyo, with the result of very independent <Simcheongga>. Second, <Simcheongga> had a very wide and direct effect on <Simcheongga> of Kim Changhwan. About 25% of <Simcheongga> adapted by Shin Jaehyo is in <Simcheongga> of Jung Kwangsoo, and it amounts to 25 % of the latter. Aniri comes to around 55 % of the coincident part of the two versions. Hopefu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rrectly assessing the effect of Shin Jaehyo on `pansori and the study on Kim Changhwan`s pansori style.

      • KCI등재

        <남창 춘향가>의 성격과 옥중가의 전승 양상

        이태화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39 No.-

        신재효는 판소리 명창이 아니지만 누구보다도 판소리사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판소리 사설을 정리하고 개작했을 뿐 아니라, 많은 판소리 연창자들을 교육하고 후원하였다.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따르면, 당대에 명창을 되기 위해서는 신재효의 지침을 반드시 받아야 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므로 신재효가 개작한 사설이나 그의 판소리관이 후대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것은 판소리 전승사의 중요한 맥락을 파악하는 일이 된다. 이 글에서는 신재효가 개작한 <남창 춘향가>의 옥중가를 중심으로 그 일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신재효는 <남창 춘향가> 주인공의 전신(前身)을 천상계 인물로 설정하는데, 춘향은 그 점을 인지하고 자신의 고난이 몽룡과 자신의 운명에 따라 극복되리라 믿게 된다. 이런 특징 때문에 <남창 춘향가>의 옥중가는 여타의 춘향가들과 다른 양상을 띠게 된다. 대개 ‘황릉묘’로 설정되는 춘향의 꿈 이야기가 ‘천장전행’으로 바뀌고, 춘향은 죽음을 예감하고 처절한 비탄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운명에 따라 고난이 잘 해결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자세를 보여준다. 이러한 개작의 양상에서 신재효는 기존의 춘향가들이 귀곡성을 통해 음산한 분위기를 극대화시켰음을 간접적으로 지목하는데, 신재효의 그런 시사를 통해 옥중가의 성격이 귀곡성이나 ‘산물’ 등의 장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옥중가에 대한 신재효의 개작의식은 후대에 거의 수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쑥대머리’가 <남창 춘향가>에서 처음으로 보인다는 점을 제외하면, 신재효의 옥중가 개작은 실제의 전승 현장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다만 귀곡성의 등장 양상과 신재효가 언급한 ‘산물’ 등의 표지를 기준으로, 초기 옥중가의 모습을 추정하는 데에는 얼마간 접근한 듯하다. 요컨대, 초기의 옥중가는 귀곡성 위주의 단순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후대로 갈수록 ‘동풍가’나 ‘황릉묘’ 등의 여러 더늠이 덧붙어서 현재와 같이 다양한 구성 양상을 보여주게 된 것이다. Shin Jaehyo was not a master singer of pansori, he was a person who had a great impact on the history of pansori than anyone else. Not only was arranged and remade the pansori lyrics, was sponsored by education a lot of pansori singer. According to Jeong Nosik's 『Joseon-changgeuksa』, that in order to be contemporary master singer of pansori was about shall receive always an indication of Shin Jaehyo. Therefore, reviewing how Shin Jehyo’s view of pansori and his modified lyrics were inherited, is like to understand important historical context of pansori tradition. In this article, I want to review the one based on the Okjungga(songs sung in prison) in <Namchang-Chunhyangga>. Shin Jaehyo was set up in a past life of the main character of the <Namchang-Chunhyangga> with ethereal figures, Chunhyang recognizes that respect, she believes that her suffering would be overcome by the fate of her and Mongnyong.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Namchang-Chunhyangga> reveals aspect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Chunhyangga. Set in a dream usually is directed towards going to “Hwangneungmyo”, this version is set to go to the “Cheonjangjeon”. As a result, Chunhyang is not falling in desperate feeling sorrow because of death, and shows an optimistic attitude that suffering is resolved well according to her fate. In the aspect of this adaptation, Shin Jaehyo indirectly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 existing Chunhyangga is to maximize the dreary atmosphere using Gwigokseong(whine of ghosts). Through the implication of Shin Jaehyo we can guess that the nature of Okjungga may vary depending on the device, such as a Gwigokseong or ‘Sanmul’. But the will of Shin Jaehyo appear in the remake of Okjungga seems barely accepted the later. With the exception of the fact that the earliest version including "Ssukdaemeori" is <Namchang-Chunhyangga>, Okjungga modified by Shin Jaehyo did not affect much in the field of succession. However, based on the appearance aspect of Gwigokseong and the mention of Shin Jaehyo about the 'Sanmul', I seem to approach to some extent There estimating a state of an initial Okjungga. In short, the initial Okjungga consisted of simple contents, just including Gwigokseong. However, toward the later signature songs have been added, such as "Dongpungga" and "Hwangneungmyo". So were shown a variety of aspects, such as the current configuration.

      • KCI등재

        동리(桐里) 신재효(申在孝) 총서(叢書) 편찬의 성격과 간행 방향

        김종철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39 No.-

        We have two compilations of Jae-hyo Shin’s works by Byoung-ki Lee and Han-young Kang, which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research of Jae-hyo Shin and Pansori. But now is the time to compile complete works of Jae-hyo Shin newly in order to advance the level of research on him. Because the former two compilations have lacked diverse versions of his pansori works, other literary works and biographical documents, so that studies in his works and life have been stagnated. Jae-hyo Shin’s complete works could be edited newly on the principles as below : 1) All of the literary works of Jae-hyo Shin should be included in compilation. 2) All of the versions of Shin’s pansori works should be included in compilation. 3) All of the documents related with Shin’s life should be included in compilation. 4) All of the literary works and documents should be compiled with photoprint of the original copies. On the basis of the photoprint compilation, the complete works of Jae-hyo Shin could be appeared in the annotated edition and the modern Korean edition. Needless to say new literary works, documentaries, and several versions of his pansori works which are mentioned but not discovered so far should be collected in advance. 동리(桐里) 신재효(申在孝)의 작품집의 편찬과 간행이 이병기와 강한영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신재효연구를 더욱 활성화하고, 새로운 단계로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선본(善本) 중심의 작품집 편찬을 넘어서 ‘동리(桐里) 신재효(申在孝) 총서(叢書)’(이하 ‘동리 총서’)가 편찬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총서는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편찬될 필요가 있다. 1) 桐里의 모든 작품을 망라한다. 2) 桐里 작품의 여러 전승본을 모두 수록한다. 3) 桐里의 작품들은 그대로 수록하고 수정하지 않는다. 4) 桐里의 전기(傳記)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관련 자료는 모두 수록한다. 5) 총서 편찬에서 작품 수록의 순서는 桐里문학의 문화적 의의에 의한다. 이러한 원칙하에 실제 ‘동리 총서’는 다음과 같이 편찬될 수 있다. (1) 영인본(또는 사진본) ‘동리 총서’ (2) 교주본 ‘동리 총서’ (3) 현대어본 ‘동리 총서’ (4) ‘동리 총서’ 선집(현대어본) (5) 신재효 연구 총서 ‘동리 총서’ 편찬에는 기왕에 알려진 자료만을 망라할 것이 아니라 그 존재가 언급되었으나 실물이 확인되지 않은 자료들을 비롯한 새로운 자료들을 조사 발굴하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