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 가정의 학업지지와 공동체 의식 간 관계에 미치는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의 직렬매개효과

        안선영(Ahn, Sun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 역량에 가정에서의 학업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두 요인인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이 어떠한 간접효과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간접효과의 확인은 SPSS를 이용한 Baron과 Kenny(1986)의 단순 및 위계적 회귀분석과 Mplus를 이용한 직렬적 다중매개모형의 두 방법으로 하였고, 대학 신입생 150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학업지지는 대학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매개변수를 투입했을 때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가정의 학업지지와 공동체 의식 간 관계는 학생특성에 의해 완전히 매개되었다. 또 대학특성은 학생특성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공동체 의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가정의 학업지지는 대학특성, 학생특성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을 각각 투입했을 때는 학생특성만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매개변수를 모두 투입했을 때에도 가정의 학업지지에서 대학특성, 학생특성을 거쳐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 즉, 완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에게 대학특성의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던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 시기, 비교과 프로그램과 교양 교육, 장학지원 등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해 대학특성이 긍정적으로 향상되도록 고려해 볼 방안들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보완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s academic support tha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of university freshmen. It is also aimed to explore the indirect effects of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as mediators. For this, two types of analysis about indirect effect were implicated for 150 response data of freshmen: First, the simple linear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with Baron & Kenny(1986) procedures. Second, a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with Mplus 8.5 was applied. As a result, family’s academic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university freshmen. However, when the mediators were put in the model, direct effect was disappeared. The relation on family’s academic support and the sense of community was fully mediated by student traits. Family’s academic support influenced both traits of university and student. university traits had an effect on student traits though, it did not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Finally only student traits showed a full mediated effect when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were input. Even both mediators were input simultaneously, the full mediated effect on sense of community through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reshmen such as appropriate diagnosis timing, developing the support programs with scholarships, extracurricular and general education. Then some complementary point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후보

        신입생 미달 현상에 대한 인천 특성화고 교육주체 인식 분석

        문영진(Young Jin Moon),주현성(Hyeon Sung Joo),김도기(Do Ki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3 지방교육경영 Vol.26 No.1

        본 연구는 중등직업교육을 담당하는 특성화고와 관련하여 최근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신입생 미달 현상에 대한 인천 특성화고 교육주체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인천 소재 특성화고 6개교를 선정하였고, 해당 학교의 협조를 받아 교원, 학생, 학부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 특성화고 교육주체들은 전반적으로 특성화고 신입생 미달 현상을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인천 특성화고 교육주체들은 특성화고 신입생 미달의 원인을 특성화고에 대한 기피 현상과 중학교에서의 성적 중심의 진학지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인천 특성화고 교육주체들은 특성화고 신입생 미달에 대한 대응으로 학과 개편과 홍보활동 강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지방교육자치가 강화되는 추세에 비추어 보면, 본 연구는 향후 특성화고 신입생 미달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청 차원의 정책적 방안 탐색에 유의미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subjects regarding the issue of a decline in the number of freshmen in Incheon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major concern. Six specialized high schools in Incheon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and with the cooperation of the school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the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subjects were generally aware of the shortage of new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Second, they identified a reluctance to enroll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he lack of guidance in middle school as the reasons for the lack of freshmen. Third, the educational subjects employed strategies such as reorganizing the departments and strengthening promoting activities to address the problem. Considering the growing emphasis on strengthening local education autonomy, this study provides a significant foundation for exploring policy measures at the education office level to resolve the shortage of new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신입생 교육의 개념 및 전략 구성

        염민호(Minho Yeom),이효성(Hyu Sung L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남대학교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기간을 최소화하고, 전공 및 직업 탐색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신입생 교육’의 개념과 전략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전남대학교 13개 단과대학 학장, 부학장, 일반학부장 등 16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심층 연담을 활용했다. 연구결과 단과대학 학장들은 신입생의 특성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었으며, 대학 내에 신입생의 학업지속 및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 연구는 신입생 교육의 개념 구성에 포함될 수 있는 주요 내용을 제시하고, 실천을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 신입생 교육을 책임질 책임자 선정 및 부서 설치, 신입생 교육에 초점을 맞춘 정규 및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 on developing conceptions and strategies for the first-year student experienc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suggests methods for minimizing the period of adaptation of college freshmen while maximizing the opportunities available for them to choose and explore their majors as well as their future careers through college retention. Attention is given, in particular, to the ways in which university deans view the characteristics of freshmen students in general, the construction of regular and/or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used in those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ith sixteen deans and directors from thirteen colleg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the interviewees hel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s and that a systematic program of orienting students at the university level does not currently exi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niversity should intervene to improve the lives of first-year students, and should construct key objectives to direct them, organize offices or individuals responsible for the first-year curriculum and co-curriculum, and should introduce various programs focusing on bettering first-year students' chances for academic and professional success.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특성화고 위기 관련 미디어 담론 분석

        최성규,임수아,문보름,조영하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risis of vocational high schools explained by a continuously declining recruitment performance, low graduate retention and employment rates, as well as indifference from the parents and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 discourse related to the crisis. As for methodology, relevant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11 national daily newspapers dealing with the issues of the crisis for five years from 2018, when the recruitment rate of new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dropped sharply. Word frequenc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using Netminer 4 in order to present the findings through topic modeling.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the newspapers’ articles o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crisis presented four main topics as follows. First, unsuccessful freshman enrollment and government’s external restructuring efforts. Second, ineffective support polic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 poor employment environment for work-bound high school graduates due to social discrimination. Fourth, poor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for on-the-job traine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further discussed the origins of the crisis and then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지속해서 떨어지는 신입생 충원 성과와 낮은 졸업자 유지취업률, 학부모와 학생들의 외면 등으로 설명되는 특성화고의 위기의 근원을 탐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특성화고 위기와 관련한 미디어 담론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가 인식하는 특성화고 위기의 심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방법론으로써, 연구자는 특성화고 신입생 충원율이 급격하게 하락한 시점인 2018년부터 5년간의 특성화고의 위기를 다룬 11개 전국일간지 기사를 수집하였고, Netminer 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인 단어 빈도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토픽모델링을 통해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에 따르면, 특성화고 위기 관련 신문 기사들은 「신입생 미달과 정부의 외형적 구조조정」, 「실효성 없는 특성화고 지원 정책」, 「사회적 차별로 인해 열악한 고졸 취업환경」, 「특성화고 현장실습의 질과 안전관리 미흡」을 주요 주제로 하는 담론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특성화고 위기의 근원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정책적인 시사점도 제언하였다.

      • 대학 신입생 실태조사를 통한 학생 특성 및 학생상담센터 요구도 분석

        강은영(Eun Young Kang),이현정(Hyun Jung Lee)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2022 대학생활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동대학교 신입생들의 마음건강 지원 및 신입생의 특성을 반영한 심리·진로 지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신입생들이 대학 생활과 관련하여 알고 싶은 정보로는 학사 및 학점관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입학 후 예상되는 걱정으로는 학업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대학 생활 적응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신입생의 60.3% 는 대학 생활 중 어려움 발생 시 학생상담센터에 도움 요청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학생상담센터에서 상담 받고 싶은 주제로는 학업, 진로 및 장래, 대인관계, 성격, 학교 적응 순이었다. 따라서 학생상담센터에서는 지속적인전문상담원들의 진로·학업 상담 관련 전문성 향상이 필요하겠다. 또한, 신입생의 대학생활을 적응을 위하여 다양한 주제의 진로적성탐색, 스트레스 관리, 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ental health support for university freshmen and psychological and career support servi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freshmen. As a result of the survey, as the information freshmen want to know about college life, undergraduate and credit management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Expected worries after admission include academic difficulties, financial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university life. 60.3% of freshmen answered that they were willing to ask for help from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n case of difficulties during college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ional counselors related to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at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n addition, in order to adapt new students to college life, career aptitude exploration, stress management, and school adaptation programs in various topics are required.

      • KCI등재

        교육대학 신입생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2013학년도 서울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김광수 ( Kwang Soo Kim ),김현령 ( Hyun Ry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최근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및 교직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교육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특성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 학생들의 변화하는 특성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이해함으로써 초등교원 양성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생지도 방안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13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와 과거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입생 중 재수생의 비율이 급증하고 있고, 좋은 가정배경 및 학업능력이 뛰어난 우수한 인재들이 더 많이 입학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신입생들은 적성 및 진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환경변화에 따른 시간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the characteristics of entering freshme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community of teaching profess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ir views on teaching profession. Researchers expect that the findings can encourage University of Education to develop their curriculu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tra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urvey of entering freshmen in 2013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searchers compare the result of 2013 with the pas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repeat examinees have been sharply increased. Also, more outstanding students who have good family backgrounds and academic abilities get in to the university. First year student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aptitude and career issues than the past. And they are troubled in time management. With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of Education are being discussed.

      • KCI등재

        Bridge Drawing검사에 나타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

        박윤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1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if the bridge drawing technique is useful for assess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415 first-yea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As measuring instruments, we used bridge drawing techniqu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analysis, and one-way ANOVA, and the Scheeffe's test was performed as post-hoc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problem-solving than female students. Second, regarding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Bridge Drawing technique of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ender in the position of the person on the bridge, the places drawn on either side of the bridge, the solidness of the bridge connection, depiction of the person, viewer’s vantage point, or the level of risk presented in the drawing. Thir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respons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ender in the position of the person on the bridge, object drawn under the bridge, and congruence of the drawing. In addition, female students in the directionality, depiction of the person, view’s vantage point, and paper orientation.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Bridge Drawing검사의 반응특성을 분석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나타내는 진단도구로서 Bridge Drawing검사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신입생 415명으로, 측정도구는 Bridge Drawing검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단축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T-test,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Sche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 하위변인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Bridge Drawing검사 반응 특성을 살펴본 결과, 피검자의 위치, 다리 양끝의 장소, 다리의 연결강도, 사람의 모습, 시점의 위치, 그림상황 위험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Bridge Drawing검사의 반응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결과, 남녀 모두 피검자의 위치, 다리 밑의 사물, 그림의 통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학생은 진행방향, 사람의 모습, 시점의 위치, 종이축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Bridge Drawing검사가 대학신입생 남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파악하는데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2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k대학을 중심으로

        조보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목적 본 연구는 2022학년도 k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를 통해 대학생활에 대한 기대와 태도, 학업 및 진로 계획 등을 분석하여 대학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2년 12월 22일까지 3일에 걸쳐서 온라인으로 이루어졌고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교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및 장학금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학설명회, 홍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원서작성 및 접수시기에 홍보 및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해야한다. 셋째, 대학홈페이지를 개선해야 한다. 넷째, 대학의 이미지 개선 및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다섯째, 실기/실습 수업을 확대해야한다. 여섯째, 교수학습센터는 기초학습 프로그램, 자기계발 프로그램, 학습동아리 등을 개선하여 학습 및 시간관리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일곱째, 취업진로센터는 자격증 취득 강좌를 확대하고 선배 및 외부 전문가 특강을 활용하여 진로탐색을 도와야 한다. 여덟째, 학생상담센터는 신입생의 학업문제, 적성 및 진로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k대학 신입생의 특성과 요구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신입생 프로그램 및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독교대학 신입생의 성별, 전공계열에 따른 핵심역량 차이 분석: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백상현 기독교학문연구회 2020 신앙과 학문 Vol.25 No.3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 신입생의 성별, 전공계열에 따른 핵심역량 수준 차이와 특성을 밝힘으로써 재학기간 중 학생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A 대학 신입생 940명을 대상으로 A 대학에서 자체 개발한 핵심역량진단 조사결과를 활용하였다. 신입생의 핵심역량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개인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도덕성 및 윤리성, 외국어능력, 융합적 사고능력에, 전공계열에 따라 나눔과 배려, 갈등조정능력, 대인관계능력, 논리적 사고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계열과 성별은 책임감, 나눔과 배려, 갈등조정능력, 자율적 리더십 역량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문사회계열에서는 여학생이 네 가지 역량에서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예체능계열은 남학생이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특성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 D대학교 지방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정귀연(Jeong Gwiy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신입생의 일반적 특성들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들을 확인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적절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학년도 D대학 지방캠퍼스 신입생 1,31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1,3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신입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별, 입학유형별, 장래희망, 취미 및 특기, 학기 중 이루고 싶은 목표, 미래진로를 위한 준비사항, 학업중단의사로 구분하여 독립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래희망을 가지고 있는 경우, 취미 및 특기 등 여가생활을 하고 있는 경우, 이번 학기 달성하고자하는 성취목표가 있는 경우, 진로성취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대학생활적응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freshme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show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and to find strategies for successful college life adaptation and develop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s. The study intends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used. We collected data from 1,319 freshmen on the local campus of University D in 2020, and finally analyzed the data of 1,317 respondent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ew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divided into gender, admission type, future hopes, hobbies and specialties, goals that you want to achieve during the semester, preparation for future careers, and willingness to stop studying.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you have hope for the future, if you are involved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hobbies and specialties, if you have an achievement goal set for the semester, if you are preparing for career achievement, your college life adaptation score is higher than if you do not possess these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