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세기후반(世紀後半) 부산식고배(釜山式高杯)의 변천(變遷)과 의미(意味)

        배효원 ( Bae Hyo-wo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6 No.-

        부산지역은 5세기대 토기문화의 전환과정을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다. 전대의 고식도질토기문화기부터 토기문화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였고, 400년에 촉발된 고구려군 남정 이후에도 신식도질토기의 출현 및 확산을 주도하였다. 또한, 황남대총남분으로 상징되는 신라의 영향력 하에서도 나름의 독자적인 토기문화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황남대총남분 이후, 신라토기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면서 토착지역양식이 소멸하고 신라토기문화로 일변한다. 부산지역 토기의 연구는 5세기 전반대를 전후하여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특히 복천동고분군의 유물을 통한 편년이나 정체성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고는 미흡한 부분이었던 5세기후반대의 토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3단각교호투창고배의 속성분석을 통해 토기문화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였고, 형식을 더욱 세분하여 살펴봄에 따라 5세기 후반대를 나눌 수 있는 획기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5세기후반의 부산식고배로 명명된 각단이 내사향하며 凹면처리된 고배의 세부속성분석을 하였으며, 기존에 관념적으로 행해오던 4분기법을 세분하여 그 획기를 설정할 수 있을만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부산지역 토기문화를 황남대총남분 토기의 영향으로 생각하던 기존 인식과는 달리 5세기 3/4분기 전반대까지는 재지의 토기문화가 안정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황남대총남분 토기의 영향을 받은 5세기 3/4분기 후반대 이후에도 신라토기문화의 영향 하에 재지 토기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토기 연구를 통해 ‘교호투창고배=신라토기’라는 선입견과 3단각고배 → 2단각고배의 도식화된 형식변화에 대한 인식이 재고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Busan region is an important part to look into the changing aspects of the pottery culture of the 5th century. It was in the role of the center area of pottery culture from the period of early-style pottery(古式陶質土器). It led the appearance and spread of new-style pottery after the conquest of Kingdom of Goguryeo in 400 A.D., and formed its own pottery culture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Dynasty, symbolized by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However, Silla pottery had continued to spread since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herefore, the indigenous type of pottery was destroyed and turned to Silla pottery culture. After 5th century, the research which interpreted potteries as political purpose was conducted mainly about potteries of Bokcheon-dong tombs, and the incorporated period of Bokcheon-dong tombs into Silla. In addition, research of ancient tombs in Busan has also conducted due to the recent discovery of ancient Yeonsan-dong tombs.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was conducted only in a certain period of time or certain tombs,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whole view of the entire area and the study of earthenware culture which encompasses entire Busan area, is now unprecedented. The focus was on the pottery from the ancient tombs throughout Busan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first half of the 5th centuries and inspected pottery culture in Busan. Busan stlye mounted dishes in Busan area was spread around Bokcheon-dong tombs from th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It was also noted by confirming unique Busan style in each period. In the second part of advance stage in the lat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area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big jars around feet in Bokcheon-dong tombs. In the third part of advance stage in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late 5th Busan style mounted dishes were buried as well. The burial custom was continued in Bokcheon-dong tombs. In the fourth part of advance stage in the fourth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main tombs were moved to Yeonsan-dong tombs, however, Busan style mounted dishes, called Yeonsan-dong style mounted pottery, was buried. Furthermore, earlier burial custom was continued to be centered around large tombs. However, Silla pottery had continued to spread since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herefore, the indigenous type of pottery was destroyed and turned to Silla pottery culture.

      • KCI등재

        5世紀代 釜山地域 墳墓出土 大壺의 副葬樣相과 意味

        裵孝元(Bae, Hyo Won) 부산고고학회 2018 고고광장 Vol.- No.22

        대호는 기본적으로 50cm 이상이며, 기벽이 0.7cm 이상으로 단경호나 장경호에 비해 두껍다. 색조는 주로 (암)청색이고 속심은 자색을 띠며 타날을 한 뒤 회전물손질로 깨끗하게 지운다. 특히, 기대 위에 얹혀서 부장되는 장경호·단경호와는 달리 대호는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안치되어 장경호·단경호 등 他 壺類와는 다른 부장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착안하여 장경호·단경호와 대호를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부곽이나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대호를 안치하는 습속은 전대의 고식도질토기단계부터 이어져온 부산지역 고유의 매장방식이다. 5세기 전반대에 일시적으로 확인되지 않으나 복천동39호분 등 대형분을 중심으로 그 습속이 다시 이어지며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사라진다. 이는 5세기 2/4분기 후반대부터 부산 식고배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며, 호류를 기대에 얹어서 대량으로 부장하는‘부산식 기종조합’의 존속기간과도 일치한다. 즉,‘부산식 기종조합’이 의연히 傳承되는 5세기대의 부산지역은 타지역 토기양식과는 차별화 된 신식도질토기문화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ically, The large-sized jar is larger than 50cm and thicker than 0.7cm, which is thicker than short-necked jar and long-necked jar. The color tone of large-sized jar is mainly (dark) blue, and internal component is purple, and it was cleared turning after paddle and anvil. Especially, the large-sized jars burial custo m is different from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and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large tombs. Based on this, large-sized jars and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tradition that dig a hole at the feet of the buried person and set the large-sized jar is unique to the Busan area that has continued from the former early-stlye pottery stage. Although it was temporarily disappearing in the first quarter of the 5th century, and the tradition continues again as Bokcheon-dong tombs No.39, etc. The tradition is finally disappearing around the 6th century. In the lat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Bokcheon-dong tombs. In other words, Busan region, which has traditional combination of “Busan style pottery was found to have different pottery styles from other regions.

      • KCI등재

        가야사에서 복천동고분군의 위상과 역할

        김두철 ( Kim Doo-chul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부산 복천동고분군은 고대에는 수영만을 앞에 둔 해상왕국으로서 김해 대성동고분군과 함께 전기가야의 중심지이자 맹주국의 묘역이었다. 하지만 기록에도 전하며 다소 우월하였던 김해세력의 그늘에 가려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측면이 강하다. 고구려군 남정 이후 5세기 전반대에 후기가야에 들어서는 영남지역의 신문물 창달에 가장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후 5세기 후반대에 빛을 보게되는 신라 귀족문화의 밑거름이 되면서 그것에 묻혀 역시 주목을 받지 못하고 더러는 신라문화에 편입된 것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론을 바로 잡기 위하여 본고가 기획되었다. 필자의 기존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가야사에서의 복천동고분군의 실제 위상과 가야와 신라의 성장과정에 끼친 영향력과 역할을 재평가하였다. 그 결과, 4세기대(전기가야)의 복천동고분군의 피장자 집단은 김해 대성동고분군과 함께 묘제나 부장품인 토기를 통해 알 수 있는 공통의 제의를 행하면서도 엄연히 이질적 집단이었다. 대성동고분군의 지배자 집단이 외래적 성격이 강하다면 복천동고분군은 토착사회에 기반한 안정된 집단으로서 결국 전기가야는 외래집단인 대성동고분군과 토착집단인 복천동고분군의 연합에 의해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양 집단에게는 공통성과 이질성의 양면이 상존한다. 5세기대(전환기와 후기가야)의 복천동고분군 집단은 사회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며 새로운 묘제나 유물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이후 고총고분시대의 후기가야와 신라 문화의 성립뿐만 아니라 왜의 고분시대 중기문화 성립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5세기 후반대 이후는 세력이 약화되지만 연산동고분군과 함께 가야 세력의 일원으로서 그 역할을 이어간다. The Bokcheondong Tombs located alongside Suyeong Bay was the centre of the Former Gaya with the Daesungdong Tombs of Gimhae and it was the cemetery of the leader. However, it has been undervalued under the shadow of Gimhae group. After the conquest of Gogurye, it played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new culture in Yeongnam area in the first of the 5th century. With emerging the culture of the Silla nobility in the latter of the 5th century, although it served as a foundation for its growing, but it was upstaged by Silla, and sometimes it was misunderstood that the Bokcheondong Tombs was already incorporated into Silla. This paper was projected to correct this wrong perception. Based on my previous studies, it was revalued that the real status of Bokcheondong Tombs and its influence and role in developing Gaya and Silla. As a result, although holding a common religious ceremony, but the buried leaders in Bokcheondong Tombs were different from them of Daesungdong Tombs in the 4th century. The leaders of Daesungdong Tombs had got strong foreign character, but the group of Bokcheondong Tombs was stable group based on the native society. These two group were united into Former Gaya, community and difference coexisted in two groups. In the 5th century (the transition period and the Latter Gaya), the group of Bokcheondong Tombs adapted to the social change and created new type of tomb and artifact. It influenced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Latter Gaya and Silla as well as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middle Gohun Period in Japan. In the latter of the 5th century, it lost its strength but played a role as a part of Gaya with the group of Yeonsandong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