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한재(保閑齋) 신숙주(申叔舟)의 교유와 한시

        김은정 ( Eun Jeong Kim ) 한국한시학회 2015 韓國漢詩硏究 Vol.23 No.-

        保閑齋 申叔舟(1417~1475, 본관 高靈, 자 泛翁)는 15세기 문학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그런데 당대에 勳業과 文學을 모두 이루었다고 칭송받은 그였지만, 癸酉靖難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는 정치적인 행보로 인하여 후대에는 온당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문학적 성과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편이다. 본고는 신숙주의 문학적 면모 가운데 교유의 양상을 드러내는 시작품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극적인 그의 인생에서 교유의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서이다. 신숙주의 초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賜暇讀書를 함께 한 문인들이다. 集賢殿에서 한글 창제와 杜詩 纂註에 함께 참여하였던 인물들은 단순한 벗이 아닌 동료들이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신숙주는 成三問과 많은 시를 주고받았는데, 이들 대부분은 1445년에 요양을 세 차례 방문하면서 제작한 것이었다. 특히 그 여정이 韻書를 질문하기 위한 것이었음과, 수창시에 다량의 두보 차운시가 포함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두 사람이 세종의 문자와 문학 정책을 가장 잘 이해한 실무자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신숙주는 세종조의 어문정책 실무자로서 성삼문과 깊은 교유를 하였다 하겠다. 계유정난 이후 신숙주는 그 주역인 韓明澮 등과 친밀히 지내어서, 그들과 주고받은 교유시가 많다. 그 중에서도 權擥과 가장 가깝게 지냈다. 신숙주가 자신이 물려받은 官學의 정통임을 상징하는 犀帶詩卷을 권람에게 전해준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즉 서대시권의 전승은 座主-門生 관계로서 권람을 인정한 것이다. 이는 권람이 시학과 역사에 남다른 식견을 가지고 있었던바, 신숙주는 그를 관료문인으로서뿐만 아니라 학술적으로도 깊이 인정하였다고 하겠다. 그들이 주고받은 시편에서 서로를 허여한 마음을 읽을 수 있다. 그런데 詩僧 一菴은 생애의 전기와 후기로 나뉘는 신숙주의 교유에서 공통되게 등장한다. 신숙주는 말년에 초년의 교유를 기억하게 하는 일암과 수많은 시를 주고받았다. 처음 일암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이 그가 詩律에 밝았기 때문이었는데, 같은 이유로 일암과 교유한 문인들이 많았다. 그래서 신숙주는 일암을 통해 말년에 姜希顔 형제, 徐居正 등과 시문을 주고 받을 수 있었다. 즉 일암을 매개로 시율을 즐기는 교유가 있었다고 하겠다. Bohanjae(保閑齋) Sin-Sukju(申叔舟, 1417~1475) achieved at academics, and literature in Josun(朝鮮) of 15th century. But his political moves disturbed his fair assessment. This paper researched his companionship and poetic literatures of social intercourse. Sin-Sukju played important roles with Sung-Sammun(成三問, 1418~1456) in making hangul and compiling Chanjubunryudusi(纂註分類杜詩) which was book of adding and categorization annotation about Dufu(杜甫) poetry. They were the brains of language and literature planning in the age of Sejong. And they composed many poetic literatures of social intercourse. However, Sin-Sukju associated with Kwon-Ram(權擥, 1416~1465) after Kaeyujungnan(癸酉靖難, 1453) by which King Sejo seized power. He thought himself as the main line of national school, and considered Kwon-Ram as successor, so passed on water buffalo belt and scroll of main line of national school. Like this, the companionship of Sin-Sukju wa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alf. Meanwhile, he associated with Ilam(一菴) through all the time, who was buddhist monk having profound knowledge of metrics. And Sin-Sukju keep company with many literary men by Ilam.

      • KCI등재

        <신숙주 부인 일화>의 소환과 역사적 사실의 ‘이야기 만들기’

        권순긍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2

        <Shin Suk-Ju's Wife Episode> tells us what is wrong with the past history by dramatically contrasting the wife's suicide attempt and her husband Shin Suk-Ju's political treachery. During the bloody years of historical whirlwind from Kyeyu-jeongran to the affair of restoring King Danjong, it was almost impossible to talk about the history. However, the episode was meant to be a challenge against such social belief. It does not really matter whether the affair took place in Kyeyu-jeongran [<Seongongshiksorok>], in King Danjong's abdication [oral transmission], or in the time of Six Martyred Courtiers' deaths in jail [<Songwajapki>, <Yenryoshilkisul>]. Rather the episode sought to be a fake story-telling by designating different time scales. In fact, the writer's major intention of <Shin Suk-Ju's Wife Episode> is to demonstrate the cause for which she is even willing to throw her own life. By mentioning the execution of the six faithful courtiers, the episode made the betrayers like Shih Suk-ju feel greatly ashamed of themselves. For that reason, <Shin Suk-Ju's Wife Episode> was a clear attempt to excuse and restore the history, in which historical records were regarded as only those of the winners. The seed of this episode came to sprou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s modern versions appeared in various forms of recalled works including <Mok maynin Yeja (Hanging Woman)> by Park Jong-Wha. By that time, oral transmissions were no longer necessary, but only recorded works received the real attention of readers. In order to clearly testify the treachery of Shin Suk-Ju, the story revealed his intimate relationship with Seong Sam-Moon and his eight sons for further explanations. Unlike reality, his wife Yoon took a very firm attitude in rebuking and even spitting to her husband. She ultimately hanged herself or took poisonous medicine so that she labelled her husband's treachery unquestionably unforgivable. The reality of the colonial rule, in which renegades enjoyed prosperity, brought up such a story. <신숙주 부인 일화>는 변절한 신숙주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부인의 자결기도를 통해 지나간 ‘역사’에서 무엇이 잘못 됐는가를 얘기하고 있다. 계유정란(癸酉靖難)에서 단종복위 사건에 이르기까지 피 비린내 나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감히 ‘역사’에 대하여 거론할 수 없었던 시대에 신숙주 부인을 통해 그 ‘역사’의 횡포에 맞서는 이야기를 만들었던 것이다. 그 사건이 계유정란 당시에 있었던 일인지[<惺翁識小錄>의 기록], 단종 선위(禪位) 때에 일어나 미담으로 전하는 일인지[구비전승], 단종복위 사건의 실패로 사육신이 옥사를 치를 때 벌어진 일인지[『松窩雜說』‧『燃藜室記述』의 기록]의 사실성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그 이야기가 거짓이라고 말함으로써 진실을 위장하는 수법을 취했다. <신숙주 부인 일화>에서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말하려고 한 것은 연약한 여자의 몸으로 그 부당한 ‘역사’에 대해 자결을 시도하려하여 대의명분을 밝혔다는 점이다. 사육신의 처형을 거론하여 신숙주와 같이 권력을 쫓는 사대부들을 부끄럽게 만들었던 것이다. <신숙주 부인 일화>는 승자의 역사로 기록되어 감히 거론하는 것조차 불가능한 시대에 짧은 일화를 통해 거세된 역사에 대하여 변명하고 복원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일제 식민지시대를 맞아 그 이야기의 씨는 다시 발아했다. 근대작가들에 의해 소환되고 가공되어 박종화의 <목 매이는 여자>를 비롯한 다양한 작품들이 나타난 것이다. 이미 그때는 역사에 대한 금기가 풀려 구비전승의 ‘소멸되는 말’들이 아닌 기록된 작품들로 나타나게 되었다. 신숙주의 ‘변절’을 분명히 증거하기 위해 성삼문과의 친밀한 관계가 드러나고,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여덟 명의 자식들이 등장했으며, 여기에 대응하는 윤부인의 태도도 실제와 다르게 강경하여 꾸짖는 것은 물론 침까지 뱉을 정도로 극단적이며 결국에는 목을 매거나 약을 먹고 자결함으로써 신숙주의 변절을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사실로 만들었다. 변절자가 득세하는 식민지 시대의 현실이 이야기를 그렇게 만든 것이다. <신숙주 부인 일화>가 시대를 증거하는 불씨가 되고 당대를 성찰하는 이야기로 다시 살아난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전기 격동기 신숙주의 정치적 역할과 그 의미

        신병주(Shin, Byung-ju)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0 동국사학 Vol.68 No.-

        세조는 왕이 된 후 집권의 명분과 도덕성의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민본정치, 부국강병책, 왕권의 재확립과 『경국대전』이나 『동국통감』과 같은 학술, 문화정비 사업에 진력을 다하였고, 이것은 세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요인이 된다. 세조가 법주사, 상원사 등에 잦은 행차를 한 것 또한 왕권 강화와 민심 수습의 목적이 담겨 있었다. 세조에 대한 평가 기준에 따라 신숙주의 평가는 달라진다. 세조대에 확립된 왕권 강화와 정치적 기반은 성종대에 이르러 조선 전기 정치, 문화를 완성할 수 있는원동력이 되었고, 이러한 업적의 중심에 신숙주가 있었다. 세조 집권 후에 신숙주는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거쳐 1466년 영의정에 올라 세조를 적극적으로 보좌했다. 신숙주에 대한 세조의 총애는 신숙주를 나의 智將이라 일컫고, 나의 魏徵이라 하면서, 사관으로 하여금 이 말을 기록하도록 한 사례에서 잘 나타난다. 외교관으로서의 역량은 『해동제국기』의 저술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조선 전기 정치적 안정이 필요한 격동기에 신숙주는 세조가 추구한 중앙 집권과 왕권 강화, 민생 안정과 국방 강화 등의 정책 실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수양대군 시절부터 맺은 깊은 인연과 세조라는 왕에 대한 믿음이 이를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조선이라는 나라가 초기의 정치적 격동기를 잘 극복하고 빠른 기간 내에 정치적, 문화적으로 튼튼한 기반을 형성한 바탕에 신숙주와 같은 뛰어난 관료학자가 존재했음을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다. After becoming the new king, Sejo employed certain pro-public policies while also launching institutions designed to enhance the government’s fiscal situation as well as the integrity of the military. By doing so he intended to solidify his leadership, and spawn by such intentions were also several legal or historical publication projects which led to the compilation of Gyeong’guk Daejeon and Dong’guk Tong’gam. This was all to legitimize his own enthronement and overcome his own immoral image, and these efforts eventually paid off, as they contributed to the bettering of Sejo’s overall image. He also frequently visited Buddhist monasteries like Beobju-sa and Sang’weon-sa, in order to appease the people and enhance his authority at the same time. The evaluation of Shin Suk-ju varies depending on what kind of criteria is (or was) used, and many opinions on King Sejo were (and are) reflected in the opinions on Shin. The king’s strengthened ruling authority not to mention accumulated political capital for the government in general was ultimately what enabled all kinds of political and cultural accomplishment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Shin Suk-ju was an integral part of King Sejo’s rule which set off the entire process. After Sejo took over the throne, Shin served the government as the Minister of Military Affairs as well as the Right Chancellor. In 1466, he became the Central Chancellor and continued to serve Sejo faithfully. Sejo explicitly trusted him to the extent of calling him his most trusted and wise advisor(智將), and virtually on the level of the renowned Chinese figure Wi Jing(魏徵). He even ordered the official historian to write that down in the Official Annals. Also he wrote 『Haedongjegookgi(海東諸國紀)』. During the turbulent times of Joseon’s early years, political stability was what the government most needed, and Shin Suk-ju played the most instrumental part in all sorts of policies conceived for that en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authority, reinforced leadership of the king, comforted population and upgraded dynastic defense. Probably, the fact that Shin had already been acquainted with Sejo from the old days when Sejo was still Su’yang Daegun, and that he wholeheartedly believed in him, made this all possible. Shin Suk-ju was indeed one of the most dignified talents, an academician/governmental official, who enabled Joseon to overcome the initial confusions and mistakes and to create a politically and culturally stable platform for future prosperity that would last for centuries to come.

      • KCI등재

        회화사(繪畵史)의 관점에서 보는 신숙주(申叔舟)의 시문 ― 『화기(畵記)』와 제화시문(題畵詩文)를 중심으로 ―

        고연희 ( Kho Youenhee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申叔舟(1417-1475)가 그림에 부친 題畵詩文, 또한 安平大君소장품을 기록한 유일한 글 「畵記」를 통해서 15세기 조선의 회화사 및 동아시아 회화사에서 看過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신숙주는 세종~성종대를 거치며 문예활동에 참여했고, 박식한 학식과 체계적 사유로 유가적 도덕관을 지향하면서 문예이론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의 글을 통하여 15세기 조선에 입수되어 있던 중국회화의 양상, 조선시대 관료문인들에게 감상된 15세기 화가의 작품세계 및 회화이론 등을 풍부하고도 핵심적으로 살필 수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부터 유입되고 형성된 중국회화에 대한 이해가 조선의 취향과 가치관으로 재형성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安平大君의 회화수집이 이루어졌고, 安堅은 北宋代山水畵風뿐 아니라 元代의 雲山圖및 화초그림에도 두루 능한 화가로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안견은 수묵 위에 金泥와 朱砂로 부분을 설채하는 특이한 기법을 운용하여 산수화를 제작했고 ‘안평대군 25세 초상’도 그렸다. 한편 문인화가 姜希?은 花木을 잘 그린 화가로 인정되고 있었다. 15세기 회화제작양상을 보면, 활발한 병풍 제작, 충성심과 도덕적 강개를 주제로 하는 고사인물화, 시신을 묘사하여 초본을 완성하였던 초상화 제작의 사례, 童子의 존재를 부각하는 조선시대 회화의 특성, 새 왕조의 창업을 기리고 군신간의 화목을 전달하고자 한 당시 왕실의 회화제작양상을 두루 살필 수 있다. 신숙주의 회화론은 조선전기 회화론의 요체를 보여준다. 그는 고려후기 문인들이 제시한 文以載道의 문예관을 지향하면서 詩畵의 功能을 이론화하였다. 신숙주는 詩畵가 동등하게 사물의 이치를 전달하고 박식하게 한다고 하여 회화의 가치를 높여주었고, 감상의 측면에서는 靑山白雲圖에 대한 철학적 사색, 夢遊桃源圖에 대한 유가적·현실적 의미화, 瀟湘八景圖의 윤리성에 입각한 悲感의 감상 등, 현실적 이성적 감상을 이끌었으며, 개인적 감상의 표현에도 가슴 속 湖海를 펼쳐 맑은(淸)마음이 되도록 하는 자기수양의 현실적 효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선의 유가적 도가적 회화관을 정립하였다. Sin Sukju(ca.1417-1475)’s literary works related to paintings are illuminating the lost paintings and practice of painters in the fifteenth century of Joseon like below. An Gyeon(act. ca. 1440-1470), the most successful court-painter, was good at the landscape paintings in the both styles of Song and Yuan China, his special technic of partially using gold and red color on the ink painting of landscape, and his capability of portrait such as the Portrait of Prince Anpyeong(ca.1418-1543). Kang Huian, the well-known literati-painter of early Joseon, was recognized as painter of plant-painting at that time. Figure paintings depicted historical people who invoke righteous wrath. For a portrait in the court, painters described the dead figure just after his death. There were various political paintings and developed technic of making folding screen painting at that time. Hwagi, the only record on paintings collected by the prince Anpyeong, a son of King Sejong, shows that Guo xi’s works of the Song China was the most favored and that cloud mountain painted in the Yuan dynasty was beloved, too. Hwagi also tells that colorful paintings of birds and flowers and the ink paintings of orchid, bamboo and plum blossom during the Yuan flowed into Joseon. Angyeon’s works reflected the Chinese paintings of the Song and the Yuan recorded at Hwagi. The documents produced after Hwagi followed Sin’s way of seeing and understanding especially about Chinese painting. Through his literary documents, Sin explains the value of painting and the way of appreciation. According to Sin’s theory, paintings may help viewers to see this world like poem and change scholar’s mind wide, clean and righteous. Sin’s literary works about paintings are crucially helpful to making the painting-history of the fifteenth century because the paintings were mostly lost in the coup d'tat when the prince Anpyeong was ousted and the long wars in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 KCI등재

        신숙주, 충 · 불충을 다시보다

        나천수(羅千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4 No.-

        신숙주는 세간 사람들에게 변절자의 대명사처럼 인식되고, 그동안 우리나라 소설이나 TV 드라마에서도 단종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변절자로 묘사되었다. 그 이유는 남효온이 지은「육신전」에서 단종의 편에 서지 않았다는 말 한마디 때문이다. 또 남효온의「육신전」을 단초로 일제 강점기 이후부터 조선인의 혼을 폄하하는 차원에서 신숙주를 변절의 대명사로 소설, 영화, TV드라마에서 등장케 하였다. 과연 신숙주는 변절자인지 궁금하다. 논자는 최초 신숙주를 폄하하는 글을 쓴 남효온의『추강집』 속에 수록된「육신전」을 살펴보던 중에, 1576년 선조 때 발견되어 경연에서 육신전에 대한 잘못된 점을 선조가 열거하면서 질타하였는데, 현재 세간에서 볼 수 있는『추강집』에는 1577년에 간행된 것으로 이 재간본에는 선조가 잘못되었다고 지적한 부분이 모두 삭제 된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선조가 발견한 추강집의 오류는 초간본에서의 오류를 지적한 것이다. 그리하여 선조가 지적한 부분을 모두 개작하여 재간된 간행본이 현재 세간에 발견된『추강집』이므로 이를 위작이 아닐까 반문해 보는 것이다. 한편 신숙주의 충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은 그가 저술한『해동제국기』라고 논자는 주장한다. 세종의 명을 받아 일본을 다녀온 사행보고서는『세종실록』102권[1443년(세종25년) 10월13일]자 기사에 분명히 ‘일본국(日本國)에 갔던 통신사 변효문(卞孝文)이 돌아와 경상도 옥포(玉浦)에 이르러 치계(馳啓)하기를’ 란 기록으로 보아 사행보고서는 이미 세종 때에 보고한 것이다. 그로부터 28년 후인 성종 때 사행 보고서로 『해동제국기』를 썼다는 말은 맞지 않은 것이다. 또한『 해동제국기』 서문에는 사행 보고서와는 전혀 무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그것은 왕이 지녀야할 덕목을 열거해 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착안하여 왜『 해동제국기』를 썼느냐에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함으로 신숙주의 충(忠)의 단면을 밝혀 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yalty of Shin Suk-ju who has been recognized by many as a traitor and has long been described as such in Korean novels or dramas for not supporting King Danjong. This was largely due to『Yuk-Sin-Jeon』 by Nam Hyo-on where he commented that Shin Suk-ju did not stand by King Danjong’s side. Shin Suk-ju became a byword for betrayer as motivated by『Yuk-Sin-Jeon』 and frequently appeared in a novel, movie or TV drama in order to disparage the spirit of the Joseon people. When King Seonjo discovered『Yuk-Sin-Jeon』 in 1576, he criticized its errors at Gyeongyeon.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all the errors King Seonjo pointed out were deleted from『Yuk-Sin-Jeon』 published in 1577, the only publication discovered to the current generation as part of Chu-Gang-Jip. If what was criticized in the first publication were all adapted and re-published, the book can be considered as a forgery. Meanwhile, Shin Suk-ju’s loyalty to the King can be found in his book Haedong Chegukki where he enumerated virtues for a king to keep. According to volume 102 of Sejong Chronicles, it was evident that a private report by Byun Hyo-mun to King Sejong after he came back from Japan was repor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refore, it does not make sense to say Haedong Chegukki was written as a private report 28 years la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ngjo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loses loyal aspect of Shin Suk-ju by reviewing Haedong Chegukki.

      • KCI등재

        申叔舟의 對日 관찰과 기록 -『海東諸國記』를 중심으로

        나려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고전과 해석 Vol.8 No.-

        申叔舟는 1417년 6월생으로 자는 泛翁, 호는 希賢堂ㆍ保閑齋이며 慶尙道高靈縣사람이다. 그는 경사에 두루 통달하고 시문에 능했으며 문집으로 『保閑齋集』이 있다. 聲韻學에 조예가 깊었고 世宗때 訓民正音창제에 참여하여 한글 字母를 제정하였으며 『t洪武正韻訓釋』, 『四聲通考』, 『東國正韻』등을 편찬하였다. 군사 문제에도 관심이 있어 『兵政』ㆍ『兵將說』ㆍ『北征錄』등을 저술하였고, 외교에도 수완이 뛰어나 1441년 書狀官으로 正使卞孝文, 副使尹仁甫를 따라 일본 교토(京都)에 다녀왔다. 『海東諸國記』는 일본에 대한 申叔舟의 관찰과 그 기록의 집대성이다. 이 책은 15세기 일본의 정치ㆍ사회ㆍ풍속ㆍ지리를 전면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가장 상세히 기록해 놓았다. 이 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申叔舟의 대일 관찰과 朝日양국의 외교 실정을 이해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 책의 撰修過程과 日本國紀, 孤草釣魚禁約등 세 부분의 고찰을 통해 申叔舟의 대일 인식에 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Hae Dong Che Guk ki” records only Japan and the Ryukyu Islands. Japan occupies ninety-seven percent of the books. It also contains six maps and from them one apprehends the extent of concern the Koreans had on the Tushima and Iki islands Japanese world knowledge and Korea’s, Japan‘s, Ryukyu’s awareness of the East Asian region in the fifteenth century. This book has comprehensive observations on Japan's politics, society, customs and geography. Moreover it is the most detailed history document on Japan and Korea’s foreign diplomacy in the fifteenth century.

      • KCI등재

        申叔舟의 爲國愛民 樣相과 漢詩 硏究

        김영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8 No.-

        Shin-sook-joo(申叔舟:from 1417 to 1475, Pen Name:Bohanjae:保閑齋) is a subject who served from Sejong(世宗:4th King) up to Sungjong(成宗:9th King)’s tenure. Sejong appreciated his ability and another king Sejo(世祖) assigned him to a important post. At the early Chosun dynasty due to non-primogeniture succession(from Jungjong<定宗>, Taejong<太宗> to Sejong the royal authority was not stable. From Sejong’s tenure his primogeniture succeeded to the throne and the royal authority looked stable for a while. But due to short tenure(27 months) his first son Danjong(端宗) succeeded to the throne when he was only 12 years old. The Royal family and retainers had continuous conflicts on the way of government operation and Gye-Yoo coop(癸酉靖 亂) took place in 1453 by Soo-yang-dae-goon(Sejo). Danjong yielded his king position to him in the end. Gye-Yoo coop separated scholars into two groups. One was upholding a cause and the other one was pursuing the reality. After a while there was a try to restore the Danjong’s king position and authority. The loyalty of Sa-yook-shin(死六臣:six members to support this try even sacrificing their lives) and the defection of the other group has become a main important historical topic that last for a long time. Sejo said “They(the six members) are treacherous subject at these days and will be loyal subjects in the later time”. This became an evidence that led to the restoration of Danjong’s original(King) position. Even though he was suffered under the nickname of ‘betrayer’ but I think that we can not disregard all of his performance only due to this. The choice can differ per each contemporary situation and personal values. We analyze his chinese poems into three main topics. 1) He desired the timing that wise king and good subject meet and work together. 2) He was very self-confident for his work and had good power to foresee the future. 3) He went through the ‘Li-shi-Ae’s coop(李施愛亂) and politics by the Confucians during Sung-jong’s tenure. This made him felt skeptical about the performance that he achieved and the frailty of life. It is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that we reconstruct who he really was through tracking the historic records about him. 保閑齋 申叔舟(1417~1475)는 세종부터 성종까지 6대를 섬긴 인물이다. 그는 세종으로부터 능력을 인정받았고, 세조에 의해 중용된 인물이다. 조선 초기 왕위 계승이 嫡長子가 아닌 定宗·太宗·世宗으로 이어졌고, 세종에 이어 文宗이 적장자로 왕위를 계승하면서 안정되는 듯하였으나, 2년 3개월의 짧은 재위기간으로 인해端宗이 문종의 장남으로 12살의 나이에 왕위에 오른다. 宗室과 대신들 간에 국정운영 방식의 이견으로 갈등하다가 首陽大君이 癸酉靖難(1453)을 일으켰고, 단종이 世祖에게 禪位의 형식으로 왕위를 내어준다. 계유정난은집현전 출신 학사들을 명분과 현실 추구의 두 파로 갈라놓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후 端宗復位사건으로 명분을선택한 死六臣의 忠節논의와 현실을 선택한 이들의 變節논의가 역사에 중요한 화두로 남는다. 肅宗대에 와서 단종의 복위가 이루어지는 端初는 세조의 ‘當代의 亂臣이요, 後世의 忠臣’이라는 말이었다. 보한재는 변절자라는 불명예에 시달린 인물이었지만 일방적으로 매도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시대상황과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선택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보한재는 學問에 대한 열정이 뛰어났고, 또한 中庸의 처신으로 자신을 절제한 인물이다. 國政에 임해서는 각 분야에 정통해 직무에 대한 강한 自矜 心을 지녔다. 語學에 뛰어나고 외교와 국방의 현안에 대해 멀리 내다보는 叡智力을 갖추고 대비하였다. 事大와交隣, 懷柔와 羈縻를 적절히 구사한 그는 특히 對日외교에서 고려시대의 鄭夢周와 함께 일본에서도 그의 능력을 인정한 인물이었다. 보한재의 내면을 그의 漢詩 작품을 통해 분석했다. 1) 그는 明良相遇의 時運을 희구한 인물이었다. 2) 職務 에 대한 자긍심이 강하고 예지력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3) 보한재는 李施愛의 난을 겪고 성종의 士林政治를보면서 功業에 대한 회의와 인생무상을 토로한다. 보한재의 모습을 추적하면서 功過를 통해 그의 본 모습을재구하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제이다.

      • KCI등재

        신숙주의 ‘내수(內修)외교론’ 연구

        박현모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7 No.1

        신숙주는 이예(李藝)와 더불어 15세기 조선 외교의 대표 인물이다. 이예는 15세기 전반부를, 신숙주는 후반부의 대일(對日)외교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신숙주는 16차례 가량 일본과 명나라와 여진족 거주 지역을 오가며 외교와 전쟁의 임무를 수행했는데, 그의 이런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조선은 만주 일대의 질서유지 국가로서 위상을 정립했다. 그뿐 아니라 조선은 일본과는 교린관계, 즉 대마도주에게 재량권을 위임하는 방식으로 조 ․ 일 통교체제를 정비해 동북아 평화질서를 수립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신숙주가 펼친 외교활동을 그가 말하는 ‘내수(內修)외교’의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그가 일본과 여진 부족을 상대로 기울인 외교노력의 결과, 세종의 ‘신뢰기반 교린 원칙’, 즉 동북아의 질서 유지에 협조하는 세력에게는 은혜를 베풀되, 도발 세력에 대해서는 무력으로 확실히 제압하는 은위(恩威) 병행외교 방침이 세조시대에 들어 복원되었다. 그가 주로 활동한 세조시대에 일본과 여진, 그리고 유구 지역의 사람들까지도 빈번히 조공외교를 원하는이른바 ‘조선견사(朝鮮遣使) 붐’이 일어난 것은 그러한 외교 노력의 성과라할 수 있다.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유통과 조·중·일 관계

        허지은(Her Ji E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2

        『해동제국기』는 신숙주가 역사, 지리, 풍속, 사신왕래의 연혁, 사신접대의 규정에 관한 舊禮를 찬술한 것이다. 신숙주는 1443년에 통신사의 서장관으로 직접 일본에 다녀온 경험과, 오랫동안 예조판서로 있으면서 축적한 외교경험을 바탕으로 조선과 일본의 과거 典籍을 참고로 하여 『해동제국기』를 완성하였다. 1471년 『해동제국기』가 편찬된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지리, 환경, 일본인의 혈통을 파악하는데 『해동제국기』가 기본자료가 되었으며, 일본과 류큐왕국 등 외국에 대한 접대 의례의 기준이 되고 있었기 때문에 북방 야인들에 관한 책자를 만드는데 있어서도 그 참고자료로서 이용되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일본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게 되면 기존의 『해동제국기』 내용에 첨부해 가는 방식으로 내용을 보완해 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신접대와 관련하여서는 당시의 상황을 반영하여 조정해야 한다고 하는 등 그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았고 이견도 많았다. 또한 임진왜란 시기 『해동제국기』는 명나라의 정응태가 조선을 참소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정무를 중단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함으로써 조선을 무고했던 것으로 결론이 났다. 이후 명나라를 의식하여 조선에서는 『해동제국기』의 유통이 활발하지 않았다. 한편 청대 중국에서는 『해동제국기』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유통이 이루어져 일본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의 원활한 외교・무역 관계의 유지를 위해 그리고 조선이 일본관련 정보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해동제국기』가 유통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현재 『해동제국기』의 판본은 한국보다 일본에 더 많이 남아 있다. Hedongjegukgi (海東諸國紀) written by Shinsuk-ju (申叔舟), was a literature that delivered some practical knowledges on Japan including its history, geography, custom, envoy exchanges, and traditional etiquettes on envoy reception. Shinsuk-ju completed this volume based on his experiences to visit Japan as Seojanggwan (書狀官, Document Officer) of Joseon Tongshinsa (Envoy) in 1443, and long-term diplomatic practices as Yejopanseo (th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referring to prior literature on Joseon and Japan. Since Hedongjegukgi was published in 1471, it had been used as a basic reference to understand the geography, environments, and ancestry of Japan. Hedongjegukgi was also referred by those who worked for literatures on wild groups in northern regions as it provided the guidelines of reception for foreign countries like the Kingdom of Rhykyu, and its content kept being added when new information on Japan was collected. As time went by, however, skepticism or different opinions for some parts of Hedongjegukgi were growing, for instance, with the idea that envoy reception should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situational context. In addition, Ding Yingtai (丁應泰)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brought a charge against Joseon to the emperor based on the content of Hedongjegukgi. Joseon took a bold reaction against it by suspending all political affairs and finally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a false charge. This event made the circulation of Hedongjegukgi less active in Joseon. While it was difficult to have a copy of Hedongjegukgi during the Qing Dynasty in China, it was still circulated and was utilized as a source to understand Japan. Furthermore, Japan also needed to grasp the content of Hedongjegukgi to maintain the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with Joseon recover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mjinwaeran) because Joseon used it as the guidelines for trade with Japan, and also to see to what extent Joseon understood about Japan. For those reasons, more printings of Hedongjegukgi are remained in Japan than in Korea at present.

      • KCI등재후보

        申叔舟의 對日 관찰과 기록-『海東諸國記』를 중심으로-

        羅麗馨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고전과 해석 Vol.8 No.-

        “Hae Dong Che Guk ki” records only Japan and the Ryukyu Islands. Japan occupies ninety-seven percent of the books. It also contains six maps and from them one apprehends the extent of concern the Koreans had on the Tushima and Iki islands; Japanese world knowledge and Korea’s, Japan‘s, Ryukyu’s awareness of the East Asian region in the fifteenth century. This book has comprehensive observations on Japan's politics, society, customs and geography. Moreover it is the most detailed history document on Japan and Korea’s foreign diplomacy in the fifteenth century. 申叔舟는 1417년 6월생으로 자는 泛翁, 호는 希賢堂ㆍ保閑齋이며 慶尙道 高靈縣 사람이다. 그는 경사에 두루 통달하고 시문에 능했으며 문집으로 『保閑齋集』이 있다. 聲韻學에 조예가 깊었고 世宗 때 訓民正音 창제에 참여하여 한글 字母를 제정하였으며 『洪武正韻訓釋』, 『四聲通考』, 『東國正韻』 등을 편찬하였다. 군사 문제에도 관심이 있어 『兵政』ㆍ『兵將說』ㆍ『北征錄』등을 저술하였고, 외교에도 수완이 뛰어나 1441년 書狀官으로 正使 卞孝文, 副使 尹仁甫를 따라 일본 교토(京都)에 다녀왔다. 『海東諸國記』는 일본에 대한 申叔舟의 관찰과 그 기록의 집대성이다. 이 책은 15세기 일본의 정치ㆍ사회ㆍ풍속ㆍ지리를 전면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가장 상세히 기록해 놓았다. 이 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申叔舟의 대일 관찰과 朝日 양국의 외교 실정을 이해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 책의 撰修過程과 日本國紀, 孤草釣魚禁約 등 세 부분의 고찰을 통해 申叔舟의 대일 인식에 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