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 전쟁기 조선신문회의 조직과 활동

        정혜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5

        In May 1942 Chosun Newspapers Association(朝鮮新聞會) organized in the colonial Chosun. The Chosun Newspaper Association was reorganized the Chosun Chunchuhoi(朝鮮春秋會). Its goal was to promote smooth cooperation from the press under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in Wartime Chosun Chunchuhoi developed an activity of reducing newspap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led economy policy under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in Wartime and engaged in propaganda activities to support the system. In addition, it held national mass conventions that encourage the war against Western powers and formed organizations. After Japanese Imperialism entered the Asia-Pacific War, implemented Administrative unification and simplification within the empire. This also applies to colonized Chosun. As part of this, after the Japan Newspapers Association(日本新聞會) was created in Japan, the Chosun Newspaper Association was also created.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Chosun Newspaper Association, the Chosun Newspaper Association seems to be a much stronger media control organization than the Chosun Chunchuhoi Guidance on the maintenance of the newspaper business, registration and training of journalists, procurement and distribution of newspaper materials, investigation and research for improving newspapers, commendation of meritorious persons etc, Chosun Newspapers Association advocated control over the entire newspaper business. However, the biggest essence of the Chosun Newspapers Association was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with Japan(contact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and the Japanese Newspaper Association) and cooperation with colonial administrative authorities (instr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e Chosun Newspaper Association advocated a strong media organization, but its actual activities were an extension of the Chosun Chunchuhoi. In other words, cooperation with General Mobilization Sysem in Wartime, propaganda activities, and newspaper reduction were the main activities. Other activities were not noticeabl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cale of activities was rather reduced than that of the Chosun Chunchuhoi.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Chosun Newspaper Association, colonial administrative authorities, including Japanese Imperialism, seem to have devised a unified media organization between Japan and Chosun to carry out the war during the Asia-Pacific War. However, it seems that this could not be realized due to the prolonged war and worsening war situation. 1942년5월 식민지 조선에 조선신문회(朝鮮新聞會)가 조직되었다. 조선신문회는 1938년 2월 만들어진 조선춘추회(朝鮮春秋會)가 개편된 조직이었다. 조선춘추회는 전쟁동원과 선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론 연합체로 전쟁 선전 활동을 펼치면서 전시총동원체제 하 통제경제 정책에 부합하여 신문지 감면 활동도 시행하였다. 또한 서구열강과의 전쟁을 부추기는 대규모 국민대회를 개최하고 단체를 결성하였다. 일제는 아시아태평양 전쟁으로 돌입한 뒤 제국 내 행정일원화와 간소화를 시행하였다. 이는 식민지 조선에도 적용되었으며 그 일환으로 일본에서 일본신문회가 만들어지고 난 후 조선신문회도 만들어졌다. 조선신문회의 규약에 따르면, 조선춘추회보다 훨씬 더 강력한 언론 통제 조직으로 보인다. 신문사업 정비 지도, 신문기자 등록 및 양성, 신문용 자재 조달과 배급, 신문 사업 향상에 필요한 조사와 연구, 신문공로자 표창 등 신문사업 전반에 대한 통제를 표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신문회는 강력한 언론 기구를 표방하였으나 실제 활동은 조선춘추회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즉, 전시총동원체제에 대한 협력과 선전 활동, 신문지 감면이 주된 활동이었으며 그 외의 활동은 눈에 띄지 않을뿐더러 조선춘추회보다 활동 규모는 오히려 축소된 것으로 확인된다. 조선신문회 다른 규약 내용으로 보아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을 비롯한 식민지 행정당국은 전쟁 수행을 위해 일본과 조선 간, 조선 내 언론기구 간 일원화된 언론 기구를 구상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조선신문회 개편의 본질은 규약에서 직접 드러낸 바와 같이 일본과의 행정일원화(관계관청과 일본신문회와의 연락), 식민지행정당국에 대한 협조(조선총독으로부터 지시한 상황)에 있었다. 그러나 전쟁의 장기화와 전황 악화 등 여러 이유로 이를 구현해 낼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정보전달형식의 차이가 뉴스수용행위에 미치는 영향: 조선일보와 조선닷컴을 중심으로

        김무곤 ( Moo Kon Kim ),이태훈 ( Tae Hoon Lee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동일한 뉴스를 제공하는 온라인신문과 인쇄신문을 읽는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행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두 매체의 정보전달형식의 차이가 수용자의 메시지 인지와 기억 등 메시지 수용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스 메시지를 인지하고 기억하는 정도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인쇄신문 집단이 온라인신문 집단보다 메시지의 중요도 평가 및 기억 정도가 높았다. 둘째, 기사의 선택, 열독량, 범주 등에 대한 분석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인쇄 신문과 온라인 신문을 읽는 집단 간에 신문을 읽는 순서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하루 동안 읽는 신문의 기사량, 기사의 범주 또한 인쇄 신문을 읽는 집단이 온라인 신문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관심기사의 선택성 또한 인쇄신문 집단이 온라인 신문 집단보다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쇄신문과 온라인신문이라는 정보전달형식의 차이가 동일한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의 기억과 회상의 차이를 가져오는 등 정보수용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reader of printed newspaper and reader of on-line newspaper rooted in printed newspaper according to presentation forma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difference in news recognition and message remembrance. The result consisted of two parts: effect on each group(print newspaper and on-line newspaper), message remembrance, difference in message choice.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remembrance and recall to memory between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printed newspaper`s group was better to recall and remember messages than on-line newspaper`s. It means that printed newspaper still had more effect than on-line newspaper to reader. Second, it was examined that there was difference to choose and read newspaper article. It was found that printed newspaper group read newspaper by liner ways with which readers read newspaper from font page to last page. On the other hand, on-line newspaper group read newspaper by non-liner ways. And printed newspaper`s group was higher than on-line newspaper`s in the amount of reading news. Contrary to hypothesis that on-line newspaper`s readers will be higher than printed newspaper`s to choose and read articles in variety of category, it was found that printed newspaper`s group chose and read more various news article than on-line newspaper`s. Collectively, this study examined how printed newspaper and on-line newspaper rooted in same printing type affect reader`s agenda-setting and message remembrance. This study shows that two 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nd printed newspaper had more effect on newspaper readers than on-line newspaper.

      • KCI등재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의 기사 표제 차이에 관한 연구

        김관규 ( Kwan Kyu Kim ),김진원 ( Jin Won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의 기사표제 유형을 분류하고, 이 두 신문 간에 기사표제 사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그리고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동아닷컴의 기사표제 3,129개를 내용분석을 통해 정해진 기사표제 유목에 분류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 모두에서 관심 유도 형이 정보제공 형보다 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 결과는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 모두 보다 선정적인 제목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두 번째 주요 결과로서 인쇄신문은 독자에게 호소하기 위해 은유적인 기사표제를 선호하는데 반해, 인터넷신문은 이용자의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과장된 제목을 선호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 번째로 주제은폐형 유형이 인쇄신문보다는 인터넷신문에서 많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인터넷신문에서는 이용자를 낚기 위해 의문형과 퀴즈형 같은 낚시형 기사 표제도 사용하였다. 이러한 주제은폐형 유형이 신문의 신뢰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vide headlines of articles on newspapers and online news into several categories, and compare which headline types is favored in them.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ategorize 3,129 headlines of 3 newspaper and 3 online news serv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ttention-attracting headlines were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informative in both newspaper and online news service. That result showed that both news services made their headlines more sensational in other to attract their users` attention. Second, meanwhile newspaper news preferred the metaphorical headlines to appeal periphrastically subscribers. online news preferred the emphasized headlines to lead clicks from users. Third, the subject-hiding headlines Was More frequently used in online news than newspaper news. In particular, in order to hook web users, the editor of online news made up provocative headlines such as question-typed and quiz-typed. We must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ossible negative effect subject-hiding headlines on reliability of newspapers.

      • KCI등재

        구속피의자의 수사기관 조사실 출석의무?

        조기영(Cho, Gi Yeo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42 No.-

        최근 대법원은 ?구속영장 발부에 의하여 적법하게 구금된 피의자가 피의자신문을 위한 출석요구에 응하지 아니하면서 수사기관 조사실에 출석을 거부한다면 수사기관은 그 구속영장의 효력에 의하여 피의자를 조사실로 구인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그 피의자신문 절차는 어디까지나 형사소송법 제199조 제1항 본문, 제200조의 규정에 따른 임의수사의 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피의자는 헌법 제12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244조의3에 따라 일체의 진술을 하지 아니하거나 개개의 질문에 대하여 진술을 거부할 수 있고, 수사기관은 피의자를 신문하기 전에 그와 같은 권리를 알려주어야 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2013. 7. 1. 자 2013모160 결정). 이러한 판례는 구속의 개념에는 구인과 구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구금된 이후 피의자신문을 위한 구인이 가능하다는 종래 검찰실무의 입장(이른바 ‘계속구인설’)과 동일한 맥락에 서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구속영장의 효력을 이유로 구속피의자에게 피의자신문절차를 강제하는 것은 임의수사인 피의자신문을 강제처분으로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독일과는 달리 이에 관한 명문규정이 없는 현행 형사소송법의 해석론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 현행법상 구인은 법률에 정하여진 그 다음 단계의 일정한 소송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신병확보조치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명문규정 없이 피의자신문을 위한 구인을 인정할 수 없다. 구속제도는 기본적으로 피의자의 공판정에의 출석과 형의 집행을 담보하기 위한 것이며, 구속이 간접적으로 수사단계에서의 실체해명을 보장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피의자가 증거를 인멸하거나 증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한 소극적 의미에서이지 피의자신문을 통해 피의자로부터 증거를 확보하는 적극적 의미에서는 아니다. 피의자신문을 위하여 구속피의자를 수사기관 조사실로 인치하는 것은 피의자의 의사에 반하여 영장에 기재되지 않은 장소로 구금 장소를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되어 영장주의 위반의 우려가 있다. 진술거부권의 규범력을 강화하기 위해 출석 및 일체의 진술을 거부하는 구속피의자를 수사기관 조사실로 출석을 강제하는 것은 그 자체가 피의자의 진술거부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적극적인 해석론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설령, 판례의 입장대로 피의자신문을 위한 출석강제와 진술거부권이 양립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이는 무용한 절차를 진행하는 것에 불과하다. 현행법상 수사기관이 출석을 거부하는 구속피의자를 신문할 수 있는 방법은 수사관이 피의자가 구금되어 있는 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접견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을 뿐이다(법 제209조, 제89조). 이때에도 구속피의자가 수사관을 접견할지 여부는 피의자의 자유로운 판단에 맡겨져 있다.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a detained suspect who expressed intention to refuse all investigation of the investigation officer can be taken to a interrogation room of investigative agency by force of a legally issued detention warrant(2013Mo160 decided on July. 1. 2013). This decision can be understood as a official confir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Prosecution Service. But law interpretation of this kind can not be sustained under the current Korean law which do not contains express provision on compulsory summons of investigations authorities. It is not allowed that the investigator take a detained suspect to a interrogation room for the purpose of interrogating a suspect. Because a warrant of detention does not include such a authority of the investigation officer. The function of detention warrant is not eliciting evidence during the period that a suspect is detained, but securing suspect’s attendance at court and execution of the sentence. Taking a detained suspect to interrogation room against his will can be a violation of warrant requirement as a arbitrary change of detention place written in warrant. It is appropriate that such a compulsory summons itself can be accepted as a infringement of suspect’s right to remain silent. Under the current Korean Criminal Procedure the only way to interrogate a detained suspect who refuse to attend at investigation room is to visit a detention place and to request an interview. Of course this request can be refused by a detained suspect.

      • 증인신문 절차 및 기법에 관한 연 구

        김주석 ( Kim Joo-seok ),김정환 사법정책연구원 2016 연구보고서 Vol.2016 No.12

        민사소송에서 법원은 변론 전체의 취지와 증거조사의 결과를 참작하여 자유로운 심증으로 사회 정의와 형평의 이념에 입각하여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따라 사실주장이 진실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민사소송법 제202조). 이에 따라 사실인정을 할 때 소송에 현출된 증거자료 중 어느 것을 취할 것인지는 사실심 판사에게 일임되어 있고, 서증, 인증 등 증거의 종류에 따라 그 증명력에 우열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증인은 서증에 비해 열등한 증거방법으로 여겨져 왔음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교호 신문제도 아래에서 법관의 적절한 소송지휘나 직권신문은 부차적이라는 인식도 적지 않았다. 최근 법정녹음의 시행으로 증인신문에 소극적인 경향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실발견자인 법관의 입장에서 증인신문은 서증 등 객관적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사건의 실체에 관한 심증을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증거조사의 최종 단계에서 이미 형성한 심증을 확인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증언의 신빙성 판단에 따라 소송의 승패가 좌우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증인신문은 활용하기에 따라 실체 진실 규명을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되고, 원활하게 진행되는 증인신문의 모습 자체만으로도 재판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 최근 법정녹음의 시행은 증인신문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증인신문의 방식은 법관이 직권으로 증인신문을 주도하는 대륙법계 방식과 신청한 당사자가 증인신문을 주도하는 영미법계 방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영미법계 방식은 당사자가 증인으로 하여금 오도되거나 편향된 증언을 하게 할 위험성이 있지만, 사건의 내용을 가장 잘 아는 당사자나 그 대리인이 증인신문을 주도함으로써 상세한 부분까지 증언을 이끌어 낼 수 있고, 배심원단, 법관 등 사실발견자는 객관적 입장에서 증언 내용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거론된다. 이에 대하여 대륙법계 방식은 증인으로 하여금 당사자의 증인이 아닌 법원의 증인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하여 허위 증언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법원이 증인신문을 주도함으로써 증언의 냉정한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대륙법계 국가로 분류되나, 증인신문의 방식에서는 교호신문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법관이 언제든지 직권으로 개입하여 신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직권주의의 요소도 가미되어 있다. 각국의 증인신문에 관한 입법례 및 실무례는 우리 법령에서 정한 여러 증인신문 방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에 참고가 될 수 있다. 교호신문과 직권신문의 각 장점, 단점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건과 증인의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증인과 진술에 관한 심리학 등 사회과학적 연구도 증인신문을 진행하고 증언의 증거가치와 증명력을 평가해야 하는 법관에게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인간의 기억, 행동에 대한 연구 결과는 증인의 진술이 신문 방법 등 여러 외부적 영향, 인지적 오류 및 편향 등에 의해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부적 영향 등에 의한 진술의 왜곡을 줄이고자 하는 다양한 신문 기법이 고안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이 우리의 증인신문 실무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임은 물론이다. 본 연구는 주로 민사재판을 진행하는 법관의 입장에서 증인신문을 효과적으로 준비, 진행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법 상의 증인신문에 관한 규정과 실무례 등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주요국의 증인신문 관련 법령과 그 해석, 적용을 둘러싼 논의를 소개하였으며, 관련된 사회과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내용과 함께 실무적으로 언급되는 증인신문의 다양한 노하우를 참고하여 법정녹음 환경하에서 법관이 증인신문을 진행하고 직접 신문을 하는 데에 유익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의 증인신문 절차와 기법에 관한 실무 현황을 점검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논의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 court shall determine, by its free conviction, whether or not an allegation of facts is true, taking account of the whole purport of pleadings and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evidence, on the basis of the ideology of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logic and experience(Article 202 of the Civil Procedure Code). Accordingly, whether to take the evidence presented in a lawsuit in order to find the truth is left to trial judge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is any probative superiority depending on the type of evidence, be it documentary evidence or witness examination. Nevertheless, practically, it is undeniable that testimony has been considered as inferior evidence compared to documentary evidence in Korea. In addition, the propriety of the administration of proceedings and sua sponte examination have been deemed as playing subsidiary role at best under the adversarial cross examination system. Recently, a more cautious approach is being taken towards witness examin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mandatory recording of court hear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 judge as a fact-finder, however, witness examination is an important means for forming conviction on the substance of the case when objective evidence such as documentary evidence is insufficient. It can also be the means to verify the conviction already formed at the final stage of evidence examination. There are plenty of cases where the outcome of the litigation depends on the credibility of testimonies. Witness examina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truth-finding. It can also enhance the level of public confidence in trials just by its smooth execution.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mandatory recording c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witness examination. Generally, there are two methods of witness examination: the Continental method that allows judges to lead the witness examination ex officio and the Anglo-American method that gives parties the power to lead it. In general, the Anglo-American approach may carry the risk of misleading witnesses or making them give biased testimony, but it can elicit more detailed testimony by letting the parties or attorney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case lead the examination and thereby allow fact-finders such as the jury or the bench to assess the testimony from a relatively objective stance. In contrast, the Continental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false testimony by making the witness recognize himself as ‘a witness of the court’ rather than ‘a witness of the party’,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a cool-headed evaluation of the testimony more difficult. Korea is generally classified as a Continental law country. In terms of witness examination, however, we adopted the principle of cross-examin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Anglo-American tradition. Yet, on the other hand, our system also adds some ex officio features such as allowing judges to intervene at any time during the parties’ interrogation. Therefore, the law and practice of other countries on witness examination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witness examination methods provided for in our legisl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spec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cross-examination and the ex officio judicial examination, both methods need to be used flexib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ase and witnesses. Judges who preside over witness examination and evaluate the testimony of witnesses can also refer to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research. Research studies on human memory and behavior suggest that a witness’s statement can be vulnerable to many external influences such as interrogation methods, cognitive errors and biases. Also various interrogation techniques are devised for reducing the distortion of such statements caused by external influences. It is certain that these research studies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our witness examination practices.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providing information to judges so as to help them prepare and preside over witness examination effectively in civil actions. For this purpose, I first summarize the existing laws and practices, and introduce the discussions in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 Germany, France, and Japan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ir laws, and the relevant social science research studies in terms of witness examination. Afterwards, using these discussions as reference along with the various kinds of know-how traditionally mentioned in practice, I seek to gather and organize the ideas which may benefit judges in presiding over and directly carrying out witness examination under the mandatory recording system.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help promote further discussions about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witness examination procedure and interrogation methods in Korea and seeking reasonable measures of their impr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진보적 성향의 판결에 대한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뉴스 구성 비교

        김창숙,김용주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1심에서 진보적 성향의 판결이 난 ‘강기갑의원 국회 사건’, '전교조 시국선언', ‘PD수첩의 광우병 보도’를 대상으로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보도 경향의 차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수신문은 판결에 대해 비판적인 논조를, 진보신문은 중립적인 논조를 많이 사용하는 차이를 보였으나, 공통적으로 자신들의 성향과 반대되는 논조를 거의 노출시키지 않고 있었다. 둘째, 단순히 사실을 전달하는 기사를 제외하면 보수신문은 판결법리를, 진보신문은 언론, 여당, 보수단체 등이 판결을 비판하는 것에 대한 비판과 판결법리를 기사 쟁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보수신문은 쟁점을 다양하게 구성하기는 했지만, 판결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담당판사의 소양, 소속 연구회 등 판결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요인들을 부각시키는 문제점을 보였다. 반면, 진보신문은 기사의 쟁점이 다양하지 못하여 사건이 가지는 다양한 측면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보수신문은 판결내용에 비판적인 취재원을 옹호적인 취재원보다 훨씬 많이 활용함으로써 편향된 모습을 보였다. 이런 취재원 활용 행태는 독자들로 하여금 판결에 대한 반응이 비판 일색이라는 왜곡된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한편, 보수나 진보신문이나 일반 시민들을 거의 취재원으로 활용하지 않아 언론 상에서 시민들이 논쟁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주지할 점은 보수신문이 좀더 편향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를 진보적 성향의 판결에 한정지어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수적 성향의 판결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ews coverages on progressive judgment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As results, this study reached some conclusions. The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distinguished differences on news coverage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were shown. The former had emphasized negative tone of an argument against progressive judgments, while the latter had used mainly neutral tone of an argument. The both had a tendency not to show the opposite tone of an argument in common. Secondly, the main theme of conservative newspapers was predominantly 'a principle of law of judgment', while one of progressive newspapers was 'criticism on criticism of progressive judgments by conservative press, conservative group, the governing party and so on'. Meanwhile, conservative newspaper offered more various themes on the judgments than progressive newspaper. Thirdly, conservative newspapers had a tendency to use sources and interviewees who had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judgments. This tendency was able to give the audience a distorted view that almost citizen was bitter against the judgments. Meanwhile,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commonly appeared same problem that they didn't refer to citizen's opinions on the judgments.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news coverages on progressive judgments. Because the future studies on conservative judgments will be able to found conflicting results.

      • KCI등재

        <일반논문> 만민공동회 시기 『제국신문』과 『황성신문(皇城新聞)』의 인민 동원 논리 - ‘자유(自由)’ 개념 비교를 중심으로 -

        문일웅 ( Moon Il-woo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1 No.-

        본 논문은 만민공동회 시기 『제국신문』 및 『皇城新聞』이 구사했던 ‘자유’ 개념을 매개로 독립협회 급진노선자와 온건노선자의 인민 동원 논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국신문』은 만민공동회 시기 독립협회 급진노선자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 창간된 신문이었다. 이 신문은 만민공동회에 인민의 자발적 참여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일본에 망명 중에 있었던 박영효의 행보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독립협회 급진노선자의 구심점 역할을 했던 박영효의 사상을 잘 알 수 있는 매개는 바로 1888년 고종에게 올린 「建白書」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여기에서 인민의 자유권을 국가의 자주독립에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 있었다. 『제국신문』 역시도 “민권이 즉 국권”이라 하여 인민의 자유권이 보장되어야 국가의 자주독립을 이룩할 수 있다고 보고 있었다. 박영효 및 『제국신문』이 사용했던 자유권은 일종의 저항권과 유사한 개념으로서 이들의 사상 속에서 정부는 인민의 저항을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할 의무를 담당한 존재였다. 반면 『皇城新聞』은 만민공동회 시기 독립협회 온건노선자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 창간된 신문이었다. 독립협회 온건노선자는 기본적으로 독립협회 활동에 대해서는 긍정하면서도 만민공동회 시위의 과격화는 경계하는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제국신문』에 비해 ‘자유’라는 단어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이는 『皇城新聞』이 인식한 자유권이 『제국신문』의 예처럼 저항권과 유사한 것이 아니라 개인 수양이 전제되어야만 행사할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에 시위가 과격화 되어가자 이에 대한 거리를 두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皇城新聞』의 ‘자유’ 개념은 기존의 유길준이 『西遊見聞』에서 언급한 ‘자유’와 상통한 것이기도 했다. 대한제국 시기 이러한 두 신문의 입장은 기본적으로 만민공동회 시기 독립협회의 급진노선자와 온건노서자의 인민 동원 논리를 계승한 전제 위에 시국의 향방에 따라 각기 변주해 나간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gic of people mobilization between the radical- and soft-lin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through the concept of “freedom” used in “Jeguk Shinmun” Newspaper and “Hwangseong Shinmun” Newspaper during the Convention of 10-Thousand People period. “Jeguk Shinmun” was created to reflect the position of the radical-lin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during the Convention of 10-Thousand People period. The newspaper was positive abou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people in the Convention of 10-Thousand People, which was correlated with the move of Park Yeong-hyo that sought asylum in Japan during the period. “A written petition (Geonbaekseo)”, which he presented to King Gojong in 1888, offers great information about his thoughts as he played a pivotal role among the radical-lin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In it, he regarded the right to freedom of the people a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a nation’s independence. “Jeguk Shinmun” also reported that “civil rights are national rights” and maintained that the right to freedom of the people should be guaranteed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ir nation. The right to freedom used by Park Yeong-hyo and “Jeguk Shinmun” was similar to the right of resistance. As far as their thoughts went, the government was obliged not to cause the resistance of the people. “Hwangseong Shinmun”, on the other hand, was created to reflect the soft-lin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during the Convention of 10-Thousand People period. The soft-lin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were basically positive about the activities of the Club but cautious about the demonstrations of the Convention of 10-Thousand People being violent, which explains why the newspaper hardly contained the word “freedom” compared with “Jeguk Shinmun”. The right of freedom perceived by “Hwangseong Shinmun” was not similar to the right of resistance found in the “Jeguk Shinmun”. It could be exercised only on the premise of personal cultivation. The newspaper thus wanted to have some distance from the demonstrations as they became violent. Its concept of “freedom” was in line with “freedom” mentioned in “Expressions on Overview of Westward Travel (Seoyugyeonmun)” by Yu Gil-jun. In the Korean Empire, the positions of the two newspapers basically inherited the radical- and soft-line members of Independence Club, respectively, in terms of people mobilization logic during the period of the Convention of 10-Thousand People, and went through their respective variations according to the course of current situations.

      • KCI등재

        『제국신문』의 국문 인식과 한글 독자(1) : ‘국문’ 표현 기사를 중심으로

        권두연(Kwon, Du-Yeo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이 연구는 『제국신문』이 표방한 순국문의 의미와 『제국신문』에 사용된 ‘국문’ 표현 기사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제국신문』의 국문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제국신문』은 창간호에서 순국문 출판을 표방했는데, 실제 『제국신문』이 구현한 순국문은 국문 독자들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한글로 한자나 한문을 번역하여 풀어 쓰되, 진의를 해치거나 고칠 수 없다고 판단한 곳에서는 원문을 그대로 게재하는 방식을 취했다. 따라서 『제국신문』의 순국문을 한자와 한문을 전혀 쓰지 않거나 전면 배제한 한글 전용으로 이해하는 것은 오해의 여지가 있다. 오히려 『제국신문』은 당대 국문 담론의 핵심 사안이었던 ‘국문전용 한문폐지’에 유보적 태도를 보이면서 선(先)국문 후(後)한문에 입각한 입장을 일관하였다. 다음으로 ‘국문’을 필두로 언문, 반절, 정음, 암글 등 유사 표현이 사용된 이른바 ‘국문’ 표현 기사를 추출하여 빈도 및 양상을 살펴보았다. 총 210여개 정도로 도출된 이 기사들은 사고(5), 논설(67), 기서(11), 별보(7), 잡보(96), 광고(11), 잡보 하위란(8), 현상응모(2), 소설(1), 기타(2)로 분류되고 잡보와 논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내용별로는 국문 신문의 입장 및 국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국문(론)기사, 신문·잡지에 관한 매체 기사, 학교 설립과 교과 관련한 교육 기사, 서적의 번역 및 출판 유통에 관한 기사, 그리고 신문 구독자 및 독자에 관한 기사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몇 가지 점은 첫째 ‘국문’ 표현 기사는 후반기로 갈수록 증가한다는 사실이다. 둘째 『제국신문』이 다른 경쟁 매체뿐 아니라 한문 식자층이나 기존 언문 독자층과도 중층적으로 대응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독자들의 한글 글쓰기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모색했다는 점이다. 이는 주시경이나 양홍묵, 유길준 같이 국문의 대중화에 힘쓴 이들만이 아닌 박장현, 표준경, 원경민, 리면근 등 일반 독자의 글을 게재함으로써 국문에 대한 공통 인식을 형성하는 데 일조한 것으로 간주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cognitions of Korean alphabet in 『Jeguksinmun』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pure Korean alphabet, declared by it and the pattern of articles expressed in Korean alphabet used by it.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Korean alphabet and similar expressions were examined after abstracting articles expressed in Korean alphabet . From the analysis, several findings can be verified: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expressed in the Korean alphabet had been gradually increased until the latter half. Second, 『Jeguksinmun』 made the multi-layered response to not only other rival media, but also the literate stratum using Chinese writing or the existing Eonmun readers. Third, it variously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Chinese ethnocentrism and help readers write Korean alphabet. 『Jeguksinmun』 is thought to make a contribution to forming a common perception on the Korean alphabet, by introducing not only the texts of scholars who make efforts to popularize the Korean alphabet, such as Ju Sigyeong, Yang Hongmuk and Yu Giljun, but also those of general readers, including Park Janghyeon, Pyo Jungyeong, Won Gyeongmin, Li Geunmyeon, etc.

      • KCI등재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 연구: 국내외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송주형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8

        신문의 역할은 정부의 비판과 감시이다. 공공의 문제에 해설과 논평을 하는가 하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고 전달한다. 메타데이터가 확실한 사진 기록물을 담고 있으며, 지역신문의 경우 로컬리티 확보의 중요한 도구이다. 신문에 실린 광고와 신문의 편집 역시도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런 신문의 기록학적 가치 때문에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수립할 때도 신문은 늘 우선적으로 수집이 고려되는 기록물이다. 신문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신문 아카이브는 여러모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이용하기도 하고,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를 위한 자료로도 활용이 된다. 신문의 교육적 활용인 NIE에도 이용되지만 신문 아카이브는 디지털 시대에 들어와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미디어 자산을 통합 관리하는 MAM의 핵심에 아카이브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신문 제작뿐만 아니라 신문사 경영 등 전 영역에 걸쳐 새로운 역할을 온라인 아카이브가 하게 될 거라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미 1991년 기사통합 DB인 KINDS가 서비스를 시작했고, 네이버에서는 뉴스 라이브러리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KINDS의 경우 초기에는 뜨거운 반응이 있었으나, 현재는 이용률이 저조한 상태이다. 『조선일보』, 『중앙일보』등 주요 신문사가 빠져있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도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공예산이 투입되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나, 지방지에 대한 접근성 등은 큰 장점이다. 고신문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지속적으로 디지타이징을 하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의 경우도 아카이브라고 하기 민망한 수준이자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의회도서관에서 국립인문기금과 함께 역사적 신문을 디지타이징 하는 ‘CHRONICLING AMERICA’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각 주의 대학과 역사협회, 공공 도서관에 기금을 줘 매년 10만 페이지의 지역신문을 디지타이징하고 있다. 영국 역시도 국립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The British NEWSPAPER Archive’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는데, 미국과 달리 유료로 운영된다. 이곳 역시도 합동정보시스템위원회의 공공예산이 투입되었으며, 지금도 구축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은 아카이브 솔루션을 구매해 온라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ProQuest Archiver, Gale Cengage-NewsVault가 대표적인 아카이브 플랫폼으로 신문 자체가 표준화되고 규격화돼있는 만큼 이를 통한 아카이브 구축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국내의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과감한 투자 등이 요구된다. Aside from serving as a body that monitors and criticizes the government through reviews and comments on public issues, newspapers can also form and spread public opinion. Metadata contains certain picture records and, in the case of local newspapers, the former is an important means of obtaining locality. Furthermore, advertising in newspapers and the way of editing in newspapers can be viewed as a representation of the times. For the value of archiving in newspapers when a documentation strategy is established, the newspaper is considered as a top priority that should be collected. A newspaper archive that will handl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carries huge significance in many ways. Journalists use them to write articles while scholars can use a newspaper archive for academic purposes. Also, the NIE is a type of a practical usage of such an archive. In the digital age, the newspaper archive has an important position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core of MAM, which integrates and manages the media asset. With this, there are prospects that an online archive will perform a new role in the production of newspapers and the management of publishing companies. 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KINDS), an integrated article database, began its service in 1991, whereas Naver operates an online newspaper archive called “News Library.” Initially, KINDS received an enthusiastic response, but nowadays, the utilization ratio continues to decrease because of the omission of some major newspapers, such as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and the numerous user interface problems it poses. Despite these, however, the system still presents several advantages. For example, it is easy to access freely because there is a set budget for the public, and accessibility to local papers is simple. A national library consistently carries out the digitalization of time-honored newspapers. In addition, individual newspaper companies have also started the service, but it is not enough for such to be labeled an archive. In the United States (US), “Chronicling America”—led by the Library of Congress with funding from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is in the process of digitalizing historic newspapers. The universities of each state and historical association provide funds to their public library for the digitalization of local papers. In the United Kingdom, the British Library is constructing an online newspaper archive called “The British Newspaper Archive,” but unlike the one in the US, this service charges a usage fee. The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has also invested in “The British Newspaper Archive,” and its construction is still ongoing. ProQuest Archiver and Gale NewsVault are the representative platforms because of their efficiency and how they have established the standardization of newspapers. Now, it is time to change the way we understand things, and a drastic investment is required to improv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line newspaper arch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