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통일신라시대 산성과 역사적 의미

        홍영호 한국이사부학회 2019 이사부와 동해 Vol.15 No.-

        이 글은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산성과 그 역사적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원도 영동지역의 수많은 산성들 가운데 문헌 자료들에 대한 비판적 논증과 함께 고고자료들을 분석하여 신라~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하는 8곳의 산성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여러 가지 고고학적 특징을 찾아낼 수 있었고, 역사적인 실상에도 접근 할 수 있었다. 우선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도 신라와 통일신라시대의 행정단위인 주-군-현마다 산성들이 있었고, 산성의 규모도 행정 구역 단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주(州) 단위는 1,000m 이상이며, 현(縣) 단위는 200~600m 정도로 구분된다. 또한 일찍이 설치된 실직주와 하슬라주의 산성(州城)들은 테뫼식 가운데 산복식(山腹式)의 토성이고, 이후에 만들어지는 현 단위의 산성(縣城)들은 테뫼식 가운데 산정식(山頂式)의 토성이 많았다. 그리고 신라의 진흥왕 북진기 이 전에 축조한 산성의 성벽은 토루에 돌을 피복하는 공통점도 보였다. 특히 강릉 경포호 강문동토성과 삼척 오화리산성은 바닷가의 곶[산]에 석호나 강을 끼고 입지 하고 있는데, 이들 산성이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관련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런데 그 이후의 시기에는 이들 산성이 다소 내륙으로 들어가 산의 정상부에 입지 하는 경향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진흥왕 북진기부터 통일전쟁기에는 그 입지의 변화가 잘 나타난다. 나아가 강릉 경포호 강문동토성과 삼척 오화리산성의 존재는『삼국사기』에서 실직(城)과 하슬라(城主) 등과 함께 나오는 사료들이 역사적 사실임을 입증해준다. 아울러 삼척 오화리산성은 북해(北海)의 제장(祭場)인 비례산(非禮山)으로 추정된다. 이 글은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비교적 확실한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산성들을 최초로 다루었다는 의의가 있는데, 앞으로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사와 신라고 고학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mountain fortresses from the Silla-Unified Silla Kingdoms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and to examin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mong the numerous mountain fortresses of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through critical studies on literary material and by analyzing archaeological data, three mountain fortresses corresponding to the Silla- Unified Silla Kingdoms were extracted. In result, it was possible to discover various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ke an approach on the historical facts. First, there were mountain fortresses at each ju, gun and hyeon, which wer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Silla and Unified Silla Kingdoms in the East Coast regions of Gangwon-do as well, and it is also evident that the size of the mountain fortresses differed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In other works, they were 1,000m or longer for ju (states) and 200-600m for hyeon (prefectures). Furthermore, the mountain fortresses (village fortresses) of Siljik-ju and Hasla-ju, which were installed early on, were mountainside earthen walls among mountain walls, and mountain fortresses (prefecture fortresses) of hyeon made later were mostly comprised of mountain-top earthen walls among mountain walls. Also, the walls of mountain fortresses built prior to the northern push of Silla King Jinheung had the common trait of covering the mountain fortress walls with earthwork. In particular, Gangmun-dong Fortress in Gyeongpo-ho, Gangneung and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were located near lagoons or rivers next to ocean-side mountains. This implies that these are related to the coastal navigation of the East Coast of Silla. But in later periods, these mountain fortresses tended to move further inland and were situated on the tops of mountains, and the change of location is more apparent from King Jinjeung’s push forth and during the war for unification. Moreover, the existence of Gangmun-dong Fortress in Gyeongpoho and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proves that the historical records together with Siljik and Hasla that appeared in th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historical facts. Also,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is presumed to be Biryesan (Mt.), which was the ritual site of the northern seas.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t with the mountain fortresses from the Silla-Unified Silla Kingdoms that are relatively certain in the East Coast area of Gagnwon-do for the first tim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significantly in Silla history and Silla archaeology studies of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 KCI등재

        신라 城址 출토 문자 자료의 현황과 분류

        박성현(朴省炫) 한국목간학회 2008 목간과 문자 Vol.2 No.-

        신라 城은 신라가 축조한 성, 또는 점령하여 활용하는 성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며, 신라 城址는 그 遺址를 말한다. 신라 성지는 한반도 중·남부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통일 신라의 영역을 생각했을 때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여기에서는 다른 어떤 종류의 유적에서보다 풍부한 신라 토기, 기와, 철기, 기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그 중에는 문자가 있는 것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신라 성지에서 출토된 문자 자료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시도하여 각 부류가 어떤 성격을 갖고 있는지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성지 출토 문자 자료를 우선 지역별 성지별로 정리하였다. 여기에서 지역 구분은 통일 신라의 행정 구역에 따랐는데, 통일 신라는 王都를 제외한 전국을 9州로 나누고 있었다. 문자 자료의 출토 양상은 지역적으로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王都의 월성에서는 목간을 비롯하여 다양한 명문 기와가 출토되었으며, 漢州 지역의 자료가 많은 것은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백제 땅이었던 熊·全·武州 지역에서는 주로 명문 기와가 출토되었는데 시기도 늦은 편이고 명문의 형식도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자료를 다시 ① 축성비 및 맹문 성석, ② 기타 사적비, ③ 목간 및 인장, ④ 명문 와전, ⑤ 기타 명문 유물로 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게 출토되면서도 기존에 많이 논의되지 않았던 명문 와전에 비중을 두고 살펴보았다. 통일 신라 이후 기와의 편년에서 가정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타날판의 변화라고 할 수 있는데, 통일 직후까지는 단판으로 제작하다가 점차 장판을 사용하게 된다. 월성에서는 단판 제작 기와가 발견되었지만 지방 산성에서 출토된 기와의 대부분은 장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시기가 늦다고 할 수 있다. 기와 명문은 대체로 기와의 제작 및 사용처와 관계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장판 제작 기와의 명문은 사용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신라 성지에서 많이 출토되는 郡縣名이나 “官”이라는 문자가 있는 기와는 그것의 사용처가 군현의 관용 건물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 성지 출토 문자 자료는 대체로 사적비, 목간, 명문 기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시기적으로는 사적비가 중고기, 목간이 6세기 중엽에서 7세기, 명문 기와가 7세기에서 9세기까지 나타난다. 즉 신라 성지에서 문자 자료는 사적비에서 문서 행정을 보여주는 목간으로, 이어서 기와 생산과 관련된 분야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라(新羅) 범종(梵鐘) 주악상(奏樂像) 연구성과와 교육 활용

        문주석(Moon, Joo Seok)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8 No.-

        본 연구는 신라 범종에 부조(浮彫)된 주악상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신라 범종에 나타나는 주악상 연구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나아가 범종의 주악상 연구 성과를 교육적으로 활용가능한 방안도 모색하였다. 초기 연구는 1960~1970년대에 진행되었으며, 신라 범종 주악상의 현황 파악과 소개가 있었던 시기이다. 중기 연구는 1980∼1990년대에 진행되었으며, 신라범종 주악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문화사적, 역사적, 음악적 맥락을 연구하는 시기이다. 후기 연구는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었다. 신라 범종의 과학적 분석기법 적용과 개별 범종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연구한 시기이다. 신라 범종에 부조된 주악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신라 범종을 타악기로 인식하고 교육함으로써 한국 악기의 범주를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용뉴(龍鈕)에 새겨진 용(龍)과 당목(撞木)으로 사용하는 고래의 이야기는 스토리텔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재료가 된다. 학습자들의 학습 호기심을 자극하는 소재로 이용가능하다. 둘째, 신라 범종의 소리와 다른 나라의 종소리를 비교감상하거나 범종의 타점 위치와 세기에 따른 파동의 변화를 그래프를 보여주는 체험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범종의 소리 원리를 이해하기위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에게 주악상을 그리게 함으로써 악기의 사실적 묘사가 아닌 심미적 아름다움의 상상력을 발현할 수 있게 한다. 학습자들의 감성과 심리상태까지 고려한다면, 음악교육을 바탕으로 인접학문과 연계한 다양한 교수법개발이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라 범종 주악상을 불교(佛敎)에 국한하여 바라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신라시대 음악을 연구하는 주요한 핵심어이자 악기교육의 중요 요소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라 범종의 주악상 관련 논의와 연구가 음악분야에서 인접학문 분야로 확산되고, 신라 음악 연구와 악기교육 분야에서 본 연구가 작은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into the music performance images embossed on the bronze temple bells of the Silla Dynasty. Reviewing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es on the subject and their results, this study seeks for measures to utilize them for educational purposes. Early researches were conducted from 1960s to 1970s, introducing the music performance relievos on the bronze temple bells of the Silla Dynasty and figuring out the research status. Researches conducted from 1980s to 1990s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relievos and their cultural, historic, and musical context. Later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00s until now, applying scientific analyses and studying concrete details of individual Buddist bells. Based on these research data of the music performance images on the bronze temple bells, this paper seeks for measures to utilize them for educational purposes: First, the rang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can be extended by perceiving and educating Buddhist temple bells of Silla as percussive instruments. Also, the dragon image on the top of the Buddhist bells and the whale shaped wooden hammer can make good educational source of storytelling. Seco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ound mechanism of the Buddhist bells by experience activities either that shows the change of sound waves in accordance with the striking points and strength, or that compare the sounds of different bells from different countries to the Silla bells. Third, by making students draw the music performance scenes from aesthetic appreciation, not a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temple bell relievos, educators can enable the students express their creativities. It is possible to develop diverse teaching methods associating with relevant studies based on music education if the students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state are taken into account. This study assures a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the bronze temple bells to work as the critical factor for musical instruments education as well as a keyword for the Silla music researches. Al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studies of the music performance images embossed on the bronze temple bells of Silla to expand to relevant fields as well as the researches on the Silla music and the instruments education field.

      • KCI등재

        신라 일월제(日月祭)의 양상과 변화

        김영준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2

        according to 『Buk-Sa(北史)』 and 『Soo-Su(隋書)』, 『New Dang-Su(舊唐書)』, 『Old Dang-Su(新唐書)』, there is a New Year’s rite called Ha-jung-rye(賀正禮) and Ii-wol-jea(日月祭) in Silla. Ha-jung-rye(賀正禮) is officials to Congratulations to the king in lunar January 1th and Ii-wol-jea(日月祭) is an ancestral rite about the sun and moon. Of this, Silla Jindeok of Silla which was conducted by Kim Chun-chu to China’s system. is Ha-jung-rye. On the other hand, Ii-wol- jea(日月祭) is Ha-jung-rye(賀正禮) is imposed before a traditional New Year’s rite of Silla. However, China data can learn about a January record of the Silla and 『In Samguk-Sagi』 「jesa」 not open door in the January festival in record remain a special make. So, here in 『Samguk Yusa』, you see in the Yeonorang and Seonyeo and Silla by other historical documents in changing appearance since Ii-wol-jea(日月祭) of about the implementation and Ha-jung-rye(賀正禮) To learn. As a result, the Ii-wol-jea(日月祭) of Silla was done early in the Silla Dynasty of Silla’s climate begins to reflect the spring as the lunar January. People in Silla thought that the forest near Wol-Seong(月城) is the holy place, and Ii-wol-jea(日月祭) opened in Moon-Yul-Lim, one of such places. Cloth of sacrifice took place in the form of anything here. But Early Silla’s kings were one of the heads of Boo(部), and each Boo(部) has myths of heav․en-born. And There are in Bongpyeong Silla Stele in Uljin that many Silla’s kings and heads of Boo(部) are orders. Silla’s kings and the heads of Boo(部), the Ii-wol-jea(日月祭) is almost equal possibility to participate as. The Ii-wol-jea(日月祭) is religiously justified the power of the authorities in this regard that shows that not doing its job.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New Year ritual on wages and subject every year, Ha-jung-rye(賀正禮) strengthen royal authority, with a ritual, reaffirming the relationship under the relevant sense. Because of this, It is the Ha-jung-rye(賀正禮) by Kim Chun-chu. For a while, hold a Ha-jung-rye(賀正禮) and a Ii-wol-jea(日月祭). But because King Sin-Moon modifies ancestral rites, Ii-wol-jea(日月祭) is classed as Byul-jea(別制), and it would change to do when you have a drought or flooding. Ii-wol-jea(日月祭) of Silla is a New Year’s rite at first. But Ii-wol-jea(日月祭) changed Byul-jea(別制), because Ha-jung-rye(賀正禮) implements for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King Sin-Moon modifies ancestral rites 『북사』, 『수서』 및 『신당서』, 『구당서』 등을 보면 신라의 신년의례로 일월제와 하정례라는 의식 나온다. 여기서 하정례는 매년 음력 1월 1일에 신하들이 왕에게 축하인사를 하는 것이고, 일월제는 해와 달에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하정례는 신라 진덕여왕 때 김춘추에 의해 시행된 중국의 제도이지만, 일월제는 하정례가 시행되기 이전에 행해진 신라의 전통적인 신년의례였다. 이 중에서 신라의 일월제에 대해 알 수 있는 자료는 중국 기록과 『삼국사기』 「제사지」에서 문열림에서 일월제를 별제로 지냈다는 기록뿐이다. 그래서 여기서는 『삼국유사』에 보이는 연오랑 세오녀와 다른 문헌자료를 통해 신라의 일월제에 대해 살펴보고 하정례 시행 이후 변화하는 모습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신라의 일월제는 신라 초기부터 행해지던 의례로 봄이 시작되는 음력 1월에 벌어진 것으로 보았다. 또한 신라에서는 경주 월성 주변의 숲을 신성한 장소로 생각했고 일월제도 그러한 장소 중 하나인 문열림에서 옷감을 제물로 바치는 형식으로 벌어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초기 신라의 왕은 여러 부(部)의 귀족들 중 하나였고 각 부(部)는 고유의 천강신화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울진봉평신라비』에서는 신라의 왕과 여러 부의 귀족들이 함께 교시를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일월제도 신라의 왕과 6부(部)의 귀족들이 거의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일월제가 종교적으로 왕권을 정당화시켜주는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중국의 신년의례인 하정례는 매년 임금과 신하의 상하관계를 재확인하는 의식으로 왕권강화와 관련이 있는 의식이었다. 이 때문에 김춘추에 의해 하정례가 시행하게 된다. 하정례가 시행되면서 한 동안은 일월제도 같이 행해졌지만 신문왕 때 사전이 정비되면서 일월제는 별제로 분류되어 가뭄이나 홍수가 생길 때 하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신라의 일월제는 원래는 신년의례였지만 왕권강화를 위한 하정례가 시행되고 사전이 정비되면서 점차 별제로 바뀌어 갔던 것이다.

      • 신라 미술의 미의식

        정병모 慶州大學校 慶州文化硏究所 2006 慶州文化硏究 Vol.8 No.-

        Silla art went through many changes through a century, but there is a tradition that has not changed. It is the "preference for simple shape and the belief which considers divine image as beautiful." The former is the taste of Silla people and the latter is Silla people's faith in shape. Especially, the beauty of simplicity was pointed out by many scholars, and it established the common ground of Silla art. This represented Silla people's aesthetic sense of respecting the nature rooted in the nature. Minimizing artificial elements while bringing out natural element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illa art. Changes by period in Silla art are examined in the asp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art of northern countries, the influence of Buddhist art and the new trend of unified Silla. The foreign art which brought changes in Silla art for the first time was the art of northern countries As the art of northern countries was introduced to Silla, the original aesthetic sense of Silla which emphasized simplidty was changed to take on the trend of abstract beauty. I called this, the 'Abstract Realism.' Buddhism was introduced in Silla in 527, and it brought enormous changes to Silla art. While influenced by the Buddhist art of Goguryeo and Baekje, Silla developed international sense of art.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Silla art displayed a wide variety of styles from the kind image of Buddha which approached the public quite closely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metaphysical world. Silla art, influenced by the early Buddhism, can be summarized into the 'World of Humanism' for it has the familiar and humane disposition.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rought more changes to Silla art. While it followed the 'Ideal Realism Style' which was the common style of the East Asia including Tang, it incorporated the traditional sense of respecting the nature with the humanism of the ancient Silla to create a unique aesthetic sense of Silla. Silla art has both simplicity and internationality obtain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ulture. The simplicity is generally found in the early stages of history and is usually pushed aside or disappears when advanced and exotic sense of art is introduced, but it was kept even after the unification. This shows that Silla people preferred the beauty of simplicity as much as the beauty of refinement. In this aspect, the decorativeness of Hwangryongsa Temple(皇龍寺) gives us great implications. Silla people accepted the world culture upon the strong foundation of folk culture. There is a famous phrase by Goethe that goes "The most ethnic is the most international." This famous phrase is well-known to everyone and is even treated as if it is a phrase in the bible. This means the most folk culture carries international value. Referring to Goethe's logic in this phrase, Silla art can be defined as the culture which sought balance between international universality and the distinctiveness. 신라미술이 천년동안 변화를 거듭하는 동안 변하지 않은 전통이 있다. 그것은 바로 "질박한 조형에 대한 선호와 영험한 조형이 아름답다고 여기는 믿음"이다. 전자는 신라인의 취향이고 후자는 신라인의 조형에 대한 신앙이다. 특히 질박미는 여러 학자들이 지적한 특징으로 신라미술의 공통적인 기반을 이루었다. 이것은 자연에 기반을 두고 자연을 숭상하는 신라인의 미의식을 대표하는 것이다. 인공적인 것을 최소화하고 자연적인 것을 드러내 보이려는 것은 신라미술에서 찾아볼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이다. 시기에 따른 변화는 크게 북방미술의 전래, 불교미술의 영향, 통일신라의 새 조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라미술에 처음으로 변화를 일으킨 외래 미술은 북방미술이다. 북방미술이 신라에 전래되면서 질박한 조형세계를 펼친 신라 고유의 미의식에 추상화의 경향을 띠는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을 필자는 '추상적 사실주의'라 지칭하였다. 527년 불교가 전래된 이후 신라미술은 가히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고구려, 백제 등의 불교미술의 영향을 받으면서 국제적인 미의식을 갖추게 된다. 6, 7세기에는 대중 속에 파고드는 친근한 이미지의 불상으로부터 형이상학적인 세계까지 표현하는 폭넓은 조형세계를 펼친다. 초기 불교에 영향을 받은 신라미술은 친근하고 인간적인 성향을 띤다는 점에서 '휴머니즘의 세계'로 요약하였다. 삼국의 통일은 신라미술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왔다. 기본적으로 당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공통적인 양식인 '이상적 사실주의 양식'을 따르면서 전통적인 자연존중의 인식과 고신라의 휴머니즘과 조화를 이루어 신라의 독특한 미의식을 구현하게 된다. 신라미술에는 토속미와 더불어 외래문화의 수용에 의한 국제미가 공존하였다. 일반적으로 토속적인 미감은 초기에 나타나다가 보다 우위에 선 외래적인 미감에 눌려 의식의 수면 아래로 침잠하기 쉬운데, 신라에서는 유독 통일된 이후까지도 토속미를 드러내었다. 그만큼 외래적인 세련미 못지않게 전통적인 토속미도 더불어 애호한 민족이 신라인인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황룡사의 치미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신라인은 강한 토속문화의 기반 위에 세계문화를 받아들인 것이다. 괴테는 "가장 민족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지금도 이 명구는 인구에 회자되고 심지어는 성경 구절처럼 신앙시되기도 한다. 가장 토속적인 문화가 세계적인 가치를 지닌다는 의미이다. 괴테의 논리를 신라문화에 적용하면, 국제적인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를 꾀한 문화가 신라미술인 것이다.

      • KCI등재

        신라(新羅) 마립간기(麻立干期)와 중고기(中古期)의 서상(瑞祥)과 정치(政治)

        신정훈 ( Jung Hoon Shin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5

        신라는 마립간기와 중고기에 강화되어가는 王權을 배경으로 고대국가로 등장하였다. 마립간기에, 麻立干(王)은 葛文王. 6部의 대표자와 구별하기 위한 정치적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 때 瑞祥현상이 주목된다. 서상은 儒學(儒敎)에서 나온 개념이다. 이것은 왕이 德治를 행하면, 하늘이 보내주는 상서로운 현상이다. 따라서 서상 현상은 왕권이 하늘과 연결된다는 것을 상징한다. 서상의 존재는 마립간(왕)을 갈문왕이나 6부의 대표자와 구별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상개념을 나오게 한 유학은 신라에서 언제 수용되었던 것일까? 신라는 奈勿王代에 고구려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점은 신라의 왕릉인 瑞鳳塚에서 출토된 銀盒에서 알 수 있다. 이 은합은 고구려 故國壤王 8年에 만들어져 신라에 전해졌다. 다시 말해, 고구려 왕실이 은합을 신라 왕실에 선사했던 것이다. 이 때 고구려는 國社(社稷)을 세우고 宗廟를 수리했다. 국사와 종묘는 儒敎文化의 핵심이다. 유교문화를 수용하던 고구려를 접하며, 신라는 내물왕 대에 국가적으로 儒學을 수용하였다고 보인다. 이 점은 내물왕 대에, 신라 사신인 衛頭가 북중국에 있던 前秦의 부堅과 나누었던 대화에서 보인다. 위두는 신라에서 變革이 일어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 변혁은 신라가 내물왕 대에 고대국가로 성립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대국가라는 새로운 정치단계에 있어, 유학은 사회 안정과 왕권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내물왕대에 紫雲(慶雲)과 神雀 등 유학의 영향을 받은 서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립간기에 나타난 11회의 서상 중, 4회의 서상이 내물왕대의 것이다. 이점은 내물왕대가 서상현상으로 보아, 신라의 역사에 중요한 전기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집중적인 서상 현상은 내물왕 대에 신라가 국가적으로 유학을 수용하였음을 말한다. 신라는 奈勿王 代부터 智證王 代까지의 마립간 기에, 왕실이 철제 생산도구와 수리시설의 축조 과정에서 가장 큰 수혜를 입으며, 그 힘을 축적해 갔다. 드디어 中古期인 法興王에 이르러, 이러한 경제적인 힘을 바탕으로 왕권강화에 성공하였다. 法興王은 6部의 대표자를 초월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던 것이다. 왕이 특정한 부에 속하지 않은 채, 聖法興大王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점은 이를 분명히 말해준다. 이제 왕과 6부의 대표자를 구별하기 위한 서상현상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그 대신 佛敎를 통한 왕실의 신성화가 법흥왕과 그 뒤를 이은 중고기의 왕 들에게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결국 경제적인 힘을 바탕으로 한 왕실의 세력 강화는 불교를 통한 왕실의 신성화로 나타났다. 이 점이, 중고기에 서상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었던 주요한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Silla became antient nation in the Ma-rip-gan and Medieval period. King needed a political system to distinguish Galmunwang and representatives of six bu from himself in ma-rip-gan period of Silla. Auspicious things came from Confucianism. It was appeared through virtuous politics by king. This Auspicious things was connected with heaven. Therefore it became indication of connection between royal authority and heaven. Silla accepted Confucianism as governing ideology In King Naemul``s period. Silla was dependent on Goguryo in these times. Goguryo built Sajik(an altar to the state deities) and she repaired Jomgnyo(Royal ancestral shrine) in King Gogukyang. Sajik and Jomgnyo was the core of the confucian culture. Silla was affected by the confucian culture of Goguryo at that time. Auspicious things were appeared eleven times in Ma-rip-gan period of Silla. Among them, four times belonged in King Naemul. These Auspicious things were to show the acceptance of Confucianism in King Naemul``s era. Royal family earned the most benefits from iron agriculture tool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Ma-rip-gan period of Silla. As a result like this, King Beopheung accomplished the strengthening of royal power. King Beopheung dominated above the representatives of six bu. King wa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representatives of six bu from himself anymore. The apotheosis of a royal family was accomplished through Buddhism in Medieval period of Silla. In conclusion, the strengthening of royal power was sustained by the economic background. Royal power used Buddhism for the purpose of the apotheosis of a royal family. That is the very reason, royal authority no longer used the Auspicious things in Medieval period of Silla.

      • KCI등재

        '신라정신新羅情神'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최재목(崔在穆),김태연(金泰然)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신라정신新羅情神"이라 거론되는 특징들을 성찰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성찰’ 이란 종래의 논의를 재음미해보고 반성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경상북도를 위시한 경주등지에서 지역의 정체성을 찾을 경우 대게 ‘화랑花郞’문제를 포함한 ‘신라정신’운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신라에 대한 주목과 재음미론이 나오는 것은 사실 현재의 일만이 아니고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이승만 및 박정희 정권기로 이어니즌 이른 바 ‘북고구려 정신’에 대항하는 ‘남-신라정신’의 확립과 계승이라는 정치사적인 측면을 갖는다. 천년왕국이었던 신라는 문물교류를 통해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였으며. 한반도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또 천년 전 통일신라는 신라방, 해상무역네트워크, 실크로드를 통해 아랍권으로부터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장신구를 수입하였으며, 철기를 수출하였다는 등의 사실史實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라의 특성은 포용성개발성국제성ㆍ자유성ㆍ다양성ㆍ융합성ㆍ조화성이 공존한 사회였다고 평가되는 것처럼, 우리 역사상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물론 거기에는 정치사사적인의미도 해석도 관여해 있지만, 적어도 신라정신을 현실의 맥락에서 다시 인식, 수용하고자 한다면, 취사선택할 점을 제대로 평가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갈 지혜가 필요하다. 그렇지 못하다면 나날이 퇴락하는 듯한 현재 경주의 모습처럼 ‘신라정신’ 운운의 논의도 실효성 없는 ‘과거에 대한 낭만적 회상’에 불과할 것이다. 더욱이 ‘신라정신’ 운운이 지차제의 근시안적인 사업차원이나 정치권의 알팍한 지역생 이데올로기 확보를 위한 논리전개를 넘어서서, 통일신라의 해외 무역로와 실크로드의 문화, 정보 네트워크 등을 어떤 방식으로 깊이 있고도 새롭게 인식해야 하는가를 다시 성찰하는 일에서 출발하는 냉정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is a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 of silla.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Gyongju recently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for finding its identity. If so, traditionally, they usually pay attention to some concepts, Hwarang, Silla, Gyongju and so on. Paying attention to the Hwarang Silla, Gyongju origina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at , this tradition continues, even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president Lee Sung-man and PARK Chung-hee, now days. South Korea respect the spirit of Silla face the North Korea’s policy respecting in Koguryo. We can not be ign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political ideas. Silla was a kingdom that lasted one thousand years. They trade with the Arab world through a network of international marine transportation. Such as that, Silla is progressive, and has opened mind. Many students went to study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Silla has an open discussion institutions as Hwabak. This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agin in nowday also. However, overemphasizing th espirit of Silla only is no right. Because we must respect Goguryeo, Baekje’s sprit and tradition buried in our history too. We habe to do not lost the balanc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our society. Because, in the history of Korea, Silla is very important, but not in Korea only Silla history.

      • KCI등재

        신라의 후고구려 인식 -최치원의 당대 인식을 매개로-

        홍창우(Hong, Chang-Woo)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3

        이 논문은 하대의 신라가 후고구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탐색한 글이다. 후백제와 함께 후삼국시대를 선구한 후고구려의 등장을 초래한 것은 다름 아닌 신라 자신들이었다. 이들의 등장은 ‘삼국시대’의 재현을 의미하거니와, 7세기 전쟁에서의 승리 이후 일통의 광영을 오랜 기간 구가했던 그들을 다시 ‘삼국’의 일원으로 회귀시켜버린 주체는 신라로부터 태동했던 것이다. 復國된 정치체들은 모두 신라의 낡은 권위 타파를 선언하며 새로운 시대의 주역임을 자처하였다. 그중에서도 궁예의 후고구려는 신라를 철저하게 부정한 세력이었다. 신라왕의 초상을 베고 이른바 ‘新羅滅都論’을 제창한 것은 바로 후고구려의 對신라 정책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신라를 물리적으로 병합하고자 적극적인 군사 활동도 멈추지 않았다. 이러한 점들은 신라 하대의 후고구려 인식을 살펴야 하는 당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식의 토대가 되는 조건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특히 중대 이후 신라사를 관통하는 지배적 이념 가운데 하나인 ‘一統三韓’ 의식의 실상과 이에 대한 신라 내부의 각성에 주목하여 후고구려 인식의 일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신라는 삼국을 병합한 이후 줄곧 ‘삼한’이 한 지붕 아래 놓이게 되었다고 자부하였지만, 그들의 북쪽에는 고구려’ 후예임을 자처한 발해가 엄연히 존재하였다. 그런데도 신라는 발해를 물리력 동원을 통해 극복하기보다 ‘말갈’로 규정하고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삼한’이 하나가 되었다는 관념을 포기하지 않았다. 궁예는 고구려의 복국을 선언하였고 견훤은 백제의 부흥을 선도하였으며, 두 진영 모두 신라의 타도를 내걸었다. 따라서 신라의 후고구려 인식을 살피는 데 일통삼한 의식의 고수와 그것을 깨트리려는 세력의 등장이라는 측면을 유념해야 하는 것이다. 다만, 당시 지배층을 비롯한 신라인 일반이 궁예와 그 표상으로서 후고구려라는 존재를 직접적으로 거론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이에 이 글에서는 앞서 확인했던 토대와 조건을 염두에 둔 위에서 최치원의 당대 인식을 통해 그 실제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최치원에 주목한 이유는 그가 景文王家를 위해 복무한 신라의 관료이자 신라 하대를 대표하는 지식인이므로, 그의 인식이 신라 왕실과 지배층을 비롯한 신라 일반의 그것을 대변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당에서의 유학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최치원에게 조국 신라는 ‘병든 나라’[疵國]였다. 그리고 그러한 현실이 궁예를 비롯한 ‘하찮은 세력’에 의해 초래되었다고 보았다. 실제로 최치원은 후백제군에 맞서 싸우며 그들을 ‘오랑캐’[虜]라 폄하하기도 했던바, 조국을 위협하는 그 어떠한 세력도 용납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이들의 침략을 극복할만한 여하한 대책도 마련되지 않았다. 후고구려의 죽령 진출을 보고받고도 왕은 수성전 이외에 별다른 타개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그러면서도 왕실 내부에서는 불교 기물인 三寶의 존재로 후고구려의 침략을 막아냈다고 스스로 위안 할 뿐이었다. 관념적·신앙적 요소가 국가를 위기에서 벗어나게 해 줄 수 없음은 물론이지만, 이러한 정황이야말로 신라의 상황과 그들의 후고구려 인식을 양면성의 맥락에서 읽을 수 있는 사례인 것이다. 실제로 최치원을 포함하여 왕실 일부에서는 조국의 저락을 거스를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일통삼한이라는 명분을 고수했던 신라로서는, 그들이 과거 발해에게 그러했던 것처럼 후고구려를 인정하지 않은 채 ‘오랑캐’로 폄훼했지만 그들의 침략에는 정작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요컨대, 하대의 신라는 명분과 실제 사이의 괴리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Silla perceives Later-Goguryeo. In fact, Later-Goguryeo and Later-Beakje appeared based on Silla. Their appearance means representatio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owever, these resurrected countries all declared the overthrow of Silla’s old authority and claimed to be the protagonists of the new era. Among them, Later-Goguryeo was a country that thoroughly denied Silla. Gungye cut down the portrait of the king of Silla and called Silla a ‘ruined city’[滅都]. This symbolically shows Later-Goguryeo’s policy of Silla. Later-Goguryeo also tried to annex Silla by military force. These points provide justification for examining the perception of Later-Goguryeo in Silla. First, I trie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that are the basis of perception. In particular, I paid attention to the reality of the ‘Iltong-Samhan’[一統三韓, Unification Three Hans]’, which was the dominant ideology of Silla after unification, and the awakening within Silla. Since Silla annexed the three kingdoms, Silla has been proud of having ‘Samhan’ under one roof, but Balhae, which claimed to be the descendant of ‘Goguryeo’, existed in the north of them. Nevertheless, Silla did not give up the idea that the ‘Samhan’ became one by refusing to recognize Balhae as ‘Malgal’ rather than overcoming it through physical force mobilization. Gungye declared the restoration of Goguryeo and Gyeonhwon led the revival of Baekje. It Means both camps planned the overthrow of Silla. However, there are few records that Silla directly mentioned about Later-Goguryeo. So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Choi Chiwon. He is an intellectual representing Later Silla Dynasty. Therefore, his perception would represent that of Silla in general, including the Silla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To Chi-Won Choi, who returned from studying abroad in the party, his homeland was a ‘sick country’[疵國]. And he believed that such a reality was caused by ‘insignificant forces’ including Gungye. In fact, Choi Chiwon fought against Later-Baekje’s army and denigrated them as ‘orangkae’[虜]. He could not tolerate any force that threatened his countr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no measures have been taken to overcome their aggression. Even after receiving the report of Later-Goguryeo’s advance into Jukryeong, the King could not suggest any solution other than to firmly close the castle. Still, inside the royal family, they only comforted themselves that they had prevented the invasion of Later-Goguryeo by the existence of ‘Sambo’[三寶, Three treasures of Silla]. This circumstance is a case in which the situation of Silla and their perception of Later-Goguryeo can be read in the context of ‘Double-Sidedness’. In fact, som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including Choi Chiwon, accepted the decline of the country as an irreversible reality. as Silla, which adhered to the cause of ‘Iltong-Samhan’, did not recognize Later-Goguryeo as they did to Balhae in the past, but had no choice but to remain silent about their aggression. In short, it was difficult to properly control the gap between the cause and reality.

      • KCI등재

        신라 고취대 재현을 위한 악기 편성 연구

        김성혜 ( Seonghye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4 No.-

        이 논문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列傳) 김유신(金庾信) 조에 기록된 내용 가운데 “673년 7월 1일 김유신이 죽자 문무왕(文武王)이 군악고취(軍樂鼓吹) 100명을 보내어 장례에 사용하게 했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오늘날 신라고취대(新羅鼓吹隊) 재현을 위한 악기편성을 연구한 것이다. 먼저 역사적 근거를 찾기 위해 고취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고취대 편성구조와 편성악기의 종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문헌 기록을 검토한 결과, 신라고취대는 병부(兵部) 산하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크고 편성 인원은 적게는 38명, 많게는 100명 이상의 규모를 지닌 것으로 드러났다. 고취대 수행자는 군영(軍營) 소속 군인이었고, 인솔자는 병부 산하 제감(弟監) 정도의 직급으로 추정하였다. 고취대의 용도는 군영에서 신호의 역할 또는 군사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데 쓰였으며, 국왕을 비롯한 일부 왕족과 귀족의 장례를 비롯한 의례에 이용되었다. 삼국시대 신라(新羅)와 병존한 고구려(高句麗) 및 통일신라(統一新羅)와 병존한 당(唐)의 고취대 구조를 검토하고, 신라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고려(高麗) 고취의 구조를 파악하여 서로 공통된 요소로서 신라고취대(新羅鼓吹隊)의 편성 구조에 대한 윤곽을 파악하였다. 편성 악기의 종류에 대해서는 현재 편성된 악기 가운데 신라에서 사용한 악기를 검토하고 기록과 음악고고학(音樂考古學) 자료에 드러난 악기 중 고취대 편성에 사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고구려와 당 그리고 고려 각 나라 왕조의 고취대 편성 구조는 신분에 따라 차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신라 역시 국왕의 거둥 때는 국왕의 수레를 중심으로 앞과 뒤에 고취대가 각각 편성된 구조로 보았다. 신라시대 사용된 악기 가운데 고취대에 편성이 가능한 것은 각(角: 喇叭) · 라(螺: 螺角) · 피리(필률) · 생(笙: 笙簧), 이상 관악기(管樂器) 4종과 징(大金) · 바라(발라: 자발라) · 북(鼓: 中鼓) · 박판(拍板) · 강고(강鼓) · 도고(도鼓), 이상 타악기(打樂器) 6종으로 모두 10종이다. 이외 편성의 규모에 따라 삼죽(三竹)인 대금(大금) · 중금(中금) · 소금(小금)과 요고(腰鼓)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신라고취대의 최소 편성 인원인 38명과 최대 편성 인원인 100명 이상 즉 108명을 기준으로 고취대 편성구조를 제안하였다. 38명을 편성 인원으로 한 경우는 음량이 풍부한 각 · 라 · 피리 · 생 · 징 · 바라 · 북 · 박판 · 강고 · 도고, 이상 10종의 신라악기로 편성했다. 그리고 108명의 대형 편성을 기준으로 한 경우는 의례 또는 행사의 규모가 클 경우에 맞춘 것으로서 음량이 풍부한 10종의 악기 외에 삼죽(三竹)과 요고(腰鼓)를 더하였다. 이는 신라시대에 사용된 악기를 빠뜨리지 않고 시연함은 물론이고 행사 전체를 장엄하게하기 위함이다. 악기 중에서 음량이 적은 악기는 음향기기의 도움을 받아서 그 특징을 잘 살리면 신라고취대가 현대에 부활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instrumentation for the marching band of Silla, the Silla Koch`widae 新羅鼓吹隊, based on the record found in the biography of Kim Yu-sin 金庾信 in Samguk sagi 『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t writes, “When Kim Yu-sin died on July 1st in the year of 673, the King Munmu 文武王 sent a military marching band (koch`wi) of 100 soldiers to his funeral.” The Koch`widae 鼓吹隊 related literature was referenced to establish the historical found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marching band and the kinds of its instruments were also studied. The Silla Koch`widae was very likely to belong to Pyongbu 兵部 (Ministry of Military Affairs). The number of personnel may have ranged from 38 to as many as 100. The koch`widae players were soldiers that belonged to a military camp (kunyong 軍營), and the rank of its director was assumed to be as high as the chegam 弟監 of Pyongbu. The functions of koch`widae were to signal the army in a battle field for various military tactics, to raise the morale of the soldiers and to perform at the funerals of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and for a variety of ceremonies. The counterparts of Tang 唐 China, Koguryo 高句麗, and Koryo 高麗, which inherited the cultural tradition of Silla, were cross-referenced to figure out the structure of the Silla Koch`widae. The original instrumen- tation for the marching band was assumed through comparing between the current instrumentation and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Silla Kingdom and examining other available instruments found in the musico-archaeological remains. The arrangement of the koch`widae was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status in the Tang China, Koguryo and Koryo Kingdoms. In the Silla Kingdom, when the King went somewhere in royal palanquin, the marching band was arrang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royal palanquin. The instruments that could be used in the koch`widae among those also used in the Silla Kingdom, are 10 instruments, which are 4 pipe instruments including kak 角 (horn trumpet known as nabal 喇叭), na 螺 (conch shell, nagak 螺角), p`iri 필률 (cylincrical oboe), and saeng 笙 (笙簧: mouth organ) as well as 6 percussions, i.e. ching 징 (大金: large gong), para 발라 (자발라: large cymbal), puk 북 (鼓: drum), pakp`an 拍板 (拍: wooden clapper), kanggo 강鼓 (carrying drum), and togo 도鼓 (swinging hand drum).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nd, samjuk 三竹 (three bamboo flute) ―taegum 大금 (large transverse flute), chunggum 中금 (medium transverse flute), sogum 小금 (small transverse flute)― and yogo 腰鼓 (waist drum) could be added. The least number of the performers of the koch`widae is 38, which could be extended to as many as over 100 to 108. In the case of a 38 member band, the ten Silla instruments are employed owing to their ample sound quality. The 108 member band is organized for grand ceremonies, which not only employed the ten Silla instruments but also samjuk (three bamboo flute) and yogo (waist drum), so that not any of the Silla instruments is left out in demonst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additional instruments contribute to create a solemn atmosphere for the ceremony.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ound of the Silla Koch`widae would not be far-fetched if some suitable sound system is employed to amplify those instruments whose sound quality are not ample enough.

      • KCI등재

        9세기 일본 서부 연안에 나타난 신라인들

        김창겸(金昌謙)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6

        이 글은 9세기 日本 서부 연안에 출현한 신라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일본 서부 연안에는 많은 신라인들이 자주 출현하였다. 이들 신라인은 단순한 표류민으로 난민인 경우도 있었으나, 상인·범죄자·도적(해적)·승려·관리 등 그 성분이 다양하였다. 일본측 사료에는 신라인이 출현하는 현상에 대하여 일본의 풍속과 교화를 흠모하여 자발적으로 귀화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이 일본에 진출한 직접적 이유와 배경은 일본측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신라측에 보다 있었다. 이 무렵 신라 내부의 사회변동은 많은 유이민을 낳았고, 이들 일부가 해외로 진출한 것이다. 일본에 신라인들이 출현한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단순한 표류는 사고와 자연재해가 그 원인이다. 그러나 상인은 부의 획들을 목적으로 일본을 대상지로 선택한 것이고, 난을 피하거나 범죄인으로 몰려 살길을 찾아 나선 유이민들은 생존을 위해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일본에 진출한 것이다. 일본 서부 해안에 도착한 신라인들은 일본 관민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다치거나 죽은 자도 더러 있었으며, 일본에 상륙할 때의 모습은 오랜 항해와 굶주림에 지쳐 매우 처참한 모습이었다. 때로는 자신들의 생계와 보호를 위해 무장을 하고 많은 수가 무리를 지어서 일본 연안 지역에 불법 상륙하여 노략질하거나 심지어는 공물을 약탈하는 불법 도적집단의 모습이었다. 이 경우에는 해적단으로서 막강한 군사조직과 같았다. 그러므로 9세기에 신라인들이 일본지역으로 진출한 것은 생활의 어려움과 고통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의 세계를 찾아 나선 생존전쟁이었다. 신라인의 일본 진출은, 일반적인 인구이동이 그러하듯이, 그 파급효과로 인하여 정치·사회·경제는 물론 문화 전반에 걸쳐 변화를 낳았다. 결국 신라에서 발생한 유이민은 9세기 동아시아에 큰 파장이 되어 한반도의 신라는 물론 중국 唐과 일본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었으며, 이것은 당시 인적 물적 교류로서 상호 작용하여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