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기선(申箕善)의 『계몽천자문(啓蒙千字文)』 연구

        金東錫 ( Kim Dong-seok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80

        申箕善(1851∼1909)은 1877년 대과 별시 때 병과에 급제한 문신이다. 그는 갑신정변에 참여했으며 1895년에는 군부대신과 육군대장을 거치고 중추원 부의장이 되기도 했다. 『계몽천자문』은 형식상 4글자씩 2구절이 짝이 되는 형식을 이루었다. 4글자에는 2글자로 된 한문어휘가 많다. 이들 한문어휘는 저마다 독특한 역사배경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恒沙와 같이 불교를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倉米처럼 『晋書·庾翼傳』 같은 역사서에 보이는 어휘도 있다. 근대 시기의 한자 어휘인 七曜도 『계몽천자문』에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인간에서부터 다양한 사물 명칭까지 나열하여 언급하고 있다. 작자 신기선이 살고 있던 시기에 밝혀진 천체에 대한 지식을 『계몽천자문』에 반영한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조선의 역사나 인물 등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고 있는 반면 『천자문』은 중국을 중심으로 역사나 인물 등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 역사도 언급하고 있다. 존왕양이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지만 만주족 完顔과 몽고족 奇渥을 언급하고 있다. 完顔은 锡伯族 부락명이기도 하고 오래된 성씨이기도 하다. 신기선은 요동평야가 있는 滿韓을 언급하기도 하고 長白山에서 松花江 중상류 지역에서 살면서 청왕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은 完顔族을 언급한다. 이는 청나라가 쇠퇴기에 접어들고 일제강점기를 앞둔 시점에 일본제국주의의 동북지역에 대한 관심이 『계몽천자문』에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초학들이 경전을 배우기 전에 습득해야 할 한자를 학습시키기 위하여 창작된 교재라고도 볼 수 있다. 때문에 오늘날 어문 교육과 거리가 있으며, 대신 고문사에 자주 보이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신기선은 자신의 행적을 『계몽천자문』에 담기기도 했다.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1877년 대과 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지만 1895년 군부대신에 임명되면서 陸軍副將이 되었고, 중추원부의장을 거쳤다. 『계몽천자문』 중에 출전하면 장수가 되고 입조하면 재상이 되었다는 出將入相과 “關侯岳保, 英豪武烈.”라고 표현한 것이다. 孔敎도 언급하고 있다. 이 부분도 그의 행적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신기선은 孔子敎會라고 알려진 孔子敎의 전신인 大東學會에 회장으로 있었다. 이 배경에는 統監府가 대한제국의 동학은 일진회, 유교계는 대동학회로 친일화 하려고 했다고 한다. Shenjishan(申箕善) wrot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Compared with th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of Shenjishan(申箕善) and 『Tianziwen(千字文)』 of zhouxingsi(周興嗣), there are similarities in form, but the content and background are different. In the text of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hanzi(漢字) also has a unique history backgrou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Buddhism a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history. The era in which shenjishan(申箕善) was living was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 period of zhouxingsi(周興嗣) was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In the era of the Shenjishan(申箕善), there were the Opium Wars in 1860, the War of the Taiping Heaven, the Sino-Japanese War in 1884, the Jung War in 1884-1885, the Constitutional Court in 1898, the martial law in 1898, and the civilization of 1898∼1900. Western powers and Japanese imperialism also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There is a lot of new content in the Shenjishan(申箕善), as compared to zhouxingsi(周興嗣)'s 『Tianziwen(千字文)』.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seems to have included the atmosphere of a new era, reflect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interest in Manchuria, so as to include the changed world. Senjishan(申箕善) also mentioned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But he did not mention mahan(馬韓) while referring to tanjun(檀君), jizi(箕子), manhan(滿韓), bianhan(弁韓), chenhan(辰韓). And he also mentioned lelang(樂浪), lintun(臨屯), zhenfan(眞番), xuantu(玄菟). Although Senjishan(申箕善) described Chinese history as based on zunwangyangyi(尊王攘夷). He also mentioned the Manchu faction of wanyan(完顔) and the Mongol tribe qiwo(奇渥). Among the Manchu peoples, wanyan(完顔) is one of the oldest people in the village of 松花江 and baitoushan(白頭山). Senjishan(申箕善) refers to the manhan(滿韓) with the Liaodong(遼東) plains, and the mention of the wanyan(完顔), who received the greatest respect of the Qing Dynasty. The author's thoughts on the earth and the universe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zhouxingsi(周興嗣). Senjishan(申箕善) explains that the universe is big and large, and the earth was round and rotating.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the commandment to look at the future and break the discrimination has not worked much in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In order to educate a child, this book introduce the vocabulary related to introduction of hanzi(漢字). It seems that it was forced to include many hanzi(漢字) which are distance from real life.

      • KCI등재

        연구논문 : 19세기 후반 신기선(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 Dae Hwan Noh )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 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엇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에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를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엇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0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 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셩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 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하엿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The theory of Dongdoseogi (東道西器, Eastern Ways and Western Machines, shortened as Dongdoseogiron hereafter) was a new current of thought introduced in the early 1880s when a severe argument of the open-door theory and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in defense of orthodoxy was is at its peak. Sin Gi-seon was the very person who suggested Dongdoseoginom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races of his life 1890s and review his entire career. It is anticipated that the periodical shifts of his thoughts would be revealed during saidprocess He used to study under the guidance of rustic literati(山林, sallim), however, in the early 1880s, he was fascinated to the idea of Dongdoseoginm. Ar that time, he suggested the new theory to convinc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He also participated in the open-door movement, but, snce he got involved in Coup d`Etat of 1884, he had to experience a huge transition of life. Because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revolutionaries, he was sent into exile and, ever since this point, he gradually became conservative. His new thoughts in the late 1880s can be found from Yubakgyeongui (儒學經緯, Warp and Woof [circumstances] of Confucianism) and it aimed, unlike his old ideas from the early 1880s, to re-secure the significance of Confucian teachings. Witnessing the Reforms of Gdoo (1894) and Eulmi(1895), made him even more conservative. He was critical abot the reform movements since he regarded the reform as dependent and radical. At this point his only interest was to protect Confucian ways from the radical reformists. Therefore, he had to face a severe criticism from the enlightenment parties represented by the Independence Club. In the late 1900s he suggested the compromising theory of the old and new studies. This suggestion was rnainly for the protection of old studies from newer academic trends. But his argument failed to evoke a significant response and, instead, he received a severe denumciation from groups of new academia. Sin Gi-seon once belonged to a progressive groip and , thus, was criticized by orthodox Confucian scholars. But after the middle of 1890s he was marked as a conservative by the reformist groups. Shifts of his thought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also show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Dongdoseogiron.

      • KCI등재

        19세기 후반 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었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와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로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었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8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 성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 하였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근대 유학인식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박정심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6 No.-

        한국 근대사상은 이질적인 타자였던 서구문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인가를 깊이 고민하였으며, 동시에 타자와 마주한 주체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유학이 서구근대문명에 대한 자기방어적 기제에서 벗어나 서기수용의 자기변형을 거쳐 해체와 재정립을 과정을 신기선 박은식 신채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적 유학은 ‘오도’의 정덕은 변화할 수 없는 측면이나 현실적 이용후생은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이 당연하며 당시는 서기수용이 그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경위와 체용이란 용어로 해명하였다. 신기선의 유학사상은 서기를 이용후생이란 유학적 범주 안에서 포용하면서 유학의 도덕적 보편이념은 견지함으로써 유학을 해체하지 않으면서 서구근대와 만나려는 근대적 변형에 해당한다. 반면 박은식과 신채호는 리기 심성론으로 인간과 자연을 해명하지 않을뿐더러, 유학 전반에 걸친 자기반성에서 출발하였다. 그들은 도덕도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고 주장하면서 유학의 전근대적 요소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러나 유학을 전면 거부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한국은 유교국가로서 유학이 근대국가에 맞는 이념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전근대적 측면은 단호히 해체하되, 도덕적 자각과 실천 그리고 사 사로움에 매몰되지 않는 공덕 등 유학의 긍정적 측면을 근대사회에 맞게 재해석함으로써 유학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斥邪的 타자/주체인식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즉 근대 공간에서 유학은 자기방어적 기제에서 서기수용의 자기변형을 거쳐 해체와 재정립을 과정을 통해 나름대로 시대와 호흡하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근대 공간에서 보여준 유학의 다양한 자기변화 양상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서구이념이 여전히 세계적 보편으로 확고히 자리잡고 있는 오늘날, 지금 유학은 어떤 이념으로 거듭나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물을 수 있을 것이다. Korean Modern Thoutht hold communion with oneself how to understand and accept Western Culture which was heterogeneity. This paper analyze the process to reproduct of the Confucianism to self-enewal and self-modernize by the thoughts of Park Eun-sik(朴殷植), Sin Chae-ho(申采浩) and Shin Gi-seon(申箕善). Only with metaphysical logical confirmity, the expulsion of wickedness(衛正斥邪) is more complicated and fine, because of the movement to fulfill of the Confucianism. Therby, Shin Gi-seon(申箕善) refused the activity of the Li(理) but seeked actual method to keep right morality(正德). His this idea is recognized by the logic of the DogiSangbun(道器相分). The school of the expulsion of wickedness(衛正斥邪派) recognized Seogi(西器) as the human needs but Shin Gi Seon(申箕善) thought as the right of that time to do as a wealthy country and powerful army. So his thought of YuhagGeyongwi(儒學經緯) is recognized ad the self change to fit and seek the method of the eastern penetration by western. On the other hand Park Eun-sik(朴殷植) and Sin Chae-ho(申采浩) didn't examinate the human and nature with Li(理)-Gi(기(己) mentality of Sung Confucianism (性理學). They argued to change the modality by the epoch.

      • KCI등재

        양원(陽園) 신기선(申箕善)의 생애와 대외 인식

        백천 ( Cheon Baek ) 호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1 No.-

        Chosun(朝鮮) in 1876 surrounding open-door divided determine admission showed a split phenomenon. Among them, generally the person who claims the moderate rehabilitation of singiseon are one people were at the center of the DongdoSeogi(東道西器). He grew up with a strong identity consciousness and Confucianism family. But his stubborn Confucianism became flexible after meeting with the Gaehwapa(開化派) and SeoEungsun(徐應淳). He argued DongdoSeogi(東道西器) authored by NongjeongSinpyeon-preface(農政新編序) and YuhagGeongyi(儒學經緯). But it was not due to the specific materials. He was appointed Minister of Education in 1896 asserts the old regime recovery and shall endeavor to preserve Dongdo(東道). Because he thought the system of Dongdo(東道), while the Western powers aiming for the same and did not care about the growth process and the background of their modern civil society. He seems to homogeneity of the three kingdoms of East Asia as a moral community called Dongdo(東道). He regarded China as the world standard, But seeing the look increasingly falling behind the times flow was found that changing his Chinese Caution. He also regarded the Japanese, who joined the ranks of the great powers constitute a breakthrough by the DongdoSeogi(東道西器) model. But he did not kn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Western imperialism in nature His foreign recognition would have been affected awareness and Confucian family in the growth process, a long exile away from reality etc. But most of all, it did not obtain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West is the first cause. The second reason is that he also did not get the experience of Western civilization through a foreign site visits. These factors are DongdoSeogi (東道西器) claimed that he thought this was developed with a different reality. It also seems to gradually move to a modern civil society to limit of his foreign recognition. 조선말 민란은 세도정치로 인한 부정부패, 그리고 삼정문란이라는 불만을 안은 채 점차 중앙정부에 대한 도전 성격의 경향을 보였다. 대외적으로는 두 차례 양요를 겪으며 서구 침략이라는 위기감에 차있었다. 이 과정에 조선은 1876년 개항을 결정하게 되면서 조정 안팎으로 이를 둘러싸고 여러 입장 차이로 분열 양상을 보인다. 그 가운데 신기선은 동도서기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실행하고자 노력한 온건 개혁가 중에 한사람이다. 신기선은 명문가 후손으로 신분의식이 강했다. 완고한 유학이념을 지닌 그가 개화파 인사들과 서응순(徐膺淳)을 만나면서 유연한 현실적 경향을 보인다. 그는 「농정신편서」에서 우월한 동도의 주관 아래 서구문물을 선별적인 수용을 주장하는 동도서기의 개화를 주장한다. 그는 갑신정변에 연루되어 유배 중에 『유학경위』를 저술한다. 그 목적은 서구를 모방하여 반인륜적으로 추진했던 갑신당의 개화와 그 뿌리가 다르다는 것을 변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농정신편서」에서 부족했던 동도서기의 이론적 근거를 보충하고자 했다. 그러나 야소교를 서구사상과 동일시하였고, 서구열강의 침탈 과정을 통해 이익만을 추구하는 비도덕적인 보았으나, 서구에 대한 구체적인 접촉과 자료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유배에서 풀려나 1896년 학부대신이 되어 국한문 병용, 태양력 사용, 내각 입헌제의 반대 등 구법(舊法) 회복을 주장한다. 그는 서구제도를 모방하는 것이 동도의 전통과도 어긋날뿐더러, 부국열강을 추진하는 왕권의 누수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본 것이다. 동도 중심의 체제와 제도를 염두에 두고 있었기에 서구의 부국강병을 목표로 하면서도, 그들의 근대시민 사회의 성장 과정이나 그 배경과 제도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동아 3국이 동도를 같이하는 도덕사회라는 동질감을 보인다. 성현의 고향 중국을 세계의 표준으로 여기나 시대 흐름에 뒤처지는 것을 보면서 그의 중화관도 바뀌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또한 일본을 동도서기의 성공적인 모델로 여기고 열강대열에 함께하기를 바랐지만, 이미 국가자본주의로 들어선 일본의 제국주의의 속성을 너무도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대외 인식이 현실과 차이를 보인 것은 그의 성장과정이나 오랜 유배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보인다. 둘째는 무엇보다도 서구에 대하여 정확히 판단을 할 만한 접촉이나 현지 방문이 결여되어 서구의 실체를 체감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외국의 미비한 자료와 일부 역사적 사건을 전체로 확대 해석하여 윤리와 비윤리 사회라는 흑백논리의 고정 관념이 셋째 요인으로 보인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그가 주장하는 동도서기의 개화론이 현실과 괴리되어 전개되었고, 또한 점차 근대시민사회로 나아가는데 그의 대외 인식의 폭을 스스로 한계 지우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동도서기론과 개화사상

        홍원식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학논집 Vol.0 No.62

        Since the Joseon dynasty became to open a port behind China and Japan in 1876 and Shin Gi-Seon raised theory of Dongdo-SeoGi while supporting expansion of open-port and enlightenment actively. The theory of Dongdo-Seogi raised in Joseon dynasty is contrasted with the theory of Zhongti-Xiyong(中體西用) of China and the theory of Wa kon yo sai(和魂洋才) of Japan. The theory of DoGi(道器) is of “Xi-Ci-Zhuan「繫辭傳」” of “I-Ching『周易』”, Do(道) is up for Hsing erh Shang(形而上), Gi(器) is up for Hsing erh Hsia(形而下). Zhuzixue of China inherits and develops the theory of DoGi of “I-Ching”. Hsing erh Shang, Do(道) is permanent, Hsing erh Hsia, Gi(器) is variable. They is not only ‘what is divided each other into(相分)’ but also ‘what needs each other(相須)’. The theory of Dongdo-Seogi in late Joseon dynasty coped with Cheoksawijeong theory(斥邪衛正論) at an early stage and actively carried out ‘reception theory of Seogi(西器受容論)’ by suitably applying principle of ‘what is divided each other into(相分)’ and ‘what needs each other(相須)’ of Do-Gi which zhuzixue proposes, to reality. However, as pressure of reception of Seodo(西道) increased, the center of the theory of Dongdo-Seogi moved toward ‘preservation theory of Dongdo(東道保存論)’ in the late period. Reception of the christianity, Seodo, and any change of political system is denied. The theory of Dongdo-Seogi in late Joseon dynasty showed conservative side historically, as adopting an passive posture on transformation of Dongdo(東道). 중국과 일본에 이어 1876년 조선이 개항을 하게 되면서 개항의 확대와 개화정책의 추진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가운데 신기선申箕善 등에 의해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이 제기되었다. 동양 3국은 유사한 역사적 상황을 맞으면서 조선에서 제기된 동도서기론은 중국의 중체서용론中體西用論이나 일본의 화혼양재론和魂洋才論과 흔히 대비되기도 한다. 도기론道器論은 원래『주역周易』「계사전繫辭傳」에 나오는 것으로 도는 형이상자形而上者에, 기는 형이하자形而下者에 해당하는 것이었는데, 중국의 주자학에서는 『주역』의 이 도기론을 계승, 발전시켜 형이상자인 도는 불변적이고 형이하자인 기는 가변적인 것이라 하여 ‘서로 나눠지는 것(相分)’이라고 말하면서도 동시에 ‘서로 필요로 하는 것(相須)’이라고 말하였다. 조선 말 동도서기론은 주자학이 제시한 도·기 상분과 상수의 논리를 현실에 적절히 적용하여 초기에는 척사위정론과 맞서면서 적극적인 서기수용론西器受容論을 폈다. 그러나 후기로 오면서 동도서기론은 서도수용의 압박이 높아지자 적극적인 동도보존론東道保存論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여 기독교 등 서도의 수용은 물론 어떠한 정치제도의 변화도 반대하고, 동도의 변용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자세를 취함에 따라 역사적으로 보수적인 모습을 드러내 보였다.

      • KCI등재

        신촌(愼村) 황필수(黃泌秀)(1842~1914)의 사상적 행보

        노대환 ( Noh Dae-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황필수는 19세기 후반에 주로 활동했던 학자이다. 그는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면서 자신의 방식으로 지식인으로서의 책무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20대 시절 황필수의 관심은 斥邪에 있었다. 그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기 위해 『斥邪說』을 저술하여 천주교를 비판하였는데 『척사설』은 19세기 중반의 대표적인 척사서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젊은 시절 황필수는 전통적인 유학자의 길을 걸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동도서기적인 사고를 지니게 되었다. 50대 이후에는 다양한 유학서의 출판 작업에 관여하는 한편 학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면서 新舊學折衷을 주창하였다. 구학을 중심으로 하면서 신학을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었다. 19세기 후반 당시에 황필수처럼 정통 유학에서 출발하여 동도서기론을 거쳐 신구학절충론으로 인식을 전환해갔던 지식인들이 당시에 적지 않았다. 만년에 교유하였던 陸用鼎, 그와 교분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金允植, 안면은 없었지만 그를 높이 평가했던 申箕善이 모두 그러한 경우였다. 황필수를 비롯한 이들 지식들의 모습을 통해 19세기 후반 사상계의 한 흐름을 상정해 볼 수 있다. 황필수의 생애를 자세하게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정치하게 구성할 수 없는 것이 아쉽지만 황필수는 19세기 후반 사상계의 동향을 살피는 데 도움을 준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인물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 19세기 후반 사상사의 이해 기반이 확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wang Pil Su is a scholar from the late 19<sup>th</sup> century Joseon Korea. He lived a time of great tumult and he tried to carry out his responsibility as an intellectual of the society in his own way. In his 20s, Hwang concerned mainly about the expulsion of Catholicism. He wrote Cheoksaseol (斥邪說, An Account of the Expulsion of Wickedness) to criticize Catholicism and prevent its popularization. His writing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epresentative books with relevant themes at the time. He lived his early years as a conventional Confucian scholar, but in the later part of his life, he adopted Western ideas on the basis of Eastern thought. Since his 50s, he published various Confucian books while actively advocated the needs of compromising the old and new studies. He argued that the Western learning could be transplanted into soil of Eastern study. There were numbers of intellectuals who shared Hwang’s idea at the time. His friend in his latter years Yuk Yong Jeong, Kim Yun Sik who is assumed to be his acquaintance, and Sin Gi Seon who thought highly of Hwang are such scholars. By examining these intellects, one could elucidate the trend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realm of ideas. Even though the insufficient materials about Hwang prevent ones from gaining profound understandings of his life, it is still possible to say that he is a figure with an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Future studies of various intellects from his time would widen our perspective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 KCI등재

        二雅堂 李重夏의 懷人詩 一考

        박종훈(Park Chong-hoo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조선후기 박제가(朴齊家)를 필두로 연작(連作) 회인시(懷人詩)가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본고에서 살핀 이중하(李重夏, 1846~1917)도 그 연장선상에서 오언십이구의 「세모회인시(歲暮懷人詩)」17수(首)를 통해 당대인 17인(人) 을 소개한 바 있다. 이중하는 1912년 세모에 회인시를 지었는데, 회인시의 대상인물들은 모두 고인(故人)이 된 시점이었다. 조선후기 연작 회인시의 대상 인물은 당대 생존했던 인물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이중하는 고인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독특한 일면이 있다. 조선후기 연작 회인시는 칠언절구와 오언육구라는 형식적인 특징이 있었는데, 이중하는 오언십이구의 형식을 활용했다. 조선후기 연작 회인시처럼 이중하의 회인시 역시 대상인물과의 교유 정황과 그 정감을 회억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대상인물들도 갑신정변이나 갑오경 장, 나아가 을미사변과 경술국치를 직접 경험한 이들로, 이중하의 회인시에는 혼란했던 시대상이 담겨져 있고 당대 관료들의 정치행적도 소개되어 있다. 이중하는 개화에 적극 동참한 인물인데, 회인시에서 언급한 김병시(金炳始)나 신기선(申箕善), 송백옥(宋伯玉) 등은 개화보다는 보수적 입장을 견지했던 인물이다. 또한 정범조(鄭範朝)나 조병호(趙秉鎬) 등은 국익을 우선시하는 민족 주의적 입장에서 개화를 추진했으며, 김홍집(金弘集) 등은 개화의 핵심세력이 었다. 물론 개인적인 교유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각기 현실 대응 양상이 다른 이들을 회인시에서 소개하면서 그들의 정치행적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한 것은 혼란한 국정을 극복하고자 한 다각적인 그들의 노력을 모두 긍정했다는 의미이다. 더욱이 이들의 현실 대응 양상 및 정치행적을 모두 우국충정으로 연결시킨 점이 이를 반증한다. 이중하는 회인시에서 대상인물과의 지기(知己)임을 선언하면서 그들의 회재불우를 탄식했다. 그러나 이들의 불우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당대 혼란했던 시대상과 맞물려 있었다는 점도 부각시켰다. 결국 난국의 타개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했지만, 결실을 맺지 못한 채 고인이 되고 말았으니, 이 역시 회재불우의 인식과 맞닿는 지점이다. 개인적인 교유에 대한 감회나 난국의 시대에서 기인한 회재불우의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고사(故事)를 활용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At the latter term of Chosun, Longing Poem were continuously created. Park, Je-ga was consecutively made Longing Poem. Through 「 Semo Longing Poem」 17poem of 5words 12phrases, Lee, Jung-ha(1846~1917) also introduced 17 people of the day at extension. Lee, Jung-ha made Longing Poem that in 1912. But, the characters of Longing Poem were all the lamented. At the latter term of Chosun, The characters of the following longning Poem, were lived of the day. But, Lee, Jung-ha had inimitable aspect that did compensation for the deceased. Lee, Jung-ha’s Longing Poem too almost principal content that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and looked back on sentiment. The characters directly experienced Gabshin-year Coup, Gabo reform, and Eulmi Incident, kyungsul disgrace to the nation. At Lee, Jung-ha’s longing Poem, It was put into phases of confused times. And It was simply delineated about their politics work that the bureaucracy of the day. Lee, Jung-ha was a man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civilization. At his longing poem, Kim, Byung-si, Shin, Ki-sun and Song, Baek-ok were characters that was appeared a conservative position than civilization. moreover, Jung, Bum-so and Jo, Byung-ho propelled civilization at the position of racialism that judged native benefit at the first. and Kim, Hong-gib was the heart of the civilization. Naturally, This was began an individual friendship. But, He introduced that was different from inclination at the Longing poem. and than He simply mentioned about their politics work. It mean that looked positive their eyes. They summed up multilateral their effort that overcome disarranged national administration. In addition, It was produced counterevidence that was connected from their politics work to their intense patriotism. Lee, Jung-ha’s Longing poem appeared that he declared close friend of the day. And through Poem, he heaved a sigh that their adversity. But, their adversity gave attention to not only caused by individual dimension but also connected phases of confused times. After all, He tried to broke the deadlock from different angles. But, He died that was not rewarded for his efforts. Therefore, It also was reached their adversity. He applied diverse tradition to emphasize that impressions about individual dimension or their adversity about a hard times.

      • 丹齋 甲采浩의 生長과 學問

        김상기(Kim Sang-ki)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0 충청문화연구 Vol.5 No.-

        Danjae(丹齋) Shin Chae-ho(申采浩) was a journalist and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historian at the modern age in Korea. He was the descendent of so-called 'Sandong Shin Family' from Goryeong Shin Clan. He born in Daejeon with close ties of his grandfather who enter the government service. Danjae studied Chinese writing learning from his grandfather and he developed the Dongdoseogiron by learning Chinese writing studies from the scholars of Imheonhoe(任憲晦) school. As he participated in the Manmingongdonghoe(만민공동회) Movement in 1898, he acquired the enlightenment thought. He was so emerged into the new learning even to assert the principle of non-utility of Chinese writing to have criticism against him in 1901 and was inclined in the ideology to assert the reform of Youngnam Confucianism. He then focused on historic study to establish the studies on korea history. He once went to Gwaneum temple of Beijing in China to live the life of a monk but it was purporsred to write the history in 'clean mind', not for his faith in Buddhism. His attitude toward learning was very stringent. He never accepted to have someone to add or omit any part of his writing at all. In addition, he was the historian who personally displayed the stringency of academics in a way of demanding to stop his writings to be publish on Chosun Ilbo that 『Chosun ancient History』 was too judgmental and incomplete.

      • KCI등재

        특집 : 근대 전환기 유교 담론과 도학 개념의 역사적 의미론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림과학원 2012 개념과 소통 Vol.0 No.10

        조선의 학술ㆍ문화와 사회·정치의 근간이었던 유교는 근대로의 급격한 전환과정에서 본래의 지위를 탈각한 채 기독교뿐만 아니라 새롭게 생겨나는 신종교의 틈바구니에서 경쟁해야 했다. 이 시기 유교적 지식인들은 문명의 개화와 진보를 역사적 책임으로 자임하면서 동도서기와 신구학논쟁을 진행하였으나, 한편에서는 국망의 원인으로 유교를 지목하여 폐기와 전면적 개혁의 요청에 휩싸였다. 1905년을 기점으로 일제의 식민지 책략이 본격화되자, 논의의 초점은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한 유교의 역할로 확대되었다. 동아시아 문명의 계승자로 자부하던 소중화 의식은 고유성과 독창성을 발명하려는 ‘민족’의 정념 속에서 퇴색할 수밖에 없었고, 당대 지식인들은 ‘유교’의 민족성과 친일 문제를 둘러싼 논쟁을 가속화하였다. 『대동학회월보』와 『대한매일신보』를 위시한 매체들은 일종의 근대적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면서 이 시기 유교를 둘러싼 다양한 주체의 논쟁을 실어 날랐다. 유교는 서구에서 유입된 새로운 개념은 아니었지만, 미래가치를 담아내기 위해서 고투했다. 이처럼 전통 개념의 역사의미론은 오히려 기성의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의미의 균열과 변용을 겪게 되고 마침내 우리의 일상 언어감각에서 사라지게 되는가를 문제 삼는다. ‘기본 개념’이 전근대 사회를 근대로 추동했다면 ‘전통 개념’은 근대적 변환의 속도와 방향을 문제 삼으면서 사회변동의 하나의 요소로 기능했다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기존 개념들의 운동 종식과 소멸의 작동방식에 시선을 돌려 역사의 빈공간과 시간으로 사라져 버린 개념들을 재성찰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Confucianism had functioned as the scientific,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foundation of Joseon for a long time, but during the drastic transition period leading to modern times, its dominance was threatened by competition from new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ity. Confucian intellectuals of the time, considering themselves responsible for the enlightenment of society and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were immersed in a dispute between dongdoseogi(the principle of preserving Eastern philosophy while accepting Western technology) and singuhak(old and new learning). However, once Confucianism came to be considered the underlying cause of national ruination, they were compelled to face up to demands for its abolition or comprehensive reformation. With the Japanese pursuing colonialism in earnest, the principal focus of debate became the role of Confucianism in the movement for national independence. Support for ‘little’ Sinocentrism(小中華主義) was eclipsed by rising nationalistic sentiments, and the national role of Confucianism was challenged by pro-Japanese activities. Newspapers like Daedonghakhoewolbo(大東學會月報) and Korea Daily News(大韓每日申報) functioned as the public sphere in a modern way, carrying articles about various arguments concerning ‘Confucianism’, which, though not a new concept from the West, was striving to capture values for the future. The historical semantics of traditional concepts essentially calls into question the way in which existing concepts undergo semantic rupture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disappear from everyday language. While ``basic concepts`` promote the premodern into the modern, ``traditional concepts`` function as an element for social transformation, taking issue with the pace and direction of the transition to modernity. In this way, historical semantics can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e movement of existing concepts stops and they cease to exist, and can thus contribute to a reappraisal of concepts which have disappeared into the empty space and time of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