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베트남 인식

        노대환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8 No.-

        Although Vietnam belonged to the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and was part of the China-centric tributes-installations system just like Chosŏn, it felt like such a distant country to Chosŏn people. Some Chosŏn people had interest in Vietnam personally, but it was not eas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country since there was no direct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only route for Chosŏn people to get some information about Vietnam was China. However, the information from China was primarily arranged in the position of Qing Dynasty, which meant that Chosŏn had a difficult time obtaining objective information about Vietnam. One good example is that most of Chosŏn's intellectual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Nguyễn Văn Huệ(阮文惠) coming into power. Thus they missed such important issues as Vietnam's strong independence against China and the causes of its political changes. Such a situation lasted for years. In the 1870s, the absence of information and confusion still prevailed as Vietnam was absorbed by Western powers even though it gave an impression that it well defended itself against the West ten years earlier. Once it was understood that Vietnam was in a crisis, an argument came out that connected its situation to the position that Chosŏn should take. Such an argument, however, could have some persuasive power only when there was accurate knowledge about the situations of Vietnam. The problem was Chosŏn had little accumulated knowledge about it. Chosŏn's full-scale and serious interest in Vietnam happened after a discourse titled ‘Tok Wŏllam mangguksa’(讀越南亡國史) was published in Hwangsŏng sinmun(皇城新聞) seven times in 1906 and the translated version of <Wŏllam mangguksa>(越南亡國史) was published by Hyeon Chae(玄采). Chosŏn's intellectuals solidified their determination of getting out of a crisis of collapse as a nation, reading <Wŏllam mangguksa>, only to follow the footsteps of Vietnam years later. 베트남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과는 단 한 차례도 공식적인 교섭이 없던 국가였다. 공식적인 교섭은 없었지만 양국 모두 중국과 조공-책봉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사신 간의 교류는 있었다. 李晬光이 1597년(선조 30) 鎭慰使로 북경에 갔다가 베트남 사신 馮克寬과 교류한 일은 잘 알려져 있다. 개인적인 접촉은 있었다고 해서 조선 지식인들 사이에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것은 아니다. 베트남에서 중요한 정변이 발생하면 잠시 관심을갖고 중국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정도였다. 베트남은 조선의 관심권 밖에 있었다고 할 수 있지만 조선에서 베트남에 대해 어떤 정보를 수집하고 베트남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는 반드시 고찰해야 할 문제이다. 다양한 국가에 대한 인식이 종합적으로 정리될 때 조선의 대외 인식 수준이 올바로 가늠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조선에서 베트남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 베트남에서 정변이 발생하면서부터였다. 조선 사신들은 청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수했는데 그러한 정보는 일차적으로 청의 입장에서 정리된 것이었기 때문에 조선으로서는 베트남의 정세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청의 시각을 그대로 받아들인 결과 베트남이 중국에 보였던 강고한 주체 의식이나 정치적 변동을 초래한 원인과 같은 중요한 문제는 놓칠 수밖에 없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그나마 베트남에 대한 관심은 약화되어 갔다. 1840년대에 들어 『해국도지』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정보 자체가 정확한 것은 아니어서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기도 하였다. 1870년대에 들어 베트남이 위기에 처한 것으로 파악되었지만 베트남이 어떤 곤란을 당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는 없었다. 베트남에 대한 본격적이고 진지한 관심은 1906년 『皇城新聞』에 7회에 걸쳐 「讀越南亡國史」라는 논설이 게재되고, 곧 이어 玄采에 의해 <월남망국사>번역본이 출간되면서부터 나타났다. 지식인들은 『월남망국사』를 읽으며 대한은 망국의 위기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결의를 다졌지만 몇 년 후 대한 역시 월남의 전철을 밟고 말았다.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노론 척사론의 전개

        노대환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6 No.-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Cheoksaron was dominated by the Giho Namins, but there were criticisms on Christianity among the Noron members. The Cheoksaron of Noron was developed by the Sanrim and Bukhak faction, both of which were critical of Christianity. While the latter maintained an approach of education in terms of measures against the religion, the former insisted on thorough punishments. Entering the 19th century, the Noron Byeokpa seized the power, took in full-scale suppression operations against Christians, and expelled the Namins. As a result, the Noron Sanrim faction of Noron led the Cheoksaron instead of the Namins. The Sanrim faction was afraid that Christian Namins might invade Chosun in combination with the western powers and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ideological causes of the Namins belief in Christianity. It was under the goal that they ferociously highlight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nd Christianity. The Sanrim faction was also critical of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eing concerned with the Bukhakron members of Noron. Entering the latter half of the 1830s, the Cheoksaron of Noron took another turn as Lee Hang-ro and Lee Jeong-gwan wrote books about Cheoksa. While Lee Hang-ro inherited and reinforced the positions of the Sanrim faction, Lee Jeong-gwan suggested an eclectic Cheoksaron between the Sanrim and Bukhakron faction. Their books triggered the activation of Cheoksa discussions among the Norons. In the middle of the activation of Noron's Cheoksaron, Kim Pyeong-muk and Lee Hang-ro reinforced the positions of the Sanrim faction and Yun Jong-ui and Park Gyu-su took different positions from the Sanrim faction.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them. The focal point of controversy was how to evaluate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demonstrated the reinforced aspects of Cheoksaron and predicted the differentiation of Wuijeongcheoksaron and Dongdoseogiron. 18세기 후반의 척사론은 기호 남인계가 주도하였지만 노론 내부에서도 천주교 비판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노론의 척사론은 크게 산림 계열과 북학론 계열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산림 계열이나 북학론 계열 모두 천주교에 비판적이었지만 대책에 대해서는 북학론자가 교화주의적 태도를 견지하였던 데 반해 산림계는 철저한 처벌을 주장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19세기에 들어 노론 벽파가 집권하여 천주교도에 대해 대대적인 탄압과 함께 남인을 축출하면서 남인을 대신하여 노론 산림계가 척사론을 주도하게 되었다. 한편 북학론자들의 경우는 서양 과학기술의 수용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척사 문제에는 그리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이 시기 산림계의 척사론은 남인을 주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었던 점에 특징이 있다. 천주교도 남인이 서양 세력과 결탁하여 조선을 침입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꼈던 산림계는 남인이 천주교를 신봉하게 된 사상적 원인을 탐색하는 데 집중하였다. 양명학과 천주교의 관련성에 대한 집중적인 부각은 그러한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림계는 서양 과학기술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노론 내부 북학론자들을 의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노론의 척사론은 1830년대 후반에 들어 이항로와 이정관이 각각 「論洋敎之禍」와 「闢邪辨證」을 저술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이항로가 산림계의 입장을 계승하여 심화시켰던 반면 이정관은 산림계와 북학론계의 입장을 절충한 척사론을 제기하였다. 이항로와 이정관의 척사서 저술을 계기로 노론 내부의 척사 논의는 크게 활성화되었다. 김평묵은 「벽사변증」을 검토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붙인 「闢邪辨證記疑」를 저술하였고, 이정관과 친밀했던 윤종의는 『闢衛新編』을 펴냈다. 한편 윤종의의 벗 박규수는 「闢衛新編評語」를 통해 척사의 논리를 한층 심화시켰으며 박규수의 친우 남병철이 자신의 주장을 펴고, 또 이항로가 나서서 정통 성리학계의 입장을 강조하는 등 연속적인 움직임이 이어졌다. 노론의 척사론이 활성화되는 가운데 김평묵과 이항로가 산림계의 입장을 강화한 반면 윤종의와 박규수 등은 산림계와는 다른 입장을 취하는 등 인식의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논란의 초점은 주로 서양 과학기술에 대한 평가 문제였는데 이는 척사론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위정척사론과 동도서기론의 분화를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서양세력의 접근과 海洋觀의 변화

        노대환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3 No.-

        The Approach of Western Powers and Change in the View of the Oce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 KCI등재

        柳麟錫의 국권 회복 운동과 華夷의식의 변용

        노대환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유인석은 근대 중화론을 거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유인석에게 주목되는 것은 확고한 중화론자이면서도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유연하게 대처했다는 점이다. 스승 이항로를 비롯한 선배 유림들이 시세보다 의리에 집착했던 데 반해 유인석은 의리와 시세를 참작하여 국권 회복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 점에서 유인석은 근대 시기 중화론의 변용 과정을 살피는 데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인석의 중화론의 변화과정을 그의 국권회복 운동을 중심으로 1910년 전후의 시기로 나누어 고찰해보고자 한다. 유인석은 을미의병운동을 주도하였다가 실패하자 청에 청원을 시도하였다. 그의 사우들은 청원에 비판적이었지만 유인석은 청이 다른 이적과는 다른 국가이기 때문에 청원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을사조약 체결 이후 유인석은 더욱 청원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이때 주목되는 것은 청 뿐 아니라 러시아로부터 지원을 받는 방안도 모색하였다는 사실이다. 국망의 현실 앞에 유인석은 청보다 못한 이적 국가로 간주되던 러시아로부터도 도움도 끌어내고자 했던 것이다.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유인석은 화이관을 변용시켰다고 할 수 있다. 1910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후 중국에서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였다. 중화민국의 건국이 그것인데 유인석은 주의 깊게 중화민국의 변화상을 살폈다. 그는 중화민국이 기대와는 달리 서양화의 길을 걷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국권 회복의 방안으로 제시한 것이 동양삼국연대였다. 동양삼국이 중국을 중심으로 연대하여 서양을 제압하고 궁극적으로 세계를 유교화하고 평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의 동양삼국연대론에서 주목되는 것은 인종론이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당시의 시세를 동서양의 대결로 보아 서양화의 길을 걷고 있던 중화민국, 조선을 강제 합병한 일본과의 연대를 제기하였다. 화이관의 관점에서 보면 중화민국이나 일본 모두 배척해야 할 대상이었지만 동서의 대결로 당시의 시세를 판단했던 탓에 그들과 연계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처럼 국권회복 운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드러나 유인석의 의식은 전통적인 화이관과 상충되는 부분이 적지 않았다. 현실적인 필요에 따라 그 상충을 기꺼이 용인하였던 점 그것이 바로 유인석의 인식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Even though Yu In Seok(1842~1915) was one of the most strong believers of Sino-centrism of the late pre-modern Korea, he was also flexible in responding to the times. While Confucian scholars of older generation such as his teacher Lee Hang Ro stuck to traditional values, Yu In Seok was open to newly introduced ideas as well in his movement for resumption of the national sovereignty. Such flexible attitude of him has a great significant in elucidating the shift of Sino-centrism in modern tim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lose analysis on his changing view of Sino-barbarian dichotomy during his movement around 1910. When the righteous army of Eulmi that Yu In Soek led turned out to be a failure, he tried to petition Qing China for an aid. Though his colleagues were critical of the petition, since he regarded Qing as a distinctive country among other barbaric enemies, he thought making a petition to Qing was acceptable. After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was concluded, he was more active in making a petition. The fact that he even sought for help from Russia has an important significant. In response to national crisis, he changed his attitude toward the 'barbaric' Russia and tried to derive an aid from it. An actual necessity changed his Sino-barbarian Dichotomy. After Korea was absorbed to the Imperial Japan in 1910, the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Yu In Soek carefully studied changes of the Republic and made a conclusion that, against his expectations, China was being westernized. Amid this circumstance, he suggested the solidarity of Korea, China and Japan as a solution for recovering the national sovereignty. According to Yu In Soek,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should band together with China as a center and defeat the West to eventually ‘Confucianize’ the world and to regain peace. The core factor of his suggestion was the ethnic theory. He thought there was an ongoing wa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at was the reason for his suggestion. Even though the Republic of China and Japan were enemies to exclude according to the Sino-barbarian perspective, he thought Korea should band together to fight against the West. His ideas that he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national sovereignty often were contradictory to the traditional Sino-barbarian dichotomy. But he accepted the contradictions according to an actual necessity and that is the unique feature of his though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윤행임尹行恁(1762~1801)의 정치 활동과 학문 성향

        노대환(盧大煥)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윤행임은 조선의 대표적인 충절 가문 출신으로 정조의 돈독한 신임을 받았던 인물이다. 정조는 윤행임 가문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였으며, 윤행임의 학문적 잠재력을 인정하여 그를 근신으로 양성하였다. 윤행임은 정조의 관심과 지도를 받으며 관료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학문을 연마하였다. 윤행임은 자신의 가문과 학문을 인정했던 정조에게 충성을 다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난 후 윤행임은 정조의 유지를 실천하는 것을 정치적 목표로 삼았다. 자파 중심으로 정치 구도를 재편하려던 벽파에게 이러한 윤행임의 태도는 위험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벽파가 본격적으로 권력 장악에 나서면서 양측의 갈등은 증폭되었고 윤행임은 결국 정조의 유지를 빙자하여 권력을 농단한 역신으로 몰려 40세의 나이에 비참한 최후를 맞고 말았다. 윤행임을 제거했던 벽파 정권은 순조 초반에 무너졌지만 그의 관작은 쉽게 복구되지 못하였다. 복관 반대론자들은 윤행임이 벽파를 도와 일을 꾸민 자라고 지목하면서 복관을 강력히 반대하였다. 그로 인해 복관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26년이 지난 1835년(헌종 1)나서야 이루어질 수 있었다. 벽파로부터는 자파 세력을 위협하는 인물로 배척받아 목숨을 잃고 벽 파가 무너지자 이번에는 거꾸로 벽파에 동조한 인물이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던 윤행임의 정치적 행보는 여전히 안개에 싸여 있다. 그의 학문적 성향 역시 해명되지 못한 부분이 적지 않다. 그는 기본적으로 호론을 지지하였지만 정책 추진 과정에서는 서얼 허통 주장처럼 낙론과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차후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관련 연구의 진척에 따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Yoon Haeng-im’s family was well known for being allegiant to the country and he gained King Jeongjo’s sincere trust. The King highly appreciated Yoon Haeng-im’s family for its royalty and also recognized his academic potential. Therefore the King trained Yoon Haeng-im to be his entourage. Under the guidance and concern of the King, Yoon Haeng-im devoted himself to his studies and became well qualified as a government official. Yoon Haeng-im was loyal to the King Jeongjo who recognized his family and academic ability. After the King’s death, his political goal was to realize the later king’s will. To the Byeokpa(벽파) faction, however, a group of politicians who tried to re-organized political structure centering on them, such political attitude of Yoon Haeng-im was threatening. As the Byeokpa faction started to take power, the conflict between this faction and Yoon Haeng-im’s party became amplified. And as a result of this power struggle, Yoon Haeng-im fell under suspicion of exercising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later king and was accused of treason. He was finally executed at the age of forty. Even though the Byeokpa faction, which purged Yoon Haeng-im from the government, was crumbled away in the early part of King Soonjo’s era, his reinstatement was far from realization. A group of people accused him of being an assistor of the Byeokpa faction and strongly opposed against his reinstatement. Thus, it was the first year of King Heonjong(1835), 26 years after his death, when he was finally reinstated. Yoon Haeng-im was ostracized by the Byeokpa faction for he was a threat to them. But when the Byeokpa faction was collapsed, he was ironically criticized for being a helper of the failed faction. For such reason, his political course is still remained indefinite and his academic views have not been completely elucidated. He basically supported the doctrine of hau, but his politics also had some resemblance with the doctrine of lak such as the claim of abrogation of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child of a concubine. These unsolved issues will be elucidated as a new historical material is continuously discovered and relevant researches continue. I hope there will be more studies on Yoon Haeng-im and the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y of politics and thoughts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세도정치기 산림의 현실인식과 대응론 ― 노론 산림 吳熙常·洪直弼을 중심으로 ―

        노대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한국문화 Vol.42 No.-

        Oh, Hui-sang(오희상) and Hong, Jik-pil(홍직필) were representative members of in the era of so-called in-law government during which the influence of the Sallim faction was significantly weakened. Although they were appointed to the official position of Sallim scholar and treated as such, they showed a slight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olitics. That was because they were critical of the reality of the era of in-law government. Thinking that when the authority of the throne was dominated by royal in-law families, participating in politics with little capacity to reform society was only to pursue practical benefits, they gave up entering government service and devoted themselves to academic activities. With regard to such attitudes, it is generally appreciated that what Sallim scholars studied failed to reflect reality, and thus futile. This is not appropriate. Their refusal to participate in politics virtually originated from vigorous interest in reality, and their academic concentration on Ri or principle was somewhat outdated but not futile. While keeping a distance from politics, they had consistent interest in social matters and even showed interest in the study of governance based on Uirijihak. Oh, Hui-sang and Hong, Jik-pil also observed the spread of Catholicism. They thought Catholic expansion was attributed to the weakened consciousness of righteousness. In order to respond expanding Catholicism, they aroused intellectuals’ interest in rejecting heterodoxy. Although they did not specifically state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they showed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rejecting heterodoxy and urged attention to the movement of Western powers. Such attitudes were short-sighted and close-mined. However, given that the government resorted to stopgap measures to respond to the movement of Western powers with little awareness of the crisis, their attitudes are considered quite meaningful. Oh, Hui-sang’s and Hong, Jik-pil’s way of recognizing and handling rea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unior literati who followed them. While agreeing to their seniors’ consciousness concerning social problems, junior literati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reform reality and acted differently from their seniors. As for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they published 『Byeogwi Sinpyeon』, a book about rejecting heterodoxy, in consultation with their seniors’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gain Sallim scholars and related people in the era of in-law government. Oh, Hui-sang(오희상) and Hong, Jik-pil(홍직필) were representative members of in the era of so-called in-law government during which the influence of the Sallim faction was significantly weakened. Although they were appointed to the official position of Sallim scholar and treated as such, they showed a slight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olitics. That was because they were critical of the reality of the era of in-law government. Thinking that when the authority of the throne was dominated by royal in-law families, participating in politics with little capacity to reform society was only to pursue practical benefits, they gave up entering government service and devoted themselves to academic activities. With regard to such attitudes, it is generally appreciated that what Sallim scholars studied failed to reflect reality, and thus futile. This is not appropriate. Their refusal to participate in politics virtually originated from vigorous interest in reality, and their academic concentration on Ri or principle was somewhat outdated but not futile. While keeping a distance from politics, they had consistent interest in social matters and even showed interest in the study of governance based on Uirijihak. Oh, Hui-sang and Hong, Jik-pil also observed the spread of Catholicism. They thought Catholic expansion was attributed to the weakened consciousness of righteousness. In order to respond expanding Catholicism, they aroused intellectuals’ interest in rejecting heterodoxy. Although they did not specifically state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they showed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rejecting heterodoxy and urged attention to the movement of Western powers. Such attitudes were short-sighted and close-mined. However, given that the government resorted to stopgap measures to respond to the movement of Western powers with little awareness of the crisis, their attitudes are considered quite meaningful. Oh, Hui-sang’s and Hong, Jik-pil’s way of recognizing and handling rea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unior literati who followed them. While agreeing to their seniors’ consciousness concerning social problems, junior literati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reform reality and acted differently from their seniors. As for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they published 『Byeogwi Sinpyeon』, a book about rejecting heterodoxy, in consultation with their seniors’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gain Sallim scholars and related people in the era of in-law government.

      • KCI등재

        19세기 후반 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었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와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로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었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8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 성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 하였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對러시아 인식의 변화

        노대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2 No.-

        러시아는 한국 근현대사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국가이다. 그러한 러시아에 대한 초기의 인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가를 살피는 것은 중요하다. 초기의 인식은 이후 양국 관의 관계를 설정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러시아와 통상 조약을 체결하기 이전 시기의 對러시아 인식을 19세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조선에서 러시아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이 생겨난 것은 1860년대에 들어서였다. 조선은 러시아가 빼이징 조약을 통해 연해주를 획득하여 조선과 국경을 마주하게 되면서 비로소 러시아를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러시아의 존재는 17세기 후반에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19세기 초기까지만 해도 러시아는 교화해야 할 오랑캐 정도로밖에 여겨지지 않았다. 조선 지식인들은 러시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러시아에 대해 별다른 관심도 없었다. 러시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전달된 것은 19세기 중반에 『해국도지』와 『영환지략』이 유입되면서부터였다. 최한기가 『지구전요』에서 『영환지략』의 내용을 토대로 러시아를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윤종의도 『벽위신편』에 러시아에 관한 사실을 실었다. 이들 책에서 러시아는 이전에 알려진 것과 같은 오랑캐가 아닌 광대한 영토를 보유한 강국으로 소개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조선과 국경을 마주하게 된 러시아가 접촉해오자 러시아에 대한 불안감이 생겨났다. 러시아에 대한 불안감은 청과 일본측의 적극적인 정보 공세로 인해 크게 고조되었다. 조선과 러시아 양국 사이에 특별히 문제가 될 만한 사건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조선을 침략했던 미국이나 프랑스보다 훨씬 위험한 국가로 낙인찍혔다. 러시아에 대한 불안감은 『조선책략』의 유입으로 이어졌지만 1880년을 전후하여 러시아에 대한 인식은 분화되는 양상을 띠었다. 러시아를 서양의 다른 국가보다 더 침략적인 세력으로 볼 수 없다는 인식이 생겨나는 가운데 강대한 러시아와 연합하여 러시아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강위가 연아론을 반박하는 글을 지었던 것은 연아론의 흐름이 결코 만만치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연아론이 제기되자 한편에서는 러시아의 위험성을 다시 강조하고 나섰다. 절친한 관계였던 강위와 백춘배가 그 대표적인 인물인데 두 사람 모두 러시아가 조선을 침략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러시아의 위험성을 부각시켰다. 러시아에 대한 이러한 인식의 상이성은 이후 對러시아 정책의 추진이 복잡한 방향으로 흐르게 될 것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Since Russia had a strong influence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t is essential to elucidate how Korean’s perception of Russia had been initia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n’s initial perception of Russia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stablishment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Russia,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s viewed Russia before the commercial treaty of 1884 was made by the two nations. When Russia acquire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by signing the Convention of Peking in 1860s and bordered by Joseon Korea, Koreans actually started to recognize Russia. Even though Koreans were aware of Russia since the late 17th century, they merely regarded Russia as a savagery nation to civilize. Korean intellectuals at the time di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to objectively understand Russia and had no specific interest either. It was after Haikuo Tuchih (海國圖志) and Yinghuan zhilue (瀛環志略) were introduced to Joseon Korea in the mid-19th century when Koreans finally obtained specific information of Russia. Choe Han-gi included more detailed information of Russia he had learnt from Yinghuan zhilue in his book Jigu jeonnyo (地球典要), and Yun Jong-ui also mentioned some information of Russia in his Byeogwi sinpyeon (闢衛新編). Russia, traditionally regarded uncivilized, was depicted as a powerful country with an immense territory in these books. In this situation, Russia’s approach to Joseon Korea heightened concerns against Russia among Koreans, and such anxiety has gotten serious as China and Japan actively supplied Koreans with more information of Russia. Even though there was no specific conflict occurred between Joseon Korea and Russia, Koreans regarded Russia as a more dangerous nation than the U.S.A. or France who had actually invaded them before. Though Korean’s anxiety against Russia has led the introduction of Zhaoxian celue (朝鮮策略) to Korea, their perception of Russia has been differentiated in two ways around 1880s. With an idea that Russia was not actually more incursive than other western nations, some people insisted that Joseon Korea should associate with Russia and go under its protection. The fact that Gang Wi has opposed to the advocacy of an alliance with Russia suggests that such opinion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at the time. As some people asserted to make an alliance with Russia, some others tried to re-emphasize the danger of Russia. Gang Wi and Baek Chun-bae, who were close friends with each other, have most strongly warned that Russia would invade Joseon Korea one day and tried to convince the danger of Russia. Such different perceptions of Russia among Koreans suggested that Korea’s Russian policy would face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sooner or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