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톨릭 교회의 시노드적 회개의 전망에서 본 크레테이 교구 시노드 후속 <사목조치>(2019.09.01.)의 배경에 대한 교회법적 고찰

        Alphonse Borras,한민택(Han, Mintaeg) 옮김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2 이성과 신앙 Vol.72 No.-

        크레테이 교구 시노드의 경험을 바탕으로 2023년 10월에 개최될 제16차 세계주교시노드 총회의 전망 안에서 본고는 ‘실제적으로 시노드적인 교회 통치’를 의도한 크레테이 교구 시노드 후속 <사목 조치>(2019.09.01.)에 대한 교회법적 고찰을 제안한다. 먼저 본 논문은 교회의 시노달리타스 개념과 그것의 동의어인 세례성사로 부여받는 공동책임성을 다룬다.(Ⅰ) 다음으로, 프란치스코 교황이 고려한 대로의 ‘시노드적 회개’의 범위를 밝힌 다음,(Ⅱ) 개별법에서 합법적으로 비롯되는 <사목조치>의 성격을 강조하고 교회법의 기능과 교구 시노드(참조: 󰡔교회법전󰡕, 460-468조)의 역할을 상기시킨다.(Ⅲ) <사목조치>의 내용에서 폭넓게 취한 몇 가지 숙고를 바탕으로 본고는 진정으로 시노드적인 교회를 위한 몇몇 논선을 제안한다.(Ⅳ) 이 사안은 이 순간, 곧 지금 프란치스코 교황이 즐겨 상기시키듯 전환기일 뿐 아니라 진정으로 획기적인 변화의 세기인 지금, 매우 중차대한 것으로 드러난다. À partir de l’expérience du Synode diocésain de Créteil et dans la perspective de la XVIe Assemblée générale ordinaire du Synode des évêques d’octobre 2023, l’A. propose quelques considérations canoniques sur l’Ordonnance épiscopale du 1er septembre 2019 en vue d’un “gouvernement ecclésial réellement synodal”. Il traite tout d’abord du concept de synodalité ecclésiale et de l’équivalence avec celui de coresponsabilité baptismale [I]. Ensuite, après avoir explicité la portée de la “conversion synodale” telle qu’envisagée par le pape François [II], il souligne la nature de l’ordonnance de 2019 qui relève légitimement du droit particulier et rappelle la fonction du droit ecclésial ainsi que le rôle d’un Synode diocésain (cf. CIC 1983 cc. 460-468) [III]. À partir de quelques réflexions éclectiques sur le contenu de l’ordonnance, il offre quelques pistes en vue d’Église authentiquement synodale [IV]. L’enjeu est majeur en ce moment qui n’est pas seulement une époque de changements, mais un véritable et phénoménal changement d’époque, comme d’ailleurs aime le rappeler le pape François.

      • KCI등재

        方玉潤 『詩經原始』 연구 ― ‘淫詩’ 혐의가 제기된 시들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이남종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2

        ≪詩經原始≫는 淸 方玉潤(1811-1883)이 同治(1862~1874) 연간 저작이다. 方玉潤의 《詩經》 해석은 漢·唐代 詩經學 또는 宋代 詩經學의 울타리를 벗어나 經文 자체에서 의미를 추구하고 또 詩를 가지고 詩를 논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에 그의 저작은 崔述의 《讀風偶識》 및 姚際恒의 《詩經通論》과 함께 독립적 연구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본고는 ‘淫詩’ 혐의가 제기된 시들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詩經》의 ‘淫詩’에 대한 논의는 春秋 시기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으나 다수의 시편들에 대하여 淫詩로 규정한 이는 宋 朱子이다. ‘淫詩’로 지목된 시를 그대로 ‘淫詩’로 받아들일 것인가의 문제는 《詩序》 및 朱子 詩經學에 대한 수용과 배격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方玉潤은 ≪詩經原始≫에서 각 시편의 제목 아래에 새로 詩序를 제출하여 기존의 《詩序》를 대신하였으며, 〈自序〉, 〈凡例〉, 〈詩無邪太極圖說〉 〈詩旨〉 및 음시 혐의가 제기된 시편에 대한 釋義에서 朱子 詩經學의 주요 주제인 淫詩說을 부정하였다.

      • KCI등재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권해숙,오원정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4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is a system in which the Minister of land and transportevaluates and publishes the construction abil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at the end of Julyevery year, and reports the indicators,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Estimated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ofthe company in charge of construction when contracting various constructions. This study verifieswhether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under the revised evaluation methoddiff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under theexisting evaluation method.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by Kwon Hai-sook, Oh Wonjung(2016), that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has value relevance, it isrequired to verify that the value relevance to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has increas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estimated values of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capability evaluationmethod, and the relevance of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increased after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capability evaluation metho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management evaluation, technology abilityevaluation, and new technology evaluation that constitute the estimated values of construction abilityevaluation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also became more relevantto the value of the company.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revisedconstruction ability assessment method, which means that it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entity's value rather than the existing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시공능력평가제도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매년 7월말 건설업체의 시공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기초로 시공능력을 평가하고 공시하는 제도로서 시공능력평가액이라는 지표를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액은 각종 공사계약시 공사를 담당하는 기업의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이기존 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추가로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이 있다는 권해숙‧오원정(2016)의 연구를 근거해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전․후의 시공능력평가액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도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개정된 시공능력평가제도가 기존의 시공능력평가제도보다 기업가치와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비해당소상팔경시권(匪懈堂瀟湘八景詩卷)」과 일본 유현재(幽玄齋) 소장 <소상팔경도>의 연관에 대하여

        박해훈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9 동원학술논문집 Vol.10 No.-

        Sosangpalgyeongdo(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known to have first been painted by Song Di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1015~1080) was widely popular and became synonymous with landscape paintings depicting scenic views. The Sosangpalgyeongdo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since then numerous literati and painters depicted the scenery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 poems and paintings. Production of poems and paintings themed on the scenery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particularly popular, which can be conjectured from quantities and document records of Sosangpalgyeongdo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oday.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production of poems and paintings on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can be found from the Album of the Poems for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t was commissioned by Prince Anpyeong in 1442 to feature copying of calligraphies of poems depicting the Sosangpalgyeong written by Southern Song Emperor Ningzong and paintings on the landscape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This album is of very high value as a material to show the trends of Sosangpalgyeongdo in the early Joseon period.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owned by Yoohyeonjae, is a very important work, featuring all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relatively early in the Joseon period. Like other Sosangpalgyeongdo in the early Joseon era, it shows the painting style of An Gyeon,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of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artists are also unknown.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Eight Views is the way of marking the titles of paintings. Among the titles on the paintings, the markings of Wonpobeomgwi and Pyeongsaangrak are not found in other works and are identical with the markings of poems of Sosangpalgyeong by the Emperor Ningzong contained in the Album of the poems for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t is considered that not only the way of marking titles, but also the order of the eight views are identical with the poems of Sosangpalgyeong by the Emperor Ningzong.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reason why the order of paintings and title marking methods of the Eight views owned by Yoohyeonja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oems by the Emperor Ningzong is that the former had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Sosangpalgyeongdo in the Album.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works is discovered more clearly, more detailed analysis on how Sosangpalgyeongdo of the early Joseon period unfolded and what impact An Gyeon’s Sosangpalgyeongdo had on future generations is likely to be conducted. 본고는 조선 초기 소상팔경도의 중요한 작례로서 「비해당소상팔경시권」을 검토하고 현존하는 조선 초기 소상팔경도 중 일본 유현재 소장 <소상팔경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북송대 송적(宋迪, 약 1015~약 1080)이 처음 그린 것으로 알려진 소상팔경도는 곧 널리 성행하며 승경을 소재로 한 산수화의 대명사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에 전래된 후 많은 문인과 화가들이 시와 그림으로 소상팔경을 표현하였다. 특히 조선 초기 소상팔경을 노래한 시와 함께 그림의 제작이 매우 성행한 사실은 현재 전하는 소상팔경도의 수량이나 문헌의 기록에서도 짐작된다. 그러나 팔경을 모두 갖추어 그려진 예는 많지 않은데, 현재 일본 유현재에 소장된 <소상팔경도>는 팔경을 모두 갖추고 안견파 화풍 중에서도 비교적 고식인 매우 귀중한 작품이다. 본래 화첩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다른 작품들과 연관된 요소가 많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유현재 소장 <소상팔경도>를 살펴본 결과, 팔경의 순서와 화제의 표기방식 등이 같은 예는 유일하게 「비해당소상팔경시권」에 실렸던 남송 영종의 소상팔경시였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유현재 소장 <소상팔경도>는 「비해당소상팔경시권」에 실린 소상팔경도를 방한 작품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현재 소장 <소상팔경도>의 일부 소재와 표현이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통하는 점과 「비해당소상팔경시권」에 실린 소상팔경도의 작가로 안견이 지목되는 사실과도 부합한다. 한편 유현재 소장 <소상팔경도>에 나타난 소재와 표현 양식은 다소 변형되긴 하지만 후대의 소상팔경도와 산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 두 작품의 연관이 보다 분명하게 밝혀진다면 조선 초기 소상팔경도의 전개과정 그리고 안견의 <소상팔경도>가 후대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해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分類本『草堂詩餘』의 變遷에 관한 연구

        류기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6 No.-

        唐宋 이래로 中國에서는 수많은 詞選이 출간되었지만, 明代의 출판업자들이 가장 눈독을 들였던 詞選은 草堂詩餘 였다. 사실 南宋에서 처음 만들어진 草堂詩餘 도 유명한 詞人이나 詞論家들이 만든 것이 아니라 출판업자들이 편집하여 간행한 것으로, 南宋의 출판업자들도 이 책이 유행할 것이라는 감을 잡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南宋부터 明末까지 4백여 년을 유행하였던 이 詞選集은 역대의 詞 작품을 보전하는 역할도 하였지만, 詞話의 보전과 발전에도 상당한 貢獻을 하였다. 이런 草堂詩餘 의 版本 비교 는 詞選集이 唱本에서 讀本으로 변해가는 과정, 편집자의 刻印 의도, 후세에 나온 版本들이 어떤 版本을 底本으로 삼아 어떻게 변화되어 만들어졌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草堂詩餘 는 朝鮮詞의 발전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여, 현재 우리나라에도 10여 종 이상의 草堂詩餘 판본이 남아 있는데, 이 중 일부 筆寫本은 중국에서 이미 실전된 판본이다. 필자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 필사본 草堂詩餘 는 모두 4종인데, 그중 3종은 중국에서 동일 판본을 찾아볼 수 없었다. 특히 日本 立命館大學 所藏의 朝鮮 筆寫本 草堂詩餘 는 수록된 작품 수의 방대함도 놀랍지만, 朝鮮 筆寫者의 詞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청대의 詞評家들과 비견될 정도로 대단하다 할 수 있다. 朝鮮에 수입되고 보전된 草堂詩餘 의 가치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중국 草堂詩餘 의 계보와 판본별 차이점에 대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어야만 한다. 明代에만 40여 종 이상의 판본이 있는 草堂詩餘 는 판본이나 편집자에 따라 相異한 이름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구분이 너무 복잡하여 詞學 연구자들도 草堂詩餘 로 통칭하며 그 系譜와 版本의 異同을 따질 필요성을 간과하였고, 기존 연구자들의 대다수는 善本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연구 환경과, 版本들이 서로 大同小異하여 그게 그것일 것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小異의 중요한 부분들을 놓치고 말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중국 국가도서관 소장의 善本과 宋·元·明의 各種 기록들을 취합하여 草堂詩餘 의 淵源과 分類本의 변천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밝혀내 Since the middl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a collection of selected lyrics compiled by the publishers has been in vogue, known as Caotangshiyu. In the Yuan and Ming dynasty, it was held generally in esteem as the Textbook of Ci poems, and had been continually added and revised. The original copy of the Song Dynasty's Caotangshiyu has long since been lost, but we can find its prototype in a book from the Yuan Dynasty. The Song Dynasty books were categorized and created to be used for singing. By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when the practice of accompanying music no longer allowed for singing, these songbooks had outlived their usefulness, and the new Caotangshiyu, with its classification by tune, emerg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genealogy and origins of the songbooks published in different periods, compar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correct errors in existing theories.

      • KCI등재

        『시의 원리』의 이중 기획과 고안된 논리 ― 조지훈의 베르그손 철학 전유 양상을 중심으로

        송현지 ( Song Hyun-j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4

        이 글은 조지훈의 『시의 원리』가 해방기 시단에서 보편 시론의 역할뿐만 아니라 대항 담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기획되었음에 주목하고, 이 이중의 기획을 수행하기 위해 조지훈이 사용한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등단 초기부터 시와 시인을 생명이 있는 유기체로 바라보았던 조지훈은 『시의 원리』에 이르러 새로운 논리 전개 방식과 개념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존 사유체계를 보강한다. 먼저, 그는 시와 시인을 생명으로 설정하되 자연과학을 근거로 삼아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시론의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한다. 이는 해방기 이후 집중적으로 발간되던 문학 개론서의 글쓰기 방식을 따른 것이자 과학에 기반을 두지 않은 형이상학 시론을 신비한 것으로 치부한 비판들에 대응하기 위한 그의 전략이었다. 그러나 이처럼 시 창조의 제반 조건들을 실증적으로 이론화하면서도 그는 정신이 작용하는 시의 창조 과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념적인 서술로 일관하며 과학의 일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시의 고유한 영역이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물질과 정신, 지성과 직관, 과학과 시를 구분한 후 생명의 표현이자 생명 그 자체인 시는 물질의 질서에 속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성이 아닌 ‘직관’이라는 의식 작용을 통해 창조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구분하지 않는 유물론적 예술사관과 모더니즘 시관을 시의 독자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판한다. 조지훈이 『시의 원리』에서 보여준 이러한 서술 방식과 대항의 논리는 실증적 형이상학을 통해 새로운 생명 창조론을 주장함으로써 유물론과 기계론을 비판한 베르그손의 철학과 공명하는 부분이 많다. 이는 조지훈이 1941년, 베르그손의 저서를 읽고 베르그손의 사상에서 주요 논리와 개념들을 가져와 시론의 보편성을 확보함은 물론, 해방기 시단에 대항할 수 있는 논리를 강화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글은 이를 논증함으로써 동·서양의 유기체 시론의 영향 관계에서 『시의 원리』를 살펴보는 통상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그의 유기체 시론의 고유성이 그가 베르그손의 논리와 사상을 전유하여 이 이중의 기획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혔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Principles of Poetry by Cho Ji-hoon was written to perform not only the role of universality discourse in the post-liberation poetry circle but also the role of opposition discourse and looked into his corresponding methodology. Cho Ji-hoon, who looked at poetry and poet as living organisms ever since the beginning of his literary career, strengthened his own existing poetic thinking system by using new logic development method and concept from The Principles of Poetry. First and foremost, he expressed his opinions based on biology in the process of putting life into poetry and poet. It was his strategy of responding to criticisms in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of regarding metaphysical poetics not based on science in materialistic poetics and modernism poetics as something mysterious. In addition, he divided order of materials and order of life based on the facts derived from scientific phenomena and emphasized the point that poetry is situated within order of life once its spirit becomes foundation of life. This is how he stood up against materialistic poetics which asserted that poetry is reflection of materialistic life. Lastly, he planned and argued poetics confronting modernism poetics which put emphasis on intelligence by insisting that order of life in which poetry belongs form a connection with not intelligence but intuition. Such narration method and logic in The Principles of Poetry established metaphysics based on science and share a number of resonating aspects with the philosophy by Henri Bergson who criticized materialism and mechanism by arguing new life creation theory.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Cho Ji-hoon strengthened the logic of confronting the post-liberation poetry circle by adopting major logic and concepts after reading the works by Bergson in the early 1940s. This study aimed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discussion arguing that the inherent features of Cho Ji-hoon’s organism poetics resulted from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he organism poetics of East and West and identify that his poetics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exclusively possessing Bergson’s logic and thoughts.

      • KCI등재

        1940년대 초 잡지 『국민시가(國民詩歌)』의 시(詩) 연구

        엄인경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2 No.-

        본고는 국민시가연맹의 기관지이자 1940년대 초 식민지 조선 유일의 시가(詩歌) 전문 잡지였던 『국민시가』의 시를 유형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시가 전문잡지인 만큼 『국민시가』에는 지금까지 1940년대 ‘국민문학’ 논의의 중심이었던 『국민문학』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시인들이 참여하고 다수의 시가 게재되어 있으므로, 이 시기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일본어 시 전체상을 조망할 때 불가결한 대상 매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잡지의 시들은 강력한 시국적 요 청으로 국책에 부응하는 것들이 대다수였는데 이는 『국민시가』의 ‘국민문화론’이나 ‘국민시론’ 에 적극 호응하는 형태로 탄생한 것이었다. 유형별 분류로 파악해 본 것처럼 1940년대 전반기 한반도의 일본어 ‘국민시’의 기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잡지에는 전쟁시는 물론 광의의 국책시에도 수렴될 수 없는 작품들 역시 수십 편 게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영향과 『국민시가』내의 ‘시론’이 일관되지 않은 균열에서 기인한 바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typical poetry published in The National Poetry and Tanka, and considers the features of such poetry. National Poetry and Tanka was the only poetry and tanka journal during the early 1940s in colonial Korea, even if it was merely a bulletin of The National Poetry and Tanka League. Because it was solely a poetry journal, as compared with The National Literature, which has been the center of the national literary argument since the 1940s, many poets were published in it. The poetry they wrote is indispensable to a global view of Japanese poetry, even if it was writte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oetry recorded in this magazine included themes responding to situation requests. They were positive answers to the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 epic theories of The National Poetry and Tanka. However, much of the work published in the magazine did not rely on such themes. One example is war poetry. Other poems were influenced by the modernism movement of the 1930s as well as by a difference of opinion on the epic theory within the magazine.

      • KCI등재

        현대시의 대중적 소통에 관한 고찰

        오수연(Su-youn, Oh)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Although the comment on the crisis of literature is not fresh any more, literature has been advancing as the product of the times, taking the power of renewal as its essence. However, not only the ripple effect of modern poetry has weaken in Korean literature but also the number of pure poetry readers apart from poetry researchers or reviewers has dropped sharply practically. This means it is time to study communication issues in modern poetry. In this research, I confirmed the real communication problem of poetry from the different views among poets, readers and researchers. Furthermore, I tried to find the clues of improvement through general and popular proposals about poetry reading. The phenomenon that poetry is ignored by readers is because poetry isolates itself as the product of the absolute aesthetic values rather than appealing to readers’ senses and emotions. So are uncomfortable awareness of poets toward the popular poems read by readers or researchers’ wait-and-see attitude toward the world of poetry in the leaders’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oems trying to communicate with readers, Ahn Do-hyun, Jeong Ho-seung, Ham Min-bok’s poems apply. In their poems everyday life or concreteness arousing readers’ sympathy are revealed and so are implication and musicality as moderate rhetor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asons of poetry readers today, who want to reflect on their life and be consoled and touched. Also, as the mediators alleviating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poetry and readers and bridging the gap, researchers including critics should actively search the methodology about ‘kind communication’ not as leaders but as ‘guides’. To find the meaning of popular communication between readers and poetry is not the matter to chase readers’ tastes or their levels but the matter to understand poetry readers’ desire today. Thus, when there is an opportunity for readers to communicate with poetry, we could find out readers reading and enjoying poems voluntarily and the value and meaning of poetry could be placed there. 문학의 위기에 대한 지적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문학은 갱신의 힘을 본질로 삼아 시대의 산물로서 발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 문학에 있어서 현대시가 갖는 파급력은 약화됐을 뿐만 아니라, 연구나 비평의 목적을 제외한 순수한 시 독자의 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현대시가 소통의 문제에 관한 연구를 필요로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본고는 시의 소통 부재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시인과 연구자 그리고 독자와의 서로 다른 입장을 통해 확인하고, 시 읽기에 대한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제안을 통해 개선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시가 독자들로부터 외면당하는 현상은 시가 독자들의 감각과 감정에 ‘호소(呼訴)’하기보다 절대적인 미적 가치의 산물로서 스스로를 고립시키기 때문이다. 독자들에게 많이 읽히는 시에 대해 갖는 시인들의 불편한 인식이나 지도자의 위치에서 시단을 관망하는 연구자의 태도 등이 그러하다. 한편 독자들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는 시편들도 있는데, 안도현, 정호승, 함민복의 시들이 해당된다. 이들의 시에는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일상성이나 구체성이 드러나며, 과도하지 않은 수사로서의 함축성, 음악성 등이 잘 드러난다. 따라서 오늘날의 독자들이 시를 읽는 이유는 삶을 성찰하고 사유하며, 위로 받고 감동하기 위한 것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평가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시와 독자 사이의 오해와 간극을 해소해주는 역할자로서, 그리고 지도자가 아닌 ‘안내자’로서 ‘친절한 소통’에 관한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독자와 시의 대중적 소통의 의미를 찾는 것은 독자의 취향이나 수준을 좇는 문제가 아니라 시를 읽는 이 시대의 독자의 욕망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독자가 시와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때 자발적으로 시를 읽고 즐기는 독자를 발견하게 되고, 거기에 시의 의미와 가치가 새겨질 수 있다.

      • KCI등재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 : 리듬과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지엽(Yi Jee-yeub)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41

        이 논문은 시의 하위 장르이면서도 상당히 다른 영역처럼 인식되어온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을 현대시조가 가지고 있는 리듬과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라는 장르가 필연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는 순간성과 압축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므로 얼마든지 두 장르가 접점을 공유할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대부분의 논의는 이 둘의 관계가 서로 다른 별개의 장르처럼 인식되어 서로간의 영향관계나 소통의 부분을 다룬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통의 문제에 중심을 두고 살필 때 우리는 대개 두 가지의 소통을 염두에 둘 수 있다. 첫째는 독자와의 소통이고 둘째는 장르 간의 소통이다. 먼저 독자와의 소통은 이렇게 볼 수 있다. 컴퓨터와 첨단 디지털 기술로 웹 생활양식이 보편화되고 있는 오늘날 詩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난삽해져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시학적 리듬을 활용해 탈메커니즘적 병렬과 반복을 활용한 시 쓰기를 해보고 생활 가운데서 느낄 수 있는 짧은 시 운동이나 생활 시조 운동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시나 시조를 은연중 어렵게 생각하는 일반인의 생각을 바꾸어 시의 곁으로 오게 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점은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대시조가 갖고 있는 평시조의 리듬은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생체리듬이기 때문이다. 현대시를 짧게 쓰고 최대한 축약했을 경우 어김없이 우리는 그것이 평시조의 형식과 무관하게 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또한 현대 사설시조의 형식이 갖는 공간구조의 특성은 현대시조가 현대시와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다. 어떤 면에서 현대시가 리듬을 잘 살리지 못하고 구성적인 면에서도 취약하기 쉬운 일면을 사설시조가 갖는 구성상의 장점을 살려 사실성을 적절히 배합하고 사투리 등을 가미하여 재미성까지 얹어 친근하게 다가가는 것은 소통의 문을 확실하게 넓혀줄 것이다. 현대시와 현대시조를 원활하게 소통시키는 방법은 그리 멀리 있는 것이 절대 아니다. 두 장르가 가지는 특징적 면모가 보다 분명해지고 이를 잘 활용하는 창작 원리나 기법들이 개발되어 서로간의 소통을 확대시키고 외연과 동시에 내면의 교통이 원활해진다면 양자의 발전에 상당한 의미로 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thesis observed the communication of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in the aspect of rhythm and formal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modern sijo. Modern poetry and sijo are sub-genres of poetry that have been generally perceived as separate domains. As poetry is a genre that simultaneously possess instantaneity and compression it appears that modern poetry and sijo would easily share areas with contact points. However modern poetry and sijo have been generally perceived as completely different genres and there have hardly been any studies that have studi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poetry. When observing the issue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we can generally consider two types of communication. The first type is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ile the second is communication between genres. First communication with readers can be viewed as the following. Poetry tends to become more difficult and complicated in the present day a time when web lifestyle is generalized through computers and advanced digital technology. In this regard the method of using poetic rhythms to write poems based on de-mechanism juxtaposition and repetition or taking interest in short or daily poetry that can be enjoyed in everyday life can eventually attract people to poetry by changing the attitude of people that secretly consider poetry a difficult type of literature. Furthermore this aspect also influences communication of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The parallel sijo rhythm possessed by modern sijo is related with the biological rhythm of Koreans. Writing and abbreviating a short modern poetry help us to learn that it is difficult to be completely unrelated with the format of parallel sijo.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possessed by modern editorial sijo presents a point of contact in which modern sijo can easily encounter modern poetry. The weakness of modern poetry in its structural or rhythmic aspect can be complemented by the strengths of editorial sijo to appropriately combine realism and add dialect to provide enjoyment. This will approach readers more effectively to widely open doors to communication. Methods for achieving smooth communication of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are clearly not that far away. The two genres can achieve significant development if the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the two genres become more distinct and cre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for using such characteristics can be developed to expand inter-communication and achieve efficient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 KCI등재

        1980년대 초 ‘시와 정치’, ‘시의 정치’라는 사건의 단면: 동인지 <시와 경제> 연구

        허준행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As the new army group prohibited publication of major literary magazines,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at are published irregularly emerged as a new channel of literature. The emergenc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Siwa-Kyoungje”, the first volume of which was published in 1981, is also grounded on such social trend. Even though the second volume in 1983 was the last one to be published, “Siwa-Kyoungje” has remained as a leading literary coterie magazine that represents the 1980s. This paper analyzed the ideology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pursued by the literary coterie members of “Siwa-Kyoungje” as well as the touchpoint and rift in the implementation of such ideologies in poetry. The first volume of “Siwa-Kyoungje” was against the idea of turning poetry into something aristocratic, and rather declared the popularization of poetry based on the argument to get rid of the distance between poetry and daily life. ‘Economy’ claimed by them is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which is the doctrin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to save the people by governing the world. This had also indicated ‘poetry and politics’ or ‘politics of poet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goal of “Siwa-Kyoungje” was actually embodied as actual work. The poems in the first volume were problematic in the sense that they were not articulation of ‘realistic language’ and ‘linguistic reality’; rather, they showed the tendency in which the will to reform the reality excessively encroached on poetic language. The second volume of “Siwa-Kyoungje” clearly revealed the agenda of ‘prospects as laborers.’ The literary coterie of “Siwa-Kyoungje”, which was a group of intellectual elites in the Korean society, published laborer and poet Park Nohae’s works. They thought that the people had to actively devote themselves to literary creations. The decision was based on the intent that the truth, which is obtained only when spoken by the ones that are discriminated and exploited, serves as the motivation for literature to exert great power as a movement. This perspective seems to be integrating intellectuals with the people, but also has the high risk of internally resetting hierarchy. “Siwa-Kyoungje” was an event that abruptly occurred in the dominant order forced by government power. Another event occurs in line with that event, which is the emergence of Park Nohae. Park’s poetry was an event that shook the contemporary poetical arena and “Siwa-Kyoungje” to the core. As one of the people, Park incompletely yet instantly jumped into the actual state of poetry pursued by “Siwa-Kyoungje”. 신군부가 주요 문예지들의 출간을 막으면서, 비정기적으로 간행되는 동인지가 새로운 문학 채널로 부상했다. 1981년 1집을 낸 동인지 <시와 경제>의 출현도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바탕을 두고 있다. 1983년 2집을 끝으로 더 이상 나오지 않았지만, <시와 경제>는 1980년대 대표적 동인지로 문학사에 남게 되었다. 이 글은 <시와 경제> 동인들이 지향하고자 한 동인지의 이념과 그것이 시로 구현된 양태의 접점과 균열을 분석했다. <시와 경제> 1집은 시와 일상 삶과의 거리를 없애자는 주장 아래, 시의 귀족화를 반대하고 시의 대중화를 선언했다. 이들이 내세운 ‘경제’는 세상을 다스려 백성을 구제한다는 전통 유학의 지도 강령 ‘경세제민’이었다. 이것은 ‘경국제세’의 의미, 즉 ‘시와 정치’ 혹은 ‘시의 정치’를 뜻했다. 그러나 <시와 경제>가 내세운 목표가 실제 작품으로 구현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1집에 실린 시편은 ‘현실적 언어’와 ‘언어적 현실’의 절합이 아닌, 현실의 개혁 의지가 시적 언어를 과도하게 잠식하는 경향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시와 경제> 2집에서는 ‘노동자로서의 전망’이라는 의제를 선명하게 드러냈다. 한국 사회의 지적 엘리트 그룹이었던 <시와 경제> 동인은 노동자 시인 박노해의 작품을 실었다. 그들은 민중이 적극적으로 문학 창작에 임해야 한다고 여겼다. 차별받고 착취당하는 이들이 본인의 입으로 말할 때 갖게 되는 진실성이야말로, 운동으로서의 문학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동력이 된다는 취지에서 나온 결정이었다. 이와 같은 입장은 지식인과 민중의 통합을 이루는 듯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위계를 재설정하게 될 위험성이 높다. <시와 경제>는 국가 권력이 강제하는 지배 질서 속에서 돌출적으로 발생한 하나의 사건이었다. 그 사건의 지평에서 또 다른 사건이 일어난다. 그것이 박노해의 등장이었다. 박노해 시는 당대 시단과 <시와 경제>의 구심점을 뒤흔든 사건이었다. <시와 경제>가 이루고자 한 시의 진경에 박노해는 민중의 한 사람으로서 불완전하나마 단숨에 육박해 들어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