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사의 시대 구분 연구 쟁점과 과제

        장요한 국어사학회 2019 국어사연구 Vol.0 No.29

        This article aims to study on the historical periods of the Korean grammar and suggest a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main issues in the historical periods of the Korean Grammar were examined after classified into:first, historical period centered on historical phonology; second, the beginning of Middle Korean:third, the segmentation of historical period; forth, the grammatical features from the late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of 20th century. From such discussions, the following points were derived:future research should lead to introduce comprehensive, objective methods to divide historical period, not the center of history of Korean phonology; also, it needs to be expanded to a narrative method that includes the process of language change; finally, research continues to be done on the grammatical features from the late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of 20th century 이 논문은 문법사의 시대 구분을 서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시대 구분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발전적 서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어 문법사의 시대 구분 연구에서 부각된 쟁점을 음운사 중심의 시대 구분 문제, 고대 국어와 중세 국어의 분기점 문제, 시대 구분의 세분화 문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시대 구분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기존 연구가 지나치게 음운사 중심의 시대 구분을 제시하고 있어 문법사나 어휘사의 시대 구분도 면밀히 검토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3.1.에서는 문법사 측면에서 고대 국어와 중세 국어의 분기점을 13세기 말이나 14세기 초로 규정하는 논의가 온당하지만 그 구분이 음운사의 시대 구분과 상충되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3.2.에서는 지금까지의 시대 구분이 각 시대를 분리해 인식하는 것은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지만 언어 변화 과정은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언어 변화 과정을 담을 수 있는 서술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3.3.에서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언어의 시대 구분을 위해서 문법사의 준거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앞으로 음운사 중심의 시대 구분이 아니라,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국어사 시대 구분의 판별 기준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는 것과, 앞으로 국어사의 시대 구분은 단순히 한 시대와 다른 한 시대를 구분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언어의 변화 과정을 보여 줄 수 있는 방법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는 것, 마지막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언어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논의가 계속되어야 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부길만(Booh, Gil-Mann)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출판문화사의 인접 분야에 해당되는 한국 언론사와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고찰한 다음,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는데, 한국 출판문화사가 우리 민족의 정신사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내세웠다. 첫째, 출판의 시대적 역할과 사회적 관련성, 둘째, 출판물을 기획·제작·유통시키는 출판 주체, 그리고 출판수용자에 해당되는 독자층의 문화의식이다. 여기에서 문화의식이란 단순한 문화적 욕구나 수용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 문화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지니게 되는 공동체의식, 역사 발전을 이루어내는 비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 출판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 14세기 후반 이전 : 한국 출판문화의 시작 제2기 14세기 후반~16세기 : 엘리트 지식인의 문화의식과 금속활자의 활용 제3기 17세기~1883년 : 평민의식의 고양과 독서문화의 확산 제4기 1883년~1945년 : 국민 계몽 및 민족의식의 발현과 출판 (1) 1883~1910 : 국민 계몽 운동 및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1910~1945 : 민족의식의 성장과 출판 제5기 1945년~현재 : 민주의식의 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1) 1945년~1960년대 : 해방 및 전쟁 후유증 극복 (2) 1970년대~1980년대 : 한글세대의 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3) 1990년대~현재 : 전자출판의 발달과 출판의 국제화 이 글에서 제시한 시대구분은 한국 출판문화사 연구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많은 연구와 함께 활발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한 논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several topics: the periodization of the history in general, areas of study in publi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iodizati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journalism and that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mentio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recommend a new way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doing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wo criteria are given for the periodization in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publishing in each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ciety. Secondly, the culture-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the publishers and the reader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ategorized into these five periods. The 1st period (before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 beginning of the Korean cultural history The 2nd perio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ill the 16th century) : growth of culture-consciousness of the elite intellectuals and the use of metal printing The 3rd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till 1883) : growth of the common people's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expansion of reading culture The 4th period (from 1883 till 1945) :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growth of nationalism (1) 1883~1910: beginning of the campaign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publishing (2) 1910~1945: growth of nationalism and publishing The 5th period (1945-present) : growth of people's consciousness in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1) 1945~1960s: liberalization and overcoming of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2) 1970s~1980s: appearance of the Korean alphabet generation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3) 1990s~present: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and the globalization of publishing Further studies and more discussions are needed to use the recommended periodizatio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shows the new beginning of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area.

      • KCI등재

        강진철의 시대구분론에 담긴 역사이해방식

        김선미 ( Kim Seonm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강진철은 1960년대 한국사 시대구분 논의를 주도한 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의 시대구분에 대한 논의는 1966년 『震檀學報』 29·30합집에 발표한 「韓國史의 時代區分에 대한 一試論」과 1967년 12월과 1968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한국경제사학회에서 주최한 `한국사의 시대구분론`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움에서 발표한 「高麗田柴科體制下의 農民의 性格」의 두 편의 글에서 잘 드러난다. 4·19혁명 이후 한국사학계에는 민족사학의 발전 속에서 일제하 식민사학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사의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한국사를 주체적이고 발전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런 한국사학계의 분위기 속에서 강진철은 사적 유물론을 기반으로 한 시대구분을 제시하며 세계사적인 역사발전의 기본 법칙이 한국사에도 원칙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국 사회의 발전과정을 설명하였다. 강진철 시대구분의 특징은 국가권력의 일반 농민에 대한 收取樣式에 주목하였다는 점이다. 수취양식이 국가권력 대 농민이라는 생산관계에 의해 규제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수취양식의 역사적 성격과 내용에 따라 고대와 중세를 구분하였다. 그가 시대구분의 기준을 수취양식에 둔 것은 한국 사회가 세계사적인 보편 법칙 따라 발전하였다는 점을 전제하였으나 한국사에서 노예제의 실체를 실증하기 어렵다는 1960년대 이전의 시대구분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한국 사회에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일반 농민이 주된 생산주체이고 일반 농민이 부담한 租稅·貢賦·力役이 일반적인 수취양식이었던 구조 안에서, 그는 한국사회의 계기적 발전을 상정하였기 때문에 수취양식의 성격과 이에 따른 농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국가가 농민을 파악하는 수취의 중점을 人丁에 둔 삼국부터 고려시대를 고대노예제적 사회구성체로, 토지에 기준을 둔 조선시대를 중세봉건제적 사회구성체로 규정하였다. 이처럼 강진철은 고대노예제와 중세봉건제의 개념을 확대시켜 고대와 중세의 기준을 새롭게 설정하였다. 일반 농민을 생산주체로 파악하고 농민에 대하여 관념적·의제적이지만 국가권력의 지주적인 성격을 인정하여, 국가권력 대 일반 농민의 수취를 매개로 구현되는 생산관계를 하부구조로 파악하였다. 강진철 시대구분의 또 다른 특징은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요인을 무신정권기 이후의 農莊의 형성·발달과 私的土地所有의 확대에서 찾았다는 점이다. 농장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토지에 대한 지배 의욕이 수취관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하고 인간의 노동력을 수탈하는 기조는 쇠퇴하였다. 또한 공동체가 해체되고 토지의 집단적 소유가 지양되면서 토지의 개별적인 사유의 형태가 진전·확립되었다. 농민경제의 성장과 토지소유관계의 발전에 따라 토지소유자는 지주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고대노예제적인 성격의 농민이 중세농노적인 성격의 농민으로 변화되었다. 이처럼 강진철은 고려후기를 한국 역사 발전의 전환기로 보고 있다. 농장의 형성으로 인한 사적 토지소유의 확대와 생산주체인 농민의 노예적 존재에서 농노적 존재로의 성격 변화가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의 전환을 하는 발전적 계기로 작용하였다고 하였다. 강진철의 시대구분론은 1960년대에 한국 사회의 주체적인 발전을 실증하려는 당시 한국사학계의 시대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였다. 이제 이러한 요구에서 벗어나 21세기에 한국사를 연구하는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축적된 기존의 견해를 수렴하여 한국 전근대 사회에서 `고대`와 `중세`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성격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내재적 발전론의 관점을 넘어서 한국 전근대 사회의 성격을 새롭게 규정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Jin-chul Kang was one of the scholars who led discussions in 1960s on dividing time periods in the Korean history. His views are well documented in `an argument on dividing eras of the Korean history` published in the combined volume 29 and 30 of `Jindanhakbo(震檀學報)` in 1966, and `the nature of farmer`s status under Jeonsigwa land system(田柴科) in Goryeo dynasty`, which he presented in December 1967 and March 1968 at a symposium organized by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History. He was critical of `the theory of stagnation` that regarded Korean society as a static one that lacked inner momentum for development. From a perspective of the world history, he embraced the law of historical evolution, and noting that the law could apply to the Korean history, proposed how to divide time periods of the Korean history based on historical materialism. What is notable about his chronological division of history is that he used the government`s method of collecting offerings from farmers as criteria. Accordingly, he argued that an ancient society is a society where the government collection focused on human labor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rough the reign by military officials in Goryeo dynasty), and a medieval society as a society where the focus shifted from labor to land (Joseon dynasty).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view is that he saw that the growth of farms and a subsequent expansion of private land ownership in the late Goryeo dynasty triggered a transition from the ancient to the medieval society. Following this change, land owners became more like landlords, and farmers more like serfs. Jin-chul Kang`s arguments during the 1960s on dividing eras in the Korean history came amid efforts to overcom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and to view the Korean history in a more constructive light. Going forward,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go beyond identifying innate growth momentum of the Korean history, and enlighte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국어사의 시대 구분, 무엇이 문제인가?

        장윤희 국어사학회 2019 국어사연구 Vol.0 No.29

        그동안의 한국어사 시대 구분에서 가장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그 기준 문제 였음에도 그 기준의 타당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시대 구분에서는 시대 명칭의 용어를 역사학의 원래 의미와는 다르게 시대적 선후만을 가리키는 것으 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혼동을 야기했다. 시대 구분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이 연구 자의 관점임에도 그 관점의 타당성이나 일관성이 적극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것이 사 실이다. 또한 시대 구분이 지나치게 거시적으로 이루어져 한국어사의 전개 양상을 쉽 게 파악하기 어려웠다. 보다 발전적인 시대 구분을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우선 시대 구분의 명칭은 역사학의 용법이나 일반적 의미와 어긋나지 않게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역사학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어사는 기록으로 확인되는 5세기 초 이후부터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의 선사 시대와 구별해야 한다. 이때 한국어의 선사 시기는 물론 구분된 모든 시대의 명칭은 그 시기의 한국어사적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연구자의 관점이 필요하다. Even though the criteria for the Period Divis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have received the most academic attention, the validity of the criterion is still controversial. Until now, the use of historical terms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their original meaning has resulted in unnecessary confusion. Although the researcher’s perspective is most important in Period Divis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validity or consistency of the perspective has not been fully verified. And as a result of the Period Division being so macroscopic,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history cannot be easily understanded. These problems must be solved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Period Division. First of all, the terminology of the Period Divis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should be used no differently from its meaning in general history. And the historical period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prehistoric period of Korean by considering that it begins from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after the records. The names of all periods, as well as the prehistoric periods of Korean language, need to be given specifically to understand the Korean historical facts of that period. For this more advanced Period Divis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re must be a clear and consistent perspective of the researcher.

      • KCI등재

        사회교육의 일반적 발달단계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사 시대구분 연구

        오혁진(Oh, Hyuk 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4

        It is necessary that we develop a unique criteria of periodization which is dependant on educational logic to establish Korean history of adult education academically. And we also consider general criteria of period division a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adult education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real society itself. On the basis of weight of essential internal concepts of adult education, we can make standard order of the history of adult education and apply them to Korean history of adult education; ①the original life-centered adult education(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②the underprivileged people-centered adult education(the time of Enlightenment,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Reconstruc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c movement), ③the higher education-centered adult education(the period of Civil society), and ④the contemporary life-centered adult education(the period of Welfare and globalization and now the period of Market-competition strengthening). We can identify that Korean history of adult education represents the process of active responses to external social task according to internal developmental stage of adult education. 한국의 사회교육사를 학문적인 차원에서 정립하기 위해서는 사회교육의 일반적인 발달단계에 기초한 독자적인 시대구분의 준거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교육이 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고 사회적인 기능을 수행해 왔다는 점에서 일반사적인 의미의 시대적 구분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사회교육 개념의 핵심 내용과 가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사회교육은 원형적 생활중심 사회교육, 소외계층 중심 사회교육, 고등교육 중심 사회교육, 현대적 생활중심 사회교육의 단계로 발달해 왔다. 이러한 발달단계는 사회교육사의 독자적인 시대구분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를 한국에 적용할 때 한국의 사회교육사는 '원형적 생활중심 사회교육 시기'인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 후기까지의 시기, '소외계층 중심 사회교육 시기'인 구한말 개화기부터 1980년대후반까지, '고등교육 중심 사회교육 시기'인 1990년대와 2000년대, '현대적 생활중심 사회교육 시기'인 2008년 전후시대 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우리나라의 일반사적인 시대구분과 통합하여 원형적 생활중심 사회교육 시기는 조선시대까지의 시기까지, 소외계층 중심 사회교육 시기는 개화기, 일제강점기, 국가재건기(1945-1961년), 경제발전 및 민주화 운동기(1962-1987년)까지, 고등교육 중심 사회교육 시기는 시민사회형성기(1988-1997년), 그리고 현대적 생활중심 사회교육 시기는 복지 및 세계화 병행기(1998-2007년)와 시장경쟁강화기(2008년-현재)로 규정할 수 있다. 한국 사회교육의 역사는 각 시대별 사회적인 외적 과제를 사회교육의 내적 발달단계에 맞추어 반응해 온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새로운 시대에는 우리나라 사회교육의 소중한 가치와 전통을 이어가면서도 내적으로 우리나라 사회교육의 발달단계와 외적으로 한국 사회의 사회적 환경과 시대적 과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지혜와 안목을 갖추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 -금속기의 출현과 정치체의 등장을 기준으로-

        조진선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entire Korean Peninsula, Liaodong and Liaoxi regions are within the spatial scope of Korean archaeology in th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The author has established that this geographical area as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cultures,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started from ca. 20th century B.C. to the late B.C. During this period, Early Bronze Age culture,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nd Early Iron Culture appeared one after the other. The formation of early states, including Gojoseon, had also begun during this period. Based on changes in material culture, Early Bronze Age period lasted from the 20th to 10th century B.C. when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appeared and developed. The Mid Bronze Age spanned from the 9th/8th centuries B.C. when Lute-shaped bronze culture emerged and developed, until the 6th/5th centuries B.C. in Liaoxi, and the 4th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Late Bronze Age lasted from the 5th to 4th century B.C. in Liaoxi when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were spread to the Shiertaiyingzi Culture zone, and until the 3rd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when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emerged there. During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Early Iron Age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entered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Gojoseon entered Chinese historical records since around the 4th century B.C. during the Late Bronze Age, even though it is highly likely that Gojoseon emerged during the Mid Bronze Age. Thus, it is possible to use “Gojoseon” as a period marker from the 4th century B.C. Early states such as Gojoseon, Buyeo and Samhan appeared in Chinese records in large numbers i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during the height of the Early Iron Age. Therefore, Gojoseon, representing early states during that time, can be used as a period marker for this particular period in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한국고고학에서 선사시대는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역사시대는 왕조의 변천을 중심으로 시대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선사시대에서 원사시대로 전환되는 시기여서 한 가지 기준만으로 시기구분 하기는 어렵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공간적 범위는 무문토기문화의분포권이면서 비파형동검문화와 세형동검문화가 분포하는 한반도와 요동·요서지역까지이다. 필자는이를 한국고대문화권으로 설정하였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은 한국고대문화권을 포괄할 수 있는 안이어야 한다. 한국고대문화권에서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후경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초기청동기문화, 비파형동검문화, 세형동검문화, 초기철기문화가 차례로 등장한다. 또한 고조선을비롯한 초기국가들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시기구분하면, 청동기시대 전기는 초기청동기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20~10세기경까지이며, 청동기시대 중기는 비파형동검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9~8세기부터 기원전 6~5세기(요서), 또는 기원전 4세기(요동과 한반도)까지이다. 청동기시대 후기는 전국시대의 중원계 물질문화가 대거 들어오면서 요서의 십이대영자문화가 크게 변화되고(기원전 5~4세기), 이어서 요동과 한반도에 세형동검문화가 등장하는 때(기원전 3세기 초)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원전 3~2세기에는 전국시대 중원계의 초기철기문화(세죽리-연화보유형)가 들어온다. 고조선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중국 사서에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낸것은 청동기시대 후기인 기원전 4세기경부터이다. 그러므로 이때부터는 고조선을 시대 명칭으로 병기해도 좋을 것이다. 초기철기문화가 들어오는 기원전 3~2세기에는 고조선은 물론 부여와 삼한 등의초기국가들이 대거 등장하는 시기이므로 초기국가들을 대표하는 고조선을 시대명칭으로 사용하여도좋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과 원삼국시대론에 대한 소론

        노혁진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은 미완의 과제이며, 원삼국시대론은 한국식 삼시기법의 중요한 논쟁점의 하나이다. 그동안 원삼국시대, 철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삼한시대 등의 제 명칭의 사용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는 한편, 원삼국시대의 인지도와 용례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학계의 경향과 사회적 분위기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한국고고학의 독자적 시대구분체계 수립에도 결과적으로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한국식 삼시기법 전체의 틀을 대체하지 않는 한, 원삼국시대는 철기시대의 대안이 될 수없음을 기존의 비판적 시각과 또 다른 관점에서 지적하고자 하였다. 즉, 문헌사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를 채택하거나 도입할 수 없는 분명한 논거를 추가로 제시하고자 하였고, 고고학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 설정의 근본 취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 지속적인 사용을 지지하는 모순과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이란 특정 시대에 대한 명명작업이 아니라 모든 시대를 통관하는 일관성을갖춘 체계를 수립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한국식 삼시기법의 틀 자체를 새로운 독자적인 시대구분체계로 완전 대체하기까지는 원삼국시대를 비롯한 어떠한 명칭도 철기시대의 대안으로서 상대적 실효성이나 대체효과가 없음을 재강조하였다. 한편, 고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보는 시대명칭인 고조선과 삼한은 문헌사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고려-통일신라-삼국시대’의 연장선에서 채택할 명분과 역사적 가치가 있는 명칭임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문화사적 시기 구분으로의 무문토기시대 조기 설정 재검토

        이기성(Yi, Kisung)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6 No.-

        2000년대 초반 무문토기시대 조기가 설정된 이후, 10여년이 지난 지금 무문토기시대 시기 구분에 있어 조기는 거의 정설처럼 인용되고 있다. 안재호에 의해 제기된 조기 설정론이 무문토기시대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학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획기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으며, 또한 조기 설정론이 점차 확장되는 과정에서 돌대문토기를 비롯한 청동기시대 이른 단계의 유물상, 지역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은 무문토기시대 연구에 있어 매우 큰 성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단순히 새로운 토기 형식의 설정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시기의 설정, 더욱이 기존에 전혀 논의되지 못하였던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환기에 해당되는 조기의 설정이라는, 한반도 선사문화 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시기 구분의 의미 등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음은 안타까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조기 연구가 점차 확산되는 과정에서 조기는 당초의 개념에서 점차 멀어져, 단순히 청동기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라는 형식학적 분류에 기반한 편년 체계로 한정되는 경향을 보이며, 결국 조기 설정이 가지고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의미였던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환기의 과도기로서의 의미는 점차 흐려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어떻게 조기의 개념이 변화해 왔는지에 대해, 조기 설정의 타당성과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고, 문화사적 시기 구분이라는 측면에서 조기가 아닌 전기로 포괄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Incipient Mumun model which is raised in the early 2000s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Korean Archeology and in the process of expansion of Incipient Mumun model, the aspects of remai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s been known. But, not simply fixing the new pottery type, despite of the new division of new period which means transition period between Neolithic and the Bronze Age, The fundamental concepts of the Incipient Mumun model is not argued until now. In the progressing of research for Mumun pottery, meaning of incipient period as transition period has gradually disappeared and just simply means very early period of Bronze age which based on pottery typology. The archaeological aspects of recent survey results, unlike the first expectations, Doldaemun pottery did now show the transition aspects of material culture and Incipient Mumun model does not have the historic-cultural meaning anymore.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Doldaemun Pottery and the other artifacts which are considered as Incipient Mumun until now, have to be seen as not transition period but Early Mumun Period.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손성필(Sohn Seongphil)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5 No.-

        조선시대 불교의 역사에 대한 일반적 이해는 크게 쇠퇴론과 전․후기론, 두 가지 시기구분 인식이 지배하고 있는 듯하다. 조선시대 불교 500년의 역사는 이 두 가지단편적 시기구분 인식이 뒤섞여 형상화돼 왔는데, 이에 따라 국가의 탄압에 따른 필 연적 쇠퇴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에 부흥하였다고 하는 서사(敍事)는 역사적 진실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기구분 인식과 역사상은 자료의 체계적인 분석에 토대를 둔 것으로 보기 어려우며, 식민주의, 민족주의, 호교주의, 단선적 역사발전론 등의 근대적 관념이 영향 아래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다카하시 토오루는 『이조불교』를 통해 쇠퇴론과 무력론의 관점으로 조선시대 불교사를 형상화하여 큰 영향을 미쳐 왔고, 해방 이후에도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채 임진왜란을 계기로한 조선후기 불교계의 부흥이 주로 강조돼 왔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불교사 자료는 종류가 많고 양도 많다. 여러 종류의 불교사 자료들을 그 성격에 유의하여 분석해 보면, 기존의 불교사 인식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점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 불교사의 지속과 변화 양상에 대한 여러 정보 들도 얻을 수 있는데, 특히 16세기에서 17세기 전반에 이르는 시기에 불교정책 노선의 변화가 거듭됐고 간행불전, 승려문집, 고승비 등의 여러 불교사 자료의 생산 자체의 변화가 집중됐다는 점과 19세기에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여러 자료의 생산량 자체가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점은 주목된다. 이에 불교사 자료에 대한 분석을토대로 하되 불교정책 변화와 불교계의 동향을 기준으로 삼아, 조선시대 불교의 역사를 15세기의 조선초기, 16세기∼17세기전반의 조선중기, 17세기후반∼18세기의 조선후기, 19세기의 조선말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특징에 대해 논해 보았다. 이러한 4시기 구분론은 조선시대 불교사의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가설(假設)한 것이므로, 앞으로 다양한 측면의 논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기존 연구방법의 문제점과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와 성찰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불교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심화․확장돼 갈 수있기를 바란다. There are two approaches to periodizing Buddhist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one, Buddhism steadily declined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following official policy of early Joseon, while the other approach divides Buddhist history into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1592-1598). Both these approaches simplify Buddhist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a great deal. The approaches do not draw on empirical material, but are strongly influenced by modern notions of colonialism, nationalism, etc. In particular, Takahashi Toru has had a big impact by claiming a decline of Buddhism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 scholars have stressed that Buddhism was revived on the occasion of the Imjin War. However, there is much and diverse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study Buddhist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Whe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aterial available is undertaken, the conventional periodization often does not fit. In particular, while Buddhist policy changed repeatedly, most material on changes in policy is from the 16th century and early 17th centur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Buddhism waned, the production of several materia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9th century.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se Buddhist policy changes, the trend in the production of material and recent research, Buddhist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early, middle,late, and closing periods. I expect that this periodization can deepen the discussion on Buddhist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and achieve critical reflection on research methods and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비평논문 :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과 원삼국시대론에 대한 소론

        노혁진 ( Hyukjin Ro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은 미완의 과제이며, 원삼국시대론은 한국식 삼시기법의 중요한 논쟁점의 하나이다. 그동안 원삼국시대, 철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삼한시대 등의 제 명칭의 사용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는 한편, 원삼국시대의 인지도와 용례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학계의 경향과 사회적 분위기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한국고고학의 독자적 시대구분체계 수립에도 결과적으로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한국식 삼시기법 전체의 틀을 대체하지 않는 한, 원삼국시대는 철기시대의 대안이 될 수 없음을 기존의 비판적 시각과 또 다른 관점에서 지적하고자 하였다. 즉, 문헌사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를 채택하거나 도입할 수 없는 분명한 논거를 추가로 제시하고자 하였고, 고고학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 설정의 근본 취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 지속적인 사용을 지지하는 모순과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이란 특정 시대에 대한 명명작업이 아니라 모든 시대를 통관하는 일관성을 갖춘 체계를 수립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한국식 삼시기법의 틀 자체를 새로운 독자적인 시대구분체계로 완전 대체 하기까지는 원삼국시대를 비롯한 어떠한 명칭도 철기시대의 대안으로서 상대적 실효성이나 대체효과가 없음을 재강조하였다. 한편, 고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보는 시대명칭인 고조선과 삼한은 문헌사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고려-통일신라-삼국시대’의 연장선에서 채택할 명분과 역사적 가치가 있는 명칭임을 지적하였다. The archaeological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remains a work in progress, and using the term “Proto-Three-Kingdoms Period” within the traditional and persistent chronological framework of the Three-Age system is a highly debatable issue. Recently, the term “Proto- Three-Kingdoms Period” has been commonly used, but this trend within and outside the archaeological academia as well as its negative impact on the production of a desirable and logical periodization system for Korean archaeology needs to be critically assessed. Contrary to the opinions of those who support the term “Proto-Three-Kingdoms Period,” the author argues that this term can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term “Iron Age” until the Three-Age system currently being used in Korean archaeology is completely replaced by a new and improved periodization system.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e key imperative in the archaeological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does not lie in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each historical period, but rather in generating a coherent and consistent system that applies to every archaeological period. Therefore, as long as the Three-Age system continues to be used as the standard periodization system for Korean archaeology, the use of the term “Proto-Three Kingdoms Period” or any other equivalent terminologies in the place of the term “Iron Age” should be minim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