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예술산업 육성을 위한 예술 기부에서 조세지원의 효과

        이정인(Lee, Jung In),이재경(Lee, Jae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예술, 특히 시각예술 산업을 중심으로 시각예술 산업 선진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의 미술관 산업 성장의 원인을 정부의 다양한 지원, 특히 조세지원에서 찾고, 최근 시장경제의 확산과 경제위기라는 환경적 변화에 따라 미국, 영국, 프랑스에서 확대되어온 되는 정부의 기부/기증에 대한 조세지원의 사례들을 정리함으로써 국내 시각예술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세제 개정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예술 경영 지원센터 및 국공립 미술관 현황보고서, 논문 등을 분석하여 국내 시각 예술 산업의 현황 분석과 조세지원 관련법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미국, 영국, 프랑스의 관련법규정과 관련법 개정 이후 재정효과를 도출한 기관들의 각종 보고서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을 축약하면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시각예술 산업이 발전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찾을 수 있는 정부 지원의 선순환 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첫째, 제도적 환경 마련을 위하여 세금 감면 제도를 포함한 기부/기증에 대한 조제지원 개정안 마련, 둘째, 수혜주체의 공신력 확보를 위한 인증 미술관 제도 도입, 셋째, 기부/기증 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감정 평가 기관 및 법제 마련,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제도의 확산을 위한 기부/기증 문화 증진 노력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관련법규가 미비하고 수혜 과정 및 주체의 공신력 확보를 법적으로 뒷받침할 관련 근거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연구결과 국내 미술관의 외적 성장과는 달리 기부/기증을 통한 소장품 확보의 절대적 부족과 현실적 어려움은 시각예술 산업의 내적 성장과 실질적인 부가가치 창출을 저해하는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세계적 수준의 작품 가격의 상승과 이를 구입하기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각예술품 구입 예산과 관련법 및 지원의 부족으로 자리 잡지 못한 기부/기증의 빈곤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예술품 기부/기증 조세 지원법 및 관련 근거 법들의 개정의 필요성을 미국, 영국, 프랑스의 성공 사례들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개정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시각예술 산업의 내적 성장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정안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금 기부 및 소장품 기증에 대한 세제 혜택의 확대 및 절차 간소화, 둘째, 기증 자료의 감정 및 평가를 위한 위원회 규정 신설 또는 현행 국세청 훈령 개정, 셋째, 국공립 미술관이 기부금품을 자율적으로 모집 및 사용할 수 있는 근거법안 마련, 마지막으로 인증 박물관 및 미술관 제도를 도입하여 기부/기증의 투명성을 높이기 등이다. 이러한 개정안은 현재 미술 산업의 발전과 기부/기증을 저해하고 있는 제도적 환경을 개선하고 나아가 미술산업뿐 아니라 문화산업 전체에 직접적/간접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government’s diverse supports, especially tax incentiv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Those nations possess advanced level of visual art industry, as the cause for proliferation of museum industry. Those nations also provide the evidence for tax reform in order to establish competitiveness of domestic visual art industry in Korea by summarizing the cases of tax incentive on art donation by the government, which has been expanded in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proliferation of the market economy and economic crisi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deduce problem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visual art industry and investigating the tax incentive-related laws, which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status reports or thesis from support centers of art management and national, public museum. It also covers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reports of institutions who present the related law and regulations of USA, UK and France and the following economic effect after the related law reform, along with searching of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database or network and investigation of literature such as thesis or volumes. The abstract of the conten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irtuous circulation of governmental support which is found in most of the nations with highly developed visual art industry such as the aforementioned three foreign countries, is in need of, firstly, the reformation of tax incentive on art donation including tax reduction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institutional environment, secondly, the system of certified museums in order to secure public confidence for beneficiary, thirdly, the establishment of appraisal institutions and legislation in order to procure fairness in the process of donation, and lastly, the effort to nurture the culture of donation in order to consistently proliferate the system. However, in case of Korea, there comes the problem of lack of evidence to legall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public confidence for subject and process of benefit, as well as lack of regula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this basic shortage of collection made with donations and its realistic problem compared to seemingly developed domestic museums, become the factor to hinder internal development of visual art and the creation of actual added value. It can find the cause in price rise of artworks of international level and absolute shortage of budget to purchase such visual artworks along with poverty of donation due to related laws or support. Hence, this study confirms necessity of related law reform of tax incentive on visual artwork donation through successful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and present the new vision of internal development of Korean visual art industry by suggesting detailed revision based on the case study. The keys of revision to solve su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ly, expansion of tax incentive on donation of collection or cash and simplification of its procedures, secondly, new regulation of committee for appraisal of donated goods or revision of current instructions of National Tax Service, thirdly, preparation of bill which allows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o autonomously collect and use their donated goods, and lastly, enhancement of donation transparency through introducing certified gallery and museum system. Thereby through such revision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which currently hinders the development of art industry and proliferation of donatio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ing the overall culture industry as well as art industry.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전시예술품 관람 욕구조사

        이양희,김상원,엄문설,안새미,조준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The study was to improve the right to the enjoyment of culture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b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to art exhibitions and exploring assistive measures through needs assessment survey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on arts exhibition. We used total 83 response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watching movies at a teather was the most frequent leisure activity among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while respondents reported attending art exhibitions as the least frequent activity. Yet, 71.1% included attending art exhibitions as one of their top 5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Mos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e purpose of attending art exhibitions as fun. However, a primarily visual atmosphere prevented them from visiting the exhibition. Second,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preferred approaching the art to have a closer look. More than about 50% of the respondents used their residual vision. Mos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o use more than two senses when appreciating the exhibits. Moreover, respondents reported that devices/services for multi-sensory experiences would be helpful to appreciate the art. The findings imply that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is required for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art exhibitions. This could further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right to the enjoyment of leisure and culture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and lead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integration.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전시예술품 관람 실태 및 욕구조사를 통해 전시예술품 방문관람 접근성을 높이고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시각장애인들의 문화예술을 향유할 권리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총 83명의 응답이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의 문화생활 이용 실태는 영화감상이 가장 주된 반면 전시예술품감상은 최하위였다. 단, 주된 문화생활 다섯 가지를 선택해 달라는 질문에 71.1%의 응답에 전시예술품 감상이 포함되었다. 전시예술품 관람 목적은 재미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시예술품 관람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각위주의 관람문화를 가장 많이 표시하였다. 둘째, 시각장애인들이 선호하는 전시예술품 감상 방법으로는 눈을 작품 가까이에 대고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반 이상의 응답자는 잔존시각을 활용한다고 보고했다. 작품 감상 시 시각을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응답자 대부분이 다중 감각을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작품을 감상을 할 수 있는 보조기기/서비스가 있다면 감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시예술품 관람에 있어 환경적 변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문화예술향유권 실현하고 통합사회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시각예술 분야 온라인 콘텐츠 성공요인 분석 - <널 위한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

        김혜연,박신의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1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4 No.1

        본 논문은 시각예술 온라인 콘텐츠 사업인 <널 위한 문화예술>의 성공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콘텐츠의 새로 운 전략적 대응과 확산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메타분석, 전문 가 면담 등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 이용자 특성을 살펴보고, 실제 시각예술 온라인 콘텐츠 활용 현황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여전히 대면 활동을 중시하는 시각예술 분야에서 온라인은 대면에 대한 보조수단 정도 로 인식함으로써 콘텐츠 기획과 활용에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극복한 사례로 <널 위한 문화예술> 성공요 인을 기획, 제작, 유통단위에서 분석하였다. 기획단위에서의 강점은 주제 다양성과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 및 온라인 언어 개발, 그리고 데이터 분석 및 피드백에 따른 것으로 정리하였다. 제작단위에서의 강점은 구성의 정교화, 지속가 능한 콘텐츠 제작, 이용자 중심의 콘텐츠로, 유통부분에서의 성공요인은 플랫폼 다양화를 통한 편리한 접근성과 다른 기업 및 기관과의 협업으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널 위한 문화예술>이 예술을 일상과 연계한 이야기 구조로 바라보면 서 성공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보고, 그 결과 시각예술 관객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에도 주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new strategic responses and potential proliferation of online content by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visual arts online content business, <Art and Culture for You>. Th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meta-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ntent users were examined and the actual use of visual arts online content was checked. As a result, in the field of visual arts, which still values face-to-face activities, online recognized restrictions on content planning and utilization, and as an example of overcoming this, the success factors of <Art and Culture for You> were analyzed in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nits. Strengths in planning units are summarized as subject diversity,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online languages, and data analysis and feedback. Strengths in production units were refinement of composition, sustainable content production, and user-centered content, and success factors in distribution were seen as convenient accessibility through platform diversif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rt and Culture for You> created an opportunity for success by looking at art as a story structure linked to daily life, and as a result, it also gave major implications to visual art audiences and business models development.

      • KCI등재

        시각예술기록정보 관리를 위한 데이터모델 설계 - KS X ISO 23081 다중 엔티티 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황진현,임진희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3

        Interests in archives management are getting expanded from the public sector into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 for the ten years after legislation of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Archives」in 1999. However, due to lack of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archive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 it is rather frequent that information is kept scattered or archives are lost. As an example, absence of precise contract documents or notes of bestowal keeps people from locating great amount of cultural properties, and because of it these creative properties are in the risk of thefts, the closed-door auctioning, or trades in unofficial channels. As how a nation manages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inside the nation reflects its cultural level,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indexes to notice the extent of a nation’s cultural level is to take a look at how they are circulated.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point. Growing economy and rising interests in culture and art made the society more cognizant of the importance and value that visual artworks have, but the archives and information which are showing the context of these artworks and are produced in the course of social interaction are relatively disregarded because too much emphasis lies on the work itself. It is harder to find archives or documentations in Korea than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bout the artists themselves or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background of the artworks. There is not so much interest to preserve the archives and information produced after the exhibition also, and they are used for no more than promotion or reference. Hereupon,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visual arts archives and believed that systemic management on them are high in need. And metadata is an essential way for the systemic management, as recently management on artworks or their archives are conducted using the system of the agencies even though they are not produced electronic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nage visual arts archives systematically by designing a data model reflecting traits of visual arts archives. Metadata are needed in the every course of archives from acquisition to management,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Visual arts archives find its rich value only when a systemic relationship is established among information on artist, artwork and events including exhibition. By establishing a Multiple Entity Data Model, in which artworks, artists and events (exhibitions) make relationship all together, metadata for management on visual arts archive gets more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explanatory trait of the archive gets higher. For this reason we, in the study, tried to design a data model by setting each as an independent entities and designating relations between them, in order to find a way to manage visual arts archives more systematically. 1999년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이 제정되고 난 후 10년이 지난 현재, 기록관리에 대한 관심은 공공분야에서 문화예술분야로 점차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문화예술분야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정보의 산재, 기록의 유실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하나의 예로, 국내의 많은 문화재는 정확한 매매계약이나 증여증서가 없어 이를 추적하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고, 이러한 문화예술 창작품은 도굴이나 비공개 경매, 공식적이지 않은 유통경로를 통해 떠돌아다니고 있다. 문화예술 창작품은 그 나라의 문화수준을 반영하기에, 유통경로를 아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경제의 성장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시각예술작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나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가 되었으나, 작품에 대한 미적가치만을 앞세우는 작품만능주의 팽배로 시각예술작품의 맥락을 보여주거나 사회와의 소통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정보들은 도외시 되었다. 문화예술 선진국에 비하여 국내에서는 유명 작가에 관한 기록, 작품에 녹아 있는 철학 담론에 대한 기록정보들은 흔히 찾아볼 수 없다. 작품을 전시하고 난 후 생산된 기록정보 또한 전시에 앞서 홍보자료나 참고자료로만 이용될 뿐 이를 남기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이에 시각예술기록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후대에 예술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적 가치를 전해주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최근 시각예술작품이나 시각예술기록정보가 전자적으로 생산된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작품이나 기록에 대한 관리는 모두 기관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메타데이터는 체계적 관리의 필수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예술기록정보의 특성을 반영한 다중 엔티티 데이터모델 설계로 시각예술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려 하였다. 메타데이터는 기록이 입수되는 시점부터 관리, 보존 및 활용되는 기록의 모든 과정에서 필요로 한다. 시각예술기록은 객체, 행위주체, 업무, 규정 등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질 때 그 가치가 풍부해지진다. 시각예술기록정보 관리를 위한 다양한 맥락정보는 다양한 엔티티들과 함께 관계를 맺는 다중 엔티티 모델로 설계되어야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기록정보에 대한 설명성 또한 높아진다. 때문에 이들을 각자 독립적인 엔티티로 설계하고, 이들의 관계를 지정해주는 방식으로 데이터모델을 설계하여 체계적으로 시각예술기록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네팔 국가 정치가 시각 예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카말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2 No.-

        네팔의 시각 예술은 국가 정치의 중요한 영향을 받고 있는 현실적인 측면을 대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가 정치와 시각 예술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예술은 특정 사회의 이념뿐만 아니라 정치 철학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리치비 시대와 말라 시대는 에베레스트 산을 정점으로 시각 예술을 발전시켰다. 네팔의 예술은 네팔 사회 뿐만 아니라 중국과 티베트에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정치 체제와 철학은 그 나라의 예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리치비 왕조는 신에 대한 높은 헌신을 지니며 힌두교를 따르지만 불교도 동등하게 존중한다. 또한 중국과 티베트와의 관계가 긍정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라나 규칙 아래에서의 시각 예술 발전과 라나 규칙의 공헌도 논의된다. 이 논문은 현재의 정치적 개입과 네팔 시각 예술 분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했다. 과거에는 정거 바하두르 라나, 마헨드라 왕, 비렌드라 왕과 같은 정치적 리더들이 예술 발전을 촉진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예술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며, 정치는 국가 예술과 시각 문화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한다. 또한 탑과 시카라 스타일의 건축물은 여전히 네팔 말라 시대와 샤 시대를 대표하고 있다. Influence of state politics in Nepali visual arts is a representative vision of the reality. Main thrust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state politics and visual arts. Art is related with politics philosophy as well as ideology of the particular society. Lichhive period and Malla period develop the visual art in the paramount of the Mt. Everest. Nepalese art has great and immense significance not only Nepalese society but also Tibet as well as China. Political system and their philosophy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ir countries' art. Most of the Licchavi dynasty are very much devotee with God, they are Hindu but they respect equally Buddism. They have good relation with China and Tibet. It talks about the role of Shah Dynasty in the development of visual art which also includes the contribution of Rana rules in the same field. It describes about the political interference in the field of Nepali visual art by present political parties and its effects. First Rana Prime Minister Jungaa Bahadur Rana, King Mahendra, and Birendra seems important rules who took interest to the development of art. Present research talks about the art which can be a means to transform of society. Politics is not only creating a good state law but also creating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which represent the visual arts. Pagoda and Sikhara Style architectures still represent the time of Malla period and Shah Period of Nepal.

      • KCI등재

        시각예술영재 판별의 실제 및 사례연구

        박지숙(Park, Ji So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현대사회의 중심에는 시각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수준 높은 미술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며, 이에 따른 시각예술영재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 최근 동향이다. 본 연구는 영재의 판별과 선발의 방법들을 연구하여 창의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영재란 ‘뛰어난 예술성’을 토대로 ‘예술적 지식들을 내면화하고 발전시키는 능력’ 즉, ‘예술을 찾아가는 능력’을 말한다. 나머지 두 정의 역시 현재의 수준 못지않게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에 더 의미를 두고 있는 개념이다. 이는 제시한 복합적 개념이 실제 예술영재성의 판별에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문헌연구, 인터넷 검색, 전문기관 조사 등을 통하여 시각예술영재의 개념 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선발의 원리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의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외 연구소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시각예술영재교육방안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예술영재 선발의 연구는 영재교육이 단순한 예술적 지식이나 기능 익히기의 과정을 넘어 성찰하는 인간, 정체성을 가진 인간, 더불어 사는 인간, 열린 마음과 창의적 표현을 실현하는 인간으로서의 성장을 돕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타고난 예술영재성을 실현해가는 과정은 자아실현은 물론이거니와 국가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진정한 예술분야의 창조적 지식 생산자요, 리더로서의 성장을 위한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원리는 예술영재 판별을 위한 계획 및 진행 과정에 반드시 실질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기능만 능력이 있는 기술자양성’이 아닌, ‘예술영재교육대상자’로서의 정체성 있는 판별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각예술성은 시지각 능력(visual perception), 미술과 미디어에 대한 감각, 예술적 잠재력과 가능성, 창의적 표현력, 문제해결능력, 제작 능력 및 개인적 성향 등 매우 다양한 측면에서 규명될 수 있기 때문에 미술 영재를 판별하는 방법 역시 특정한 영역이 아닌 다양한 방면에서 접근하는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Visual 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enter of modern society. Thus, as the demand for art with class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place an importance on the need of the for education of those gifted in visual art. The current study takes purpose to distinguish the gifted and to develop those who have creativity. Gifted in Visual Art means having "Supreme artistic values" as the base to internalize and develop the artistical knowledge" or the "ability to find art". The other two definition is a concept that also places more value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n the future as much as the present. This implies that the suggested concept must be applied on actual identification of those gifted in visual art. The method and range of the research were through literature, internet searche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 research etc to take a look at the selection method as a theoretic consideration in establishing a concept for those gifted in Visual Arts. Also, we used the research from the labs national and internationally that were in charge of the current education for the gifted to use as the base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for choosing those gifted in art is beyond simple knowledge of art or being proficient in a skill, but it emphasizes in helping of the process in creating a man with a self examining, identity, living in harmony, and a man that fulfills an open mind and a creative expression. Thus, the process of fulfilling the gifted in art is not only self-realization, but a chapter in being a creative knowledge developer in the true arts, as well as development to be a leader. Also, this method should be substantially applied in the planning and processing stage in identifying in those gifted in arts. Through this we can fulfill the identity as a ‘recipient in the artistically gifted education’ and not in developing an ‘expert who only has the ability’. Through the current study, visual creativity visual perception, the sense of art and media, the potential and possibility of creativity, creative expression,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duction ability, personality, and etc could be investigated in various sides, so we suggest a various approach method not only from a specific point but from various points.

      • KCI등재

        사회과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이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안보형 ( Boh-Hyung Ah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예술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K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이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처치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을, 비교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TTCT 도형 검사를 통해, 창의적 사고력 총점과 그 하위 종속 변수인 ``유창성````독창성``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총점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독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추상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정교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을 적용한 집단은 창의적 사고력의 총점과 하위 영역인 ``독창성`` ``추상성`` ``정교성``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ay in verifying the effect of social studies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on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thinking. To achieve this, members of 6 classes of 1st-year students at K High School in Yeongdeung-po, Seoul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the study. These students were then divided into 2 groups, with those in the treatment group given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and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given lecture-type classes. In addition, through the Figural TTCT, the degree of changes in the students`` overall creative thinking and its subordinate dependent variables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elaboration"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was measur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positively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overall creative thinking. Second,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did not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fluency". Third,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positively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originality". Fourth,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positively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bstractness". Fifth,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positively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laboration". Sixth,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did not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This demonstrates that classes using the visual arts general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ansion of students``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중국 고대예술의 도상서사와 시각문화 연구

        조정래(Jeong-rae Jo),황국례(Kuo-Li Hu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중국 고대예술의 이미지 서사와 시각문화에 관한 연구로, 문학과 회화형식이 결합된 복합적인 텍스트와 시각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고대예술의 시각적 사유방식과 이시동도(異時同圖)적 표현, 고대의 도상 서사방식과 만화예술의 칸의 상호 해석을 통한 매체적 합일성 그리고 도상서사의 만화적 연원과 현대적 수용방식이다. 중국 고대의 시각에 대한 인식은 전통적인 양식적 형상과 의미적 상징을 포괄한다. 예술의 서사적 이미지로서 도상의 형상적 사유와 시각적 표상은 예술 창작활동 가운데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예술적 사유 또한 시각적 표상과 분리되어 질 수 없다. 시각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는 도상적 서사방식은 일종의 이성적 사고를 지닌 창의적 언어표현이다. 고대예술의 이미지 사유방식과 이시동도적 시공간표현 특징은 일종의 예술적 공간의 시간화로 현대 만화예술의 사유공간으로서 또 다른 조형적 수용방식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서사방식은 새로운 조형미와 매체형식 그리고 문화가치가 결합된 현대인의 대중적 미적욕구와 소통을 필요로 한다. This study is to exhibit the iconographic narrative and visual culture of ancient Chinese art. The focus of the study is the composit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graphic forms, in particular the heterochronous expression of different scenarios of scenes occurring in different time periods in pictures of ancient art. The unity of their origins with picture narration and comic art creation is the fusion of our modern times. The ancient Chinese understanding of visual art includes the traditional style of image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mong artistic narrative expression, imagery contemplation and visual presentation have significance. Artistic thinking is inseparable from visual articulation. It is a rational thought process through creative language interpretation in visual media of imagery narratives.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imagery thinking and the way of presenting sequential incidents in the form pictures is a creative space of time. This is the spatial thinking of modern comic art, which is demonstrated through acceptance in artistic styles. Image narration needs new forms and media styles, including integrating with cultural values as aesthetic communication is necessary.

      • KCI등재

        데이터 시각화의 예술적 표현양상 고찰

        김화언(Kim Hwa Un),이필하(Yi Phil H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basis of approach and new possibilities of data in the context of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by analyzing the aspects of expression in the recent trend of art that utilizes data. To this end,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of science and art and way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convergence, and suggests various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data-visualization art and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irst of all, this paper deals with ways of relating art and science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data-visualization art, and confirms their resemblance. Formal characteristics of approaching science as the theme of modern art can be categorized in three ways, based on which the four aspects-using images, applying method and tool, applying objective data, and providing experimental data-are analyzed. Through such analysis, it is known that the expressions of data-visualization art reflect the perspective of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expand recognition and sensation, and display its power of persuasion through objective data. Furthermore, it is discovered that as it produces experimental data, the result of art can be transformed into the object of scientific research. After classifying various aspects of the expression of art that utilizes data-visu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and dealing with its artistic characteristics, this paper ascertains open possibilities of data as the materials of art. Based on those possibilities, the aspects of the expression of art can be expanded, and further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done.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늘고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술의 표현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과학과 예술의 융합이라는 맥락에서 데이터가 지니는 새로운 가능성과 접근방식의 토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예술의 관계와 융합하는 방식 및 특성에 대해 논하고, 데이터 시각화 예술의 다양한 형식과 특징은 물론 한계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데이터 시각화의 양상의 배경으로서 예술과 과학이 관계 맺는 방식을 살펴보고 서로의 공통점을 확인하였다. 현대 예술의 주제로서 과학에 접근하는 형식적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시각화의 표현양상을 이미지의 사용, 방법 및 도구의 활용, 객관적 데이터의 활용, 실험적 데이터 제시의 네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시각화의 예술적 표현이 동시대의 사회 문화적 관점을 반영하는 것은 물론 인식과 감각을 확장하며,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설득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적인 데이터의 제시를 통해서 예술적 결과가 과학의 연구 대상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과 예술의 융합 맥락에서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한 예술의 다채로운 표현양상을 정리함과 동시에 예술적 특징을 고찰한 결과 예술의 재료로서의 데이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이를 기반으로 학제간 협조를 통한 연구와 표현양상의 확장이 기대된다.

      • KCI등재

        이탈리아 파시즘 시각예술에 나타난 프로파간다 표현 양상 연구

        한광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is thesis aims to analyze aspects of expressions found in propagandistic visual art in the age of Italian fascism. First of all, applied the concept of propaganda to the visual art for the research. Propaganda is a communication that is primarily used to influence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nd social control for which a wide variety of communication tools appropriate to each period are used. Visual art can be seen as a mean for propaganda with a long-standing tradition. If regarding propagandistic visual art as art to serve power and maintain the system, artworks produced during ancient Rome, the Renaissance, and the Napoleonic era are thought of as part of propagandistic art. One example of 20th century propagandistic art is works produced in the age of Italian fascism. The National Fascist Party created a diversity of propagandistic visual art. They appropriated a wide array of traditional art styles and used architecture, relief, mosaic, and sculpture as the mediums to disclose Italian people’s ethnic superiority and strengthen nationalism. They put effort into large buildings such as government office buildings, courts, railway stations, and exposition halls as well as works of visual art to decorate their interiors and exteriors. These artworks carried out a propagandistic role as they retain some utopia fascists pursued. As a result of study, aspects of expressions found in such artworks are ‘appropriation of history and myths’ borrowing myths in bygone years or historical heroes; ‘placeness’ employing the context of a place an artwork inhabits; ‘intuitive explanation’ to have the public feel the purpose of power intuitively; and ‘pursuit of styles in vogue’ to generate or follow the new trend of art at the time. These four aspects of expressions are seen narrowly as expression aspects of Italian fascist visual art and broadly as common aspects of all propagandistic art. 본 논문은 이탈리아 파시즘 시대의 프로파간다 시각예술에서 발견되는 표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프로파간다의 개념을 찾아 이를 시각예술에 적용했다. 프로파간다란사회 통제나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으로 각 시대에 적합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동원된다. 시각예술은 오랜 전통을 가진 프로파간다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프로파간다 시각예술을 권력에 봉사하고 그 권력이 만든 체제 유지를 위한 예술이라고 생각해보면 고대 로마나 르네상스 시대, 나폴레옹 시대 등의 예술작품들도 프로파간다 예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20세기의 대표적인 프로파간다 시각예술로 1920년대 초부터 1940년대까지 이탈리아 파시즘 시대의 작품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탈리아 파시스트당은 다양한 프로파간다 시각예술을 창조해냈다. 이들은 이탈리아인의 민족적 우월성을 드러내고 민족주의를 강화시키기 위해 이탈리아 반도에서 창출된다양한 전통 예술 양식을 차용했고 건축, 부조와 모자이크, 입체조각 등을 매체로 이용했다. 특히나 관공서, 법원, 기차역, 박람회장 등 대형 건축물과 그 내·외부를 채우는 시각예술 작품에 많은 공을 들였으며 작품 속에는 파시스트들이 추구하는 이상향이 담겨 있어 프로파간다를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과거 신화나 역사적 영웅 등을 차용한 ‘역사 및 신화차용’, 작품이설치된 장소적 맥락을 이용한 ‘장소성’, 권력의 목적을 직관적으로 체감하도록 하는 ‘직관적 설명성’, 당대의 새로운 예술 유행을 창출하거나 따르는 ‘유행양식 추구’라는 표현 양상이 발견된다. 이 4가지표현 양상은 좁게는 이탈리아 파시즘 시각예술의 표현 양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넓게는 프로파간다예술의 공통적인 표현 양상으로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