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 체육수업의 개발

        이태구 ( Tae-koo Lee ),김주연 ( Joo-yeu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경기도 사랑고등학교(가명) 1학년 8개 반216명(남:115명, 여:101)이었다. 이론적 탐색을 통해 체육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거꾸로 수업 전략을 구안하고,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의 학습단계인 이해-수행-중계단계에 따라 수업지도안과 교수학습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개방형 설문지와 심층 면접을 통해 질적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내용분석과 수업구조 틀을 결합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11가지의 거꾸로 수업 전략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전 교실 밖 활동과 교실 안 활동이 유기적으로 구조화된 컬링 단원 체육수업지도안(18차시)과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적용되었다. 중계단계에서는 학생 설문조사를 활용한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라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 방법이 개발·적용되었다. 학생들의 반응 분석 결과,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관련 반응 31개와 거꾸로 수업기법 관련 15개의 요소가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주로 주지교과에 적용되고 있는 거꾸로 수업방법과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과의 유기적 결합을 위해 수업 전략과 수업방법을 구안·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초기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논의에서는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체육수업 개발 측면과 학생들의 반응 측면에서 논의를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nd to apply flipped learning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PE) classes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and (2) to examine the responses of students after PE lesson. [Methods] Participants were 10<sup>th</sup> high school students(N=216, male=115, female=101) in high school. Instruction strategies of flipped learning was developed after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the unit plans for curling and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mbined with of structures in less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Results showed that (1) 11 instruction strategies of flipped learning were developed, (2) and the unit plan combining out-of class activities and in-class activities organically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unit of curling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step of sportscasting, forcing relationship method-sportscasting based on the survey of students was developed and applied. (3) And 31 factors of Sportscasting Model and 15 factors of flipped learning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Conclusion] And to conclude, this research has a value of early study to develop and apply instruction strategies of flipped learning, the unit plan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combining Sportscasting Model with flipped learning organically.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applied in PE classes and responses of students.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의 타당화 가능성 탐색

        이태구(Tae-Koo, Lee),이한주(Han-J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validation of sportscasting model (SM) as a model of teaching. It has same steps and forms, and has been using for cultivat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Physical Education. It was explained in this study that the theoretical evidence, the elements, the cases of SM transformation an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SM. This study concluded that SM generated fun and interest for students. It is useful to add a new model of teaching, because it means that teachers can use SM to teach the students in various ways reacting to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dynamic situations between him/herself and students. And It means that his/her reacting is growth of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연구되고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스포츠모의중 계수업방법을 수업모형으로서의 타당한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스포츠모의중계수업방법은 2011년 학계에 소개된 이후로 다양한 연구물과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을 통해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하는 수업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의 이론적 근거, 모형의 구성요소, 교수학습 방법, 모형의 학교 현장 활용 사례를 설명하였고 발전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선행연구 및 현장 적용 사례에서 드러나는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의 가장 큰 특징은 학생 들이 즐겁게 수업에 몰입하고 재미를 느끼면서도 협력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수업을 설계·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적극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도 필요하기 때문에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실천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이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이태구 ( Tae-koo Lee ),이한주 ( Han-j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nd to apply the PE classes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on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2) to analyze the effects of PE classes on Creativity and Character. [Methods] Participants were 10<sup>th</sup> high school students(N=172) who had not experienced PE classes on Sportsasting Model.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Integrated Creativity Test(Lee & Lew, 2012),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samples t-test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1) Table-tennis and volleyball lessons on Sportscasting Model were developed and applied, and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students` creativity scores after lessons. And 14 creativity factors and 10 character factor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Conclusion] And to conclude, Sportcasting Model is efficient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character.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 classes based on Sportsasting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Sportscasting Model.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경기도 S고등학교 1학년 5개 반 172명(남:94명, 여:78)이었다. 연구 자료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가 동시에 수집되었다. 양적 자료는 창의성 검사-중고등 학생용(이경화, 유경훈, 2012)을 통해 수업 전후의 창의성 검사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 자료는 수업 후 실시된 개방형 설문조사/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창의성 양적 검사자료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행하였으며, 질적 자료에 대해서는 창의성과 인성을 주제로 질적 내용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목적으로 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에 기반 한 탁구(26차시)와 배구단원(20차시) 체육수업이 1·2학기에 걸쳐 개발·적용되었으며, 적용결과 창의성 검사에서는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능력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개방형 설문/면담 분석에서는 14개의 창의성 요소와 10개의 인성 요소가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목적으로 개발·적용되고 있는 스포츠중계수업모형 적용 체육수업이 실제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함양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연구적 의미가 있으며, 논의에서는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 수업 방법의 구현에서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의 개발 및 적용과 효과성이 논의 되었다.

      • KCI등재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문제해결 체육수업 평가도구 개발 사례 연구

        이태구(Lee, Tae Koo),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Jonassen(2004)의 이론에 따라 스포츠중계수업모형 체육수업에서 전개되는 교수학습에 맞는 타당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활용한 체육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실천해야 하는 팀 과제인 스포츠중계활동은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해결책이 있는 비구조적 문제이다. 그리고, 이를 문제해결학습으로 경험하는 학습자들은 팀을 이루어 협력적으로 문제를 분석하면서 해결하기 때문에, 평가에 있어서도 문제해결 과정과 제시된 해결책을 평가하기위해 문제해결수행 평가, 구성요소 기술평가, 논증과 정당화 평가가 조화롭게 실천되어야 한다(Jonassen, 2004). 본 연구는 경기도 A 고등학교 1학년 279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활용하여 컬링단원 체육수업을 전개하고, 이에 따른평가도구들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평가도구들은 현장 적용과 전문가 검증을 거쳐 평가 루브릭(문제해결수행 평가), 영상평가/지필평가(구성요소기술 평가), 개별보고서 평가 문항(논증과 정당화 평가)이 개발되었으며, 논의에서는 체육교과에서 적용되는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에 어울리는 평가도구 개발의 연구적 의미와 평가도구 양호도를 바탕으로 사례 연구로서 본 연구가 갖는 한계가 논의되었다. Sportscasting in Sportscasting Model is one type of th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that have various solutions and outputs. Jonassen(2004) suggested that the assessment in th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should contai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the component skills, and ability to construct arguments in support of their solutions for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have various situations of learning. But the assessments in previous researches for Sportscasting have not been developed to assess various situations of learning. So,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in Physical Education (PE) lesson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Participants were 9th high school students(male=147, female=130). The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about curling unit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The rubric〔problem solving performance〕, multimedia test program and pencil and paper test〔the component and cognitive skills〕, and the rubric〔ability to construct arguments in support of their solutions〕were develop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a value of early research in terms of development of assesment tools related th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in PE.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백워드 교육모형을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 양궁단원 체육수업

        이태구 ( Tae Koo Lee ),이한주 ( Han J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서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강제결합형 스포츠모의중계를 포함하는 양궁 체육수업을 개발·실천하고 그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백워드 교육모형을 적용하여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하는 양궁 체육수업을 개발하고 실천하였다. 참여학생은 고등학교 1학년 148명(남87명, 여61)이었다. 단원 지도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양궁수업을 ‘붕우신지(朋友信之)’, ‘군자불기(君子不器)’, ‘능갈기력(能竭其力)’, ‘관기소유(觀其所由)’, ‘온고지신(溫故知新)’, ‘학이불사(學而不思)’로 반응하였다. ‘붕우신지(朋友信之)’는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의미하며, ‘군자불기(君子不器)’ 는 즐겁고 재미있는 수업을 의미하며, ‘능갈기력(能竭其力)’은 자기관리능력 향상을 의미하며, ‘관기소유(觀其所由)’는 양궁경기에 대한 안목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온고지신(溫故知新)’은 체육교사/체육수업/학교에 대한 자부심과 신뢰감이 상승한 것을 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스포츠모의중계관련 선행연구들을 확장시켜 강제 결합형-스포츠모의중계방법을 개발·적용하고 백워드 교육모형을 이용하여 역량을 함양하는 체육수업의 실천과 강제결합형-스포츠모의중계를 연결한 현장사례 연구라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확장적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 archery lesson using forced connection method-sportcasting for cultivat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ies, and (2) to apply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students after physical education(PE) lesson. A archery lesson of Understanding-Performance-Appreciation step was developed according to LfPE(Lee, 2014) using backward curriculum design. Participants were tenth grade students (N=148) in a high school. Open-ended question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analysis of data indicates that students expressed features in lessons. Six features are (a) 朋友信之, (b) 君子不器, (c) 能竭其力, (d) 觀其所由, (e) 溫故知新, (f) 思而不學. In-depth interviewers were carried out for further analysis of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朋友信之 means lesson cultivat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Second, 君子不器 means pleasant and funny lesson. Third, 能竭其力 means lesson cultivating self management ability. Fourth, 觀其所由 means lesson cultivating appreciativeness for archery. Fifth, 溫故知新 means lesson improving the status of PE teacher and school. This study concluded that a archery lesson generated fun and interest for students. Implication for developing lesson using LfPE, utilize and transform forced connection method-sportcasting in PE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교우관계 및 자리배치 변화: 사회연결망분석

        이정환,이병구,하희문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1

        본 연구는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에 학생들 간의 교우관계 변화를 네트워크 연결망의 시각적인 결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어 학급의 모둠 활동이 교실 내 자리 배치 변화에도 영향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단일대상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설계를 설정했다. 우선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실제 연구참여자인 고등학생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단계를 실시했다. 사전에 개발한 NGQ 질문지로 활용⋅ 진행하였다. 사전검사는 2023년 5월 8일부터 17일까지 실시하였고, 약 6주간 8차시에 걸쳐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이후, 7월 3일부터 7일까지 사후검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첫 번째,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서 연구참여자의 교우관계 변화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학기 말에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자리배치가 빈번하게 이동했다. 결국 조장 역할을 맡은 학생을 중심으로 모둠대형이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교육이 변해야 미래가 보인다’는 슬로건처럼 지식기반 사회에 부합하는 융합형 체육수업모델과 교수법을 제시할 교육계와 학계의 다양한 노력과 시도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friendship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pplying the visual results of the network network as a “sports relay class model.” Then, we would like to see if the group activities of the class applying the “Sportscasting Model” between class friends also affect changes in the placement of seats in the classroom. The first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research reports from the NCIC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and the KTRF Korea Textbook Research Found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were verified by two doctor’s courses in sports education, one professor in physical education, and fou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10 years.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positive awareness of social media usage, its usage in communication and convenience purpose social media.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both in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the use of social media in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