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웨덴 극우 정당의 사회적 기초

        신광영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5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6 No.-

        이 논문은 스웨덴 총선 출구조사자료(VALU)를 이용하여 2000년대 스웨덴 극우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세를 확장하고 있는 스웨덴 민주당(Sverigedemokraterna, SD)의 사회적 토대를 분석한다. 스웨덴은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 20세기 내내 사회민주당이 헤게모니를 유지하며 동시에 상당히 안정된 정당체제를 유지해 왔으나, 2000년대 들어서 기성 정당들이 외면하는 극우 민족주의 정당이 지지를 급속히 확대하여 의회 내 제3당이 되었다. 이 논문은 스웨덴 민주당의 대두를 설명하기 위하여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유럽통합과 같은 스웨덴 사회의 안정을 깨뜨리는 변화를 강조하는 ‘병리적 사회현상으로서의 극우 민족주의‘와 공급차원의 ‘정당의 문제’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힌다. 출구조사 분석은 이전과 다르게 연령, 직업과 가입 노동조합 형태 등에 따라서 스웨덴 민주당 지지가 점차 달라지고 있다는 점과 기존 정당체제에 대한 불만 등이 스웨덴 민주당의 지지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90년대 초 의회에 잠시 진출한 극우 정당인 신민주당(Ny Demokrati) 현상과 같은 일시적인 이변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상당히 지속성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점과 동시에 스웨덴 민주당이 단일 이슈 정당에서 점차 급진주의를 약화시켜 의회 내 주류 정당화할 가능성도 있음을 함의한다. Analyzing the exit poll of the past three general elections (VALU) in Sweden, this paper explores the social basis of the Sweden Democrats(Sverigedemokraterna, SD) which politically represents the far-right radicalism in Sweden. Sweden has been known as a country in which the Social Democratic Party has exercised hegemony in the 20th century. It also has maintained the stable party system, representing one of the best democratic political system in the world. However, in spite of alienation of the party from existing parties in Riksdag, the Social Democrats has gained popularity in the 2000s and became the third largest party in Riksdag in 2014.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rise of the Sweden Democrats, combining a demand- side explanation which emphasizes the 'far right radicalism as pathological phenomenon' and a supply-side explanation which focuses on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unlike New Democracy, the short lived far right party in the early 1990, the possibility of survival of the Sweden Democrats is very high and there might be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weden Democrats as a single issue party into a mainstream party by diluting radicalism.

      • KCI등재

        스웨덴민주당의 약진 배경과 원인: 이민정책과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하수정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9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4 No.-

        This study covers the relation between the rise of the Sweden Democrats (Sverigedemokraterna, SD), a nationalist conservative populist party, and the country's population change. Sweden had an economic boom after World War II and the government had an active immigration policy to meet the demand of labour market and population decline ever since. After the 70s, there was a transition from labour immigration to more of an immigration based on refugee. Though most right-wing populist parties in Europe adopting anti-immigration policy gained popularity, Sweden Democrats remained on the fringe of the Swedish politics despite the county's long history of immigration. The Sweden Democrats crossed the 4% threshold necessary for parliamentary representation for the first time in 2010 and became the third-largest party in 2018 after two decades since its foundation in 1988 changing Swedish political landscape. The study scrutinizes the drive behind the rise of the Sweden Democrats by referencing the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olicies over time in addition to the party's reframing strategy as an "only opposition party" in Sweden. 본 논문에서는 스웨덴의 국가주의 우파정당인 스웨덴민주당의 약진의 배경과 이민 인구 변화, 사회통합 정책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후 경제 활황을 맞은 스웨덴 정부는 노동시장의 필요에 따라 적극적 이민정책을 펼쳤다. 1970년부터 이민 정책의 전환이 이루어져 과거 노동이민 중심에서 이후 분쟁지역의 난민이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유럽의 극우정당 대부분이 반이민을 강하게 주장하는데 반해, 정작 인구 대비 난민이민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이자 긴 이민 역사를 지닌 스웨덴에서는 극우세력이 오랫동안 지지를 얻지 못했다. 스웨덴민주당은 1988년 창당한 이후 줄곧 변방에 머물다가 2010년 반이민을 기치로 내걸고 처음으로 의회에 입성했고 세력을 불려 2018년 총선에서는 제3당으로 올라섰다. 스웨덴의 이민역사, 이민자에 대한 인식 변화와 사회통합 수준을 점검해 스웨덴민주당이 약진한 원인을 짚어본다. 극우정당이 아닌 스웨덴의 유일한 야당으로 스스로를 지칭하며 무책임한 난민이민 정책이 복지국가 스웨덴의 정체성을 흔들고 있다고 주장해 사민당의 핵심 지지기반을 흔들고 있는 스웨덴민주당의 전략을 분석하고 스웨덴의 변하는 정치지형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핀다.

      • KCI등재후보

        스웨덴 정치체제의 변화: 스웨덴 민주당의 등장을 중심으로

        신광영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4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5 No.-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of the Sweden Democrats in Sweden in the 2000s, analyzing the European Social Survey dat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ers and explicit orientations of political partie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rise of new political parties, particularly the Sweden Democrats, reflects social change in the Swedish society or simply it is an outcome of political strategies of political groups. The results display that the rise of Sweden Democrats in Sweden is an outcome of political entrepreneurs’ strategies rather than social change itself. It also shows that unlike the other right-wing populist parties in Europe, the Sweden Democrats is a single issue party opposing immigration and immigrants rather than the opposition to European Union. Thus, the sustainability of the Sweden Democrats as a single issue party is questionable in the future. 이 논문은 유럽사회조사(ESS) 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대 스웨덴 정치체제의 변화로 인식되는 새로운 정당들의 등장의 배경과 원인을 분석한다. 특히 스웨덴 민주당의 등장이 스웨덴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인가 아니면 사회변화와 무관하게 특정 이념을 지닌 정치집단에 의해서 추동 된 정치적 현상인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스웨덴 민주당의 등장은 사회적 변화의 산물이라기보다 특정 정치집단의 전략적 산물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스웨덴 민주당은 유럽에서 나타나는 극우 포퓰리즘 정당들과는 달리 유럽연합에 대한 반대보다 이민/이민자에 대한 반대에 기초하고 있는 단일 이슈 정당이다. 단일 이슈 정당은 일시적으로 성공을 거둘 수 있지만, 지속성 여부는 의문시된다.

      • KCI등재

        스칸디나비아 3국의 극우정당 발전 양상 비교 연구: 스웨덴 민주당의 전망을 중심으로

        김면회,정혜욱 한국유럽학회 2013 유럽연구 Vol.31 No.2

        Extreme right parties are gaining voices across Europe. Northern Europe is no exception from this trend. Since the election of around the year 2000, extreme right parties of Denmark and Norway have been doing well with a two-digit approval rating. In Sweden, the last bastion of Scandinavian social democracy there are also rising concerns about right wing extremism. In the 2010 election, extreme right party has gained a footing in the swedish parliament for the first time. So this paper intends to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wedish extreme right par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tical party systems in the scandinavian countries. As such, this study will rather focus on extreme right party activities in the political party system than right wing extremism itself as a social phenomenon.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n terms of economic split, Sweden i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Denmark and Norway. As social democrats in Denmark, Norway and Sweden are loosing their political identities one by one, a room has been made for the emergence of extreme right parties. Nevertheless, in terms of cultural division swedish walking is quite unlike the others. These differences will act as key element that hinders the advancement of extreme right party in Sweden. 유럽 전역이 극우정당의 발호에 신음하고 있다. 평등의 이상향으로 평가받던 북유럽 지 역 역시 예외가 아니다. 2000년을 전후한 선거 이후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극우당인 덴 마크 국민당과 진보당은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사회민주주의의 보루 격인 스웨덴에서도 2010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극우정당인 스웨덴 민 주당이 원내에 입성하면서 극우주의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스웨 덴에서 극우정당의 발전 속도나 양상이 노르웨이나 덴마크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 요인은 어디에 있는가? 본 연구가 구명하고자 하는 핵 심 문제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스칸디나비아 3국의 정당체제 비교를 통해 스웨덴 민주당의 향방을 가늠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현상으로서의 극우주의보다는 정당체제 내 극 우정당의 활동 양상을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본 연구는 우선 정당체제 형성의 핵심 적 요소인 경제적 균열구조의 측면에서 스웨덴이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선례를 답습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의 사민주의 성향 정당들이 순차적으로 정치 적 정체성을 잃으면서 3국에서는 극우정당이 출현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 그렇지 만 1970년대 접어들어 현실 정당정치에 새롭게 부각된 문화적 균열구조로 인해 스웨덴은덴마크 및 노르웨이와는 상이한 정당체제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화적 균열구조상에 나타난 차이점이 스웨덴 민주당의 상이한 발전 양상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스웨덴 극우정당의 미래는 덴마크 및 노르웨이와는 다른 모습을 보일 것으로전망된다.

      • KCI등재

        왜 스웨덴에서 극우정당이 급성장하는가?

        신광영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6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8 No.-

        이 논문은 2006년에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하여 2016년 여러 차례 여론조사에서 제1당으로까지 급부상한 스웨덴 극우주의 정당인 스웨덴 민주당(SD)의 급성장 원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스웨덴 민주당이 1988년 창당 초기부터 반(反)이민 정책을 핵심적인 노선으로 제시하였지만, 충분한 지지 획득에 실패하였다. 그러나 기존 정당에 대한 높은 불신 속에서 2006년 의회 진출에 성공하였고, 2014년 이후 ‘유럽의 이민 위기’를 기회로 지지도를 크게 높이는데 성공하였다 점을 경험적으로 밝힌다. 동시에 스웨덴 민주당은 기존 신자유주의 우파와는 달리 스웨덴만의 복지를 옹호하는 ‘복지 쇼비니즘’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노동자들의 불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라는 점을 논의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causes of the rapid growth of Sweden Democrats, the extreme rightist party in Sweden, after it entered into the Risdag in 2006 for the first time. While Sweden Democrats proclaimed anti-immigration party as a main party principle from 1988 when it started, it failed to get sufficient votes for the seats in the Risdag. However, it succeeded in entering into the Risdag under the hostile reaction from the existing parties in 2010 under the condition of the high level of voters’ distrust of the existing political parties. It could expand its social base to be the third largest party in the Risdag in 2014 in the crisis of migration in Europe. Unlike neo-liberal rightist parties, it mobilized the fear of the working class and getting large supports from it by invoking anti-immigration and proclaiming welfare chauvinism.

      • KCI등재

        정치적 전략으로서의 페미니스트 대외정책: 스웨덴의 페미니스트 대외정책(Feminist Foreign Policy) 결정에 대한 국내정치요인 분석

        이하린,장혜영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3 국제지역연구 Vol.32 No.1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feminist foreign policy in Sweden. The study argues that Sweden’s decision to implement Feminist foreign policy was influenced by a combin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internalization of global norms, such as gender equality, results i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feminist foreign policy in certain countrie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Sweden’s decision to implement a Feminist foreign policy is also affected by party competition and the growth of women’s social and political organizations in Sweden. By utilizing feminist foreign policy as a political strategy,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SDP) sought to enhance its electoral victory and consolidation. In addition, after the 2022 Swedish general election, the Sweden Democrats (SD) became the second-largest party, and the right-leaning coalition utilized the “abolishment of feminist foreign policy” to negotiate with the SD to form a governmen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countries’ motivation to declare and abandon feminist foreign policy is influenced by political parties’ polemical strategy, which employs politicized feminism in response to shifting domestic political environments. 본 연구는 스웨덴의 페미니스트 대외정책 사례를 통하여 최근 등장하는 페미니스트 대외 정책의 도입과 폐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2014년 페미니 스트 대외정책을 천명한 스웨덴의 사례를 통해 페미니스트 대외정책의 도입이 국제규범의 내재화 결과였다는 기존 연구에 더해, 국내정치지형의 변화 속 선거 승리를 위한 정당의 정 치적 전략의 결과라는 국내정치 요인이 중요한 설명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페 미니스트 대외정책을 도입할 당시 스웨덴의 집권 정당은 정당 간 치열한 선거경쟁과 극우 정당의 활약, 여성단체의 영향력 속에서 경쟁 중이었고 페미니스트 대외정책의 도입은 정 당의 선거승리 및 재선을 위한 전략적 대응책으로 유용한 전략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대외정책 도입의 원인으로 국제규범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내정치 요인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 페미니스트 대외정책 도입 국가들의 행태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 다. 또한 본 연구는 2022년 스웨덴 총선 이후 스웨덴 민주당을 포함한 보수연정이 페미니 스트 대외정책을 공식적으로 폐지함에 따라, 국내정치 요인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추적하는 후속 비교연구의 기반이 라는 점에서 연구의미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1990년대 스웨덴 실업급여의 구조조정

        박용수(Yong Soo Park)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3

        스웨덴은 1990년대 초 이후 사상 최악의 경제위기에 직면하면서 복지국가 체제에 대한 일련의 구조조정을 시행하였으나, 스웨덴의 사민주의적 복지체제의 근본적인 기조는 크게 변하지 않고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고, 권력자원 모델을 이용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90년대의 복지국가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스웨덴의 사민주의 유형의 복지체제가 여전히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가장 큰 이유는 광범위한 복지개혁에 반대하는 강력한 스웨덴 노동조합의 권력자원과 정치적 영향력에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1990년대 스웨덴 실업급여 제도의 구조조정 사례를 통해 이러한 권력자원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Faced with serious economic crisis in the early 1990s, Sweden was forced to undertake a series of restructuring measures on its welfare state systems. Given the economic pressures it was faced with, it was widely expected that the Swedish welfare state would suffer considerable damage and eventually converge towards the conservative or liberal social policy mode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evidence of any substantial change of model in Sweden after restructuring. The financial crisis was deep but overcome relatively quickly, and many aspects of the country's welfare systems, which underwent a formidable challenge in the 1990s, have now fully recovered, and even several of them are now in slightly better shape than they had been before the crisis. This shows the fundamental stability of Sweden's welfare state systems, in contrast to the fevered nature of the debate on their futu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 stability of Sweden's welfare state despite the restructuring in the 1990s by using 'power resources model'. This study argues that many outcomes of welfare state restructuring reflect the power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capacities of program beneficiaries. This approach is proven by a case study of the restructuring of unemployment benefits in Sweden during the 1990s.

      • KCI등재

        스웨덴 2014년 총선 전후의 정당정치: 좌우블록체제에서 3당 정당체제로의 전환

        최연혁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5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6 No.-

        The Swedish party system has undergone a drastic change during the recent two decades. The traditional five-party system was challenged by the Christian Democratic Party which succeeded in winning a parliamentary seat in the 1985 election. Since then on, the Swedish party system has been changing to a multi-party system consisting of current 8 political parties. Although the electoral system based on Proportional Representation (PR) system is believed to be a crucial factor to formation of multi-party system, it does not make a broader account for why new parties can make a successful debut and why old parties fade away in parliamentary elections. The article treats three theories - social cleavages, post-materialism and, finally, racism as analyzing tools for grasping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Swedish party system. Psephological analysis of the 2014 parliamentary election by manifesto, voting behavior and post-election process witnesses hardship of the new minority red-green government in handling approval of budget process with four right-wing opposition parties. The traditional two-block party system will be endangered by the increased leverage of the right extremist Swedish Democrats in the Parliament Riksdag. It is a looming trend that the Swedish party system is swiftly moving from two-block to three-party system. 스웨덴의 정당제도는 최근 들어 변화의 기로에 있다. 안정적 5개 정당체제가 1988년 이후 변화를 거쳐 현재 8개 정당체제로 전환되고 있다. 스웨덴 정당제도의 특징인 다당제도는 비례대표선거제도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선거제도만으로 새로운 정당들이 정치권으로 새로 진입하고 퇴출되는 정치사회적 원인을 밝혀내지는 못한다. 이 글에서는 스웨덴 정당제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3가지 이론적 틀로 접근해 본다. 하나는 민족국가 형성과정에서 서로 충돌하는 권력중심부와 주변부와의 권력변경은 제도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의 틀 속에서 찾을 수 있다는 사회균열이론으로 5개정당의 초기정당체제를 설명한다. 하지만 이 이론적 접근방식으로는 1980년대 등장한 환경당이나, 극우정당인 스웨덴 민주당의 2010년 의회진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한다. 탈물질주의와 인종차별주의는 이런 변화를 분석해 보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 글은 3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2014년 선거결과를 분석해 본다. 2014년 선거는 좌우블록정치가 약화되고 서서히 3당 체제로 전이되고 있는 과정을 선거공약분석, 투표양태분석, 그리고 선거 후 정국상황의 논의를 통해 다룬다. 극우정당의 의회안착은 좌우블록 정치의 시대는 수명을 다하고 서서히 3당 체제로 전환하고 있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좌우의 공조 없이는 의회과반의 안정적 정치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이룬 12월 좌우대타협을 둘러싼 찬반논란 등은 앞으로 스웨덴 정당정치의 불확실성과 예측불가능성을 더욱 촉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북유럽 포퓰리스트 우파정당의 성장과 정당체제 변화

        장선화(Seonhwa Jang)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4

        이 글은 북유럽 포퓰리스트 우파정당의 정치적 성장 요인을 분석하고 원내 정당으로서의 지속가능성 및 정당체제 변화가능성에 필요한 조건을 규명한다. 특히 2010년 이후 급성장한 스웨덴민주당과 핀란드인당 사례는 포퓰리스트 우파정당이 반이민 이슈의 정치적 동원에 성공한 새로운 전형을 제시한다. 최근 선거과정 및 결과와 유럽 정당 엘리트 대상 설문조사(채플힐 전문가 조사)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양 정당은 실용주의적 리더십 하에 인종주의적 극우 성향을 완화시키고 자국민 복지를 우선하는 포퓰리스트 우파정당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정당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회의와 EU 회의주의, 이민 정책에 대한 반대를 독점적으로 이슈화하여 정치적 동원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스웨덴민주당과 핀란드인당 사례를 통해 포퓰리스트 우파정당의 성장으로 정당체제가 변화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첫째, 의회 내 협력가능성이다. 원내 주요 정당들의 보다 극단주의적인 정당에 대한 태도가 개방적 혹은 폐쇄적인지에 따라 협력가능성이 결정된다. 이는 주요 정당들과 포퓰리스트 우파정당 간의 이념적 간극의 크기와 정치적 지지 규모에 따라 결정된다. 이념적 간극이 지나치게 클 경우 기존 정당들의 배타성이 커져 연합이 불가능하며, 정치적 지지가 지나치게 미약한 경우 연합 대상이 되지 못한다. 둘째, 포퓰리스트 우파정당 리더십의 정당 연합에 대한 유연성 여부에 따라 정당으로서의 지속성이 결정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political growth of the Nordic populist right parties and identifies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sustainability as parliamentary par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party system change. The Sweden Democrats and the Finns Party, which have accomplished rapidly political success since 2010, present a new paradigm for the political mobilization of anti-immigrant issues by populist right partie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cent election processes and electoral results and the survey of European party elites(Chapel Hill Expert Survey), both political parties exclusively responded to voters’ negative attitude toward established political party elites, EU skepticism and opposition to generous immigration policy, and became one of major political parties. Finding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wo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party system change due to the growth of populist right party. One is the possibility of coalition with other major parties in the parliament.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depends on exclusion/inclusion of major political parties in the cabinet to the more extreme political parties that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ideological gap between major parties and the relatively extreme political parties and the scale of political support. If the ideological gap is too large, the alliance is impossible and the exclusiveness of the major parties becomes greater. but if political support is too weak, alliance will not be able to be accomplished also.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sustainability of the populist right parties, as the other condition, will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party leadership’s attitude is flexible enough to make coalition with other major parties in the parliament.

      • KCI등재

        스웨덴 이주민 정책에 대한 논의— 스웨덴 외국인법을 중심으로 —

        김철주 한국사회법학회 2023 社會法硏究 Vol.- No.51

        본 연구는 베리(Berry), 세인즈베리(Sainsbury), 보레비(Borevi), 마샬(TH Marshall)의 논의를 토대로 이주민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정치적 성향에 따라 동화주의와 통합주의로 유형화하였다. 보수주의 성향일수록 동화주의로 그리고 진보주의 성향일수록 통합주의 성격을 지향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리고 제도의 핵심은 권리성(right)과 의무성(duty)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도의 성격이 의무보다 권리를 강조할 경우 통합이나 다문화주의의 성격이 강하며, 기본 정책은 사회권의 강화로 나타난다. 의무성(duty)이 권리성(right)보다 우선시 될 경우 동화주의 양상으로 강하게 갈 수 있다. 이 틀을 토대로 스웨덴의 이주민 정책을 분석하였다. 극우정당은 반이민 정서를 강하게 표현하는 정치적 정당으로 이주민에 대해서 권리보다는 의무를 강하게 요구한다. 따라서 극우정당이 부상할 수록 한 나라의 정책 방향이 동화주의로 귀결될 수 있다. 이런 양상은 스웨덴에서도 볼 수 있었다. 2022년에 집권한 중도우파정권과 극우정당인 스웨덴 민주당이 협력하면서 이주민 정책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 대표적인 부분이 「외국인 법」이었다. 「외국인 법」은 스웨덴 이주민을 규정한 기본법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2022년에 개정되었으며 2023년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개정된 「외국인 법」의 성격은 권리보다 의무를 강조하고 있으며, 기존의 통합정책에서 동화정책으로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stitutional dynamics of Swedish migrant workers. The rationale was the type of culture presented by Berry, Castle and Mark, and Borevi. In common, they saw that migrant workers have various aspects such as assimilationism, integration(multiculturalism), and exclusion of discrimination depending on the system of the migrant country. In addition, the core of the system can be divided into rights and duty, and if the nature of the system emphasizes rights over obligations, integration or multiculturalism is strong, and the basic policy here is social rights. If duty takes precedence over right, it can go strong in the aspect of assimilati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enter-right regime, which came to power in 2022, and the far-right Swedish Democratic Party brought about a change in migrant policy. The representative part was the Alien Act. The Alien Act has a basic legal character that regulates Swedish immigrants. It was revised in 2022 and will take effect in 2023. The revised Alien Act emphasizes obligations over rights and foreshadows a shift from the existing integrated policy to a assimilation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