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관광을 활용한 지역관광 혁신사례 연구: 인천 스마트관광도시를 중심으로

        한희정,정남호 한국지식경영학회 2024 지식경영연구 Vol.25 No.1

        스마트관광은 지역의 관광자원 활용을 극대화하고 도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관광객과 주민 간의 소통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스마트관광은 지역 간의 협력을 강조하며 스마트관광도시는 거주민과 관광객을 모두 고려 하는 포괄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 관광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관광과 지역 간의 상호작 용 및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특히, 스마트관광도시의 구성요소인 스마트관광 4대 요소(스마트 경험, 스마트 편 의, 스마트 접근성, 스마트 플랫폼)를 지역민, 지역상권, 지역자원, 지역생태계와 접목하여 긍정적 시너지를 위해서 어떻 게, 왜 라는 관점에서 서비스 구축 단계부터 활성화 단계까지 심층적으로 살펴보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제1호 인천 스마트관광도시 사례를 대상으로 단일 사례 연구 디자인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과의 협력적 스마트관광도시 모델은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며 지역 관광 경쟁력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스마트관광도시의 다양 한 구성 요소들이 지역사회와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으며 이는 방문객 증대와 도시 브랜딩 강화로 이어 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도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스마트 기술과 지역관광의 융합으로 인한 지역 경쟁력 강화 연구로써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Smart tourism aim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local tourism resources, effectively manages cities and contributes to improving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ourists and residents. Therefore, smart tourism emphasizes synergistic collaboration, considering both residents and tourists. This study explores smart tourism interaction and roles in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ness. By conducting thorough examination, focusing on integrating the four key elements of smart tourism city (smart experience, smart convenience, smart accessibility, and smart platform) with local residents, local businesses, regional resources, and ecosystem to foster positive synergies, Incheon smart tourism city project was employed as a single case study design.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collaborative model of a smart tourism city positively impacts service satisfaction and strengthens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Building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tourism cities by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and emphasizing the enhancement of reg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integration of smart technology and local touris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스마트관광 서비스브랜드

        강형철,오명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서비스브랜 드가어떠한방식으로구현되고있는지살펴보고스마트관광 자원을 육성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은 선행 문헌 고찰, 보도자료, 영상, 출판물 등의 분석으로 스 마트관광서비스브랜드 구현현황을 분석하고, 중국의스마트 관광과 같은 맥락으로 선진적인 스마트 도시인프라 구축 8개 도시 사례를 통하여 스마트관광 도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스마트관광서비스브랜드현황은인공 지능(AI)이 제안하는 여행 일정 큐레이션, 빅데이터를 기반 인공지능 호텔 구축, 인공지능 로봇의 새로운 경험 및 홍보 마케팅, 스마트모빌리티지능화된교통서비스로조사되었다. 중국은국가주도로관광지내 VR콘텐츠, VR 영상서비스, 디 지털 박물관, 자율주행, 빅데이터와 AI기술을 활용하는 관광 루트, 스마트화장실등의형태로나타났고, 세계8대스마트도 시는 라스 베이거스의 실시간 데이터, 서울의 스마트 폐기물솔루션, 암스테르담의 3D 인쇄 스마트 브리지, 샌프란시스코 의 스마트 사이클, 온타리오 스트랫 퍼드의 완벽한 주차, 헤 이그의 거리조명, 코펜하겐의 에너지절약, 브뤼셀의스마트 교통 기술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마트관광 도시 활 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여행스타일을 분석한 맞춤형 인공지능 탑재비대면관광안내시스템, 관광의정체성을 제공하는도시 콘텐츠 공공미디어 방법론, 소규모 비대면 관광 중심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모바일중심스마트관광플랫폼을구축관광서 비스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ervice brands are bein g implemen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smart touri sm and to find ways to foster smart tourism resources.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status of smart tourism servic e brand implement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literatu re, press release, video and publication, and analyzed smart city construction through advanced smart 8 cities in the sa me context as smart tourism in China, and drew up a plan to revitalize smart tourism city. The study found that the tr avel schedule curation propo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 I), the establish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hotel based on big data, new experience and promotion marketing of arti 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smart mobility intelligent trans portation services. China appeared in the form of VR conten t, VR video service, digital museum, self-driving, tourism ro utes utilizing big data and AI technology, and smart toilets in the eight major smart cities in the world were real-time data from Las Vegas, smart waste solutions from Seoul, 3D printed smart bridges from Amsterdam, complete parking of San Francisco, street lighting in Hague, energy saving in Co penhagen, and smart transportation in Brussels. In conclusio n, the measures to revitalize smart tourism city can present non-face-to-face tourism guidance system equipped with ar tificial intelligence, public media methodology, and post-cor ona19 era tourism service.

      • KCI등재

        스마트 관광도시 경주의 인식 및 이슈 분석: 황리단길을 중심으로

        이채은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3

        경상북도 경주시는 2022년 스마트 관광도시 조성사업에 관광명소형으로 선정되었다. 경주시가 진정한 스마트 관광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경험을 통해 스마트 관광지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황리단길과 관련된 관광객의 인식과 이슈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스마트 관광도시 조성사업을 시행한 2020년부터 2년간 네이버, 다음, 구글 등 포털 사이트에서 텍스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15,603개의 데이터 중 관련성이 없는 키워드를 제거하여 정제된 키워드 데이터를 토대로 텍스톰을활용하여 관계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황리단길과 관련하여 상위 키워드 80개를 도출하였고, 이 중 ‘경주’, ‘관광’, ‘스마트 관광도시’, ‘카페거리’, ‘맛집’, ‘여행’, ‘경북’, ‘관광객’, ‘대릉원’, ‘관광지’, ‘첨성대’, ‘한국관광공사’ 등이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Ucinet6 및 NetDraw를 사용하여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80개의키워드를 ‘한국관광 홍보’, ‘한국 발굴’, ‘경주여행 추천’, ‘관광지 활성’, ‘스마트 관광도시 선정’, ‘타 스마트 관광도시’, ‘조성사업 추진’, ‘스마트관광 활용’의 8개 그룹으로 군집화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관광도시의 발전을 관광객의 인식과 이슈에 대한종합적인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 관광도시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스마트 관광도시에 정보 및 시스템 활용 방안 등의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는 스마트 관광도시 경주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 및 이슈를 제공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를 준비하는 스마트 관광학 분야에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 관점에서 본 국내 스마트관광의 전환 - 스마트관광 도시 성공 사례 분석과 지속 가능성의 탐구 -

        서유강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4

        연구배경 21세기의 디지털 혁신 흐름 속에서 스마트시티와 스마트관광의 전환이 주요한 관광 추세로 부상하였다. 스마트관광은 지역의 문화, 역사, 자연환경과 결합하여 독특한 관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지역의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관광 도시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그 효과와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관광의 주요 도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스마트관광의 이론적 배경을 문헌 고찰을 통해 탐구하였고, 국내 성공적인 스마트관광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도시는 자신의 특성과 장점을 기반으로 스마트관광 전략을 구축하였다. 서울은 통합정보와 AR, VR 콘텐츠, 부산은 IoT와 항만 특성, 제주도는 빅 데이터와 맞춤 여행 추천, 대전은 과학 기술, 광주는 문화 예술에 중점을 두어 다양한 플랫폼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스마트관광의 성공 요인으로는 각 도시의 독특한 특성 기반의 전략 구축, 최신 기술 활용, 통합 플랫폼 제공, 빅 데이터와 AI의 맞춤형 서비스,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피드백 체계가 있다. 결론 스마트관광은 IoT, AR, VR, 빅 데이터, AI 등의 기술과 결합하여 관광 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 부산, 제주도, 대전, 광주, 대구는 각각 특색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스마트관광 전략의 차별성을 부각했다. 이러한 스마트관광 전략의 성공 요인은 첨단 기술의 적절한 도입과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그리고 다양한 정보의 통합 제공이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 그리고 다양한 협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Amidst the digital innovation trends of the 21st century, the transition towards smart cities and smart tourism has emerged as a critical tourism trend. Smart tourism aims to provide a unique travel experience by integrating the local culture, history, and natural environment, thus striving for the region's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s successful cases of smart tourism cities in South Korea, aiming to present their impacts and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Methods This study analyzed key examples of smart tourism citi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explo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mart touris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zing successful cases within the country to provide insights. Result Each city has developed its smart tourism strategy based on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Seoul focuses on integrated information, AR, and VR content; Busan on IoT and port features; Jeju Island on big data and personalized travel recommendations; Daejeon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Gwangju emphasizes culture and the arts, offering diverse platforms and services.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smart tourism include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based on each city's distinct attributes, utilization of the latest technologies, provision of integrated platforms, tailored services with big data and AI, and a system for continuous updates and feedback. Conclusion Smart tourism is ushering in a new paradigm in the tourism industry by integrating technologies such as IoT, AR, VR, big data, and AI. Cities like Seoul, Busan, Jeju Island, Daejeon, Gwangju, and Daegu have emphasized their unique features by offering tailored services, highlight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ir smart tourism strategies. The success factors of such smart tourism strategies are the appropriate adoption of cutting-edge technology, user-centric services, and the consolidated provision of diverse information. Continuous research, investment, and various collaborations are essential to achieve this.

      • KCI등재후보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한 관광객의 스마트관광앱 수용저항 연구

        박민정(Min Jeong Park),정남호(Namho Chung)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3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9 No.3

        목적 모바일 앱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보통신기술과 관광산업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관광산업에서의 모바일 앱은 여행자의 편의성과 여행경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는 스마트관광앱 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였으나, 부진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앱 수용저항에 대한 원인을 혁신저항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순차적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온라인 인터뷰를 통해 스마트관광앱 수용저항에 대한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요인과 스마트관광앱 수용저항 사이 구조모형을 제안하였고, 검증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총 270부의 유효응답이 분석에 활용되었고, PLS-SEM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관광객은 스마트관광앱에 대해 연기·반대·거부의 서로 다른 수용저항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변수 중 복잡성, 위험 장벽, 이용가능성의 부족은 수용 연기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 장벽과 이용가능성의 부족은 수용 반대와 수용 거부에서도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 한편, 다른 선행변수들과 수용 저항 사이 관계는 선행연구의 흐름과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며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결론 스마트관광앱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반응을 파악하며 스마트관광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 위험 장벽과 이용가능성의 부족이 수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는 스마트관광앱 보안과 홍보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수용 저항을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하며 혁신저항이론에 대한 학술적 기여와 더불어 스마트관광앱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 The significance of mobile apps in enhancing travelers' convenience and experiences is rising, creat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CT and the tourism sector. Despite substantial budget allocations by governments and local authorities for smart tourism apps development, the outcomes have been underwhelm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asons for resistance to smart tourism apps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Methods A sequential mixed-method approach was utilized, beginning with online interview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resistance to smart tourism apps. Then, a structural model was proposed to examine these facto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alysis of 270 valid responses was conducted using PLS-SEM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validation. Results Tourists displayed varied resistance behaviors—postponement, opposition, and rejection—toward smart tourism apps. Complexity, risk barrier, and lack of trialabi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ostponement of adoption. Moreover, the risk barrier and lack of trial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 both opposition to and rejection of the apps. Conversely, other variables' relationship with resistance deviated from previous research, indicating a need for additional studies.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erceptions of smart tourism apps. Risk barrier and lack of availability emerged as key determinants of resistance. This implies the need for better security and promotion strategies. By categorizing resistance into three levels, the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to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and offers practical insights for enhancing smart tourism app engagement.

      • KCI우수등재

        실현율을 이용한 시나리오 기반 스마트관광도시 관광객 수요예측

        정희정,구철모,정남호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7

        Recently, a growing number of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to invigorate the local economy through smart tourism, a high value-added industry. Thus, while many researchers discuss the economic value of smart tourism, there are few studies that present specific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basis for the economic value of smart tourism by predicting changes in the number of tourists through smart tourism. Furthermore, it aims to present specific and objective data to local governments that seek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rough smart tourism.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utilized demand forecasting techniques that take into account visit intention and feasibility rates, and collected data through online surveys. Specifically, the study sampled the residents of metroplitan area through quota sampling and examined their respective willingness to visit Jeonju, Gyeongju, and Gangneung when they were traditional tourist cities and smart tourist citi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verage number of tourists in smart tourist cities is expected to increase twice as much.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willingness to visit between existing cities and smart tourism cities, women showed higher willingness to visit than men, and 60s showed the highest willingness to visit. These analysis results were not only empirical grounds for the economic value of smart tourism, which had been discussed only conceptually, but the study also presented basic data to local governments seeking to vitalize the local economy through smart tourism. 최근 고부가가치 산업인 스마트관광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지자체가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 역시 스마트관광의 경제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금까지 정립된 스마트관광의 개념 및 정의를 기반으로 스마트관광을 통한 관광객 수의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스마트관광이 갖는 경제적 가치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스마트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자체에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방문의사율과 실현율을 고려한 수요예측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할당표본추출법을 통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전주, 경주, 강릉에 스마트관광이 도입되면 대한 방문의사율에 대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기존의 관광도시였을 때보다 스마트관광도시일 경우 평균적으로 약 2배 정도의 관광객 수 증가가 예측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이 남성에 비해, 그리고 60대가 스마트관광 도시에 가장 높은 방문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도시일 때 보다 스마트관광도시일 때 방문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개념적으로만 논의되어왔던 스마트관광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서, 이를 객관화하는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관광수요를 예측하는데 주로 게량기법이 적용되어 왔던 연구동향에 실현율을 이용한 시나리오 기법의 수요예측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추가분석을 통해 스마트관광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기반한 구체적인 수요를 제시함으로써, 스마트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자체에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관광도시 발전을 위한 공법적 과제

        鄭南鎬(Namho Chung),金度承(Doseung Kim) 미국헌법학회 2021 美國憲法硏究 Vol.32 No.1

        최근 관광산업도 4차산업혁명의 거대한 물결에 온라인 중심으로 산업구조와 서비스 방식이 개편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전세계를 비대면으로 강제변환시킨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관광 서비스 모델은 물론 소비 방식이 변화되고 있다. 관광학계에서는 이러한 관광산업이 정보통신기술과 접목하여 진화·발전되는 현상을 ‘스마트관광(Smart Tourism)’이라 정의하고 관광의 미래 모델로 주목하고 있다. 스마트관광은 지능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기술을 관광분야에 적용하여 관광객이 숙박, 교통 또는 플랫폼서비스를 경험하고 기존의 환대산업(hospitality industry)과 여행업을 통합하여 지능화하고자 하는 관광의 방식 또는 관광비즈니스 모델이다. 감염 위험으로 대외 활동 자체가 금기시되는 상황에서 관광의 위축은 자연스러운 귀결이지만 한편 이러한 미증유의 상황에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은 코로나 팬데믹시대 관광의 새로운 대안으로 또 다른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장기화되고 관광지 출입통제, 외출 자제 등이 권고되면서 간접경험을 통한 대리만족을 위해 관광지의 영상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등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 정부는 스마트관광을 새로운 관광 모델로 주목하면서 스마트관광도시(Smart Tourism Cities)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정보기술의 개발과 활용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그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법적 장치 또한 마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에서 최근 새로운 관광 모델이자 스마트도시 모델로 주목받는 스마트관광도시의 형성과 발전을 위한 공법적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능정보기술의 확산을 도모하고, 데이터 활용과 보호를 위한 법제, 공공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법제, 스마트관광의 필수적 기반인 교통과 숙박에 있어 공유서비스의 전략적 수용을 위한 법제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Recentl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ourism industry is also reorganizing its industrial structure and service methods, focusing on online. In particular, COVID-19 pandemic, which has recently forced the world to be non-face-to-face, is changing tourism services and consumption methods. The contraction of tourism is a natural consequence in a situation where external activities itself is taboo due to the risk of infection, but on the other hand, in this unprecedented situation, smart tourism using smart technology opens up another possibility as a new alternative to tourism in the pandemic era. Governments of each country not only support the development and use of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 smart tourism cities, but also establish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s for various services based on such technologies, while preparing legal mechanisms to prevent side effect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legal tasks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smart tourism citie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ourism model and reviewed the legal system for safe use of data. In addition, legal tasks for revitalizing the use of public data and the legal system for strategic acceptance of sharing economy services were reviewed.

      • KCI등재

        혁신 기술의 적용과 지속 가능한 스마트관광 구현 전략 - 싱가포르, 두바이, 암스테르담의 스마트관광 사례 분석 -

        서유강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4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2

        연구배경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의 선두 주자인 싱가포르, 두바이, 암스테르담에서 적용되는 혁신 기술들과 그 효과를 분석하여 스마트관광의 미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 도시는 AI,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의 혁신 기술을 활용하여 각각 고유한 방식으로 스마트관광을 구현하고 있다. 연구의 배경은 기술의 발전이 관광산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세 도시의 스마트관광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각 도시가 적용한 혁신 기술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조사하고, 이들 기술이 관광객 경험, 운영 효율성,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관광 구현에서 성공 요인과 직면한 도전 과제들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세 도시에서 혁신 기술의 적용이 관광객의 개선된 경험, 운영 효율성의 증대,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각 도시는 기술 적용에 있어 고유한 목표와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도시의 특성과 전략적 목표에 기반한다. 또한, 스마트관광 구현 과정에서 기술적 장벽,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안, 디지털 격차, 표준화 및 호환성 문제 등 여러 도전 과제에 직면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결론 스마트관광의 성공적인 구현은 최신 기술의 도입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에도 의존한다. 이는 관광객의 개선된 경험과 운영 효율성의 증대, 지역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관광의 미래 발전 방향은 기술적 혁신과 함께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노력에 달려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 구현을 위한 심도 있는 분석과 전략적 통찰을 제공한다.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AI, IoT, big data, and blockchain in smart tourism in Singapore, Dubai, and Amsterdam, aiming to defin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It highlights the transformative impact of technology on tourism and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detailed analysis to leverage these changes effectively. Methods This study employs a case study methodology to compare and analyze examples of smart tourism in three cities. It investigates specific cases of innovative technologies applied in each city and examines their impact on tourist experiences, operational efficiency, and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Result The study confirms that implementing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ree cities positively influences enhanced tourist experiences, increased operational efficiency, and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and strategic objectives, each city has unique goals and approaches to technology implementation. Additionally, the research identifies multiple challenges in smart tourism implementation, including technological barriers, privacy and data security, digital divides, and issues with standardization and compatibility. Conclusio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mart tourism relies not only on adopting cutting-edge technologies but also on strategic approache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This involves balancing enhanced tourist experiences, increased operational efficiency, and positive impacts on local communities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future direction of smart tourism depends on strategic efforts to manage and utilize technological innovations holistically.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and strategic insights for implementing smart tourism.

      • KCI등재

        ICT 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의 추진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병옥(Byeong-Ok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세계 관광트렌드는 스마트 기기라는 새로운 정보유통채널의 출현으로 기존의 대량관광, 단체관광 중심에서 개별관광 중심으로 관광의 패러다임이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관광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첨단 ICT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선진화된 스마트관광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관광 발전현황 및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해보고 이에 부응하는 정책적 대안을 분야별로 제시하였다. 첫째, 인프라 구축에서는 스마트관광 유통플랫폼 및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요자 맞춤형 관광콘텐츠 개발부문에서는 융복합 관광콘텐츠 및 사용자경험(UX) 기반 콘텐츠 개발 등을 주문하였다. 셋째, 거버넌스에서는 스마트관광 민관협의체 구성 및 창조관광기업 육성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관련 실무자에게 스마트관광 활성화 관련 사업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as a new channel of information distribution, the mass tourism that has been dominating the travel scene is being transformed into individual tourism. Therefore, it is more than important to establish an advanced smart tourism environment using cutting-edge ICT technologies in order to go into one of tourism developed countries. In line with that, this study draws both local and international cases to show where smart tourism stands now by mapping out problems and solutions by category. Firstly, in terms of infrastructure, establishing distribution platform and big data analyzing systems were suggested. Secondly, to fit the needs of consumers, converged tourism content and user experience based content development are in need. Lastly, in terms of governance forming public-private consultative body and incubating creative tourism companies are suggested. The study results will serve as a fruitful reference to those who want to establish business strategy related to smart tourism.

      • KCI등재

        스마트 관광도시의 정보서비스 요인이 도시관광 경험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조미혜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of information services that affect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of tourists through a survey on the competitiveness of Seoul as a smart tourist destination. It also examines touris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In this study, the multidimensional components of the existing information system quality evaluation were reconstructed to be applicable to smart tourist destination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tourists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urists are more likely to remember their experiences in a smart tourist city when they recognize personalized services through smart technology. Second, the security and privacy aspects of the smart system presented in this study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emorable experience of tourists. Third, the three smart information service function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interaction of tourist destination competitiveness. It was found that destination competitiveness and personalized services had an interaction impact,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of destination competitiveness and accessibility/secur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that information service should be personalized for a smart city, and that the competitiveness of a smart tourist citynecessitates the enhancement of tourism experiences through advancements in smart technology. 본 연구는 스마트 관광지 환경에 대하여 서울의 관광지 경쟁력 조사를 통해 관광객의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궁극적으로 관광객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 시스템 품질 평가의 다차원 구성 요인을 스마트 관광도시에 적용하도록 재구성하여 관광객의 경험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관광객은 스마트 기술을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인식했을 때 스마트 관광도시에서의 경험을 더 많이 기억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스마트 시스템의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측면은 관광객 기억에 남는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스마트 정보서비스 기능을 관광지 경쟁력의 상호작용과 함께 분석하였을 때, 개인화된 서비스가 관광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술적 측면의 접근성과 보안 기능은 영향력이 상호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스마트 도시가 스마트 관광도시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개별 관광객의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는 점과 스마트 관광도시의 경쟁력은 관광자원과 매력물 또는 관광 콘텐츠와 같은 유·무형 관광 경험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스마트 기술과 더불어 관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