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 불안에 관한 연구

        이지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the image of anxiety in Egon Schiele's tree pictures appears an unconscious self-expression.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Egon Schiele's 13 tree pictures painted from 1906 to 1918. In order to inquire the image of anxiety, the research analysed the painter's formation process and pictorial characteristics through his life and then examined, through the qualitative methods, lines, colors, and forms in the picture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13 tree pictures in this research were 15 variables of the analytic indicators in Baum test. The analysis of the data is used by cross-analysis employing SPSS 14.0 Program for calculating inter-annontator agree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following: First, the tree pictures of Egon Schiele ignored the perspective and used dark color tones, and showed a human feature of trees as like his self-portrait. Additionally it unconsciously showed a conflict between his defensive character and anxiety. Second, there were the 3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15 variables, for instance the thickness and surface of tree's trunk, in relation between Baum test and Egon Schiele's tree. 본 연구의 목적은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에서 불안의 이미지가 무의식적인 자기표현으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06년부터 1918년까지 에곤 쉴레의 작품 중 나무그림 13점이며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작가의 성장과정과 회화적 특성을 시대별로 나누어 분석한후 선, 색채, 형태 등은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나무그림 13점을 분석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나무그림검사(Baum test)의 분석 지표 중 15개 변인을 이용하여 양적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에곤 쉴레의 작품 13점의 나무그림의 채점자간 일치도 및 분석을 위해 SPS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은 원근법을 무시하고 어두운 색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무그림을 통해 자신의 자화상처럼 나무도 인간의 형태를 닮게 그리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방어적 성격, 불안과 자기 사이의 갈등을 무의식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둘째, 나무그림검사와 에곤쉴레의 나무와의 관계에서는 15개의 변인 중 줄기의 굵기, 밑둥, 줄기표면 등 3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에곤 쉴레의 인물화 작품을 통한 감상자의 자기성찰 영향에 관한 연구-실존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양원영 ( Yang Won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8 전시디자인연구 Vol.15 No.1

        미술 감상은 객관적 자극으로서의 예술작품, 주관적 감상자로서의 개인, 그리고 전시공간을 대표로 작품을 경험하는 시공간적 맥락이 추가된 복합적인 상호작용이 미술 감상과 연관되어진다. 이러한 미술 감상 과정을 통해 감상자는 개인마다의 현재의 내적 상태에 따라 다양한 정서적 통찰의 경험을 통해 자기 성장의 경험을 가져 갈 수 있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물질적 풍요로움은 넘치는데 반해, 현대인은 사회적 상황의 불안함에 자아 정체성의 혼란과 무력감, 좌절감에서 오는 존재론적 공허감이 빚어내는 정신적 공항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에게 있어 실존적 삶의 태도는 내적 불안한 삶 속에서 주체적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고 하겠다. 여기서의 실존적 삶의 태도란 내적 주체성과 외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수용하면서 겸손함을 갖춘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20세기 초 실존주의 사상을 기초로 한 표현주의 작품 중 대표적 작가인 에곤 쉴레의 인물화 감상을 통해 감상자에게 작가의 내면세계를 전달하여 큰 공감을 일으킴으로서 카타르시스와 자기 성찰을 통해 자아통합의 심리치료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오늘날 현대인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자리한 불안과 존재론적 공허감, 현대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인간 소외 현상들을 에곤 쉴레 회화 작품과 소통하면서 자신들의 실존적 고민과 실존적 삶의 태도에 경종을 울릴 수 있기를 바란다. Art appreciation is related to art appreciation as a combination of artistic work as an objective stimulus and individual as a subjective artist and a spatio-temporal context in which a work is experienced on behalf of an exhibition space. Through this process of appreciation of art, the viewer can experience of self growth through experience of various emotional insights according to the current internal state of each individual. Today, contemporary society is full of material abundance, but contemporary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mental airport created by the ontological emptiness that comes from the confusion, helplessness and frustration of self-identity in the uneasiness of social situation. In this modern people, the attitude of existential life can provide a place of opportunity to live a subjective life in an inner uneasy life. Therefore, this researcher, through the portraitur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 Egon Schiele, of the expressionist works based on the Existenti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veyed the inner world of the artist to the viewer, I think that the psychotherapeutic effect of integration will be shown. Especially today, it is possible to ring the anxieties, the ontological emptiness, deep criticism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human alienation phenomenon deeply in the inside of the contemporary people today, and to wake up their existential agony and the attitude of existential life by communicating with the artwork of Egon Schiele I hope.

      • KCI등재

        세기전환기 빈 회화 속의 육체와 성 -클림트와 쉴레의 그림을 중심으로-

        이재황 ( Jae Hwang Lee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 구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 ) 2010 독일어문화권연구 Vol.19 No.-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die Bilderwelt von Gustav Klimt und Egon Schiele in bezug auf das Thema ``Korperlichkeit und Sexualitat`` zu beleuch-ten; als reprasentative Kunstler der Wiener Moderne haben sie den gleichen kulturellen Kontext der Jahrhundertwende um 1900 gemeinsam. Das Thema ist auch bedeutend im Verstandnis der asthetischen Moderne. Bei Klimt ist der Korper der Frauen eine Quelle seines kunstlerischen Schaffens und gleichzeitig der Hauptgegenstand seiner Malerei. Dort benutzt er verschiedene ornamentale Elemente des Jugendstils, in denen meistens eine sexuelle Symbolik kodifiziert ist. Die Funktion der Ornamentalitat besteht darin, das Spiel von Verhullen und Enthullen der korperlichen Sinnlichkeit zu ermoglichen. Auf dieser Verbindung von Erotik und Ornamentalitat basiert die phantasti-sche Bilderwelt von Klimt. Im Gegensatz zu Klimt schliebt Schiele die Ornamentalitat grundlich aus. In den meisten seiner Zeichnungen ist sogar der Hintergrund der Figuren zur einfarbigen Flache geworden. Damit liegt die Konzentration auf dem Ausdruck ihrer Korperlichkeit, der aus holperigen und hysterischen Kurven besteht, die wiederum eine unruhige Innerlichkeit der Figuren oder des Kunstlers selber widerspiegeln. Bei weiblichen Figuren ist die Schamlosigkeit charakteristisch, da diese meistens gleichmutig ihre Schamteile entbloßen und ihre Blicke auf den Betrachter richten. Diese Asthetik der Schamlosigkeit konnte dazu beitragen, die sexuellen Phantasien zu zerstoren. Bei allen stilistischen Unterschieden gelten die beiden Kunstler als Bahnbrecher der modernen Kunst, indem sie das Verstandnis der korperlichen und sexuellen Natur des Menschen teil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