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질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경쟁력 분석

        권기수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9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국교수립 60주년을 맞아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수출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지난 60년간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은 괄목할 성과에도 불구하고 2011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수출규모는 2011년 118억 달러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8년에는 49억 달러에 그치고 있다. 한국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위상도 2.1%에서 0.8%로 하락했으며, 브라질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도 2010년 4.6%에서 2018년에는 3.0%로 추락했다. 비교우위지수, 수출경합도, 불변시장점유율 분석 등을 동원해 브라질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브라질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성과가 저조한 이유는 브라질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수입 감소에서 일차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한국제품의 경쟁력 저하로 분석되었다. 브라질의 경기침체 속에서도 중국, 미국, 멕시코 등은 경쟁력 향상 등을 통해 수출을 증대시켜 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수출성과가 저조한 이유는 먼저 한국 제품의 비교우위가 정체내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브라질 시장에서 경쟁국과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점도 경쟁력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된다. 전통적인 경쟁국과의 경쟁뿐만 아니라 신흥 경쟁국인 멕시코와의 경쟁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수출이 브라질의 품목별 수입구조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지 못한 점도 경쟁력 하락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현재 정체상태에 있는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① 일부 품목에 집중된 수출품목의 다변화, ② 적극적인 시장개척을 통한 소비재 수출 확대, ③ 중소기업의 수출 활성화, ④경쟁국과의 경쟁 심화에 대비해 현재 추진 중인 한-MERCOSUR TA 협상 조속 타결, ⑤ 균형적인 무역관계의 발전 등의 과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comprehensively in the Brazilian market in the 60th anniversary of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Brazil. In this study,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export similarity index and constant market share were used to analyze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Brazilian market. As a result, Korea ’s export performance in the Brazilian market was poor due to the weak competitiveness of Korean products. In order to revitalize Korea's exports to Brazil, which is currently in a stagnant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① diversify export goods concentrated on some products; ② expand consumer goods exports through aggressive market development; ③ activate export of SMEs; ④ conclude Trade Agreement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MERCOSUR as soon as possible; and ⑤ develop a balanced trade relationship.

      • KCI등재

        ASEAN내 한ㆍ중ㆍ일간 경합관계와 한국의 대(對)ASEAN 수출 결정요인 분석: 위안화 및 엔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원용걸 ( Won Yong Kul ),이화연 ( Lee Hwa Yeon ) 한국동남아학회 2017 동남아시아연구 Vol.27 No.4

        본 논문은 ASEAN내에서 한·중·일간 수출경쟁관계를 살펴보고, 일본 엔화 또는 중국 위안화 환율변화가 우리나라의 對ASEAN 수출에 미친 영향을 시계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한ㆍ중ㆍ일의 품목별 ASEAN 시장점유율 및 수출경합도지수를 도출하여 한ㆍ중ㆍ일의 ASEAN시장내 경합관계 및 변화추이를 살펴본다. 더 나아가 다양한 공적분 접근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對ASEAN 주요국별 수출함수를 추정함으로써 일본 및 중국의 환율변화가 우리의 對ASEAN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분석결과, 과거 가장 높았던 일본의 ASEAN 시장점유율이 중국에 의해 대체되었고,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큰 변화가 없으며 그 과정에서 한ㆍ중ㆍ일간 수출경합관계는 더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 및 중국의 실질환율 변화가 우리나라의 對ASEAN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며, ASEAN의 경제성장이 우리나라의 對ASEAN수출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기업들이 ASEAN을 글로벌 가치사슬에 포함하여 직접투자 및 중간재 교역을 급속히 확대한 결과로 보인다. This paper analyses the market shares and the export similarity indexes (ESI) of Korea, Japan and China in ASEAN, and then identifies the determinants of Korea’s exports to ASEAN countries using single equation cointegration approaches, such as fully modified OLS (FMOLS), dynamic OLS (DOLS), and canonical cointegration regression (CCR). Various regression results are as follows: As expected, Korea’s real exports tend to increase as importing country’s GDP grows. The competing third country’s currency depreciation affects Korea’s exports differently from country to country. Most notably, it doesn’t significantly affect Korean exports in Malaysia, Indonesia and Thail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lateral or third country exchange rates are not that important or decisive factors to determine Korea’s exports to ASEAN countries in the long-run while economic growth in ASEAN countries matters most.

      • KCI등재

        한-중 화학소재산업의 수출경쟁력 비교 분석

        김은영,서창배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2

        The chemical material industry has a substantial forward-backward linkage effect in various industrial areas such as electronics, automobiles, and energy. Related items are the primary export industries as they occupy 3rd place in the overall export rankings in Korea and are also highly profitable industries that record a trade surplus of 33%. However, in advanced chemical material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is very high. There is a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China in general-purpose chemical materials, so it is urgent to prepare a continuous countermeasure. Moreover, Korea's technological prowess in the chemical materials industry is only 66%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Its domestic procurement rate is only 57%. Its share in the global export market remains ninth,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enhance competitiveness. Accordingly, this research calculates and compares Export Market Share(EMS),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RCA), Contribution to the Trade Balance(CTB), and Export Similarity Index(ESI). The results could analyz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related-significant countries and compare the export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Chemical Materials indust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related-significant countries is high in the order of EMS: the US > Germany > China, TSI: Ireland > Switzerland > Netherlands, RCA: Ireland > Switzerland > Belgium, CTB: Switzerland > Ireland > Belgium. Second, comparing Korea-China export competitiveness, Korea is more competitive than China, and the item with the fiercest competi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chemical fiber. Third, when comparing the major trading countries of Korea and China, China has a relatively equal proportion to the United States, Japan, Korea, and Mexico. Still, Korea concentrated in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Chemical Material industry is superior to China, but it is intermediate among significant countries in the global market. Therefore, we must consider upgrading structural changes in export products that focus on advanced chemical material industries such as 'basic pharmaceutical substances & biological preparations.' In addition, policy support needs to invest R&D indirect investment in SMEs, develop source technology, and foster SME material companies. 화학소재산업은 전자,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전·후방 연관 효과가 매우 큰 산업으로서, 반도체, 표시장치, 연료전지 등 첨단부품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핵심소재 분야이다. 관련 품목은 한국 전체 수출순위 3위를 차지할 만큼 주력 수출산업인 동시에 33%의 무역수지 흑자 비중을 기록하는 효자산업이다. 그러나, 첨단화학소재 분야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의 수출경쟁력이 매우 높고, 범용화학소재 분야는 중국과의 경합관계가 존재하고 있어 지속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절실한 상태이다. 더욱이 한국 화학소재산업의 기술력은 선진국대비 66%, 자체조달률 57% 수수준에 불과하여 세계 수출시장점유율도 9위에 머물러 있어 경쟁력 제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수출시장점유율(EMS), 무역특화지수(TSI), 현시비교우위(RCA), 무역수지기여도(CTB), 수출경합도지수(ESI) 모형을 활용하여 화학소재산업의 주요국 수출경쟁력 추이 및 한·중 수출경쟁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주요국 수출경쟁력의 경우, (EMS) 미국 > 독일 > 중국;, (TSI) 아일랜드 > 스위스 > 네덜란드;, (RCA) 아일랜드 > 스위스 > 벨기에;, (CTB) 스위스 > 아일랜드 > 벨기에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중 수출경쟁력의 경우, 한국이 중국보다 경쟁력 우위를 지닌것으로 나타났으며, 양국의 경합관계가 가장 높은 품목은 화학섬유 분야이다. 셋째, 한·중 양국의 주요 무역상대국 시장 비교의 경우, 중국은 미국, 일본, 한국, 멕시코 등 비교적 균등한 비중을 보인 반면에, 한국은 중국, 일본, 미국 등에 대한 편중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한국 화학소재산업의 수출경쟁력은 현재까지 중국보다 비교우위에 있으나, 전반적인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한국 화학소재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초 의약물질 및 생물학적제제’와 같은 고위기술산업군을 중심으로 한 수출상품구조의 업그레이드 변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시장별 특징을 고려한 수출상대국 다변화 전략과 중소기업 R&D 우회 지원방안 모색을 통한 원천기술확보·육성 등 끊임없는 정책적 지원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ㆍ중ㆍ일 김 수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백은영 ( Baek Eun-young ),이은화 ( Li Yin-hua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3

        우리나라 김 수출은 2010년 1억 달러 달성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 2017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5억 달러를 달성했다. 김은 농수산물 수출 중 3위 성적을 거두었는데, 생산에서 가공까지 모든 공정이 국내에서 이루어진 순수 국산 수산물인 점에서 의미 있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김 산업에 힘을 보태기 위해 2024년까지 김 수출 1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김 산업발전전략’을 수립했다(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Ⅰ, Ⅱ). 그러나 우리나라 김 수출은 일본과 중국의 김 생산 여건에 따라 많이 좌우되는 경향이 있어 수출 목표 달성에는 현실적인 제약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다의 반도체’라 불리는 3국 김 산업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김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정부가 목표한 김 수출을 절반가량 달성한 시점에서 김 수출경쟁력 분석은 시의성 있는 시도이자, 김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점은 연구적인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김 주산국인 일본과 중국과의 김 수출경쟁력 분석을 통해 국내 김 수출 산업의 위치를 진단해 보고자 했다. 김 수출경쟁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은 3국 중 전형적인 김 수출국인 동시에 중국과 수출대상국이 중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경합도분석에서는 한국과 중국이 가장 높았으며, 김 수출에서 양국이 서로 경합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마른김에 비해 조미김 수출은 다양한 수출대상국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국가에서 수출대상국이 일부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 3국 중 한국은 수출특화수준이 가장 높았고, 수출 경합도에서도 한국과 중국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김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정 생산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 생산단계에서부터 불법시설 근절과 어기 단축, 생김 폐기 등 자율적인 수급조절을 통해 양질의 김 생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번째는 고부가 가치 창출과 시장 세분화를 위해 국내 실정에 맞는 마른김 등급제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는 우리나라 김 생산과 수출이 해외시장 수급상황에 따라 좌우되는 만큼 해외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출대상국별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Korea's exports of Laver have grown steadily since reaching $ 100 million in 2010 and reaching $ 500 million for the first time in 2017.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a national policy to promote the Laver industry by establishing a 'Laver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aimed at achieving $ 1 billion in exports of Laver until 2024.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Laver Industry, which has become so high status as to be called 'Semiconductors of the Sea'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Laver Industr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Laver export to Japan and China, it attempts to diagnose the position of Laver export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Korea is a typical exporter of Laver, and the export specialization level among the three countries is the highest. Also, in the analysis of export Similarity, Korea and China are the highest, and in the export of Laver, the two countries are analyzed as having a competitive relationship.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Laver Industry in Korea, first it is important to build proper production system to produce high quality Laver. The second is the introduction of the grading system of dried Laver that meets domestic conditions to create high added value and satisfy consumer needs. The third, continuous monitoring of overseas markets is necessary because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production and export depend on the supply and demand situation of overseas markets. Finally, in order to maximize the synergy eff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for each country.

      • KCI등재

        한국과 주요국 간의 반도체산업 수출경쟁력 및 수출경합도 비교 분석

        김은영(Kim, Eun Young),서창배(Seo, Chang Bae)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4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패권경쟁이 심화하며 반도체 공급망 재편과 관련한 다양한 움직임이 최근 급증하고 있다.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필수산업이기 때문에 관련 주요국들을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망 확보와 기술자립도 강화를 추진 중인 것이다. 한국을 소위 반도체 강국이라고 하나, 시스템반도체 분야를 비롯한 관련 소재산업 부문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태이고, 메모리반도체 분야는 경쟁국들과의 기술 격차 감소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이에 본고는 시장점유율(MS), 무역특화지수(TSI), 현시비교우위(RCA), 수출경합도지수(ESI)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과 주요국 간의 반도체산업 수출경쟁력 및 수출경합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체 수출점유율이 높은 순서는 중국 > 대만 > 싱가포르 > 한국 > 미국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중국과 대만의 시장점유율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둘째, 한국·대만·일본·말레이시아·싱가포르는 수출 측면에서 특화된 반면, 중국·미국·독일은 수입 측면에서 특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중국·대만·싱가포르·말레이시아·일본의 반도체산업은 각각 자국 내 여타 산업보다 비교우위인 상태이나, 미국과 독일은 비교열위 상태이다. 넷째, 전반적인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과 경합도가 높은 국가는 중국 > 대만 > 싱가포르 순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메모리반도체 분야는 중국과,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대만과 가장 치열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관련 주요국들을 중심으로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집중적인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이 종합적인 반도체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R&D 지원 강화, 인재양성, 기술 역량 제고, 팹리스기업(Fabless Manufacturing) 장려 등이 절실한 상태이다. Semiconductor supply chains are promoting reorganized as technical hegemony competition to secure the initiativ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tensifies globally. Because semiconductors are an essential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lated-significant countries emphasize securing global supply chains and technical independence. Although Korea is called a semiconductor powerhouse, Korea has been vulnerable to competitiveness in related materials, including system semiconductors, and competitors have threatened it with the technology gap decrease in memory semiconductors. Therefore, this article compared and analyzed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between Korea and significant countries using Market Share (MS),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and Export Similarity Index (ESI) mod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rder of high semiconductor export share is China > Taiwan > Singapore > Korea > the US, of which China and Taiwan"s market share tend to increase every year. Second, Korea, Taiwan, Japan, Malaysia, and Singapore specialized in exports, while China, the US, and Germany specialized in imports. Third,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Korea, China, Taiwan, Singapore, Malaysia, and Japan has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other sectors within their country. In contrast, the US and Germany have a comparative disadvantage. Fourth, countries of high competition with Korea in the global semiconductor market are China > Taiwan > Singapore, especially Memory semiconductors are highly competitive with China and system semiconductors with Taiwan. Currently, competition among world powerhouses to foster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intensifying. Therefore, if Korea wants to make a comprehensive semiconductor powerhouse, Korea has to support R&D, cultivate people of talent, enhance technology capabilities, and encourage Fabless Manufacturing.

      • KCI등재

        중국시장에서 한국 주요 수출상품의 수출경합도와 불변시장점유율 분석을 통한 경쟁력 연구

        라공우,송진구 한국통상정보학회 2019 통상정보연구 Vol.21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ort Similarity Index and the Constant Market Share of Japan and Taiwan, which are competing with Korea's top 10 export products to China. First, Korea's market share in China is higher than that of Japan and Taiwan. By item,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S 9013, HS 2902, HS 2710, HS 8529, HS 2901, and HS 8548 items. Second, in terms of export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 Taiwan are nearly zero, the export structure is different. HS 8542's export competition with Taiwan products increased significantly to 0.999 in 2018, indicating that the competition with Taiwanese products has been fierce. Third, Korea, Japan, and Taiwan have seen changes in China's Constant Market Share. HS 8542 product should be prepared for the pursuit of Taiwan, and the constant market share of Japan and Taiwan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competitiveness, cost reduction,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and high value added of export product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 중국 10대 수출상품과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과 대만의 수출경합도(Export Similarity Index)와 불변시장점유율(Constant Market Share)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대체적으로 일본과 대만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보면, HS 9013, HS 2902, HS 2710, HS 8529, HS 2901, HS 8548 품목에서 월등하게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일본, 한국과 대만간의 수출경합도에서는 대체적으로 0에 가까워 수출구 조가 다르다고 판단되지만, 전자집적회로(HS 8542)품목은 대만 제품과의 수출 경합도가 2018년 0.999 로 크게 높아져 대만산 제품과 경쟁이 치열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일본, 대만의 대 중국 불 변시장점유율 변화를 살펴보면 한국이 아직까지는 10개 품목의 경쟁력 양호한 것으로 보이나 HS 8542 품목은 대만의 추격에 대비해야 하며, 일본과 대만의 불변점유율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경 쟁력 강화, 원가절감, 경영합리화, 수출상품의 고부가가치화 등에 적극 나서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에서 유럽연합으로의 기계와 수송 장비 수출에 미치는 중국의 영향

        우타이 우프라센(Utai Uprase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중국발 수출의 부상은 타국의 수출 감소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왔다. 그러나, 현존 문헌들은 중국발 수출의 급증이 전위효과뿐만 아니라 보완효과를 일으킨다고 한다. 이것은 특정 산업군과 국가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럽연합 시장으로의 기계 와 수송 장비(SITC7) 수출에 끼치는 중국의 영향에 대해 면밀히 조사한다. 중력모형은 1995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간 자료를 활용해 28개 수출 산업군의 표준국제무역분류 3단계 재화에 조사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우리의 연구 조사 결과는 대다수의 수출 산업군들이 (한국에서 유럽연합 시장으로의 SITC7 제품들의 64.91%) 중국발 수출의 부상에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영향받은 산업군으로는, SITC7 재화 중 22.33%를 차지하는 3 개의 산업군만이 중국발 수출의 부상에 따른 전위효과의 영향을 받았음을 자료가 시사한다. 더불어, 보완효과는 수출의 7.54%를 차지하는 6개의 산업군에서 발견되었다. The rise of Chinese exports has raised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on exports of the other countries. However, the existing literature reveals that the surge in Chinese exports creates not only the displacement effect, but also the complementarity effect. It depends on specific industry and specific country.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impact of China on exports of machinery and transport equipment (SITC7) from Korea to the EU market. The gravity model is applied to examine 28 exporting industries at 3-digit level of commodity, using annual data during 1995 to 2015. The findings from our study show that the majority of exporting industries (64.91 per cent of exports of SITC7 products from Korea to the EU market) are not affected by the surge in Chinese exports. However, for the affected industries, the evidences indicate that the surge in Chinese exports indeed generates displacement effect on 3 industries which account for 22.33 per cent of exports of SITC7 commodities. The complementarity effect is also found in 6 industries which constitute of 7.54 per cent of SITC7 exports.

      • KCI등재

        미국 시장에서의 승용차 수출경쟁력의 변화

        박구웅(Koo-Woong, Park) 한국국제상학회 2020 國際商學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2012년 한‑미 FTA 발효를 전후로 미국시장에서 주요 자동차 생산 국가들의 승용차 수출경쟁력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산업내무역지수(Grubel‑Lloyd Index)와 수출경합도(ESI)를 이용한 경쟁 지수 및 현시비교우위(RCA), 무역특화지수(TSI), 국가별 비교우위(CAC) 등의 비교우위지수를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쟁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한국무역협회(KITA)의 무역통계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각국의 산업 내 무역 규모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한국은 경쟁 국가들과 가장 강한 수출경합도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현시비교우위에 있어서 일본, 한국, 독일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스웨덴과 영국이 뒤를 잇고 있다. 넷째, 주요 7개 국가는 전부 미국에 대하여 강한 수출특화를 유지하고 있다. 다섯째, 한국, 이탈리아, 스웨덴은 CAC가 2.0을 훨씬 상회하는 높은 국가별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랑스는 TSI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뚜렷한 비교열위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한국은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강한 수출 경합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높은 수준의 비교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자동차 기업들은 중대형 고급 승용차의 개발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하여 수익성과 경영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ynamic patterns of export competitiveness of passenger cars in the US market around the global economic crisis of 2008 and the Korea‑US FTA enactment of March 2012.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analyzes dynamic intra‑industry trade, export similarity index, and key export competitiveness indices of major countries for 2003 to 2018 as an empirical study using trade data of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KITA). Results : We fi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the levels of intra‑industry trade vary widely across the countries. Second, Korea shows the highest level of competition in the US car market. Third, Japan, Korea and Germany maintain high levels of RCA, followed by Sweden and the UK. Fourth, all the countries show very strong export specialization against the US. Fifth, Korea, Italy and Sweden carry a high level of CAC well over 2.0. France maintains noticeable comparative disadvantage in the US car market. Conclusions : Korean automobile companies need to develop high‑end mid to large class passenger cars and diversify export markets other than the US and Europe in order to enhance profitability and operational stability.

      • KCI등재

        중국·중남미 경제협력 프레임워크와 수출경쟁력 변화 분석

        김영석 국제지역학회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hina on the competition structure and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LAC) market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LAC in the fields of trade, investment and finance under the "1+3+6 Cooperation Framework" as well as changes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de, investment and financial flows from China into LAC has been unexpectedly decreased since 2015 when the “1+3+6 Cooperation Framework” was introduced by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U.S. market share in LAC fell sharply due to China's growing market share, while Korea saw a slight increase and Japan saw a slight decrease. The Export Similarity Index (ESI) indicates that export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the U.S. has been intensified.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Index shows that Korea and Japan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capital products, while China has been losing competitiveness in consumer products.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부상이 중남미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와 수출경쟁력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국의 대중남미 정책인 ‘1+3+6 협력 프레임워크’에 따른 무역, 투자, 금융 분야에서의 중국과 중남미의 경제협력 현황과 특징 그리고 한·중·일 동아시아 3국과 미국의 대중남미 수출경쟁력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대중남미 경제협력 규모는 ‘1+3+6 협력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2015년 이후 오히려 둔화되었다. 중남미에서의 한·중·일 3국과 미국의 경쟁 구도와수출경쟁력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중남미 시장점유율 확대로 미국의 중남미 시장점유율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한국은 소폭 증가 그리고 일본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일 3국과 미국의 수출경합도(ESI)가 모두 증가했고, 특히 중국과 미국의 수출경합도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시비교우위지수(SCA) 분석 결과, 한국과 일본은 자본재 부문에서 수출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소비재 부문의 수출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주요국의 고위기술 소재부품산업 수출경쟁력 비교 분석 -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

        김은영,서창배 중국지역학회 2023 중국지역연구 Vol.10 No.1

        Recently, major countries have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high-tech manufacturing industries to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preempt technology hegemon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over, at a time when global protection trade stocks are intensifying and China's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export competitiveness is strengthening,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global position of Korea's high-tech material parts industry and come up with measures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high-tech material parts industry, focusing on related-significant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related-significant countries is high in the order of Market share: China(23.2%), the US(8.1%), Germany(6.0%), Korea(5.8%), Japan(3.9%), TSI: Korea(0.32), China(0.11), Germany(0.01), Japan(-0.30), the US(-0.30), RCA: Korea(1.86), China(1.72), Japan(1.00), the US(0.92), Germany(0.74), EXPY: Korea(119.75), China(110.48), Japan(63.44), the US(60.16), Germany(50.23), HHI: Korea(2,456), Japan(2,393), Germany(2,264), the US(2,024), China(1,929), ESI: China(0.98), Japan(0.56), the US(0.52), Germany(0.42).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developing industries in which product advancement is rapidly progress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specific items by diversifying the fields of the high-tech material parts industry. Third, as global semiconductor hegemony competition is intensify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build stable supply chains and enhance technology capabilities. To this end, a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diversify importing countries, diplomatic efforts of the government, R&D support to increase the localization rate,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최근 주요국들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술패권 선점을 위해 고위기술제조업 발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보호무역주의 기조 심화와 중국의 기술집약형 산업 수출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한국 고위기술 소재부품산업의 글로벌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수출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대응방안 마련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고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고위기술 소재부품산업의 수출경쟁력, 수출산업 고도화 및 집중도를 분석하고 경합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시장점유율(10년 평균, 이하동일)은 중국(23.2%), 미국(8.1%), 독일(6.0%), 한국(5.8%), 일본(3.9%), 무역특화지수는 한국(0.32), 중국(0.11), 독일(0.01), 일본(-0.03), 미국(-0.30), 현시비교우위는 한국(1.86), 중국(1.72), 일본(1.00), 미국(0.92), 독일(0.7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출산업의 고도화 정도는 한국(119.75), 중국(110.48), 일본(63.44), 미국(60.16), 독일(50.23), 집중도는 한국(2,456), 일본(2,393), 독일(2,264), 미국(2,024), 중국(1,929) 순이며, 한국과의 경합도는 중국(0.98), 일본(0.56), 미국(0.52), 독일(0.42) 순으로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분석내용을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고도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산업을 중점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고위기술 소재부품산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업 분야를 다각화하여 특정품목의 집중도를 낮추어야 한다. 셋째, 글로벌 반도체 패권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주요국들과의 경합도 역시 치열해지고 있어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기술 역량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입국 다변화와 정부의 외교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이며, 국산화율 제고를 위한 R&D지원 및 인재양성 등에 적극 힘써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