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부지방 송국리문화의 제 양상과 성격 연구

        김권중 한국청동기학회 2019 한국청동기학보 Vol.25 No.-

        The central region was the outskirts of the Songgukri culture's main area of distribution, sustaining the local culture of Jaeji. This local culture made growth in the early phase and displayed its prominent locality in the middle phase. In some areas, the dissemination and spread of the Songgukri culture happened through the migration or contact of the Songgukri group.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overall patterns of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and review its chronological position, nature, and changing pattern,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It also aimed to figure out the ways that they formed relations with the Jaeji group and investigate some topics of sharp conflicts including the origin and chronology of the so-called "Bansongri-style dwelling" and the input route of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Yeongdong region. The review results of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show that its influences were not strong but that there were modifications to it due to its interactions with the Jaeji group, who in turn accepted selectively the influences of the Songgukri culture.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had its own modificat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contacts with the Yeoksamdong culture and witnessed the appearance of the Bansongri-style dwelling as a modification to the Jaeji culture. Unlike the old opinions, the Bansongri-style dwelling was a modification to the Jaeji group(Yeoksamdong-style dwell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nggukri culture(Songgukri-style dwelling) and emerged at a later time.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 exhibited a harmonious pattern of keeping the traditional dwelling structure of the Songgukri culture and accepting actively the new material culture(pottery with clay stripes) of Jaeji. The Songgukri culture succeeded in maintaining itself in the central region until later periods thanks to the survival method of the Songgukri group-an active strategy of adjusting to the needs or demands of the Jaeji group. The Songgukri group showed its independent survival method, but it formed reciprocal and functional relations with the Jaeji culture and underwent the process of harmony and absorption in most cases. 중부지방은 송국리문화 주 분포권의 외곽지역으로 재지의 지역문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 문화는 전기부터 성장하여 중기에 지역성이 두드러지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송국리집단의 이주나 접촉에 의해 송국리문화의 전파와 파급이 이루어진다. 본고는 중부지방 송국리문화의 제 양상을 살펴 보고 편년적 위치와 성격, 변화양상 등에 대해 검토하여 송국리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재지집단과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소위 ‘반송리식주거지’의 기원과 편년문제, 영동지역 송국리문화의 유입경로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부지방 송국리문화를 검토한 결과 그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지만 재지집단과의 상호작용으로 변이가 관찰된다. 또한 재지집단도 송국리문화의 영향으로 선택적 수용 양상이 확인된다. 경기 남부지역은 역삼동문화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자체의 변이는 물론 재지문화의 변이인 반송리식주거지가 등장하기도 한다. 반송리식주거지는 기존의 견해와 달리 송국리문화(송국리식주거지)의 영향을 받은 재지집단(역삼동식주거지)의 변이로 파악되고, 등장 시점도 늦은 시기로 확인되었다. 강원 영동지역은 송국리문화의 전통적인 주거구조를 유지하면서 재지의 새로운 물질문화(점토대토기문화)를 적극 수용하여 융화되는 양상이다. 이와 같이 중부지방에서 늦은 시기까지 송국리문화가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송국리집단의 생존을 위한 방식-재지집단의 필요나 요구에 따라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송국리집단의 독자적인 생존방식도 보이지만 대부분 재지문화와 호혜적·기능 적 관계를 맺고 융화·흡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부지방은 송국리문화 주 분포권의 외곽지역으로 재지의 지역문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문화는 전기부터 성장하여 중기에 지역성이 두드러지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송국리집단의 이주나 접촉에 의해 송국리문화의 전파와 파급이 이루어진다.

      • KCI등재

        제주지역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

        金慶柱 한국청동기학회 2010 한국청동기학보 Vol.6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attern of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Songgukri-type cul-ture on Jeju island. It is presumed that Songgukri-type culture was introduced into Jeju island inthe process of its diffusion from Gumkang river region to Honam region. Based on my research,the inflow of its culture into Jeju is classified as three major stages.In the first phase, which I call “Acceptance stage”, Songgukri A typed dwellings were mainlyconstructed. In the case of artifacts, roll-rimed pottery and black burnished long-neck pot whichare the imported pottery from the mainland have been unearthed together with erect-mouth pot-tery and Samyangdong typed pottery which are indigenous, and flsttenedhand-axe, stonedagger-withhilt, triangle-shaped flat stone arrowhead have been excavated. The first phase has beendated between 4th century and 2nd century BC.In the second phase, which I name “Diffusion stage”, the structure of dwellings were slightlydownscaled. While Songgukri-A typed dwellings were continuously built, Songgukri B and Cwere newly appeared. Erect-mouth pottery became extinct in this phase, and whileSamyangdong type pottery were still made in a small scale, most of pottery form were changedto Oedodong type. Furthermore, new type of pottery such as mounted dish pottery, basin pot-tery, and pottery lid were emerged. Judging from the fact that all stone tools excavated in the sitewere only used to prepare food, it is thought that in this stage ironware was used for othermeans. The second phase has been dated between 1st century BC and 2nd century AD.In the third phase, which I call “Change stage”, Songgukri-type dwellings were partlyremained, but most form of dwellings were turned to Oedodong type. Based on this fact, I thinkthat Songgukri-type culture in this phase were at extinction stage. The previous styles of potterywere mostly disappeared, and they were simplified into Oedodong typed pottery. Mahan typedpotteries were also partly unearthed together. Other stoneware except tools for foodstuff was notdiscovered like the second phase, and the use of ironware was rapidly increased. The thirdphase has been dated between 3rd century and 4th century AD. 본고는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제주지역의 송국리문화는 금강유역에서 호남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에 송국리문화가 수용되고 전개되는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수용)는 A형의 송국리형주거지가 주로 축조된다. 토기는 재지계의 직립구연토기와 삼양동식 토기가 확인되며 외래계의 점토대토기와 흑색마연장경호 등이 동반 출토된다. 반면 석기는 편인석부, 일단병식석검, 편평삼각형석촉 등이 출토되고 있다. 1단계는 B.C.4~2세기경에 해당한다. 2단계(확산)는 주거지의 규모가 다소 축소되며 A형이 지속적으로 축조되지만 B형과 C형 등 다양한 형태가 출현하게 된다. 토기는 직립구연토기가 소멸하고 삼양동식토기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대부분 외도동식토기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이외에도 高杯型土器, 盤型土器, 토기뚜껑 등 새로운 기종이 출현한다. 석기는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철기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단계는 B.C.1~A.D.2세기경에 해당한다. 3단계(전환)는 송국리형주거지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외도동식주거지로 전환되면서 소멸되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는 이전 단계의 기종이 대부분 소멸하고 외도동식토기로 단일화되고 있으며 일부 마한계 토기가 동반 출토되고 있다. 석기는 2단계와 마찬가지로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철제품이 급증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3단계는 A.D.3~4세기경에 해당한다.

      • KCI등재

        환위계적 적응순환 모델로 본 송국리문화의 성쇠

        이희진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8 No.-

        송국리문화의 소멸은 여타의 남한지역 고고학적 문화교체와는 그 양상이 다르다. 후속하는 시기인 점토대 토기문화에서 주 생업체계로서 농경의 침체기, 인구감소 및 일시적인 사회복합도의 저하가 나타나는데 이는 농경이 시작된 이래 문화의 교체와 함께 급격한 주 생업방식의 변화(농경활동의 심각한 쇠퇴)가 나타난 거의 유일한 사례이다. 소멸의 주 원인으로 농경의 쇠퇴와 연관하여 환경변화를 주목하지만 대리자료 에서는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설정할 만한 기후의 변화상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복합적인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의 측면에서 이해해 보고자 환위계적 적응순환 이론의 개념과 순환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모델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미시적 순환으로는 취락의 생성과 성장 그리고 해체과정을 살펴보았고 거시적으로 송국리문화의 전개와 성쇠를 하나의 순환과정으로 놓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 내에서 주기적 기후진동이 미시적 순환을 단절시켜 거시적 순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해서 기후변수가 송국리문화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가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는 연역적 가설에 불과하므로 향후 이를 입증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시도가 필요할 것이며 앞으로의 과제로 삼도록 하겠다. Why and how did a society follow the path to the collaps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difficult to answer despite numerous research on material data and scientific analyses employed. One reason is that the collapse of the society is a byproduct of complicated interactions between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an effect of singular cause. In this paper the theoretical economic structure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environment, and explanations on the processes of its development and decline are reviewed. It is attempted to apply this theoretical concept to the collapse process of mid-Bronze Age culture, Songgukri. The reconfigured system with complexity inherited from the previous cultural system, had sprea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by the repeated cycles of establishment of large settlement and dispersion while ahierarchically connected network had been being established. The possible impacts of climatic oscillation are reviewed and it appears that it may have increased the vulnerability of the society through connected subsystems as a result of intensive rice agricultural practice and increased rigidity due to development of complex society. In particular the scale of population of regional network raging from few hundreds to thousands was vulnerable to climatic disasters. Thus it is highly likely that climatic oscillation could cause disturbing the cyclic development of settlement, breaking the regional network. The following consequence was dismantling of the whole society which was facilitated by spread of migrated people with the round rim pottery. After the collapse, the remaining people accepted new culture and reconfigured with the culturally distinguished people, the round rim pottery group.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Late Bronze Age might have been a result of this reorganization process in a panarchy cycle.

      • KCI등재

        松菊里文化의 文化接觸과 文化變動

        李弘鍾(Lee Hong Jong)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8 No.-

        松菊里文化에 대한 접근은 개별 유구나 유물 등 다방면에 걸쳐 검토되었는데, 최근에 들어 문화 자체의 성립과 파급이 어떠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여러 논고가 발표되었다. 松菊里文化의 성립배경에 대해서는 自體發生說과 外來影響說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체발생설은 松菊里住居型에서 역삼동계토기가 공반되면 先松菊里類型, 송국리형토기가 공반되면 松菊里類型으로 설정하고 先松菊里類型에서 松菊里類型에로 변화발전 하였다고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先松菊里類型도 지역에 따라 뚜렷한 차이점이 발견되기 때문에 단순하게 선후관계의 논리로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한 측면이 많았다. 또한, 실연대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논리를 뒷받침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外來影響說은 완성된 문화체계가 한 지역에 정착한 후, 각지로 파급되어가는 과정에서 지역집단의 기반에 따라 다양성이 나타난다고 보는 견해이다. 필자는 후자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松菊里文化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松菊里住居型의 등장이 이전의 주거문화 속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으로 새로운 문화체계와 관련시키지 않고서는 납득하기 어렵다. 송국리형 자비용토기의 등장도 松菊里文化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제2차적 요소에 속한다. 그러나 토기는 지역집단의 전통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문화를 수용한다하더라도 토기형태 및 제작방법은 在地的인 기반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예는 北部九洲地域의 彌生文化가 각지로 파급되지만 각 지역의 토기는 재지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 크다. 이에 필자는 松菊里文化類型이 각 지역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8개 유형으로 구분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松菊里文化가 어느 지역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지금부터 풀어야될 과제로 남을 수 밖에 없다. There has been a debate on whether Songgukri culture emerged indigenously or by an outer influx. The indigenous emergence theory explained the change from-pre-Songgukri type which accompanies. Yeoksamdong style pottery to Songgukri type with Songgukri style pottery in time sequence. However, the fact that pre-Songgukri type has wide variety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results of carbon dating make this theory less plausible. On the other hand, the outer influx theory insists that regional diversity was formed in process of cultural spreading from a certain area where the completed curtural complex arrived. It appears to be more reliable. The emergence of Songgukri style dwelling which doesn't exist in previous period couldn't be explained unless it's associated with new cultural complex. In addition, it is accompanied by the emergence of Songgukri style cooking pot. However, by the nature of the pottery which tends to be affected by the indigenous communities' traditions, the style of pottery and making method appear various on the base of different regions. It is indicative the fact that the potteries had retained the traditional elements when Yayoi culture and spread in the Northern Kyushum Japan. Now Songgukri culture in the central South Korea is divided into eight different sub-types. It remains to be solved which sub-type was affected by outer influx first.

      • KCI등재

        충청지역 송국리문화의 다양성 연구

        이동휘(Lee Dong Hui)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50 No.-

        선사고고학에서 문화의 지역적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집단 간 역동적인 교류와 시간적 흐름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는 지역성 연구를 통하여 남한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문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충청지역은 송국리문화의 핵심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존재하는 소지역성(지역적 변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송국리문화가 어떠한 문화 접변과 확산과정을 통하여 충청지역에 확산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요소들의 배치상황, GIS 밀도분석(Density), 수계검증을 통하여 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총 6개지역(1지역:서산·당진·홍성, 2지역 : 천안·아산, 3지역 : 청원·청주·진천, 4지역 : 보령·서천, 5지역 : 공주·부여, 6지역 : 대전·계룡)으로 충청지역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송국리문화 요소의 빈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던 5지역(공주·부여)을 충청지역 송국리문화의 핵심지역으로, 나머지 지역을 외곽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처럼 송국리문화를 구성하는 개별문화요소가 지역별로 상이하게 확인되는 것은 송국리문화가 완성된 형태로 핵심지역에 정착했거나, 외곽지역에서 핵심지역으로의 이동으로 요약할 수 있다. Spatiality holds a key post in the archeological study, and also in case of the research related to the Songguk-ri culture of Bronze Age, the study on spatiality is being made actively. In this paper, we intend to review the diversity of Songguk-ri Culture representing the middle Bronze Age, and the region of study is established as Chung-cheong Regio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diversity of Songguk-ri Culture have been performed not for the overall review of feature·artifact but for the center of the partial cultural factors. And most of the studies defined the regional differe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type as the difference of type, or divide the region based on simple nature·geographical situations in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ircle, and as a result, there occurred the circumstances to overlook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cultural factors of unit regions. Hereupon in this thesis, we aim to identify how the cultural factors forming Songgok-ri Culture spread in Chung-cheong Region through diverse cultural assimilation and diffusion process, and for this purpose, we divided Chung-cheong Region into 6 regions through Especially, in this thesis, we classified the key region and peripheral region on the basis of the strength and ratio of Songgukri cultural factors, and pointed out Region 5(Gongju Buyeo region) showing the strongest frequency of Songgukri cultural factors as the Core-area of Songgukri culture of Chung-cheong Region. Thus the situations where the aspect of Songgukri Culture is maintained as the mutually different forms by each region and the fact that the individual cultural factors are distributed diversely mean that the spread period and existence period were different by the region.

      • KCI등재

        규슈지역 송국리문화의 확산과 문화변동

        이정은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9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5 No.-

        In case, it is hard to find out supporting evidence on whether a new type of material culture or its change has a self-regenerating ability or not, migration would be one of the convincing explanatory frames to interpret those phenomena. In this viewpoint, migration of the Songguk-ri Culture toward Japan plays a pivotal role in identifying important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prehistoric tim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examine and elaborate the migration of the Songguk-ri Culture to Japan applying a migration model.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cultural remains of Songguk-ri such as Songguk-ri type dwellings, dolmens, Songguk-ri type potteries, and polished stone tools are unfolded in the southeast of Korean Peninsula and northern Kyushu. Checklists Approach suggests a standard to see a various range of archeological aspects as migration. Applying the approach, those Songguk-ri Culture properties inside the Japanese Islands could be verified as a consequence of the migration. To illuminate the aspects of its cultural changes during and after the migration, Kim Jangsuk's model was applied in this article. And the migration of the Songguk-ri Culture toward Japan could be explained by a wave-of-advance model and a complexity one of a long-distance migration. Songguk-ri Culture seems to settle down in the region where an indigene - Jomon - had originally occupied and make the boundary between immigrants and indigenes blurred little by little. As time rolls on, the two cultures were slowly mixed and assimilated, and then the third one, so called Yayoi culture, came to arise. In the meantime, Songguk-ri Culture is also identified in northern Kyushu with a few different features in detail. Accordingly, it can be assumed that different cultural aspects would appear depending upon which side has much more power between immigrants and indigenes or how their population is distributed. 새로운 형태의 물질문화의 등장이나 변동과 관련하여 자생의 가능성을 뒷받침할 근거를 찾기 어려운 경우 이주는 이를 설명하는 유력한 해석 틀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송국리문화 집단의 일본 이주는 선사시대 한일 간의 가장 중요한 교류 관계 파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송국리문화의 일본으로의 확산 과정을 재검토하고 이주 모델에 적용시켜 설명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송국리형 주거지, 지석묘, 송국리식 토기, 마제석기가 일본 내 송국리문화의 원류지로 지목되는 한반도 동남부지역과 이주지인 북부 규슈지역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체크리스트 접근법은 고고학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이주로 보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적용하였을 때 일본 열도 내의 송국리문화요소를 이주의 결과로 볼 수 있음이 확인된다. 이주의 과정 및 이주 후 문화변동양상의 파악에는 김장석이 제시한 모델을 이용한다. 송국리문화 집단의 일본 이주는 wave-of-advance 모델과 장거리이주의 복합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이주민인 송국리문화 집단은 재지 조몬인이 점유하고 있는 지역에 정착하여 느슨한 공간적 경계를 이루며, 점차 상호의 문화가 동화되고 양자의 문화가 혼합되어 제 3의 문화인 야요이문화가 발생한다. 한편 북부 규슈지역 내에서도 송국리문화가 세부적으로는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는데, 이주민과 재지인의 세력 및 분포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가지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부산 청동기시대 후기문화의 지역상

        이수홍 ( Soo Hong Le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2 항도부산 Vol.28 No.-

        새롭게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부산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한반도 남부지방이 제일성을 가진다. 금강하류역에는 가락동유형이 분포하고 그 외 지역은 역삼동·흔암리유형이 분포한다. 부산은 역삼동·흔암리유형 분포권이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전기의 주거지는 방곡리유적, 석대동유적 등에서 조사되었다. 청동기시대 후기가 되면 송국리문화가 새롭게 등장한다. 송국리문화는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경기 남부-충청북부-경북북부-동남해안을 잇는 선의 남서쪽에 분포한다. 송국리문화가 분포하지 않는 곳을 검단리문화분포권이라 한다면 울산을 비롯한 동남해안지역은 문화권에 포함되는 하위개념을 유형이라 할 때 검단리유형이 분포하는 곳이다. 부산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되는 곳으로 양 문화의 접경지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조사된 무덤은 모두 후기에 속한다. 매장주체부의 구조는 할석석관, 토광, 위석목관 등이 있는데 할석석관묘가 다수를 차지한다. 호형(적색마연)토기가 부산지역 무덤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지역성을 인정할 수 있어 ``부산식토기``라 명명하였다. 검단리유형은 기장을 중심으로 북동부에 주로 분포한다. 송국리문화는 서쪽의 미음동 분절유적, 부산진구의 하야리야부대 부지내 유적, 석대동유적 등에 분포하다. 검단리유형은 북쪽에서 전파되었고 송국리문화는 남해안을 비롯한 서쪽에서 전파되었다. 석대동유적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된 유적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Busan area based on newly excavated material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d Uniformity of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Culture of Kum-River downstream was usually Garak-Dong type, while Yeoksam-Dong type and Heunam-Ri type were in other areas. Busan was the area of distribution of Yeoksam-Dong, Heunam-Ri type. The representative dwellings of excavated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were found in Banggok-Ri and Seokdai-Dong remains. Whe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Songkuk-Ri culture appeared. Songkuk-Ri culture failed to spread across the entire Korean peninsula. Songkuk-Ri culture just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the southern Kyungki, the northern Chungcheong, the northern Kyungbuk and the southeastern coast as a connecting line. The area of Kumdan-Ri cultural distribution was defined as the area of a non-existent area of Songkuk-Ri culture in this paper. Especially Busan had both cultures as a borderland. Excavated tombs in Busan belonged to the latter period of the Bronze age. The types of main part of burial were a split stone coffin, the hole tomb of soil, and the wooden coffin surrounded with stones. The tombs of split stone coffin were the majority. The feature of the tombs in Busan area was excavated lots of red pottery. The Kumdan-Ri type was mainly distributed around Kijang in northeastern part of Busan. Songkuk-Ri type was mostly distributed in western Busan. I believe that The Kumdan-Ri type was spread from North, while Songkuk-Ri culture was spread from southern coast. Sukdai-Dong site excavated both cultures in Busan area

      • KCI등재

        금강 중하류역 송국리문화의 성격

        이기성 중부고고학회 2018 고고학 Vol.17 No.3

        Discussions on regionality of the Songgukri culture began to take off in the 2000s as a large number of historical archaeological sites were discovered. Since then, diversified arguments have been made including a theory of origin, and a common understanding was that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were the center of the Songgukri culture. Specifically, typical settlements that had all unique character of the Songgukri culture and based on rice farming were concentrated in the region. However, little concrete examinations of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have been undertaken, and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cultural character of early Bronze Age as appeared in the region, cultural elements of Songgukri settlemen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round and rectangular shaped dwelling. Initially, northern parts of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were inhabited by yeoksamdong and heunamri groups, and later, two different groups that arrived from the west coast through the Seocheon region ―one group that maintained rectangular shaped dwelling although originated from the yeoksamdong group, and another group that adopted new types of dwelling―came to inhabit the region. The two groups repeatedly occupied the Songgukri site. And then the rectangular shaped dwelling group declined, and the round shaped dwelling group spread to the upper reaches of Geum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se findings raise the need to reexamine the current understanding that the Songgukri culture that develop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송국리문화의 지역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들어 각 지역에서 많은 수의 유적이 발견되면서부터이다. 이후 기원설 등을 시작으로 다양한 측면에서의 논의가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는데, 그러한 와중에도 금강 중하류역이 송국리문화의 핵심지역이라는 명제는 변함없이 공통된 인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에 송국리문화를 특징지우는 모든 요소가 갖추어진, 도작농경을 배경으로 하는 전형적인 취락들이 집중되어 있다는 인식이 그것이다. 그러나 실제 금강 중하류역의 송국리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그리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금강 중하류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 양상, 송국리문화 취락들의 문화 요소, 원형주거지와 방형주거지와의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금강 중하류역은 청동기시대 전기의 역삼동ㆍ흔암리유형의 집단에 의해 금강 북편의 일부 지역만이 점유되었다가, 이후 서해안지역에서 금강 하류역의 서천 지역을 거쳐 들어온 서로 다른 두 집단, 즉 역삼동유형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장방형주거지의 전통을 유지하는 집단, 새로운 주거 형식을 채용한 집단의 두 집단이 점유하게 된다. 이 두 집단은 송국리유적에서 반복적인 점유를 보이다 장방형주거지 집단은 쇠퇴하며, 원형주거지 집단은 금강 상류역과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어 갔다고 볼 수 있다. 즉 금강중하류역의 송국리문화는 원형주거지를 채택한, 농경을 배경으로 하는 취락이 중심이라는 기존의 인식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 취락의 폐기 양상 연구 : 호서지역을 중심으로

        양혜진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8 No.-

        폐기라는 행위는 단순히 버린다는 행위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폐기 양상을 통한 폐기 양식을 분석하여 청동기시대인의 행동 양식에 접근하고자 하는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폐기는 故意(의도적) 폐기와 不意폐기로 구분된다. 故意폐기는 주거인의 의도에 의해 폐기된 것으로 이동으로 인해 폐기하거나 폐기장·토기요지·야외노지·의례·무덤 장소로 전용되는 경우 등이 있다. 不意폐기는 주거인이 의도하지 않은 불의의 상황이나 자연 재해로 폐기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失火·飛火·放火등의 화재, 홍수, 화산 및 지진 등에 의한 자연 재해 등이 있다. 이러한 폐기 원인에 따라 방치·해체·소각 행위가 보이며 유물 위치 및 수량에 따라서도 구분됨을 알 수 있다. 각 유적 내 개별주거지에서 보이는 폐기 양상을 분석한 결과 송국리문화의 폐기 양식은 시기별·지역별·규모별로 확인된다. 시기별 폐기 양식은 주거지의 평면 형태 및 중복 관계, 유물 등으로 보아 폐기장으로 전용된 주거지가 유적 내에서 늦은 시기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지역별 폐기 양식은 서해안지역에서 확인되는데, 특정 위치에 완형 유물을 정치한 폐기 양상이 서해안지역에 집중되어 보이고 있다. 규모별 취락의 폐기 양식은 위에서 세분한 폐기 양상들이 다양하게 보이는 취락을 오랜 기간 존속되어 온 대규모 취락의 폐기 양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계룡 입암리 유적의 경우는 소규모 취락의 폐기 양식으로 이동성이 강한 반복 점유 폐기 양식으로 생각된다. Discard means 'get rid of useless things regardless that they are structure or artifacts' includinghumans' intention. Sudden fire or flooding can cause damage to artifacts but they can berestored.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leaving them behind means intentional discard byhumans.This discard is divided into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The intentional discard that is causedby humans' will happens by moving, diverting it to refuse dump, a ritual place, and a tomb dueto disease, leaving or incinerating it. The unintentional discard i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uchas fire caused by either accidental, secretive, arsenal fire and thunderbolts, flooding, volcanoeruption and earthquakes. Depending on the cause of discarding, cultural remains were neglect-ed, destroyed and incinerated. The remains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amounts of remains. The analysis of actual discarding in an individual village of each site resulted in that the patternof discarding in Songguk-ri culture can be verified in terms of time, region and size. As for the chronology of the site, the settlement is verified as a late-time settlement within thewhole remains, which were used as a dumping site exemplified as in the design of the field andoverlapped structure. The pattern of discarding exemplifies V①which fixed remains with the complete form in aspecific location and was clustered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in Korea. The settlement with multiple discarding patterns can be understood as a large size settleentwhich survived for a long time. Compared to this, the remains of Gyeryong Ibam-ri can be classi-fied as a small size settlement discarding pattern showing the strong mobile characteristics andrepetitive occupation and decline.

      • KCI등재

        대구 월배지역 송국리문화 유입 시점 검토

        이수홍 부산고고학회 2019 고고광장 Vol.- No.24

        We reexamined chronology of the Bronze age in Daegu region by analyzing the residential sites excavated in the ruins at the Wolbae area of Daegu. In this study, we estimated time when the Songguk-ri culture of the Bronze age spreads in Daegu and analyzed the archaeological indicators of beginnings of the latter half. A total of 209 dwelling sites at the Wolbae area were examined. There were 53 sites which had no traces of a fireplace, or only one. They are squares, all of which can be scaled except for residential sites of the Huam-ri and Songguk-ri type those’re clearly known as the latter half.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residential places with traces of a fireplace were all landmarks of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But this dwelling style had been observed not only in the first half, but also in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There was no Huam-ri type dwelling site in square version, but a Songguk-ri(Dongcheon-ri) type in circular version was only found in the residential ruins in the Songguk-ri culture stage at the Wolbae area. Although the Songguk-ri culture was propagated late in the Wolbae area, Daegu area had already entered into the late society of the Bronze age when the Songguk-ri culture spread. The first criterion to judge the indicators of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is not the occurrence(propagation) of Songguk-ri culture, but the existence of the crowded residence with single fireplace. The reducing size of the dwelling sites wa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all the remains and reflects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The Wolbae alluvial fan area’s geographical features with easy drainage would have caused dry-field farming. It is the reason why the Songguk-ri culture, which was based on a rice crop spread late in the Daegu region. 대구 월배지역에 분포하는 유적에서 조사된 주거지를 분석하여 청동기시대 편년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근거로 월배지역에 송국리문화가 유입된 시점과 후기 시작의 고고학적 지표를 살펴보았다. 월배지역에서 조사된 주거지는 모두 209기인데 그 중 명확하게 후기로 알려진 휴암리식·송국리식주거지를 제외하면 노지가 없거나 1개인 방형계 주거지는 83기인데 그 중 잔존상태가 양호해 규모를 파악할 수있어 분석의 대상이 되는 것은 53기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노지가 있는 주거지는 모두 전기의 표지적인유구였지만, 53기의 주거지를 검토하여 이런 주거가 전기뿐만 아니라 후기에도 계속 이용되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월배지역의 송국리문화 단계에는 방형의 휴암리식주거지가 1기도 없고, 원형의 송국리식주거지만 확인된다. 월배지역은 송국리문화가 늦게 유입되었는데, 이 때는 이미 이곳이 후기사회로 진입된 이후였다. 청동기시대 후기 시작의 제 1지표는 송국리문화의 유입(전파)이 아니라 단수의 노지를 가진 주거가 군집하는 것이다. 주거지 규모 축소는 모든 유적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회 전반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월배선상지는 배수가 용이한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수도작이 용이하지못한 지형적인 특색은 발생지에서의 거리, 이 지역 전기문화의 전통성과 함께 송국리문화가 늦게 전파된이유의 하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