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전기 『소학(小學)』 이해와 그 학습서

        정호훈 ( Jeong Ho-hun ) 한국계보연구회 2016 한국계보연구 Vol.6 No.-

        조선 사회에서 15~6세기는 『소학』이 그 입지를 마련하는 시기였다. 이 시기 『소학』이 자리 잡아 가는 과정에서 필요했던 일 가운데 하나는 『소학』을 제대로 익힐 수 있는 학습서를 갖추는 것이었다. 이 작업은 크게 보아 『소학』 주석서의 구비, 원문에 口訣 붙이기, 번역서 마련 등 세 형태로 진행되었다. 『소학』 주석서는 15세기에 『소학집성』, 『소학집설』 두 종류가 구비되는데, 두 주석서는 책의 구성이나 주석의 내용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 가운데 성종대 도입된 『소학집설』은 김종직계 사림들에게 크게 주목을 받았다. 口訣을 다는 작업은 세종, 세조대에 시도되었으며, 당시 구결 작업의 흔적은 『內訓』에서 일부 유추할 수 있다. 16세기 초에는 『소학집설』의 원문과 주석에 모두 구결을 붙인 책이 印刊되어 경상도 지방에서 유통되었다. 16세기 초반의 『飜譯小學』은 당시의 『소학』 이해와 관련된 모든 경험과 지식을 총괄하며 만들어진 최고의 학습서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사람들이 일상의 생활 공간에서 『소학』적 규범을 사유하고 행동할 때 이 책은 이를 돕는 적절한 책이 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 전반의 『소학』 학습서는 이후 주자학이 확산되어 나갈 때 주요한 바탕이 되었다. 이 책들을 기반으로 조선 정부, 조선의 지식인들은 『소학』 학습을 추진했고 나아가 이 책들의 경험에 기초하여 새로운 번역서와 주석서를 편찬했다. 16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小學諺解』의 간행, 李珥의 『소학집주』 편찬은 이전 시기 『소학』 학습서의 성과 에 기초한 것이었다. Elementary Learning was a foundational book that drove the social prolifera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Choson Dynasty. In terms of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 this book greatly appealed to Choson scholars as a text designed for children to learn the principles of society management based on adult norms. Therefore, in seeking an easy way for people to study the book, a variety of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have been disseminated since the foundation of the State. In a early Choson Dynasty, the influential commentaries are Sohak Jibseong(小學集成) and Sohak Jibseol(小學集說). From the latter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these book became the foundational textbook for the study of Elementary Learning. the beginning of the sixteenth century, Choson scholars published Bunyeok Sohak(飜譯小學), translations of Elementary Learning.

      • KCI등재

        16세기 『小學』諺解의 사회 정치적 의미와 대중화

        윤인숙(Yun, In Sook)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8 No.-

        이 글은 16세기 『小學』 주해서의 간행과 『小學』 언해본의 보급 활용을 살펴보고, 이 보급이 주자학적 재편질서를 어떻게 이루어나갈 수 있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16세기에서 『小學』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5세기 주자학이 제도와 문물을 정비할 수 있는 국가적인 틀을 마련하였다면, 16세기 주자학은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실질적인 주자학적인 사회?정치질서의 재편을 이루어내고자 했던 시기이다. 『小學』 주해서 활용과 『小學』 언해본의 보급은 이처럼 16세기 정치사회적 개혁과 맞물려 이루어졌다. 『小學』 언해본은 이미 조선사회에서 보급된 두 가지 주해서를 저본으로 하였다. 첫 번째 언해본인 『飜譯小學』은 何士信의 『小學集成』을 토대로 만들어졌고, 두 번째 언해본인 『小學諺解』는 程愈의 『小學集說』을 저본으로 하였다. 이 두 가지 언해본은 주해서의 차이만큼 특징 또한 다르다. 전자의 특징은 이해 본위의 의역에 중점을 두었다면, 후자의 특징은 원문에 충실한 직역에 중점을 두었다. 이 특징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조선 사회가 『小學』언해본 간행으로 인해서 주자학적 재편질서의 범주를 확대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小學』 자체의 내용은 주자학적인 정치?사회질서가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언해는 그 의미를 보다 확산시키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plains publication of the annotated and Korean annotation of the Elementary Learning, as well as the manner was disseminated within Chos?n Society from the 16th century onward. The Elementary Learning was one of the basic Neo-Confucian primers to come out of the Sung, an anthology of selections from the Classics and other works from the historical period up into the Sung, published by Chu Hsi in 1187. This text became an important part of the Neo-Confucian core curriculum. Its value lies in the illustrations it provides of Chu Hsi"s pedagogical methods and the way it highlights the reforms he thought most important to bring about in family and community life. It touches on many different aspect of human life and society, its value and significance for various fields of study is almost unlimited. In Chos?n Dynasty, the first Korean annotation of the Elementary Learning <Beon Oyeok Sohak, 飜譯小學> was based by Xiaoxuejicheng <小學集成> which was annotated by He Shixin. The text was made the general meaning of the following passage, no a word-for-word translation. The second, Korean annotation of the Elementary Learning <Sohak Ueon Hae, 小學諺解> was formed by Xiaoxuejishuo <小學集說> which compiled by Cheng Yu of the Ming Dynasty. The text was made a literal translation. Founding through these the text was widespread dissemination amongst the public made it possible for the people of Chos?n to learn the Elementary Learning.

      • KCI등재

        번역소학 과 소학언해 번역의 특징 비교 연구

        이규필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This paper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strategy by comparing the translations of Beonyeoksohak(飜譯小學) and Sohakeonhae(小學諺解) . Sohak(小學) is a very important book, and the need for translation was recognized early on. For this reason, in 1518,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Sohak was published. It's the Beonyeoksohak . And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translation of this translation, Sohakeonhae was published in 1586. The reason why Sohakeonhae came out was that there was a reflection that the translation of Beonyeoksohak should be made anew. This is because the previous translation tried to convey the meaning, so it was not accurately translated according to the grammar.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so-called liberal translation and literal translation. Previous studies have only superficially compared these two translations. This study aims to inheri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mpare the translation methods of the Hyeonto(懸吐) and the Expletive(虛辭)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translations. The summary is as follows. Beonyeoksohak is translat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translation widely read, and Sohakeonhae is translated for the purpose of accurately conveying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he change from liberal translation to literal translation means a change in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urpose of translation. I think the Hyeonto and translation of Beonyeoksohak and Sohakeonhae are the result of such a strategy change. 본고는 번역소학 과 소학언해 의 번역문을 비교하여 그 전략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하였다. 소학 의 중요성으로 인해 그 번역에 대한 필요성은 일찍부터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1518년 최초의 소학 번역서 번역소학 이 나왔다. 그리고 이 번역문을 수정하고 보완한 소학언해 가 1586년에 나왔다. 소학언해 가 나오게 된 배경에는 번역소학 번역이 새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반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번역소학 번역문이 의역으로 되어 있어 다시 직역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선행연구는 주로 이 직역과 의역의 양상을 피상적으로 비교하는 것에 그쳤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계승하는 한편 한 걸음 더 나아가 현토와 번역문을 비교하고, 또 주요 허사의 번역 방법을 비교하여 두 번역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번역소학 은 번역문을 널리 읽게 하려는 목적에서 번역한 번역서이고, 소학언해 는 원문의 구조와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려는 목적에서 번역한 번역서이다. 의역에서 직역으로의 변화는 번역의 목적 변화에 따른 전략의 변화라는 뜻인데, 번역소학 과 소학언해 의 현토 및 번역문은 그러한 전략 변화가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여자소학』(1927년)의 주석 연구

        김주원(Kim Juwon)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7

        이 논문에서는 율재(慄齋) 이한걸(李漢杰)이 편찬한 『여자소학』(女子小學, 1927년)의 주석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에 『소학』을 여러 차례 번역하였는데 『어제소학언해』(1744)는 율곡 이이의『소학제가집주』(1612)의 주석을 바탕으로 하여 번역한 것으로 이후 영향력이 가장 큰 번역판이 되었다. 『여자소학』은 『소학』에서 여자에 관련된 내용을 뽑아서 주석을 붙이고 번역을 한 책이다. 기본적으로 이 책은 『소학제가집주』와 『어제소학언해』에 바탕을 두고 주석을 붙이고 번역을 하였지만 기존의 번역서와 다른 점은 퇴계학파에 속하는 류휘문, 김륭 등의 학자의 주석과 『학사강록』의 주석을 참고하여 번역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편저자인 이한걸 역시 퇴계 이황의 학문을 잇는 학자로서 그 자신이 『예기』,『의례』 등을 인용하면서 주석을 하였고 그 주석에 의거하여 번역을 하였다. 『여자소학』은 한편으로는 『어제소학언해』의 번역을 답습하던 태도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퇴계학파 학자들의 주석을 반영하여 새로운 번역을 하였다는 점에서 『소학』의 번역사에 있어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여성이 쉽게 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을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모든 언해를 뛰어 넘는 빛나는 성취를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annotations of Yeoja Sohak complied by Yi Hangeol in 1927. In the Joseon Dynasty, Sohak was translated several times in order to educate women and children and its annotations have been studied to translate it accurately. Among various versions of Sohak translations, Sohak Eonhae(1694) [or Sohak Eonhae(1668)] has been adopted in Eoje Sohak Eonhae(1744) without modification and became the most influential edition. These translation built on the annotations of Yulgok Yiyi’s Sohak Jegajipju(1612). Yeoja Sohak selected content pertaining to women from Sohak. While Yeoja Sohak is annotated and translated on the basis of Sohak Jegajipju and Eoje Sohak Eonhae, it differs from other translations in that it contains annotations from Ryu Huimun and Kim Ryung who belonged to Toegye school and those from Haksa Gangrok edited by Yi Byongho et al. In addition, the editor himself, Yi Hangeol, who was the successor to Toegye’s studies, added annotations citing Yegi, Euirye, etc. and translations based on them.

      • KCI등재

        마을 의례에서 소 희생의 양상과 관련 조직에 대한 시론 - 경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우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이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동제에서 소 한 마리를 희생으로 사용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소 희생의 양상과 변화, 그리고 소 희생과 관련된 의례 조직의 운영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경기지역에서 소를 희생으로 사용하는 마을 의례는 남양주, 용인, 의왕 등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 외 지역에도 일정 정도 행해지고 있어 이는 경기 전반에서 행해지고 있는 풍속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를 희생으로 사용하는 동제에서 모셔지는 신격으로는 산신이 압도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그 시기는 음력 10월이 가장 많으며 음력 7월이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은 특징적이다. 그 밖에 소 희생 의례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마을의 경제적 토대와 조직적 여건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소 희생의 양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가 도축을 통한 소 희생은 점차 도축장이나 시장에서 구입한 소머리와 소족 등으로 변하고 있다. 또한 희생 소가 아예 돼지 등 다른 동물로 대체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소 희생의 양상이 변하게 된 데에는 경제적 여건의 변화와 도축법으로 인한 제약 등이 중요한 여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 희생과 관련된 의례 조직의 운영 방식을 살펴 보았다. 이러한 의례 조직들은 산축계, 산제계, 치성계 등 다양한 명칭이 있으며 운영 방식에 있어서도 다소 차이가 있다. 용인 기흥 중동마을은 소 구입 비용을 포함한 전체 지출 비용에 맞추어 주민들의 부담금을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잔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운영하고 있는 사례이다. 또한 용인 백암면 백동마을은 상시적으로 치성계를 운영하면서 식리 사업을 통해 계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마을 주민들은 자신들의 마을 의례를 수행하고 유지하면서도 소고기의 섭취라는 현실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조직을 구성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실용적인 방식으로 이를 운영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and changes of cattle sacrifices and the way of operating ritual organizations related to cattle sacrifices, focusing on the cases of cattle sacrifices in village ritual in Gyeonggi area. First, it was found that the village rituals used as sacrifices for cattle in Gyeonggi area were customary practices in the whole Gyeonggi area. In addition, the gods who are taken from the village ritual, which uses cows as sacrifices, are overwhelmingly high in the mountain gods, and the most frequent period is October in the lunar calendar, and the next most is July in the lunar calendar. After the hard farming such as Kimmae-gi,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unar month July, which contains holidays such as Chilseok and Baekjung, we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customs of eating cattle at the village sacrifice. In order to make the ritual of sacrifice of cattle possible, the economic foundation and organizational conditions of the village should be supported. Next, it was found that the aspects of cattle sacrifice are changing in various forms. The slaughter of cattle in the village and the use of it as a sacrifice gradually changes into slaughterhouses and cattle heads and cattle legs purchased from the market. In addition, cattle as sacrifices are being replaced by other animals such as pigs. In this way,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and restrictions due to slaughtering methods were important conditions for the change of cattle sacrifice. Finally, the operation method of ritual organization related to cattle sacrifice was examined. These ritual organizations have various names such as Sanchug-gye, Sanje-gye, Chiseong-gye,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Jungdong village in Giheung-gu, Yongin City, I knew that the balance was operated so that the balance would not occur by adjusting the contribution of the residents to the total expenditure cost including the cost of purchasing the cow. In addition, in the case of Baekdong Village in Baekam-myeon, Yongin City,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of the members through the food business was taken by operating the dental system at all tim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illagers organized the organization and operated it in a democratic and practical way to meet the realistic desire of beef intake while carrying out and maintaining their village rituals.

      • KCI등재

        특집: 조선후기 언어(言語).문자(文字) 연구와 지식 교류 : 소학(小學)과 『설문해자(說文解字)』 연구를 통해 본 조선 후기 한자학(漢字學)

        양원석 ( Won Seok Yang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29

        본고는 조선 후기에 진행되었던 ‘小學의 개념에 대한 논의’ 및 ‘설문해자에대한 인식과 평가’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당시 문자학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론에서는 문자학을 의미하는 ‘小學’과 朱熹가 편찬한 修身書의 성격을 지닌 小學에 대해 조선 후기 학자들이 어떠한 논의를 진행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또 중국 문자학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說文解字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18세기에 이르러 문자학의 ‘小學’과 朱熹가 편찬한 修身書인 小學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는데, 이는 청대 학자 毛奇齡의 언급으로부터 촉발된 것이었다.程朱理學을 철저히 부정하였던 毛奇齡의 학문을 접한 조선 지식인들은 그를 비판하면서도 또 한편으로 그의 經說을 일정하게 참고하고 수용하기도 하였는데, 이와 같은 毛奇齡의 영향은 문자학 분야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한편 正祖를 비롯한 여러 신하들 및 丁若鏞, 李圭景등은 대체로 문자학의 ‘小學’과 朱熹의 小學을 병행해야 한다고 장하였는데, 이는 문자학의 ‘소학’을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에 따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丁若鏞은 더나아가 소학은 글자 익히는 공부에서 더 확장되어 道理를 익히는 공부에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조선 후기 학자들은 설문해자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설문해자의 내용과 체재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한 비판과 함께 그 대안으로 六書經緯, 說文新義, 說文解字翼徵등 새로운 문자 해설서 편찬을 시도하였다. 이는 기존 학계의 풍토에서 소외 받았던 문자학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李衡祥, 李德懋, 朴齊家, 柳得恭, 尹行恁등의 설문해자 관련 논의에서 宋代학자 鄭樵의 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鄭樵에 대한 청대 학자들의 비판적 견해, 그리고 설문해자와 六書에 대한 청대 학자들의 의견은 언급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당시 학계의 문자학 관련 논의에서 鄭樵의 학설이 지닌 위상이 상당히 높았음을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quire into Chinese character study trends of the then current time through discussions about concepts of examination of Xiaoxue(小學) and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Shuowenjiezi(說文解字) which were made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朝鮮) Dynasty. In the main subject, an examination was made as to what discussions were under way by the scholar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about ``Xiaoxue`` which means Chinese character study and Xiaoxuecompiled by Zhuxi(朱熹) and also an inquiry was looked into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Shuowenjiezihaving the most significance in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study. In the 18th century, discussions were made about Xiaoxue which means Chinese character study and Xiaoxueedited by Zhuxi, which originated from statement of Mao qiling(毛奇齡), a scholar of Qing(淸) Dynasty.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who had contact with Mao qiling``s learning while they thoroughly denied Chengzhulixue(程朱理學), criticized him and at the same time referred and accepted to certain extent of his theory. Such Mao qiling``s influence as this could be seen from Chinese character study fields. In the meantime, King Jeongjo(正祖), various courtiers, Jeong Yakyong (丁若鏞), Lee Gyugyeong(李圭景), et al. asserted that equal importance shall be put on Xiaoxue which means Chinese character study and Xiaoxue edited by Zhuxi.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standpoints that Xiaoxue which means Chinese character study should not be neglected. In themeantime, Jeong Yakyong further thought that the scope of Xiaoxue must be extended from study of learning characters to study of learning truth. The scholar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ook a critical position with regard to the problems that can be found from the contents of Shuowenjiezi. Together with such criticism, as an alternative for that, to edit a new manual for characters such as Yookseokyungwie(六書經緯), Sheolmoonshinyi(說文新義), Sheolmoonhaejaikjing(說文解字翼徵), etc. was attempted. This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 study, which has been neglected from the existing academic world, was newly recognized. It could be seen that the theory of Zheng qiao(鄭樵), a scholar in the Song(宋) Dynansty, was positively accepted from discussions related to Shuowenjieziof Lee Hyungsang(李衡祥), Lee Deokmoo(李德懋), Park Jega (朴齊家), Yoo Deokgong(柳得恭), Yoon Haengyim(尹行恁), et al. However, the critical opinions of scholars on the Qing Dynasty on Zheng qiao, and the opinions of scholars of the Qing Dynasty on Shuowenjieziand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六書) were not referred. Through this, it can be found that the theory of Zheng qiao had a very high position in the discussions about Chinese character study of the ten current academic world.

      • 소공동체 운동의 준거모델과 현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 -수원교구 소공동체를 중심으로

        최영균(Choi, Youngkyu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3 이성과 신앙 Vol.55 No.-

        교회의 소공동체는 교회 내에 팽배해 있는 대형화, 관료제화, 세속화가 갖는 부정적 한계를 극복하고 사람들의 종교적 체험과 열정, 그리고 공동체적 친교의 충족을 위한 대안적 모델로 출현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국의 소공동체 운동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 소공동체 운동은 여전히 본당중심 교회와 소공동체중심 교회의 양 극단 사이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즉 소공동체 운동은 본당중심의 교회와 소공동체중심 교회의 틈새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소공동체 운동의 올바른 방향설정을 위해 소공동체의 이념적 역할모델들을 살펴보고, 현행소공동체의 현실을 분석하고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첫째, 본래 한국의 소공동체 운동이 이념형으로 삼고 있는 다른 대륙의 지역교회와 한국의 소공동체 운동의 역사적 내력을 기술·분석하고 그것이 한국적으로 어떻게 비판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둘째, 수원교구와 서울대교구의 사회조사 자료를 선별적으로 검토하면서, 신자들의 만족도와 소공동체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전망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려고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글은 소공동체 사목의 새로운 기획을 위한 영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의도를 갖는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사회적 관계 안에서 복음적 가치를 뿌리내리는 장치로서의 소공동체는 생활 밀착형 소공동체로 나가야 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속지주의와 속인주의적 원리가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소공동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Christian Small Community’(CSC)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overcome negative limits as an enlargement of a parish, bureaucratization, and secularization of the Church’s atmosphere, being expected to fulfill the religious desires and passion of the people. Nonetheless, the movement of the CSC hasn’t shown enough results. Current situation of CSC is located between the churches from the Mega church (Big parish) and the church oriented to small communities. With such critical mind, this called for a review of some role-models of CSC, which exists in other countries and catholic’s village in Korean history. Aft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SC was critically analyzed, I proposed a different perspective to rebuild the CSC.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nquires about ideal types of CSC studying from other countries’ communities and the historical fea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Catholic community in the late Chosen dynasty. This information has provided me with some orientation and inspiration to a better path of the current CSC movement at the level of setting an ideal CSC in Korea. The second part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s and realities of the people who belong to the diocese of Suwon and the archdiocese of Seoul by analyzing the social survey data of them, which lead me to reconstruct the right ideal for CSC. In conclusion, I firmly believe that CSC will go forward to build close-knit communal lives based on the value of the Gospel, and it is suggested to reconstruct the CSC in applying either the person or territorial principle.

      • KCI등재후보

        민사소송에서 소의 이익에 관한 몇 가지 문제 -법이론의 관점에서-

        우세나 ( Woo Se-na ),양천수 ( Yang Chun-soo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영남법학 Vol.0 No.44

        민사소송법학은 소의 이익을 민사소송의 소송요건으로 인정하고 있다. 판례 역시 소의 이익을 소송요건으로 인정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소의 이익을 소송요건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소의 이익이 민사소송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소의 이익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논란이 없지 않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법이론적 분석 및 논증방법을 원용한다. 특히 체계이론의 관점을 수용한다. 행정소송법과는 달리, 현행 민사소송법은 소의 이익이란 무엇인지 명문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소의 이익은 기본적으로 해석의 결과물이다. 또한 다른 소송요건과는 달리, 소의 이익은 본안판단의 대상이 되는 실체법적 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소의 이익을 별도로 인정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글은 소의 이익 개념이 그다지 명확하지는 않고, 또한 본안판단의 대상이 되는 실체법적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글은 소의 이익이 여전히 소송요건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소의 이익은 법체계가 자율적인 사회적 체계로서 작동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소의 이익을 갖지 않은 도덕적ㆍ윤리적 분쟁을 소송요건을 갖추지 않았다는 이유로 각하함으로써 법체계는 기능적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 이 글은 오늘날 소의 이익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테제를 주장한다. Civil procedure law recognizes benefit of lawsu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for civil litiga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recognizes 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too. However, there is yet controversy about the questions of whether benefit of lawsuit can be recognized as a litigation requirement for civil litigation, what is its function in civil procedure and what is its specific contents.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problems on benefit on lawsuit in civil procedure. To do this, this article uses the method of legal theory and argumentations. Especially, this article accepts the perspective of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Unlike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current Korean Civil Procedure Act does not prescribe the concept of benefit of lawsuit directly. Therefore, the concept of benefit of lawsuit is a dogmatic result of legal interpretation. In addition, unlike other litigation requirements, benefit of lawsuit is closely related to substantial legal relationship, which is the subject of civil litigation judgments. For that reason, someone argue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cognize benefit of lawsu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for civil litigation. Basically, this article agrees with the thesis that the concept of benefit of lawsuit is not clearly and it is very related to substantial legal relationships. However, this article argues that we should yet recognize benefit of lawsu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This is because benefit of lawsuit contributes to the operation of legal system as an autonomous social system.

      • KCI등재

        『小學』의 편찬과정과 후대에서의 인식

        陳媛,劉暢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9 No.-

        주자의 『소학』에 대한 연구는 보통『소학』의 편찬 과정을 중심으로 진행해왔다. 본 논문에 서는 『소학』의 편찬 과정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1185년 2월 이전에 간행된 악주본 『小學』은 최초의 판본으로 현 판본과 크게 다르다. 1187년 3월에 나온 『小學』의 최종 판본 형주본 『小學』은 주자와 유청지가 공동으로 편집하고, 蔡季通 등 주자의 다른 여러 제자가 일부 수 정 작업에 참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소학』의 편찬이 완성되면서 書名이 곧바로 정 착되고 책의 성격이 곧바로 정착되었던 것이 결코 아니다. 주자 이후 『小學』을 가리킬 때 ‘小學之書’, ‘小學書’, ‘小學’이라는 세 가지 명칭이 나타나 오랫동안 병행하여 쓰였다. 송대와 원 대에 ‘소학지서’와 ‘소학서’가 더 많이 사용되었지만 명대에 들어와서 명칭은 점차 ‘소학’으로 정착되었다. 目錄書에서 『小學』은 송대와 원대에 주로 동몽의 텍스트로 다른 동몽서와 훈고 음운학 저서들과 함께 분류되다가 명대, 특히 청대중후기에 이르러 儒家類에 분류되어 정착 되었다. 이것은 『小學』의 명칭이 ‘소학’으로 정해진 의미와 마찬가지로 어린이가 배우는 동몽 텍스트에서 더 나아가 유학 공부에서 빠질 수 없는 성리학 경전으로 그 위상이 바뀐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런 특징은 주자『小學』에 대한 역대 학자들의 평가에서도 나타난다. 송대와 원대에 『小學』의 위상은 많은 사대부들에게 있어서 동몽의 텍스트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지 만, 명대 학자들에 의해 『小學』은 궁리공부와 떨어질 수 없는 함양공부로 바뀌었다. 『小學』의 함양공부라는 위상은 결국은 명대에 이르러서야 명확해졌다. Study on the achievement of Xiaoxue was generally around its compilation when it was finished in 1187. However, the compilation of Xiaoxue does not mean the final completion in the Academic history. Zhuzi wrote the preface to it which marked the birth of Xiaoxue. Nevertheless, the neo-Confucianism of this book did not accepted by academia while acting as a primer for children for a long period. This is reflected in two aspects: first, Xiaoxue as a title of book was not determined for a long period. Book of Xiaoxue, Xiaoxue book and Xiaoxue has been combined in Song and Yuan dynasty, in which the first two were mainly given. Finally, it unified as Xiaoxue until Ming dynasty. Second, all bibliographers of the past were always indeterminate to the classification of Xiaoxue for long-term in the directory of books. Especially during the Song and Yuan dynasties, Xiaoxue was classified as children copybook, namely "Xiaoxue clas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Xiaoxue was finally classified into "Confucianism class" with other books of sexually neo-Confucianism. It also marked Xiaoxue as cultivation of nature of the Confucianism meaning, which was widely recognized. The title of Xiaoxue was established and finally classified as the "Confucianism class", which marked the achievement of Xiaoxue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addition, the research on the completion process of Xiaoxue by academia was not careful and complete. Zhuzi and his pupils Liu Qingzhi began to compile Xiaoxue from 1183 and finished it until 1187, which lasted four years. In this period, there were two versions: Ezhou and HengZhou versions. In this paper, we did compare these two versions in detail, and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existing popular version to explore how Xiaoxue to compose a book step by step. Also need to point out is the editor problem. The view of academia was not rigorous on this problem.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ompletion of Xiaoxue and gave the conclusion again on this problem.

      • KCI등재

        소공동체 운동,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

        황경훈(Hwang, Kyung Hoon),이미영(Lee, Mi Yo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6

        지난 20여 년간 한국 천주교회는 ‘소공동체’ 또는 ‘소공동체 운동’을 범교회적 차원에서 벌여왔다.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한국 사회의 물질적 풍요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교회가 중산층화, 대형화되어감에 따라 ‘친교의 공동체’라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상을 회복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소공동체가 도입되었던 것이다. ‘위로부터의 도입’이라는 태생적인 속성을 지니고 출발했지만, 소공동체는 전국 본당으로 확대되었고 조직적으로 20여년 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아직도 진행 중이다. 본고는 소공동체 운동에 대한 종합적 평가와는 거리가 멀다. 다만 2013년 한국 천주교회가 소동공체 운동을 시작한 지 20주년을 보내면서 이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의 조직적 성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직시하면서 이와 관련해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첫째는 한국 천주교회의 소공동체 운동에 대한 근본적이고 본격적인 비판이 제기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이에 대한 대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소공동체 운동을 이끌고 가야할 이론 곧 생산적 담론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대한 지적이다. 둘째로 본고는 최근 소공동체 운동 비판에 대한 일정한 응답이 있는 것을 환영하면서도 그 논의를 교회 안으로만 한계 지우고 있다고 보고 이를 공공적 영역으로 더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본격적인 심층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한 심층적 연구의 시론적 성격을 갖는 본고는 먼저 한국 천주교회의 소공동체 운동을 한국 시민사회의 공동체 운동의 흐름에 비추어 봄으로써, 소공동체 운동의 사회적 맥락과의 연동성과 교회 내적 동학을 살핀 뒤, 교회 울타리를 넘어 사회로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에 들어서 이루어진 논쟁을 비교적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소공동체 담론 형성의 계기를 도모하고자 했다. 이러한 담론화에 대한 공헌을 한편으로, 본고는 좀 더 구체적인 실현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아시아 사례의 경우,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결된 필리핀 인판타 교구의 소공동체 운동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사례로는 종교 기반의 공동체 운동으로 확장 가능한 시민사회 공동체 운동의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런 사례들을 검토함으로써, 소공동체 운동을 통한 한국 천주교회의 공공성 확대 가능성을 연구하고 모색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en building and trying to energize the Small Christian Communities (SCCs) on the national level of the local church for the past 20 years. It is an attempt to recover the “communion of communities” as an ecclesi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responding to the phenomena in which the Church has increasingly become richer and larger since early 1990s. While introduced “from above” originally, the SCCs in Korea have spread to nearly all parishes in the country and have still functioned in a systematic way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is paper does not aim to deal with a comprehensive evaluation on the SCCs. Rather it raises two crucial questions, noting while the local Church has celebrated the 20th anniversary of its SCCs’ inauguration last year, it did not go through an interim evaluation on them. First, despite a serious and fundamental criticism of the SCCs has once been made from a local theologian several years ago, a right and appropriate response has not been accomplished, which has led to a failure of creating a productive theory for its development. Secondly, the study also purport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spreading the SCCs to a “public sphere” going beyond the Church, knowing many of the discussions and meetings on them have been limited to within the Church. In order to do that, it also suggests deep and diverse studies on the SCCs in the local Church. It examines a possibility of the SCCs that goes beyond the boundary of the Church to the society by comparing them to various community movements from civil society after carefully looking at a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ivil community movements and the inner dynamics of the Church. For this, the paper intends to offer a motive to facilitate a development of theories of the SCCs by introducing a recent debate about them in a relatively detailed manner. On the one hand, it is meant to contribute to promoting such theories, and on the other hand the paper examines the reality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order to seek a possible and concrete realization for them. In the case of Asia, it introduces SCCs of the Infanta diocese in the Philippines which has had a strong connection to the civil society there. As for those of Korea, it introduces and looks into a couple of cases of community movements from civil society which could give inspiration and insight to the SCCs. By examining the cases, the paper hopes it can contribute to promoting and encouraging further study on the SCCs to expand its role in the public sphere and in going beyond the wall of the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