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형 소아 당뇨 환자를 위한 의료기기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한소영 ( Soyoung Han ),정재희 ( Jaehee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1

        연구배경 제1형 소아 청소년 당뇨 환자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제1형 당뇨병 치료를 위해서는 혈당 측정과 인슐린 주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현재 판매되고 있는 혈당 측정기와 인슐린 주입기를 사용하는 데 있어 소아 당뇨 환자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소아 당뇨 환자용 의료기기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제1형 소아 당뇨 환자의 제품 사용 현황과 대표적인 연속혈당 측정기와 인슐린 펌프에 대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소아 당뇨 환자와 보호자 총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품과 정보 전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컨셉 테스트를 진행한 후, 개선점을 반영하였다. 연구결과 연속혈당 측정기와 인슐린 펌프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의료기기와 환자, 보호자, 양호 선생님의 역할에 맞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소아 당뇨 환자의 활동성을 고려하여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하였으며, 스스로 관리가 어려운 소아 당뇨 환자를 위해 관리의 주체를 보호자와 양호 선생님으로 확대하여 환자를 돌볼 수 있도록 시스템적 접근을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제1형 소아 당뇨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 예측, 개인 맞춤, 참여를 강화하는 새로운 개념의 당뇨병 관리 제품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are increasing rapidly. Blood glucose monitoring and insulin injection are essential treatment for type 1 diabetes but there are many problems with the use of current blood glucose monitor and insulin pump for the pediatric diabetic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dical device and mobile application for them. Methods First the product use of the pediatric diabetic patients was investigated and current glucose monitors and insulin pumps were analyz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otal 20 pediatric diabetic patients and their parents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current products and information delivery. A concept test was conducted on the initial design with diverse stakeholders and the feedbacks were adopted to the design concept. Results A new type of medical device combines blood glucose monitor and insulin pump and mobile application is proposed to fit the roles of patients, parents, and nurse practitioners. The size of device was minim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ivity of paediatric diabetic patients, and systemic approach was conducted to expand the subjects of treatment from patients to the parents and nurse practitioner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a new concept of medical product service system reinforcing prediction, personalization, and participation for th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 소아당뇨 아동-청소년의 그림을 통해 나타난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선현 ( Sun Hyun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일반 아동-청소년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특징들을 비교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를 위해 분당 차병원의 ‘소아청소년 당뇨인의 날’ 행사에 참가한 12명의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12명의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중학교에 재학중인 일반 아동-청소년 총 24명의 한정된 인원을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내가 좋아하는 운동>이라는 주제로 두 그룹 간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슬라우(Slough) 행복지수 척도와 행동가치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통계도구 Window SPSS win 12.0K의 독립표본t검정을 이용하여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일반 아동-청소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을 주제로 한 과제화에서 나타나는 소재(운동 종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아당뇨 아동-청소년이 일반 아동-청소년 간 운동종목의 선호이유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일반 아동-청소년 간의 그림에 나타난 표현 인원수에 따른 상호작용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슬라우(Slough) 행복지수 척도의 행복수준과 행복하다고 느끼는 시간의 비율에서 소아당뇨 아동-청소년들이 일반 아동-청소년에 비해 행복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paintings by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comparison analysis was done with general children-adolescents as the comparison group. 12 children-adolescents with childhood diabetes who participated in the ‘Da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of Bundang Cha Hospital, and 12 children-adolescents in elementary-middle school in the Seoul-Gyeonggi region were chosen for this study, being 24 subjects in total. A task painting of a theme as <My favorite exercise> was held to compare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Slough happiness scale and behavior value evaluation scale were used for comparison. The statistics tool Window SPSS win 12.0K was used based on collected data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enforc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following are study results. First, the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general children-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ials (sports event) that appeared in the task paintings based on exercise. Second, the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general children-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son why they favored the sports event shown in their painting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rac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appearing in the paintings which were done by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general children-adolescents. Fourth, according to the level of happiness and the rate of time they felt happy which were assessed by the Slough happiness index scale, the happiness index was lower in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than general children-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제 1형 당뇨병 소아 청소년의 하지불안증후군

        양우석,유재호,천상명,김성환,최병무,김우진,방영롱,박재홍,Yang, Woo Seok,Yoo, Jae Ho,Cheon, Sang-Myung,Kim, Seong Hwan,Choe, Byeong Moo,Kim, Woo Jin,Bang, Young Rong,Park, Jae Hong 대한수면의학회 2015 수면·정신생리 Vol.22 No.1

        Objectives: Restless legs syndrome (RLS) is a common sleep disorder in adults with diabe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RLS and clinical correla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55 consecutive patients (21 males, age $12.6{\pm}3.4years$) with type I diabetes that were regularly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Endocrinology. RLS was diagnosed by intensive interviews which also included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nd International RLS Rating Scale (IRLSRS). Patients also received neurological examinations and laboratory tests for diabetes, iron metabolism and renal function. Results: Thirteen patients (23.6%, 6 males) were compatible for the diagnostic criteria of RLS. None of the RLS patients showed abnormal findings in neurological evaluations and 7 patients had familial history of RLS. Demographic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patients with or without RLS. The RLS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ESS and IRLSRS scores. Conclusion: RLS was preval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The association between RLS and diabetes-related laboratory findings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목 적 : 제 1형 당뇨병을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들을 대상으로 RLS를 평가하고 RLS를 동반하는 환자군과 RLS를 동반하지 않은 환자군 간의 임상적 변인과 수면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소아 청소년과에서 제 1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7세 이상 18세 이하의 소아 청소년 55명을 대상으로 면담, 설문조사, 임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RLS 진단은 IRLSSG 진단기준을 따랐으며 설문은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rating scale (IRLSRS)를 이용하였다. 결 과 : 55명의 대상자 중 RLS 빈도는 13명으로 23.6%였다. RLS 관련 변인으로 BMI, Hb, Iron, ferritin, TIBC, creatinine, GFR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LS 환자 13명 중 RLS 가족력을 가진 환자는 7명으로, RLS가 없는 환자의 경우와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RLS를 동반한 환자군이 RLS를 동반하지 않은 군에 비해 ESS, IRLSRS 결과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제 1형 당뇨병을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은 RLS가 흔히 동반되었다. 임상적으로 당뇨 소아 청소년의 RLS 동반여부와 수면의 질을 평가하여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다 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동의 만성질환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

        이채원(Chaie Won Rh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8

        당뇨병의 관리는 식사, 운동, 약물요법과 혈당측정 등의 복잡한 치료지침을 따라야 하는 가족전체의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아동의 경우 질병 초기에 부모에 의해서 주로 질병관리가 이루어지다가 아동의 성장에 따라 점차적으로 질병관리의 책임이 아동에게로 이전되기 때문에 가족요인이 질병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가족갈등, 가족응집력 등의 일반적인 가족특성 외에도 당뇨병관리와 좀더 밀접하게 관련된 가족변인, 즉 모-아동간 순응도에 대한 인식차이가 아동의 당뇨관리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미국의 한 대학병원에서 조사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당뇨환아 가족 134 가구에 대해서 이러한 가족요인과 아동의 순응도 및 건강상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환경, 즉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은 모-아동간 당뇨관리 인식차이 및 순응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환경과 순응도간의 관계는 모-아동 간 순응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통제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가족환경과 질병관리의 관계를 질병관리자간의 인식차이가 매개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의 결과는 가족환경이나 의사소통과 아동의 질병관리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결과들과 유사하며, 일선 사회사업가들이 아동의 당뇨병 관리 향상을 위해 가족에 대하여 적극적인 사정과 개입을 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Management of a chronic illness such as diabetes is a challenge for the family as well as the patient. Children of young age present additional challenges in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illness management gets transitioned from parents to the ill child as she grows up. Previous research on children`s diabetes has shown that family functioning is associated with the child`s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as Well as their metabolic control. This study proposes another family factor that could possib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haracteristics and illness management: the discordance between parent and child`s perception of adherence. A sample of 134 mother-child dyads was extracted from a secondary data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the parent`s perceptions in adherence are discordant from those of the child. and whether this discordance is associated with family environment. adherence level, and metabolic control.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and children`s reports of adher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group level comparisons. However. at the dyadic level, parent-child discordance was observed in more than one third of the adherence items measured. Family environ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parent-child discordance in perceptions of adherence as well as adher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adherence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effect of discordance in perceptions was controlled. suggesting possible mediating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at document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amily environment. family communication, and the management of childhood chronic illnes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소아당뇨가 있는 아동의 아동중심 놀이치료 사례연구

        전윤경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22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소아당뇨가 있으며 가정에서 부적응적인 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2학년 여아의 놀이치료 사례연구이다. 아동은 소아당뇨로 인해 식습관 및 행동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되면서 가정에서 짜증이 증가하였으며 거짓말을 자주 하고 가족의 돈을 훔치는 행동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아동이 자신의 질병에 대한 불안감과 욕구 좌절에 따른 심리적 어려움을 표현하여 감소시키고 자기주도성을 충분히 경험하고 자신에 대한 가치감을 높일 수 있도록 비지시적인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매회기 40분의 아동중심 놀이치료와 20분의 부모상담으로 구성하였으며 약 4개월 동안 주 1회,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그리고 놀이주제의 변화를 파악해 보고 반구조화된 면담, 그림 투사검사, 모 상담의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아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은 가정 내에서 짜증과 신경질을 부리는 횟수가 감소하였고, 돈을 훔치고 거짓말을 하는 행동이 없어지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질병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가치감을 표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소아당뇨로 인해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에게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실시되고 그에 따른 긍정적 변화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 제1형 당뇨병의 진단과 관리

        이지은 대한의사협회 2021 대한의사협회지 Vol.64 No.6

        Background: In contrast to type 2 diabetes,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requires insulin treatment to control blood glucose. A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1DM have steadily increased; therefore, T1DM is increasingly being diagnosed not onl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also in adult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ccurate diagnosis and optimal management of T1DM is being recognized in clinical practice. Current Concepts: T1DM is caused by insulin deficiency, following the destruction of insulin-producing pancreatic β-cells. Diagnosis of diabetes is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126 mg/dL, random blood glucose levels ≥200 mg/dL accompanied by symptoms of hyperglycemia, an abnormal 2-hou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r glycated hemoglobin ≥6.5%. Accurate diagnosis of T1DM based on patients’ clinical characteristics, serum C-peptide levels, and detection of autoantibodies against β-cell autoantigens is important for optimum care and to avoid complications. A target glycated hemoglobin level is recommended i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access to comprehensive care. The availability of insulin analogues and mechanical technologies (insulin pumps and continuous glucose monitors) has improved the management of T1DM, and these ar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Screening for microvascular complications should commence at puberty or 5 years after diagnosis of T1DM. Discussion and Conclusion: Effective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patient, par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are necessary to achieve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pediatric to adult care in patients with T1DM. Diabetic management for T1DM should be individualized based on patients’ lifestyle, as well as psychosocial, and medical circumstances.

      • KCI등재

        소아청소년 제2형 당뇨병의 진단과 치료

        이해상 대한의사협회 2021 대한의사협회지 Vol.64 No.6

        Background: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chronic diseases, and its increasing preval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a worldwide problem. In the past ten years, the prevalence of T2DM has increased by more than two-fold. This review focuses on the recent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2D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ent Concepts: Pancreatic beta-cell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are the ke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2DM. The diagnosis of T2DM is based on serum glucose levels or hemoglobin A1c levels. Currently, only insulin, metformin, and liraglutide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 have been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T2D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iscussion and Conclusion: Early diagnosis and prevention of T2D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essential. Furthermore, the treatment of T2D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limited, unlike in adul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the available treatme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2DM.

      • KCI등재후보

        건강장애 학생이 겪는 어려움과 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박은혜,김미선,김정연 국립특수교육원 2005 특수교육연구 Vol.12 No.1

        기존의 특수교육대상학생들 외에도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최근 특수교육진흥법의 특수교육대상자로 추가되었다. 이러한 학생들과 그 가족들이 겪는 교육적 어려움과 바람직한 지원방안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암, 당뇨, 신장장애, 천식 등을 가진 학생들의 부모님을 중심으로, 의료진, 교사, 학생 본인들에게 만성질환으로 인한 어려움들과 원하는 지원방안에 대하여 면담하고 이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장애학생들은 질병치료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외에도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교사, 또래관계, 학업 지체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사와 또래에 대한 교육, 교사와 병원 및 부모간의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협력, 학교교육체계 내에서 이러한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교육서비스 제공 및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무엇보다 이러한 학생들의 교육과 학교생활 관리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단위학교나 교육청별로 수립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전망된다. Recently,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are included in the legal recipient group of special education. Few studies about their uniqu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in relation to school life, were reported in Korea.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parents, teachers, and small number of students themselves and medical staff about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arget students are students who have cancer, diabetes, asthma, or a kidney disorder.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such as problems related to school absence, peer relationship, teacher attitude and psychological issues. Support needs were identified in areas such as teacher/peer orientation, school-hospital cooperation, academic support for absent days, and developing school district guidelines about the educational practice for thes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