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의 차원 분석과 마케팅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방형(Bang Hung Lee),한상린(Seong Keun Yi),이성근(Sang Lin Han),이성훈(Sung Hoon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소셜미디어는 하나의 단기간의 유행이 아니라 네트웍 시대의 핵심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의 기업들의 소셜미디어에 대한 관심은 더욱 크다. 그 이유는 텔레비전이나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매체를 통한 광고처럼 일방적인 메시지의 전달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더 이상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구나 준거인을 중심으로 하는 소셜미디어의 정보들이 기업들이 발신하는 정보에 비해 더욱 신뢰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소셜미디어를 통한 마케팅 활동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소셜미디어가 마케팅의 전략적 도구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소셜미디어에 참여하는 이용자들은 대부분 이용동기가 사회적 동기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용자들의 동기에서 추론해 볼 수 있는 것은 이용자들이 이용동기와 관련이 있는 정보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려는 기업들의 마케팅 노력에 대하여 이용자들은 크게 관심을 두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들이 소셜미디어를 마케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와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마케팅전략과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를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고 있지만, 이용동기를 단순히 나열하는 수준으로 그치고 있다. 이러한 이용동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이용동기와 마케팅전략을 연결시키려는 후속연구의 어려움을 만들어 내고 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의 마케팅 활용과 그에 상응하는 연구가 진행되려면 먼저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를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해보고, 이러한 이용동기에 관한 체계화를 표적집단토의와 트위터 내용 분석이라는 질적인 연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Recently social media becomes important tool for the communication in the era of network. Especially the interest in the social media gets larger in the field of marketing because social media can be used as a tool of marketing. Furthermore, traditional media such as TV and newspaper become losing the trust because they tend to deliver their message with one directed way. In the contrary, social media is gaining the trust in the delivering message because the friends of the users send the message. But to use the social media as a strategic tool in the marketing, we need to understand why people participate in the social media. That is to say, what motives they have in the use of social media. If we understand the motives of participation, we can use the motives in building the marketing strategy by connecting them to marketing information. So, understanding the users` motive might be a starting point of social media marketing. Former studies listed why users participate in the use of social media. Their studies simply enumerate bits of information. These kinds of former studies have given much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 social marketing strategy. Thus the work of organizing the use motives of social media. Under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This study tried to organize the motivation of using social media. We divided the user`s motivations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social motive, functional/ informational motive and hedonic motive through the analyzing the former studies. Additionally we empirically tested the proposed structure of use motives found in the literature review with a qualitative method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in Twitter. In the empirical study, the participants mentioned that their primary motive in the use of social media was to build and keep social relationships, and they did not give much importance to functional and hedonic motive. This study shows that users don`t want marketing activities in the social media, since their primary motivation is social. In the future, this study should expand in the point of methodological view. Since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method mentioned above, it should be tested by the use of quantitative method with a large sample.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과부하와 사용자 비 연속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중국 Tik Tok 을 중심으로

        장궤이화(Gihua Zhang),조준위(Jun-Wei Cao),김대완(Dae-Wan Kim)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3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소셜 플랫폼의 기능은 더욱 복잡해지고 점점 더 많은 정보가 전달되며 사회적 관계는 더 이상 단순하지 않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방해를 받고 부정적인 감정을 생성하여 비 연속 행동으로 이어진다. 소셜 네트워크 중독과 피곤은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으며 사람들의 일과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부하라는 관점에서 가장 인기 있는 틱톡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극-유기체-반응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소셜 플랫폼 사용자의 비 연속 사용 행동에 대한 연구 모형을 구성하고 틱톡 과부화(자극 요소), 소셜 네트워크 중독 및 피곤(유기체 요소), 사용자의 비 연속 사용의도(반응 요소) 요인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연구결과는 시스템 기능 과부하가 소셜 네트워크 중독 및 피곤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났다. 사회적 과부하는 소셜 네트워크 중독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놀랍게도 정보 과부하와 소셜 네트워크 중독 및 피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 소셜 네트워크 중독과 피곤은 사용자의 비 연속 사용의도와 유의하게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중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게임과 몰입 예방 시스템처럼 소셜 네트워크 피로를 완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functions of social platfor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plex, more and mor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no longer simple. As a result, users are disturbed and produce negative emotions, resulting in discontinuous behavior. Social network addiction and fatigue have become common phenomena and have a negative impact on people"s work and studie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overloading, this study selected the most popular TikTok as the research object. According to the stimulus-body-response framework, construct a social platform user non-sustained use behavior research model, TikTok overload (stimulus factor), social network addiction and fatigue (organism factor), users" non-sustainable use behavior versus use intention (response facto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network addiction and fatigue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users" intention to use discontinuous use. Surprisingly,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overload and social network addiction and fatigue. This research focuses on social network addiction,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and points out the ne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alleviate social network fatigue, such as an immersive prevention system.

      • 소셜 미디어 사회화에서의 인터넷 관련범죄와 인터넷 윤리

        강윤정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8 No.2

        최근에는 무선 통신의 급격한 발전하면서 인터넷 서비스 환경이 변화하였고, 스마트폰 가입자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자가 급증이 새로운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의 서비스는 무엇보다 사용자의 소중한 정보를 보호하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제공 되어야 하지만 인터넷과 각종 SNS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 악성 댓글 등에 따른 이용자의 불만이 증가하고 음란물, 선정성이 강한 콘텐츠가 여과 없이 청소년에게 노출되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는 공짜로 다운받아 쓸 수 있는 '블랙마켓' 앱도 등장하여 불법 음원 앱도 유포되고 있다. 개인정보노출, 허유사실 유포, 악성댓글, 불법복제, 보안, 음란 앱 유통, 모욕, 명예훼손, 약성코드 유포 등 인터넷관련 범죄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검·경은 사이버범죄를 단속하고 있으며, 방송통신위원회는 SNS 게시물 심의도 시작하였지만 인터넷의 특성상 단속·심의·규제가 사이버 범죄를 증가를 막을 수는 없으므로 융복합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체계가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관련 역기능 해소방안으로 ‘정통망법’, 형법, 기타 관련법규들의 적용과 형사정책적인 해결방안,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있어 인터넷 윤리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사회화에서 그러한 역기능을 근본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하여서는 개인, 가정, 학교, 사회,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원인분석과 대응방안을 신속하게 마련하여야 한다. 예컨대 ‘정통망법’, 형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입법의 거시적인 개정과 통합법의 제정, 국가·사회·개인 등의 전 구성원이 참여하는 형사정책적인 노력, 인터넷 윤리교육의 강화 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SNS를 통한 소셜 미디어 사회화는 가상세계가 이미 현실세계화된 사회공동체가 되었기 때문에 그 구성원들의 역기능 해소를 위한 입법적, 기술적, 윤리적인 적극적인 대응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In recent years,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s in a matter of smart phone users to reach the 2300, SNS (Social Network Sevice) users has grown, Internet services, and this change has emerged a new issue. Services over the Internet to help protect your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safety and reliability should be provided. Internet related crimes are a crime which is inter-related with high specialization·technicality·leakage of information·intellectual-offence and deviant behavior. Without the accurate countermeasure, we can’t achieve the desired end. So we should find out multilateral and general measure. Alway crimes go in advance of the measure, so the counter measures against, computer crime can not be final. Nevertheless, we can’t be careless in making the measure, but we should always consider a counter measure. As the aspect and techniques of internet related crimes are alway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there will be many problems with principle of legality, when we apply the existing abstract provisions to the new crime. We can not be lazy in studying the emerging internet related crimes and taking concrete shape of the provision. And it will be a big help to that desirable to import the foreign provision without consideration of our reality. Without the positive and empirical study on internet related crimes, sometimes important crime will be out of reach of the punishment. Harmful acts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re very diverse in kinds and aspects, and it is difficult to enumerate. The point is that among the new acts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e should decide which acts ate to be punished and which acts are not to be punish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riminal law should be the last resort. But owing to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en the traditional standards can be applie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basis and how it can be applied in a concrete way is not settled. And if it cannot be applied, how can we make new standard is also an unsettled question. In this study, measures to solve Internet-related dysfuncti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ct', Criminal Law, Criminology and other related laws and their application solutions : Social Media in the Internet community about the importance of ethics education are investigated, Social media socialization fundamentally dysfunctional on the internet for minimizing the internet for ethics awareness training is to achieve enhanced.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만족도를 위한 연구

        최슬아(Choi, Seula-A),홍미희(Hong, Mi-H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0

        스마트폰과 태블릿 PC까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환경 속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우리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다른 사람과의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개인적인 영역보다는 다른 사람과 함께 공유하는 영역이 많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양성과 경쟁의 흐름은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여 트렌드를 예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만족도를 파악하여 더 나은 서비스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NS의 확대, 다양성 등의 변화가 있는 시점에서 앱스토어에 상위 링크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두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의 정보구조 설계자인 진스미스(GENE SMITH)가 제시한 소셜 소프트웨어의 7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이론적 기초로 설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기능적 요소를 분석하고 설문을 통한 장단점을 도출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동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신원, 그룹에 대한 만족도는 평등하게 나타났다. 또한 인스타그램은, 존재, 평판에 대해, 페이스북은 공유, 관계에 대해 각각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페이스북은 공유의 기능에서 사용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나, 보기 싫은 광고 컨텐츠의 공유라는 기능에서 불편함이 나타났다. 이는 광고를 게재하지 않는 인스타그램과 비교 했을 때 향후 페이스북이 사용자 유지를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이다. 또한, 인스타그램은 해시태그의 편리성으로 존재의 기능에서 사용도가 페이스북보다 월등히 높은데 비해 전체적인 만족도는 페이스북이 높다. 인스타그램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스북의 가장 큰 장점인 소통, 공유의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In a digital environment that is keep in change content from smart phones to tablet PC are a social network service is holding deep place in our lives.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has building a network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an other application, it means that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are sharing not only personal purpose in that trend of variety and competition of these social networks can be expected to trend and be developed thru analysis of user certification. this study of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is proposed to developing of application thru analyze the two-effective application which is high ranked in google store.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set based on the seven element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of the information structures designed by Jean Smith. This study proceeded analysis is for the functional elements of Facebook and Instagram,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rough survey research.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o user of Instagram and face book of communication, identity, satisfaction for the group are equally. Instagram is about the presence, reputation, and Facebook has ha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for each sharing and relationship. Facebook got high satisfaction from sharing features, but user feel of discomfort in the randomly showing advertising content. Instagram is not showing off advertise on common page of content, it is good point to be complementary to facebook. And, Instagram hashtag is good for convenience, but satisfaction is high with Facebook.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Instagra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ain advantage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share from facebook.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사회에서의 인터넷 관련 범죄와 인터넷 윤리

        강윤정(Kang, Yun-Je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圓光法學 Vol.28 No.2

        최근에는 무선 통신의 급격한 발전하면서 인터넷 서비스 환경이 변화하였고, 스마트폰 가입자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자가 급증이 새로운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의 서비스는 무엇보다 사용자의 소중한 정보를 보호하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제공 되어야 하지만 인터넷과 각종 SNS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 악성 댓글 등에 따른 이용자의 불만이 증가하고 음란물, 선정성이 강한 콘텐츠가 여과 없이 청소년에게 노출되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는 공짜로 다운받아 쓸 수 있는 '블랙마켓' 앱도 등장하여 불법 음원앱도 유포되고 있다. 개인정보노출, 허유사실 유포, 악성댓글, 불법복제, 보안, 음란앱 유통, 모욕, 명예훼손, 약성코드 유포 등 인터넷관련 범죄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검ㆍ경은 사이버범죄를 단속하고 있으며, 방송통신위원회는 SNS 게시물 심의도 시작하였지만 인터넷의 특성상 단속ㆍ심의ㆍ규제가 사이버 범죄를 증가를 막을 수는 없으므로 융복합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체계가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관련 역기능 해소방안으로 ‘정통망법’, 형법, 기타 관련법규들의 적용과 형사정책적인 해결방안,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있어 인터넷 윤리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사회화에서 그러한 역기능을 근본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하여서는 개인, 가정, 학교, 사회,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원인분석과 대응방안을 신속하게 마련하여야 한다. 예컨대 ‘정통망법’, 형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입법의 거시적인 개정과 통합법의 제정, 국가ㆍ사회ㆍ개인 등의 전 구성원이 참여하는 형사정책적인 노력, 인터넷 윤리교육의 강화 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SNS를 통한 소셜 미디어 사회화는 가상세계가 이미 현실세계화된 사회공동체가 되었기 때문에 그 구성원들의 역기능 해소를 위한 입법적, 기술적, 윤리적인 적극적인 대응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In recent years,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s in a matter of smart phone users to reach the 2300, SNS (Social Network Sevice) users has grown, Internet services, and this change has emerged a new issue. Services over the Internet to help protect your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safety and reliability should be provided. Internet related crimes are a crime which is inter-related with high spec ializationㆍtechnicalityㆍleakage of informationㆍintellectual-offence and deviant behavior. Without the accurate countermeasure, we can’t achieve the desire d end. So we should find out multilateral and general measure. Alway crimes go in advance of the measure, so the counter measures against, computer crime can not be final. Nevertheless, we can’t be careless in making the measure, but we should always consider a counter measure. As the aspect and techniques of internet related crimes are alway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there will be many problems with principle of legality, when we apply the existing abstract provisions to the new crime. We can not be lazy in studying the emerging internet related crimes and taking concrete shape of the provision. And it will be a big help to that desirable to import the foreign provision without consideration of our reality. Without the positive and empirical study on internet related crimes, sometimes important crime will be out of reach of the punishment. Harmful acts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re very diverse in kinds and aspects, and it is difficult to enumerate. The point is that among the new acts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e should decide which acts ate to be punished and which acts are not to be punish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riminal law should be the last resort. But owing to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en the traditional standards can be applie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basis and how it can be applied in a concrete way is not settled. And if it cannot be applied, how can we make new standard is also an unsettled question. In this study, measures to solve Internet-related dysfuncti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ct', Criminal Law, Criminology and other related laws and their application solutions : Social Media in the Internet community about the importance of ethics education are investigated, Social media socialization fundamentally dysfunctional on the internet for minimizing the internet for ethics awareness training is to achieve enhanced.

      • KCI등재후보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와 다른 소셜 미디어의 기능적 관계에 관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 이용자의 비교 연구

        김관규(Kim, Kwan-Kyu),장선(Zhang, Xu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사회과학연구 Vol.18 No.3

        새로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최근 크게 주목 받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중 하나가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이다.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는 다양한 웹이나 모바일 서비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마이크로블로그 이용이 확대되면서 학문적인 관심도 많이 증대했으며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마이크로블로그 현상을 이해하고자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인터넷 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소셜 미디어 형태인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와 기존의 소셜 미디어 사이에 형성되는 기능적 대체 관계를 밝히 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리적 측면의 일반화를 시도하여 중국과 한국 대학생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 이용자를 대상으로 양국의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와 다른 4개의 소셜 미디어간의 기능적 관계를 비교해보았다. 이러한 비교는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의 이용과 발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를 보면 중국 대학생 이용자와 한국 대학생 이용자들은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와 문자 메시지의 기능적 차별화상태에 대해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다. 반면에 인스턴트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와 메신저의 기능적 관계는 한?중 양국 대학생 이용자들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미디어의 나아갈 방향과 변화를 예측 가능하게 하며,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있어서는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그가 큰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Network Service in newer media environment is Microblog. It is more professional and unique communication type than other SNS and is based on various web and mobiles. It brings many academic interests for enlarging to use Microblog and there are shown tries for understanding Microblog as a newer Medium. This research examines the perceptional difference of Both-Countries university students about functional relations between Mobile Microblog and other four Social-Medias. This comparison is able to spread the understanding about use Mobile Microblog and development as a new Medium. Furthermore, from the studies about individual media users, we tried to find what we should know to become the Social media that meets users" desire. In conclusion, Bo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 users recognize similarly about functional excellence between Mobile Microblog and web-based SNS, blogs and about functional differentiation between Mobile Microblog and SMS. In contras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functional relations of instant mobile Microblog and messenger from bo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users. From this results, it makes that we can surmise a direction and a change of Media what is prospective for the users" desire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it may contain potentiality to big change with strengthe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because Microblog is a service that helps to communicate each other not by only voice-call and SMS.

      • KCI등재

        소셜커머스 성공을 위한 품질기능전개(QFD) 적용에 관한 연구

        이상식(Sang-Shik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13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소셜커머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품질관리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품질기능전개(QFD) 방법론을 적용하여 소셜커머스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과 서비스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소셜커머스 시장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바탕으로 소셜커머스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품질주택(HOQ)을 이용하여 고객의 요구사항과 서비스 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하여 소셜커머스의 이용 경험이 많은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 요구속성의 중요도 평가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특성의 중요도 값을 산출함으로써 계량적인 기법으로 소셜커머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ocial commerce which is widely spreading globally in a few years, the characteristics selecting social commerce company are analyzed by using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that is popular in quality management a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 market environment, and major competitors of social commerce and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requirement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was uncovered by using the house of quality(HOQ) which is a method of QFD.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ual model integrat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d QFD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customer"s requirement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 KCI우수등재

        소셜댄스의 사회문화적 고찰

        박현숙(ParkHyun-sook)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본 연구는 전 세계에서 영위되는 커플댄스의 향유와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서 소셜댄스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든 시대의 춤은 사회적이며 역사적 맥락의 특징적 요소를 보여주는데, 이는 춤과 사회가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인 예술이며 인간의 본능인 춤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영위되어 왔는지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와 나아가 앞으로도 계속되는 생활 속의 춤 문화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과정이 될 수 있다. 먼저 커플댄스의 접촉기능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 소통이며 동작기능을 더욱 상승시키는 과학적인 원리가 있다. 또한 커플댄스의 근원인 궁정사회의 춤은 상류귀족의 사회적 기대와 역할에 맞게 품위 있는 춤으로 정착되어 사교와 예술 및 정치적 기능까지 담당하였으며, 중세시대 무용의 암흑기에 발생된 포크댄스는 집단 공동체로서의 생활과 인간의 본능인 춤의 생명력을 보여준 사회적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커플댄스에서 나타나는 남녀의 역할은 권력의 사회적 역학관계를 표출하고 여성의 외모와 패션이 춤에 부각되는 기능을 시사하고 있으며, 왈츠와 같은 전통적인 커플댄스 문화에 이어 노예문화에서 출발한 아프리카 리듬인 라틴리듬이 인간의 본능적인 감성을 일깨우며 전 세계 커플댄스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cio - cultural functions of social dance by examining the enjoymen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couples dancing in the world. Dance of all ages to show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which means that the connection is dancing and society. It is necessary to have a social art and dance human instinct is how diverse interests came to live in society. It may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further understanding of dance culture in the ongoing life of the future of human life. First contact is a function of the couple dancing scientific principles to further increas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behavior in humans. In addition, social dances of the court achieved the source of the couple dance are settled in a dignified dance to fit social expectations and roles of the upper nobility it was responsible to social, political and artistic features, and the folk dance occurs in the dark ages of medieval dance has claimed the lives implies a social function and vitality of the human instinct of dance as a collective community. The role of men and women appearing in the couple dance is to express the dynamics of social power and women's looks and fashion and features that suggest the incidence in dance, and the Latin rhythms from slave culture following the traditional couple dances such as the waltz had a great impact on the world couple dance cultur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행복: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지우,박정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9 No.3

        This article is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user motivation on flow and happiness in the activity of social media. Also the mediating role of flow in the relation of user motivation and user happiness is to be identified. On this purpose, user motivation in social media was divided into 3 sub-dimensions as social motivation, function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The differentials of 3 motivations above in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flow and happiness was checked out too. Soci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in social media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flow and happiness and the flow mediated the relation of motivation and happiness. But the functional motivation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ow and happiness. These findings imply that only the motivations involving spontaneous and autotelic characteristics enough have plausibility to induce flow and happiness user experiences in time of social media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can amplify the scope of happiness.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가 이용자 몰입(flow)과 행복 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그리고 동기와 행복 간의 관계에서 몰입 요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이용동기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근원적 욕구 차원에 따라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의 세 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별하였고 이들 각각의 동기들이 이용자가 경험하는 몰입과 행복 간의 관계에 있어 차별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용자 동기 중 사회적 동기와 유희적 동기는 몰입 및 행복과 각각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몰입이 동기와 행복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기능적 동기는 몰입 및 행복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동기의 성격이 자발성과 자기목적성을 충분히 갖추었을 때 이용자로 하여금 몰입과 행복을 체험하도록 하며 몰입의 매개효과로 인하여 행복의 정도가 보다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