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득접근법에 의한 무형자산 평가방법

        오준환(Joon Whan Oh)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3 商經硏究 Vol.38 No.2

        본 연구는 소득접근법에 의한 무형자산의 가치평가방법들을 비교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무형자산의 활용을 통한 경제적 가치창출의 가능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소득접근법의 관점에서 가치평가 방법론의 연구 및 적용동향을 개관한다. 다음으로, 소득접근법의 기본적 세 가지 가치평가기법을 제시하고 주요 내용과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가상적인 사례에 평가방법들을 적용하여 평가결과를 제시하고 비교한다. 연구결과, 소득접근법의 각 방법들은 평가대상 무형자산을 적용하는 기업의 사업 환경 및 평가관점에 따라 상이한 평가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평가실무는 평가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앞서 평가방법상 주요 가정설정 및 변수추정에 관한 객관성 및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소득접근법에 의한 가치평가방법들은 무형자산 관련 사업결합, 투자활동, R&D 성과평가 등 기존의 평가영역 뿐 아니라, 공정가치 중심의 IFRS의 범세계적 채택으로, 재무보고 목적의 무형자산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from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s on income approach, the various methods of intangible asset valu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s the research and practical trends on the income approach which has an advantage of grasping intangible asset s contribution to firm s incremental economic value created by the utilization of intangible asset.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for three basic methods whose application requir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sumptions. Also, this study applies each method to the illustrative case, providing a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valuation results. The study shows that three valuation methods of income approach result in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major assumptions and parameter estimations applied in the valuation process. This indicates that a valuator must assure the objectivity and reasonableness of assumptions and estimations made before applying specific methods. Also, futur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may utilize this study s valuation methods in the area of intangible asset transactions, investments, R&D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 valuation, along with the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reporting which emphasizes fair value concepts under IFRS.

      • KCI등재

        이른바 혼합계약에서의 소득원천 판정에 대한 소고 -전자상거래시대의 사업소득과 사용료소득 구분을 중심으로-

        양인준(Injun Yang) 한국국제조세협회 2021 조세학술논집 Vol.37 No.3

        이 글은 혼합계약에서의 소득구분을 논제 삼아 국제조세 과세관할권 배분의 전제로서 소득원천 판정문제를 살핀다. 특히 이 글은 오늘날 전자상거래시대에 현행 국제 조세의 규범틀 내에서 특정한 과세대상소득을 어떤 방식으로 소득구분할 것인가의 쟁점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다루고 있다. 이 글의 주된 논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소득원천 판정에는 소득구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소득의 법적평가 단위를 정함이 선결문제가 된다. 법적평가 단위 결정시에는, 관련 명문규정이 있으면 그에 따르고, 그런 법규정이 없으면 계약문언대로 소득단위를 인정함에서 출발하되, 구체적 계약내용을 통해 달리 법적평가 단위를 찾을 수 있는지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목적론적 해석이나 거래실질의 확정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 평가단위를 최종판단하면 된다. 둘째, 이때 목적론적 거래실질적 관점에서 평가단위를 정한다는 것은, 거래당사자들의 특정한 거래대상에 대해, 전자상거래시대라는 오늘날 상황을 고려하면, 실제로 당사자들이 추구하려 했던 사법상 거래 실질은 무엇이었을까를 추론해보고, 이 과정에서 합리적으로 도출되는 법적평가 단위와 그에 연동되는 생산요소는 무엇인지를 판정하고, 이런 결론이 과연 자의적인지를 재점검해보는 식의 검토단계를 말한다. 셋째, 혼합계약의 소득구분에는 일차적으로 당사자 의사가 중요하다. 당사자 의사를 그대로 따를 수 없는 경우에는 혼합계약을 구성하는 소득항목항목에 주종관계가 있는지를 따져 주된 소득으로 구분함이 원칙이다. 혼합계약의 구성소득항목들에 대해 주종을 가리기 힘든 경우의 세법상 취급에 대해서는 아직 대법원 판례는 없고, 법원이 나서서 적당히 갈라낼 수 있다는 견해와 정당세액에 대해 증명책임을 지는 과세관청이 이를 증명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넷째, 혼합계약에 따른 소득구분은 최종적으로는 계약실질을 밝히는 것에 연결되고, 이런 거래실질 판단에는 당사자 의사뿐만 아니라 전자상거래적 속성 등 변화된 거래환경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소득구분시 사용료소득, 사업소득 순처럼 판단순서대로 검토해야 하지만, 선순위의 소득으로 구분되는지 단정짓기 어렵다면 결국 어떤 소득으로 구분되느냐의 쟁점은 합리적 거래당사자 관점에서 두 소득구분 대안 중 어느 편이 더 큰 설득력을 갖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source of income as a premise for the allocation of international tax jurisdiction, based on the income characterization in mixed contracts. In particular,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ssue of how to classify specific taxable income within the current international tax normative framework in today"s e-commerce era with specific examples. The main thesis of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ome characterization is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source of income, and for this purpose, determining the legal evaluation unit of income becomes a prerequisite. When determining a legal evaluation unit, we should follow the relevant prestigious regulations. Where there is no such law, we should start by recognizing the income unit as the contract text, but also review whether the legal evaluation unit can be found through specific contracts, and make a final judgment. Second, determining the evaluation unit of income from a transactional and practical point of view refers to review steps by determining the legal evaluation unit and its relevant factors and inferring transactional substance the parties were actually pursuing considering today"s e-commerce era. Third, the intention of the parties is primarily important in the income characterization of mixed contracts. In principle, if the intention of the parties cannot be followed as it is, it is classified as the main income by considering whether there is a main constituent in the income items constituting the mixed contract. There may be no precedents of Supreme Court of Korea yet for the income characterization where there is a main constituent in the income items constituting the mixed contract under the tax law. Fourth, income characterization regarding mixed contracts is ultimately linked to revealing the substance of the contract, and such determination should sufficiently reflect not only the intention of the parties but also the changed transaction environment such as attributes of e-commerce. When it comes to classifying income, if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at kind of income it is, such determination is eventually the issue of which income characterizaion alternatives is more persuasive from the perspective of rational parties.

      • Modified Income Approach to 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Joon Whan Oh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6 商經硏究 Vol.41 No.1

        지적재산에 대한 전형적 평가는 평가목적에 따라 소득, 원가 및 시장 접근법 중 하나를 활용한다. 소득접근법은 지적재산의 높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해서 종종 실물옵션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실물옵션기법이 지적재산이 갖는 위험행태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무적용에는 너무 복잡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간단한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평가과정에 반영하는 수정된 소득접근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수정소득접근법을 제시하며, 계량적 측정의 관점에서 매출비교법, 로열티공제법 등의 시장접근법과 비교한다. 비교결과는 시장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면, 시장접근법도 상대적으로 높은 객관성 및 목적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수정소득접근법은 지적재산의 평가과정에 기업위험 및 시장위험 모두를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정소득접근법은 전통적 순현재가치기법의 선결요건인 지적재산 거래시장의 효율성, 완전성 및 비교가능성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ypical 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utilizes one of income, cost, and market approaches based on the underlying valuation purposes. To accommodate high uncertainties in intellectual properties, income approach often takes the real option technique into the valuation process. Although the real option technique accommodates changes in the risk pattern of an intellectual property, it is too complex to apply in valuation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a modified income approach to 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by incorporating simple decision tree analysis into valuation process. Utilizing the modified technique, this study compares the market approaches such as the Sales Comparison Method and Relief from Royalty Method with the traditional income and cost approaches. The comparison shows relatively high degree of objectivity and relevance in the market approach as long as the market related information is available. This study’s modified income approach incorporates the firm-specific and market risks into the valuation process for an intellectual property. Also, the modified income approach mitigates the traditional NPV’s prerequisites on efficiency, completeness, and comparability of intellectual property trading market.

      • KCI등재

        A Study on the Calculation Confusion of NOI in Value Estimates of Income-Producing Properties : 수익용 부동산의 가치추정에서 순영업소득의 계산혼란에 대한 연구

        강우원(Kang Woo Won),조덕훈(Cho Deok Hun) 한국부동산학회 2008 不動産學報 Vol.32 No.-

        1. 내용 (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가나 오피스 등 수익용 부동산의 가치를 측정함에 있어서 핵심역할을 수행하는 순영업소득의 계산과정이 부동산전문가 집단별로 혼란이 있음을 문제제기 하면서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순영업소득관련 계산과정의 혼란들이 여러 문헌들에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문헌연구를 기본으로 하였다. 아울러 사례의 모의테스트를 통해 수익용 부동산의 가치추정 방법에 따라 부동산전문가 집단별로 순영업소득의 계산혼란 결과를 보다 생생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3) 연구결과 순영업소득의 계산과정에서 운영경비에 부동산전문가 집단별로 자본경비 등의 항목을 포함시키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들 항목의 크기만큼 순영업소득에서 차이가 나고, 이것이 연쇄적으로 수익용 부동산의 가치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2. 결과 이는 결국 같은 수익용 부동산이라도 부동산전문가 집단별로 계산방법에 따라 순영업소득이 달라지는 혼란을 보여주어, 이러한 혼란 방지를 위한 해결책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이의 해결책으로서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 바, 이러한 혼란의 존재에 대해 진지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낳은 해결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인구고령화는 소득불평등의 원인인가?

        조원기(Wonki Cho),이우진(Woojin Lee),최준영(Jun-young Choi) 한국경제발전학회 2021 經濟發展硏究 Vol.27 No.4

        최근 한국사회의 불평등 심화 원인 중 하나로 급속한 인구고령화가 종종 지목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인구고령화와 소득불평등의 관계를 이론적으 로 그리고 통계적으로 살펴본다. 인구고령화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 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정의한다. 고령층과 비고령층 두 개의 인구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구성한 우리의 모형에 의하면 인구고령화 와 소득불평등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불확정적이다. 이론적으로 인구고령화가 불평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특정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통계적 분 석에서는 먼저 특정 연도의 연령대별 인구구성이 과거 시점의 인구구성과 같 았더라면, 즉 고령화가 진행되지 않았더라면, 얻어질 반사실적 소득분포 (counterfactural income distribution)을 준모수적 방법으로 추정한 후, 이 가 상의 소득분포와 현실의 소득분포를 비교함으로서 인구고령화가 소득불평등 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다. 자료로는 가계동향조사자료를 활용하고, 1990 년과 2000년의 연령대별 인구구성 가중치를 1990∼2020년 소득분포에 적용 하여 가상적인 소득의 시계열을 추정한다. 추정 회귀식에 가구원 수, 가구주 의 성별, 배우자의 취업 여부, 취업 자녀의 수를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고령화 이외의 요인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다. 가상적인 소득분포와 실제 소득분포에 대해 타일(Theil) 및 지니(Gini) 계수를 도출하고 이를 비교한 결 과, 동기간중 고령화는 소득불평등에 기여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불평등을 소 폭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Population aging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factors that have exacerbated income inequality in Kore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ging and income inequality from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Population aging is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n our theoretical model, the population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ld and the young. Our analysis shows that in general, the impact of aging on income inequality is indeterminate and that aging deepens inequality only if a set of strong conditions are satisfied. For an empirical analysis, we take a semi-parametric approach to estimating a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 that would have prevailed if it were not for population aging (i.e., if the extent of aging stayed at some past level). We then isolate the effects of aging on inequality by comparing the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 and the actual distribution. Using the 1990-2016 annual data from the Korea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we apply the weights for the age distribution from two benchmark years, 1990 and 2000, to each year in the range and obtain a time series of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s. Our estimation controls for the household size, the gender of the household head, the employment status of a spouse, and the number of employed children in a household, so that factors other than aging that may influence inequality are taken into account. The Theil and Gini indices derived from the actual and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s show that population aging does not affect or moderately reduces inequality.

      •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 : 실태 연구 및 그에 대한 정책적 보완 방안 제시

        백대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2

        문재인 정부 경제 정책의 핵심은‘소득주도성장론’이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가계 소득이 성장의 밑거름이 되고, 성장의 열매가 다시 가계로 흘러 들어가 사회적 부가 선순환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문재인 정부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특히 최저임금인상, 주 52시간 근무제 등을 핵심 축으로 한다.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 출범 1달 전인 2017년 4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19개월 동안 진행된 소득주도성장 정책 관련 여론 조사를 선별해 추이를 분석하고, 변화된 여론 추이를 설명하기 위해 초점집단면접 (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했다. 여론조사 추이 관련 FGI 분석 결과를 STEPPER 접근법을 통해 7가지 요소를 추출했고, 3차원 분석기법에 대입해 면접 참 여자들의 의견을 직업별로 분석해 현 정부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Moon Jae-in administration’s economy policy is primarily based on ‘Income-led growth theory’. Income-led growth theory assumes that the virtuous cycle which is household income is the foundation of economic growth, and it leads to create a greater social wealth again will lead the economic growth. The linchpins of Moon administration’s income-led growth theory are minimum wage increase and 52 working hours per week rul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s regarding income-led growth economic policy that were held between April 2017 and October 2018. Also, using FGI (focus group interview), this study collected data regarding how the income-led growth affected people’s lives to explain the trends and changes that the surveys showed. For additional data analysis, the STEPPER approach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were employed as well to suggest practical alternatives.

      • KCI우수등재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교환관계(trade-off) 연구

        문진영(Moon, Jin-Young),김윤영(Kim, Yun 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21세기 현재 복지국가가 당면한 최대의 과제는 전통적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노령, 실업, 질병, 그리 고 장애로 인한 소득의 상실에 대처하는 현금급여 중심의 소득유지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된 ‘오래된 복지’와 청년, 실업자, 저숙련 노동자, 여성 그리고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돌봄의 사회화를 통해 서 개인의 역량을 키워주는 사회서비스 중심으로 운영되는 ‘새로운 복지’를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복지국가의 전통적인 분류법에 의거하여 소득보장과 사 회서비스라는 두 축으로 최근 복지국가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양자(兩者)간 관계의 성격을 규 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18개 OECD 국가를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06년 전후의 사반세기에 걸친 시계열 자료를 통하여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 지출의 증가를 측정하여 양자(兩者) 간 에 교환관계(trade-off)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논 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현금급여와 현물급여의 개념과 차이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교환성(trade-off)을 세 기둥 접근법(Three Pillars Approach)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어 제3장 연구방법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론인 그랜저 패널분석 모형을 설명하 였다. 본 논문의 본문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소득과 사회서비스의 교환관계성 여부를 상관관계와 그 랜저 패널방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는 교환관계가 성립하는 대체 재가 아니라 상호 보완재라는 점이 입증되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one of the main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welfare state is how to harmonize ‘Old Welfare, Old Risks’ which mostly consists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s with ‘New Welfare, New Risks’ which actively advances social services.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maintenance programs and social services. For this purpose, it analyses social expenditure of 18 OECD countries during 1980-2006, and subsequently attests, if there is a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using correlation and Granger panel analysis. It duly concludes that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not valid in that the two are better understood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not substitute relationship.

      • KCI우수등재

        공적 소득 이전의 수단과 정책 효과에 대한 재고찰: 사회복지지출(welfare expenditure)과 사회적 조세지출(social tax expenditure)의 통합적 접근

        김효정 ( Hyo Jung Kim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4

        본 논문은 복지국가가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수행하는 공적 소득 이전을 사회복지지출에 의한 이전과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이전을 포괄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재정의 하고, 공적 소득 이전의 정책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최근 한국 복지국가의 성격 변화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빈곤 및 소득불평등 측정 지표와 부트스트랩 기법을 통해 사회적 조세지출과 사회복지지출에 의한 공적 소득이전의 빈곤 감소 및 소득재분배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빈곤 감소 및 소득재분배 효과 모두에서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이전의 효과가 사회복지지출에 의한 이전이 초래하는 정책 효과를 상당 부분 상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이전은 복지국가의 전통적인 정책대상인 빈곤층보다 중산층 이상의 계층에 대한 보호와 이전에 기여함으로써 복지국가의 성격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은 복지국가가 가져오는 정확한 정책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효과를 고려해야함을 주장하였으며 이에 의해 상쇄되는 빈곤 감소 효과와 소득재분배 효과에 대한 개선을 위해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tegrated effects of direct income transfer and social tax expenditure (STE), which has a role to play as income transfer policy in the welfare state.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determine character changes in the Korean welfare state based on policy effects of public income transfer. In order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and measure policy effects, indices for poverty reduction and income inequality and bootstrapping for a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were employed. Analysis shows that the effects of STE have canceled out a considerable portion of direct income transfer in the Korean welfare state. STE has contributed to protect the middle and upper classes rather than the poor, who have traditionally been protected by the welfare state, and has thereby recently affected changes in the Korean welfare state. In other words, the Korean welfare state has invisibly expanded their policy targets and has achieved universal welfare with regard to coverage of benefit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Korean welfare state needs to determine the exact effects of STE and its offsetting and consider policy options to improve the poverty reduction and redistribution of the welfare state.

      • KCI우수등재

        한국노동패널과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한 소득기회불평등의 장기추세에 대한 연구

        신지섭 ( Jisub Shin ),주병기 ( Biung-ghi Ju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1

        개인의 의지와 독립적으로 주어진 환경에 따라 성취 전망의 우열이 결정될 때 기회불평등이 존재한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친의 학력)에 따라 (가구 처분가능) 소득이라는 성취변수의 기회불평등의 존재여부와 그 장기 추세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리가 고려하는 기회불평등은 부모의 교육 수준, 직업 등 사회경제적 지위 자료만을 필요로 하여 장기간의 기회불평등 추세를 확인하기에 용이하다. 한국노동패널과 가계동향조사를 활용하여 1990년에서 2016년에 이르는 (가구 처분가능) 항상소득기회불평등 추세를 분석한 결과, 기회불평등도가 1990년대 초중반까지 상대적으로 양호한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 외환위기를 거치며 최근까지 빠르게 상승하였고 이런 상승 추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전문대졸 이상의 가구주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기회불평등도가 전 기간에 걸쳐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이 소득기회불평등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과 부친 학력에 따른 자녀의 교육격차가 소득기회불평등이 발생하는 주요 경로라는 점을 말해준다. Inequality of opportunity for income acquisition exists when the prospect (probability distribution) of income acquisition with a high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dominates the prospect with a low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ur main objective is to analyze the existence and the long-term trend of this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Korea. Our concept of opportunity inequality relies only on simple information o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education level, which facilitates our inquiry of the long-term trend. We use both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HIES) and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 consider individual households in KLIPS and estimate their household permanent income using HIES. We show persistence of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over the period from 1990 to 2016. We analyze the degree of inequality of opportunity using Gini opportunity inequality index and the Rags-to-Riches opportunity inequality index. Both indices exhibit increasing long-term trend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also find that the opportunity inequality indices decline more than 50% when they are measured among individuals with college education. This shows tha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opportunity inequality due to ones’ parental or family background.

      • KCI등재

        무형자산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소득접근법의 평가기법을 중심으로 -

        안정근,Ahn, Jeong-Keu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5 지적과 국토정보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동산평가에 있어 소득접근법에 속하는 무형자산의 평가기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소득접근법에 의한 무형자산의 가치는 장래 기대되는 경제적 편익을 현재가치로 환원한 값이다. 관계법령의 무형자산의 평가기준으로는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 지식재산기본법, 국유재산법의 규정을 검토하였다. 경제적 편익의 추계방법으로는 외삽법, 생애주기분석법, 감응도분석법, 시뮬레이션분석법, 판단법, 타불라라사법을, 자본환원율과 할인율의 추계방법으로는 시장추출법, 자본가격결정모형, 조성법, DCF모형, 가중평균자본비용법을 고찰하였다. 대상무형자산의 자본환원방법으로는 사용료절감법, 초과이익환원법, 이윤분할법, 업체가치잔여법, 가상소득환원법 등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rious valuation techniques of intangible assets.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 by the income approach can be measured as the present value of the economic benefit over the intangible asset's remaining useful life. The typical methods used in intangible asset economic income projections include extrapolation method, life cycle analyses, sensitivity analyses, simulation analyses, judgment method, and tabula rasa method. There are several methods available for estimating capitalization rates and discount rates for intangible asset, in which we have discussed market extraction method, capital asset pricing model, built-up method, discounted cash flow model, and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method. As the capitalization methods for intangible asset, relief-from-royalty method, excess earnings capitalization method, profit split method, residual from business enterprise method, postulated loss of income method and so on have been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