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재엽(Kim, Jaeyop),곽주연(Kwak, Ju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4개 권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1,91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성폭력 가해행동의 경우 응답범주가 대부분 0에 가깝게 나타나 정규분포의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8.1%가 지난 1년간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추행, 성희롱, 음란전화 등의 가해유형이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에 해당하며, 이들의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수준이 비중독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대상 성폭력 예방 교육의 개선,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의 의무화,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매체 접촉 차단 강화, 성폭력 가해 청소년 대상 상담 및 치료체계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The data was harves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four regions of South Korea. A total of 1,911 adolescents who responded that using a smartphone were utili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oiss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mediation methods were employ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is associated with sexual assault, and the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h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the spheres of both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 KCI등재

        성폭력으로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윤혜정,하정,최승희 한국보호관찰학회 2016 보호관찰 Vol.16 No.1

        본 연구는 성폭력으로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들이 가해행위의 적발 시부터 법 적 처분인 보호관찰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 험의 구조와 과정을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성폭력으로 보호관찰을 받은 청소년들로 2015. 4.부터 2015. 10.까지 보호관찰이 종료된 12명이며, ‘성폭력으로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의 경 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145개의 개념, 59개의 하위범주, 25개의 범주를 도출하 였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실시한 축 코딩에서는 다음과 같은 6가지의 구조로 분석되었다. 1)인과적 조건 : 피해자로 인해 사건이 발단되었다고 여김, 적발전까지 법적 처벌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음, 한쪽에 치우친 사회적 시각으로 처벌을 받음, 2)맥락적 조건 : 성을 통한 친구사이 연결 짓기, 단편적 성 관념 보유하기, 사소한 비행에 둔감해짐, 사건을 친구와의 놀이로 인식함, 3)중심현상 : 억울하지만 어찌할 바를 모른 채 그 사건을 지우고 싶음, 4)중재적 조건 : 면목 없음, 부모의 감싸 덮어주기, 성폭 력범이라는 시선을 받음, 제한적으로 내 책임 인식하기, 반복처벌과 가중처벌을 피하고 싶음, 5)작용-상호작용 전략 : 처벌 모면을 위해 사건 인정하기, 보호관찰 처분에 안도하고 순응하기, 사건 과정에서 내 처신을 후회함, 주변 시선 차단하고 숨기, 성폭력범이라 는 꼬리표 지워내기, 조심해야할 성으로 바라보기, 사건화 과정에서 비롯된 제한적 성태도 변화, 자기보호 규칙 세우기, 6)결과 : 억울함이 남아 있지만 사건에 의미 부여하며 잊어가기, 사회 틀에 벗어나지 않고 지내기, 마주하기에 높은 현실에서 살아감으로 나타 났다. 선택코딩에서의 핵심범주는 ‘억울하지만 사건에 의미 부여하며 벗어나기’로 나타났다. 성폭력으로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의 경험 과정은 혼란 직면 단계, 책임 회피 단계, 심리적 저항 단계, 처벌 모면 단계, 자기 정상화 단계, 전략적 재정립 단계, 현실 맞 춰가기의 7단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성폭력으로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의 경험 과정에 대해 살펴봄 으로써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성폭력 가해 청소년이 재범하지 않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응적으로 살아가도록 법적 처분 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신중한 평가와 함께 중․장기적인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on probation by conducing in-depth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experiences that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on probation have as time passes from the time when sexual violence acts are exposured to the time that the legal proceeding of probation is end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methods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145 concepts 59 sub-categories, and 25 categories have eventually been specified.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ellows. 1) ausal conditions : thinking that the incident began with the victim, thinking that they did not think they would receive the legal punishment before they were exposured, thinking that they received punishment because of biased social perspective. 2) ontext conditions : Making friends through sex, possessing fractional sexuality stereotype, becoming insensitive to trifle delinquencies, perceiving the incident as play with friends. 3) entral phenomenon : not knowing what to do although they have resentment, wanting to erase the incident from their mind. 4) ntervening conditions : feeling sorry, parents’ defending and covering up, getting people’s looking at them as sex offenders, perceiving ‘my responsibility’ to a limited extent, wanting to avoid repeated punishment and additional punishment. 5) Action-interaction strategy : recognizing the incident to avoid punishment, being relieved and compliant with probation being granted, repenting ‘my behavior’ in the incident process, shutting off eyes from the surroundings and hiding, erasing the tag of sex offender, regarding careful sex, limited changes in attitude toward sex started with the process of the incident, setting up self-protection rules 6) Consequences : with resentment still remaining, putting significance to the incident and going on forgetting, living within the social framework, living in the reality that is high to face The core category in the experiences of the experience process of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on probation was 'Despite chagrin, giving meaning to the incident and escaping from it’ Participants went through seven stages with time in their experience process : the stage of facing confusion, the stage of evasion of responsibility, the stage of avoiding punishment, the stage of psychological resistance, the stage of self- normalization, the stage of strategic reestablishment, and the stage of conforming to re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rudent evaluation and the medium and long-term social intervention for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are needed to prevent them from committing repeated delinquency and to lead them to live as the members of society.

      • KCI등재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재엽(Jae Yop Kim),이효정(Hyo Jeong Lee),송아영(A Young S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경험이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을 4대 권역으로 나누어 모두 24개의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2학년 남학생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 581명 중 182명인 31.3%가 지난 1년 동안 성폭력 가해행위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성폭력 가해행위는 크게 언어적 성폭력과 신체적 성폭력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 30.2%, 후자의 경우 11.3%의 학생들이 경험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가정폭력 경험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의 자녀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이 48.4%로 가장 많았으며, 본 연구의 분석집단의 부의 모 폭력을 목격한 학생들은 42.3%로 이 역시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폭력 경험이 성폭력 가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된 변인 중에서는 인터넷 음란물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가정폭력 경험이 폭력허용도에, 폭력허용도가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폭력 경험이 높을수록 폭력허용도가 높았으며, 폭력허용도가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가정폭력 경험이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roian 검증을 실시해본 결과,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남자 청소년들이 성폭력 가해자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족적ㆍ개인적 차원의 개입의 합의를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on the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and explored whether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has mediating effect or not. Out of total 581 boys in the research group, 31.3% done sexual assault in the previous year. In this research, sexual assault divided by two groups, the verbal sexual assault and the physical sexual assault. According to the research, 30.2% of boys done verbal sexual assault and 11.3% of boys done physical sexual assault. And 42.3% of boys have experienced the violence from father to mother. Th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was proven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And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was proven to be influenti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s of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the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Thus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does a role as the par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fluences of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the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Based on the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tion of an intervention that reduces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lowers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to prevent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 KCI등재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김재엽,최지현,이지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29 No.-

        The present research verifies the impact of male adolescent’s sexual compulsion on their sexual assault perpet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n this pathway. The researchers used self-report questionnaire to five hundred and eighty one students in from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resident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31% of the subjects answered to hav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ncluding verbal violence.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sexual compulsion of the subject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higher the sexual compulsion, the more frequent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f the subjects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the sexual compulsion on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impact decreases when there is positive parents-children interaction. The researchers suggest possible practical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 for the sexual violence problems in adolescents.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경로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남학생 581명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청소년 중 31%가 언어적 성폭력을 포함한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충동이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면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성충동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성폭력 문제에 대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최지현 ( Ji Hyeon Choi ),김재엽 ( Jae Yop Kim ),이지혜 ( Ji Hye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29 No.-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경로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남학생 581명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청소년 중 31%가 언어적 성폭력을 포함한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충동이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면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성충동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성폭력 문제에 대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verifies the impact of male adolescent`s sexual compulsion on their sexual assault perpet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n this pathway. The researchers used self-report questionnaire to five hundred and eighty one students in from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resident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31% of the subjects answered to hav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ncluding verbal violence.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sexual compulsion of the subject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higher the sexual compulsion, the more frequent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f the subjects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the sexual compulsion on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impact decreases when there is positive parents-children interaction. The researchers suggest possible practical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 for the sexual violence problems in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음란물 접촉,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공격성을 중심으로

        이진석,김재엽,황선익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h between pornography contact,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ggression as mai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exual violence. The participants were 1,6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variables. Th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in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5%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offended sexual violence and 70.7% had contacted pornography. Second, the path between major variables was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xual violence. Third, in terms of the problem that committing sexual violence is mediated by aggression, pornography contact was more closely related to committing sexual violence than parent-child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o prevent youth from committing sexual violence, to block pornography contact, and to encourage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in order to alleviate aggress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서 음란물 접촉,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그리고 공격성의 경로를 분석 및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지역 중․고등학교 9개의 중․고등학생 1,60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변인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진행하였으며, 주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자 중 9.5%가 성폭력 가해행동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음란물을 접촉한 빈도는 조사대상자의 70.7%가 경험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로계수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을 매개로한 성폭력 가해의 문제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낮은 정도보다 음란물 접촉이 높은 정도가 성폭력 가해행동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을 방지하고자 음란물 접촉을 차단하고 부모-자녀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권장하여 공격성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성폭력 가해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최상열,박영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가해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 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A시 가정법원에서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위 반으로 ◯◯상담연구소에서 20시간의 수강명령을 받게 된 ◯◯대학교 1학년 남자학생이다. 연구도구는 Reivich와 Shatté(2003)가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회복탄력성 지수검사를 김주 환(2011)이 한국인에 맞게 번역하여 개발한 한국형 회복탄력성지수(KQR-53)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연구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이 되었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하위영역(자기조절, 대인관계, 긍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를 통해 내적 욕구와 부정적 감정을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자기조절 능력, 의사소통 방식, 그리고 긍정성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이들에게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국 미술치료 접근법 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교정에 매우 의미 있는 접근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for the recovery of resilience of a young sexual offender. The study subject is a college male freshman, who was ordered to attend a 20-hour lecture program of preventing sexual offense by the Court of Family Affairs in city A. He was arrested by violating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Juveniles’s Sex. The research tool used in the study is Korean Quotient of Resilience-53, which was developed by Reivich & Shatté(2003) for adults,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J. H. Kim(2011) for Kore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ly, the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impact on the resilience of the young sexual offender. The posttest result, measured after the art therapy,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in his resilience, compared to the pretest. Secondly, the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ordinate areas(self control, personal relations, and affirmation) of the subject.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art therapy helps the study subject manage his inner desire and express his feelings securely, so diverse changes are revealed in his self control, way of personal relations, and affirmation.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art therapy approach has the effects of decreasing the violation rates of the young sexual offenders.

      • KCI등재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 정신병리에 따라 분류되는 하위 집단 간의 비교

        이영준 한국보호관찰학회 2021 보호관찰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성폭력 가해 청소년들의 정신병리 수준에 따르는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03년에서 2011년 사이에 성범죄로 보호관찰 혹 은 소년원 입원의 처우를 받고 있던 1,000명의 남자 청소년이었다. K-YSR 청소년 자 기행동평가의 결과에 따라 외현화 집단(n=239), 내면화 집단(n=60), 혼재 집단 (n=120), 비임상 집단(n=581)의 네 개 하위집단이 구분되었고, 가족관계, 사회적 관 계 및 자존감, 분노감, 성폭력에 대한 인지적 왜곡, 성적 대처 등의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혼재 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부적응적인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정신병리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치 료적 개입의 내용과 구성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subgroups of juvenile sex offenders according to the psychopathology. A total of 1,000 juvenile sex offenders from probation center and juvenile training school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subgroups of juvenile sex offend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sychopathology which were reflected in the T scores of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scales; Externalized (n=239), Internalized (n=60), Mixed (n=120), and Non-Clinical group (n=581), and group comparisons of the mean on the domains such as family relationship, soci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anger, cognitive distortion about sexual violence, and sexual coping were conducted. As a result, Mixed group was most dysfunctional at all of the domai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itial evaluation for psychopathology of juvenile sex offenders is important for planning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 KCI등재

        청소년 성폭력가해자들의 피해자 공감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고정애,박경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를 대상으로 피해자에 대한 공감향상 및 성범죄재발 방지를 위해 Marshall과 Fernandez(2002)의 공감발달 4단계모형을 기반하여 피해자 공감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조망력등 피해자 공감 핵심요소를 토대로 총 10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성폭력 범죄로 수강명령을 받은 보호관찰 청소년들로 연구에 동의한 실험집단(3집단) 24명과 비교집단(2집단) 21명이다. 실험집단은 피해자 공감향상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인지행동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자기 성폭력 피해자’와 ‘일반 폭력사건피해자’에 대한 공감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대인간 공감력’ 및 ‘타인조망력’도 유의하게 높아졌다. ‘강간통념’의 변화는 각 집단 내에서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 프로그램개입이 청소년성폭력 가해자들의 피해자에 대한 공감력과 대인간 공감(IRI)수준을 향상시키고 강간통념지수는 낮추어 향후 성폭력 재발을 방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development for enhancing empathy to the victim of juvenile sexual offender. The study of empathy-deficiency to the victim is carried out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pilot study. This program is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Victim Empathy Model and Empathy Theory(Marshall, 1995). The composition of Victim Empathy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four stages - emotion recognition, perspective taking, emotion replication, and response decision - and performed for forty hours in ten sessions. First, in the scale of measuring Empathy to the Victim, the Treatment for Enhancing Empathy to the Victim(TEEV) enhanc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Second, in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the TEEV also changed significantly contrary to the CBT. Last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measuring Rape Myth. In accordance with this result, TEEV is more effective than CBT in the scale of measuring Empathy to the Victim and IRI, while Rape Myth does not show noticeable result. And so forth, the meaning, restriction, application, and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of TEEV is discussed.

      • KCI등재

        인터넷 음란물 경험과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이충환,신준섭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rect influence of the Internet pornography and self-control on sexual violenc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a total of 210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self-control theory, in addition, it examined the role of self-control as a buffer in the development of the exposure to the Internet obscene materials into sexual assault.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Even though the Internet pornography revealed a direct influence on sexual violence, the effect of self-control was minor. In a causal relation between the Internet pornography and sexual violence, self-control revealed a buffer effec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trol is able to control or diminish the negative effects of the Internet pornography on sexual violence to a certain level. 본 연구는 210명의 고등학생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인터넷 음란물과 자기통제력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또 인터넷 음란물의 과다한 이용이 성폭력으로 발전하는데 있어 자기통제력이 완충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검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인터넷 음란물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인 반면 자기통제력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터넷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행동의 인과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은 유의한 수준의 완충효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일정 수준에서 조절 또는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성폭력 가해행동 문제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청소년 성교육 활성화 방안과 자기통제력 증진방안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