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인 ADHD 성향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 대한 자기존중감과 자기지각의 매개효과

        김상현,이봉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5 인격교육 Vol.9 No.3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DHD, self-esteem, self-percep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of adults with ADHD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Korean Adult Young ADHD Questionnaire-Self-Report (K-YAQ-S), the self-esteem scale, the self-perception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IIP-C) were administered to 478 college students (male, 194; female, 284) in Chungchungbuk-do. For the analysis of data, a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rough a pair-wise correlation analysis was examined, and the effects among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were validated by a path analysis through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adult ADHD scales and self-esteem, and self-perception.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adult ADHD scal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e self-esteem is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scores of adult ADHD scal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findings suggest that adults with ADHD tendency have a lower self-esteem and self-perception than those without ADHD tendency and have more difficulties with interpersonal problems than those who did not complain of ADHD symptoms, explaining that a low self-esteem exhibited by adults with ADHD tendency may be responsible for the problems on interpersonal relations. Adults with ADHD tendency were particularly more self-centered, have more difficulties expressing their own emotions, seek more attention from people around them at the same time, and are more sensitive to others’ desires, thus neglecting their own situation, than those without ADHD tendenc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을 보이는 집단의 자기존중감, 자기지각,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인 ADHD의 특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 자기지각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78명(남: 194명, 여: 284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성인용 자기보고형 Young ADHD 척도(K-YAQ-S), 자기존중감 척도, 자기지각 척도, 한국판 대인관계 문제 원형 척도(IIP-C)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이원상관관계분석을 통한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으로 각 변인 간 영향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척도점수와 자기존중감, 자기지각은 부적상관을 보였는데 아동 ADHD의 경우에는 ADHD 특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보다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자기지각이 아동 ADHD, 성인 ADHD를 구분 짓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성인 ADHD 척도점수와 대인관계 문제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성인 ADHD 척도점수와 대인관계문제에서 자기존중감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 ADHD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이 성인 ADHD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사람보다 낮은 자기존중감과 부정적인 자기지각을 갖고 있고, 대인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성인 ADHD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의 낮은 자기존중감이 대인관계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특히, 성인 ADHD성향을 보이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자기중심적이며, 정서표현을 어려워하고 있으며 동시에 주변의 관심을 바라고 있으며, 타인의 욕구에 지나치게 민감하여 자신의 처지를 고려하지 않기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 아직 연구가 저조한 성인 ADHD에 대한 연구라는 점, 성인 ADHD가 가진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미란,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tendencies and depression. Participants included 266 college students and non-students (mean age 21.68 years, male 135, female 131) in the Gyeongnam and Gyeongbuk areas.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the Conners ADHD scale (K-CARRS), the Korean version of the K-DERS scale, the self-encouragement scale, and the Korean depression scale (KD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 analyzed whether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is medated when adult ADHD tendencies affects depression. As a result, Adult ADHD tendencie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epress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ncouragement. Also,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dysregulat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ncouragemen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tendencies and depression was found to be mediated by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This suggest that Adult ADHD tendencies directly affects depression but indirectly affectc throug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This study confirms the role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between the Adult ADHD tendencies and depression in auldt ADHD. This paper also dicus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참여자는 경남, 경북 지역의 대학생 및 일반인 266명이었다(평균 연령 21.68세, 남성 135명, 여성 131명). 이들을 대상으로 Conners 성인 ADHD 척도(K-CAARS),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자기격려 척도, 한국 우울증 척도(KDS)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통해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인 ADHD 성향은 정서조절곤란, 우울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자기격려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울은 정서조절곤란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자기격려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각 변인 간의 관계성을 검증한 결과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지만 간접적으로도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이르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밝혔다고 볼 수 있겠다. 이에 더해, 성인 ADHD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우울문제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내 성인 ADHD 연구 동향 분석

        이재욱 한국발달장애학회 2019 발달장애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성인 ADHD 논문을 수집 분석하여 앞으로의 성인 ADHD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8년 6월까지 5곳의 논문 검색사이트에 게재된 성인 ADHD 논문 47편을 수집하여 게재연도, 학회지,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6년도에 8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2018년 1월부터 6월까지가 6편이었다. 학회지는 한국심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이 20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은 조사연구가 30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실험연구로 13편이었고, 연구 주제는 성인 ADHD 증상과 정서 관련이 15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성인 ADHD 심리기능으로 10편이었다. 연구대상은 ADHD (성향) 대학생이 29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대학생도 군인이 아닌 ADHD (성향) 성인이 11편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DSM-5 진단안 제시, 성인 ADHD에 대한 심리 치료의 필요성, 연구 패턴, 성인 ADHD 증상의 심각성, 연구대상으로의 적합성으로 논의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서 질적연구의 확대와 대학생도 군인이 아닌 ADHD (성향) 성인에 대한 연구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adult ADHD in journal articles from 2007 to 2018 in Korea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of adult ADHD study. Based 47 articles related to adult ADHD, number of articles per year, type of research, and subjec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dult ADHD studies made the most active in 2016 and 2018. In terms of research method, survey research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all studies,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variety subjects,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ADHD symptoms, emotion traits,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sychiatric comorbidities.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 with ADH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tudy suggested further research prospects and task.

      • KCI등재후보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

        조재철,김진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1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성인 433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ADHD 성향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인 ADHD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의 상위집단의 점수가 낮았고, 알코올 중독은 상위집단의 점수가 높았다. 둘째, 성인 ADHD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알코올 중독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은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알코올 중독은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이차적인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낮은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원인이 ADHD가 될 수 있고 이는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예방과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ult ADHD tendency on self-esteem and alcohol addiction. For this purpose, 433 adul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alcoholism according to adult ADHD tend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elf-esteem and sub-factors of alcoholism. The higher adult ADHD, the lower score of high class in self-esteem, and the scores of the upper group were higher in alcohol addiction. Second, the correlation among adult ADHD tendency and self-esteem, and alcohol addiction was found. As a result, it showe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low correlation with alcoholism, and sub-facto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dult adhd tendency on self-esteem and alcoholism,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sub-factor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DHD tendency affects self-esteem and secondary problem of alcohol addiction. In other words, low self-esteem and alcoholism can be causes of ADHD. And it suggests that multifaceted and integrated-prevention treatmen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성인 ADHD 성향과 성인초기 우울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지지의 이중매개효과

        안재순 대한스트레스학회 2023 스트레스硏究 Vol.31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social support, ADHD traits, and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and by using the double-mediation mode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rst two variables on the last two.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146 male and 155 female adults aged between 19 and 34, from whom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 Adult ADHD Self-Report Scal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depression subscales of the mental health test developed by Suh et al., an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Iverson et al.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dult ADHD trai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In add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whereas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Finall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sequentially mediated adult ADHD traits and depression. Conclusions: This sequential double-mediating effect is of great academic significance and suggests that improv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may be effective in mitigating the negative effect of ADHD traits on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본 연구에서는 성인초기의 ADHD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사회지지 및 우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인 ADHD 성향과 우울 간의 관계를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지지가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성인 남성 146명과 여성 155명이었다. 성인 ADHD 성향은 대인관계 유능성이나 사회지지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우울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대인관계 유능성은 사회지지와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우울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지지는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성인 ADHD 성향과 우울 간의 관계를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지지가 순차적으로 매개하고 있어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지지를 개선하는 것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 KCI등재

        성인 ADHD와 우울한 성인의 인지통제 결함: 순행성 통제와 반응성 통제 요구도에 따른 AX-CPT 수행 비교

        김인용,박태원,김호영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4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control deficits in adult ADHD from the perspective of 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which posits that cognitive control operates via two distinct dimensions, i.e.,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X-CPT, including nogo trials, was utilized to tap cognitive control processes in a sample of 27 adults with ADHD, 17 adults with depression, and 29 healthy adults. The performance of adults with ADHD w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with depression as well as healthy adul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which is a common comorbid condition in adult ADHD. AX-CPT is a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onsisting of four types of cue-probe pairs (AX, AY, BX, BY) and requires participants to respond to a probe based on a preceding cue. AX pairs are target pairs matched with a target response, and other pairs are non-target pairs matched with a non-target response. The pro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the proportion of AX trials(AX-40 vs. AX-70) and the re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nogo trials(base vs. nogo). The order of the two AX-proportion conditions were counterbalanced, and the base condition and the nogo condition were implemented in order within each AX-proportion condition. The adult ADHD group showed lower accuracy than the depression group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the performance of BX trials that require proactive inhibitory control. Both the ADHD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performed low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nogo trials that require reactive inhibitory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ults with ADHD have a deficit in overall cognitive control, including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nd the reactive control deficit of adult ADHD may be associated with comorbid depression as well as ADHD itself. 본 연구에서는 순행성 통제(proactive control)와 반응성 통제(reactive control)로 구분되는 기제를 통해 인지통제가 작동한다는 인지통제의 이중기제(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이론의 관점에서 성인 ADHD의 인지통제 결함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ADHD 27명, 정상 대조군 성인 2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성인 ADHD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이 인지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HD가 아닌 우울한 성인 17명도 참여하였다. 인지통제 과제로 사용된 AX-CPT는 4가지 유형의 단서-탐색자극 쌍(AX, AY, BX, BY)으로 구성되며, AX에는 표적 반응을 나머지 자극 쌍에는 비표적 반응을 하게 하는 연속수행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적 반응에 대응하는 단서-탐색자극 쌍인 AX의 비율(AX-40 vs. AX-70)로 순행성 통제의 요구도를, 탐색자극 대신에 반응을 억제해야 하는 nogo 자극이 제시되는 nogo 시행을 이용(기저 vs. nogo 조건)하여 반응성 통제의 요구도를 조작하였다. AX-비율 조건은 역균형화하였으며, AX-비율 조건 내에서 기저 조건, nogo 조건 순으로 실시되었다. 성인 ADHD 집단은 단서를 이용하여 반응을 사전에 준비하는 순행성 통제과정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데 비해, 우울 집단은 강력히 편향된 반응을 순행적으로 억제해야 조건(AX-70의 BX)에서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반응성 통제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nogo 시행에서는 ADHD 집단과 우울 집단 모두 정상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ADHD가 순행성 통제와 반응성 통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통제의 결함을 가짐을 시사하며, 반응성 통제 결함은 이차적 우울의 영향도 혼재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성인 ADHD 성향군의 억제결함: 안구운동 연구

        박지연,장문선,곽호완,박형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adult ADHD by assessing the inhibition deficit in adult ADHD. That i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d whether primary symptoms of ADHD such as inattention,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continued until adulthood. Therefore, Adults ADHD were compared with controls using two neuropsychological experiment tasks. First, we used the modified Stroop task through eye-tracker. Stroop task is used to investigate adult ADHD with deficit through movement and control of attention. Later, we used the modified Stroop task and Priming-Stroop task to examine ADHD tendency concerning deficit of sustainable attention and response inhibition. As a result, lower response time was observed in ADHD tendency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Beside, higher Stroop effect rate was observed in ADHD tendency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wo groups had different response accuracy. That is, ADHD tendency groups responded too slowly and impulsively. This means that ADHD tendency groups ha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se results show that ADHD tendency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had a difficulty in controlling attention and inhibition. We found that the ADHD tendency groups has impulsive and inattentive tend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valuabl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symptoms in adult ADHD tendency group. However, these results have some limitations and cannot be generalized to adult ADHD. Future studies, are necessary to generalize characteristics of adult ADHD by conducting tasks with other samples. 본 연구는 안구운동측정을 이용하여 실험 과제들을 수행하는 성인 ADHD 성향군이 억제능력의 결함과 안구운동패턴에서 유의한 차이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실행기능의 억제 측정에서 대표적인 인지 과제 ‘스트룹 과제’를 안구운동장비에 사용가능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사용한 ‘스트룹 과제’를 수정하여 스트룹 과제가 제시되기 전 선행 자극으로 점화 단서를 제시한 ‘점화 단서-스트룹 과제’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1에서는 성인 ADHD 성향군이 통제군과 비교하여 자극에 대한 평균반응시간에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동공크기, 응시점 수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ADHD 성향군이 모든 과제에서 통제군보다 느린 평균반응시간을 나타냈으며 통제군이 관련-불일치 자극과 비관련-불일치자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성인 ADHD 성향군이 실행기능 중 억제능력의 결함으로 인하여 자극 탐색을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성인 ADHD 성향군은 제공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고 지속적으로 주의 유지와 철회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들은 성인 ADHD 주요 특성 중 억제능력 결함이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과 성인 ADHD의 안구운동 패턴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 ADHD의 증상과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학 태권도선수들의 성인 ADHD 성향 실태조사 분석

        김종수,신호철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2 코칭능력개발지 Vol.24 No.4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성인 ADHD 성향에 대한 실태를 조사를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성인 ADHD 성향에 대한 실태조사를 위해 전국 15개 대학의 태권도선수들을 대상으로 Conners 성인 ADHD 평정 척도(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Korean: CAARS-K)를 사용하였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설문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총 회수된 유효표본은 298부로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태권도선수 298명의 ADHD 성향을 분석한 결과 ADHD 성향군 19명(6.4%), ADHD 고경향군 27명(9.1%), ADHD 저경향군 122명(40.9%), ADHD 비성향군 130명(43.6%)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태권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성인 ADHD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주의-기억문제 요인과 과잉행동-초조함 요인에서는 남녀 간의 통계적인 유의차가 존재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충동성-정서적 불안정성 요인은 남녀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태권도선수들의 학년에 따라 성인 ADHD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태권도선수들의 지역에 따른 성인 ADHD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지역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가 성인 ADHD에 관한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ADHD 운동선수 본인 스스로가 인지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소극적 대처방식과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김천우(Cheon Woo Kim),박재우(Jae Woo Park) 한국심리치료학회 2023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39세 성인을 대상으로 성인 ADHD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소극적 대처방식,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세부터 39세까지 남성 150명, 여성 15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성인 ADHD에 대한 연구동향과 달리 대학생이 아닌 연구대상을 선택했다는 점과 기존 연구에서 보기 드물었던 소극적 대처방식과 심리적 수용의 2개 변인을 사용하여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은 정적으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수용은 성인 ADHD 성향과 우울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극적 대처방식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극적 대처방식은 성인 ADHD 성향 및 우울과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주목할 점은 심리적 수용과 소극적 대처방식이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 있어 순차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ve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propensity and depression in adults aged 20 to 39.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150 adults aged 20 to 39 in men and 150 in women. Unlike research trends on ADHD in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lected research subjects other than college students and used two variables, passive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hich were rare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First, adult ADHD propensity and dep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th adult ADHD propensity and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ssive coping style. Thir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on passive coping styles with adult ADHD propensity and depression. Most noteworthy is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passive coping style have verified the dual mediating effect that sequentially affects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propensity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역기능적 상위인지와 부정적 정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인 ADHD 성향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효운,김정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ysfunctional meta-cognition and negative emotion on smartphone addiction in adults with ADHD tendency.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300 university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dult ADHD rating scale, dysfunctional meta-cognition questionnaires, depression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smartphone addiction self rating scal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emotion(depression, anxiet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 of adults with ADHD tendency, both dysfunctional meta-cogni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roups of adults with ADHD tendency. The upper group of adults with ADHD t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of negative beliefs about uncontrollability of thoughts and danger, depression, beliefs about need to control thoughts; the lower group in order of depression and beliefs about need to control thought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ADHD 성향 집단별로 역기능적 상위인지와 부정적 정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 1,300명을 대상으로 성인 ADHD 평정 척도, 역기능적 상위인지 질문지, 우울 척도, 상태 불안 척도 및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부정적 정서(우울, 불안)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역기능적 상위인지와 스마트폰 중독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성인 ADHD 성향 집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차이를 나타냈다. 성인 ADHD 성향이 높은 집단의 경우 사고통제 불가능과 위험에 대한 부정적 신념, 우울, 사고통제 필요성에 대한 신념의 순으로, 성인 ADHD 성향이 낮은 집단의 경우 우울, 사고통제 필요성에 대한 신념의 순으로 각각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