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성별 차이 대표문항 분석 연구

        김혜숙(HyeSook,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2

        본 연구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사회과의 학업성취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기 위해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문항 126개의 성별 정답률 차이와 성별 차이 대표문항을 분석하였다. 성별 정답률 차이의 분석 결과, 초중고 모두 여학생의 성적이 우수한 편이었다. 내용영역 중에서는 일반사회 영역의 성별 차이가 가장 컸으며, 학교급 중에서는 중학교의 성차가 가장 컸다. 성취수준별로는 우수학력의 남녀 차이가 가장 적은 반면, 기초학력의 차이가 가장 컸다. 성별 차이 대표문항의 분석 결과, 남학생은 여 학생에 비해 지리적 위치 정보의 기억에서 우수한 편이었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분석적 사고 및 자료 의미 파악 능력에서 우수한 편이었다. 묻고자 하는 지식 혹은 주제의 범위와 폭이 넓은 경우 남학생이 더 우수하고, 좁은 범위의 사실 및 지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요구하는 경우 여학생이 더 우수했다. 대체로 정답률이 낮은 고 난도 문항에서는 성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현상과 관련된 내용을 묻고 있는 경우 여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밝힌 성별 차이에 대한 정보는 현장교사들이 성차를 고려한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회과의 학력 향상을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analyzed 2009 National Assessment of Evaluation Achievement(NAEA) 126 items to comprehend the gender difference i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record of female students was excellent in all school levels. Looking into content area, female students‘score of social studies was very excellent at all school level. The biggest achieveme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was found in the middle school. Looking into achievement level, the gender difference was small in ‘advanced level’, ‘below-basic level’ and was the biggest in ‘basic level’.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representative items, when the items were to remember location information or to synthesize a broad knowledge, male students‘score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score. But female students were more excellent than male students when they were asked the analytical thinking 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aterial and were needed the precise recall of relatively narrow scope‘s fact and knowledge. Generally, gender difference was small in difficult items. But the correct answers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s’ in the items to ask real life‘s event or familiar contents. This information may be useful when the social studies’teachers intend to build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considering the gender difference. And this result ultimately will be able to use by data for improving of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의 성별 차이 현황과 해결 방안

        최경희,신동희,이향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ze the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wards science among regular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secondly, to examine the facts on the ratio of wo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further explore efficient strategies to reinforc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s results, there was an evident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This also contributed to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lack of a role model for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effects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who pursue further stud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graduat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to be substantial government action, a change of attitude towards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fforts to improve the gender factors in teaching/learning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차의 실태를 분석하고 성차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태도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교육적 요인을 일반 과학교육과 영재 과학교육 현황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기술 분야에서 성차 해소를 위한 국내외 정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는 남녀 학생의 성차가 명백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수학·과학 영역의 국제비교연구인 TIMSS와 PISA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의 성차는 다른 참가국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 이러한 현상은 성취도뿐 아니라 태도 영역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학에 재능과 흥미가 있는 여학생은 과학기술 분야로의 진학과 직업선택을 포기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낮아지게 되며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의 경우, 정규직 교수는 10%대, 책임급 연구원 이상의 비율은 한 자리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 모델을 축소시킴으로써 다시금 과학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형태로 순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서 성차 개선 노력, 과학기술과 여성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사회적 노력, 국가 차원의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 남녀 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원숙연,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2

        The rapi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families and the workforce have made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and family increasingly important.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many organizations, especially in the Korean public sector, have implemented programs or policies to accommodate conflicting needs from work and family. However, it is doubtful if the various policy measure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fulfill the needs in reality, in terms of policy formalism. In order to identify the gaps between policy rhetoric and realit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need to be given atten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substantial effects of informal social supports on the work-family interface, paying special attention to gender differences and marital status. The work-family interface consis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dditionall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the work-family interface have three sources; that is, from supervisors, co-workers,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 particula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civil serv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s and the work-family interface.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for men was higher than women. Moreover, women reported a higher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Second, in every facet, married women experienced in the hardest conditions. They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s. Third, organizational suppor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conflict. Likewise, supports from co-worke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facilitation(->enhancement). These findings have certain implications. Firs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hat is, in planning policy measures,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the differentiated conditions faced by married women need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can either advance or thwart the fectiveness of work-family programs. Family-friendly policy or programs should be directed towards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현실적으로 일-가족은 분리될 수 없는 상호의존적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의 구조와 관행은 이들이 분리 가능하다는 전제에 입각해 있다. 이러한 현실과 관행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조직 구성원은 갈등 상황에 노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조직의 일-가족 양립을 돕기 위한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이 일-가족 갈등(work-family conflict) 및 일-가족 촉진(work-family enhancement)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 일-가족 촉진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동료지원, 상사지원, 조직지원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지원이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의 경험을 반영하는 성별차이에 특히 주목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25개 구청에 소속되어 있는 750명의 남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험적 연구결과,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현격한 성별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회적 지원을 구성하는 동료, 상사, 조직 등 모든 차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낮은 수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가족 갈등은 남성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결혼이나 자녀유무가 갖는 의미가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즉 남성은 혼인상태나 자녀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크지 않은데 반해 여성에게 있어서 결혼은 집단 간 차이를 발생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일-가족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작용경로를 살펴본 결과, 일-가족 갈등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조직지원임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우, 결혼유무가 일-가족 갈등에 중요한 영향요인이지만 남성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일-가족 촉진의 경우, 남녀 모두 동료지원이 강한 영향을 미치는데 남성의 경우는 상사의 지원도 한정적이나마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가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 및 양성평등에 갖는 의미를 젠더관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를 기초로 향후 연구 방향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情意的 領域을 부과한 漢文科 授業이 학업성취도 및 情意的 領域에 미치는 효과

        이미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8 漢字 漢文敎育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practical attitudes for living, learn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mate relation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rmulated. First, Which is more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r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Second, Which is more effective in the affective domain o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r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s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Third, Whe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s more affective in the affective domain on the low, middle or high academic achievement group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study,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questionnaire by Likert measurement as a test method was used. The respondence from the questionnaire were processed in SPSS/WIN 10.0.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we found that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increas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growing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such as practical attitudes for living, learn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mate rela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as a means of the formating student's sound view of value and warm human nature from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들에게 건전한 가치관과 올바른 인성을 길러 주기 위해 정의적 영역이 부가된 한문과 수업을 하고 이 수업으로부터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도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설설정과 함께 중학교 3학년한문교과서에서 정의적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정의적 영역 전체 및 각 영역별 성별효과와 학업성적차이에 따른 학습효과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표본은 중학교 3학년 남녀공학 2개 학급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 사후검사 평균점수가 4.3294점 더 높게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 전체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실험집단 남학생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한문에 대한 學習態度 전체 효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실험집단 여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自我尊重感 전체 효과에서는 두 집단 중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生活態度와 交友關係 전체 및 성별효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 차이에 따라 정의적 영역 전체 및 남녀별로 미치는 효과에서는 각 집단간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체 효과에서 상위성적집단이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도 남녀 모두 상위성적집단이 제일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적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험집단 학생들이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이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성적차이를 고려한 정의적 영역 전체 및 성별효과에서는 학업성적이 하위 및 중위성적집단보다 상위성적집단이 제일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대학생 성격 속성 및 위험기피도의 성별 차이에 관한 실험연구와 그 노동 및 교육 정책적 함의

        이진권 ( Jinkwon Lee ) 텔코경영연구원 2022 텔코 저널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49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빅 파이브 성격 속성에서의 성별 차이와 위험기피도에서의 성별 차이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성격 속성과 위험기피도가 청년층의 취업확률 및 임금 등에 영향을 준다는 많은 선행연구들을 고려할 때, 성격 속성과 위험기피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성격 속성 및 위험기피도 성별 차이에 의해 노동시장 성과의 성별 격차가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며, 따라서 해당 문제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특히 성격 속성 중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성별 차이가 위험기피도 성별 차이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성과 위험기피도가 청년층 취업확률 및 임금에 있어서의 성별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한 메카니즘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시장 성과에서의 성별 격차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성격 속성 및 위험기피도 성별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유청소년기 교육 정책이 또한 필요함을 제안한다.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risk attitudes, using data collected in two independent experiment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N=495). Given that both personality and risk attitude can affect an employment probability and wage, clarifying the relationship is important for setting a policy for resolving a gender difference in job market performances. We fin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except extraversion, and a possibility that a gender difference in risk attitude mediates a gender difference in openness. Based on this finding, we suggest a mechanism by which gender differences in openness and risk attitudes may cause gender differences in job market performances. Our results support that early age educational policies reducing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risk attitude would be important for resolving a gender difference in labour market performances.

      • KCI등재

        대학생의 도박 중독에 관한 연구

        신현주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15 한국범죄정보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대학생의 도박 중독에서의 성별 차이를 자기통제이론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대학생들의 도박 중독 유병률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자기통제이론으로 어떻게 설명 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조사된 자료를 통하여 도박 중독에서 성별 차이를 파악하고 자기통제이 론으로 검증이 가능한지 분석하고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의 도박 중독에서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이러한 차이가 자기통제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한지, 그리고 성별 차이에 따른 도박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의 편의표집방법에 의해, 강원도 내 2개의 지역 도시에 소 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생 26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방법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도박 중독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및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도박중독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통제이론에 서 주장한 바와 같이 성별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하지만 여학생의 저위험 도 박 수준에서만 자기통제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도박 중독 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별에 따라 그리고 중독 수준에 따른 특화된 예방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 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ability of self-control theory to account for the 'gender gap' in gambling addiction. The data that we have analysed here were obtained from a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in Kangwon area.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265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is results were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ng.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gambling addiction, thus these data reveals the presence of a gender gap with males being more problem gambling. And we found that self-control is related significantly with both male and female gambling addiction. Focusing on such results, the author discussed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Students’ Foreign Language Learning: Effects of Gender on Oral Proficiency Improvement across Proficiency Levels

        Kim, Na-Young(김나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성별의 차이가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국내 IT 전공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국어 능숙도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눈 뒤, 성별에 따라 외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 소재의 한 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 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204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 남학생은 100명, 여학생은 104명이었다. 총 16주 동안 모든 참가자들은 일주일에 한번씩 3시간동안 외국어 수업을 들었고, 수업 전후 성별에 따라 외국어 실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시험을 보았다. 또한 외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도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 역시 진행하였다. 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에서 외국어를 배우는 것은 고급 수준의 남학생을 제외한 모든 능숙도 수준의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초급 및 중급 수준에서는 외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대한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고급 수준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아 외국어 학습에 대한 유의미한 성별 차이를 보였다. 인터뷰 결과, 외국어 학습에 대한 반응 역시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지만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외국어 교사들이 어떻게 해야 학생들을 성별과 능숙도에 따라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across proficiency levels on foreign language learning among Korean students majoring in IT at a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nts were 204 students (100 males and 104 females) who enrolled in a 16-week class to improve their English oral proficiency in 2017.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ir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took an OPIc test as pre- and post-tests. Interviews were then perform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with foreign language learning. Paired samples t-tests and independent t-tests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and to determine gender difference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indings reveal that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Korea is effective for both genders at all proficiency levels, except for male students at advanced level.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novice and intermediate levels. However, at advanced level, female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male students. An analysis of interview results was positively observed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gender. The current study provides insights on how foreign language teachers can help their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proficiency.

      • 한국어에서의 성별 차이와 그 원인 해석 -여성어를 중심으로

        여춘연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6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4 No.-

        어느 민족어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어에서도 여성어와 남성어는 서로 다르다. 크게 보면 우선 여성과 남성의 성별 차이 즉 생리적 구조가 다른 연유로 인하여 목소리나 음역 범위가 다르기도 하고 소리 빛깔이 다르기도 하며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말의 속도, 문장 구조의 복잡성 등과 같은 것)도 다르다. 다음으로 사회 심리와 사회 문화 등 요인의 영향으로 하여 여성과 남성이 사용하는 어조, 어휘, 문법, 문장 표현 등의 모양새도 다른 것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누구나 쓸 수 있지만 특히 여성들이 주로 쓰는 말들을 자료 대상으로 하여 음운, 어휘, 형태, 문장 등의 측면에서 한국어에서 언어 사용상의 이러한 성별 차이를 분석해 보고 이 차이에 대한 해석들을 함께 고찰해 보기로 한다. 與其他民族語言一樣, 韓國語中也存在着性別差異。 本論文以女性語言爲硏究的出發点, 運用大量實例, 從語音、詞匯、形態、句子等四個層面剖析了韓國語實際運用中表現出來的性別差異, 幷分別從生理構造、社會心理和社會文化等多個角度對性別差異産生的原因進行了解析, 以期提高韓國語學習者的語言溝通能力。

      •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성별에 따른 컨설팅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상석,고인곤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에 대한 컨설팅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컨설팅 제공자의 유형에 따라서 기업 성과가 차이를 보이는지, 나아가 이러한 측면들이 최고경영자의 성별과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업종, 기업형태, 설립 후 경과연수, 매출액, 종업원 수 등 기업의 일반적 특성들은 업종을 제외하고는 최고경영자의 성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컨설팅 활용 및 효과측면에서도 성별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여성 기업들은 남성 기업에 비하여 적극적인 정보탐색 및 처리 행태를 보이며, 컨설팅 효과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비교적 단기간에 컨설팅 결과를 실행에 옮기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남성과 여성의 정보처리 패턴 차이와 자아개념의 차이 및 자기관리 초점(self-regulative focus)상의 차이, 대상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 등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에는 대안적 설명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설문대상 여성 기업들은 기업형태와 설립 후 경과연수, 연간매출액, 종업원 수 등에서 남성 기업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이 컨설팅을 받는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 대한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정부나 대학교, 전문기관 등 컨설팅 제공 부문에서의 시사점으로서, 기업 특성 및 컨설팅의 활용/효과 등에서 남성 기업과 여성 기업은 차이를 보이므로 접근방법을 달리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컨설팅을 받는 기업에서의 시사점으로서, 남녀 기업 간에는 성별차이 내지는 효과가 존재하므로 이를 이해하여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기업 경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효율적인 경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외적으로 선행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기업들 간에 최고경영자의 성별과 기업특성 변수, 컨설팅 활용 및 효과 등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것은 초기의 탐색적 연구로서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consulting implementations and effects, and consulting needs of small business owned women and men. 121 women business owners were drawn at random from the membership directory of KWEA (Korea WOMEN Entrepreneurs Association), and 175 samples of men business owners were drawn from the small business which are located at metropolitan area. This paper analyzed the differences in needs of business owned women or men in korea for consulting assistance. As a result, we found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consulting needs between the small businesses owned women and men. Some guidelines for practicing small business as a result of this would include;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business consulting approach in gender perspectives; secondly, business owners should be developed for positive impacts of effective consulting programs according to these gender difference effects.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차이에 관한 연구

        임윤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에서 있어서 성별에 따른 사고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기술적 문제해결과 관련된 선행연구 가운데 성별에 따른 문제해결 차이를 분석한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 3학년을 모집단으로 인구비례를 고려한 유의표집을 통해 선정된 426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도구이며,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890이다. 자료의 수집은 우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검사에 참여한 학생의 검사지를 전량 회수하여 100% 분석에 활용하였다. 검사도구의 채점은 연구자와 전문가 2인을 포함하여 3인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채점 점수를 바탕으로 SPSS 21.0K를 활용하여 기술 통계치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을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산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 둘째, 수렴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지 않다. 셋째, 시각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 넷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의 종합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below TPS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426 people selected through the sampling considering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population nationwide. The testing instrument of TPSTS that developed by Lim & Choi(2014) was used. The reliability of the TPSTS was Cronbach’s α coefficient 0.890.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mail, the all test materials were applied in analysis. The Scoring of this study was done through 3 scorer. Analysis of the data by utilizing SPSS 21.0K scoring points based on the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technology and gender statistic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Skills of girls is higher than boys . Second, Con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boys is not high than girls . Third , Visual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of girls is higher than boys. Fourth, TPSTS total score of male students is not high than femal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