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부조직에 발생한 단소성 섬유 종양의 임상 결과

        공창배(Chang-Bae Kong),최성우(Sung Woo Choi),조상현(Sang-Hyun Cho),송원석(Won-Seok Song),조완형(Wan-Hyeong Cho),고재수(Jae-Soo Koh),전대근(Dae-Geun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연부조직에 발생한 단소성 섬유종은 드문 종양으로,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연부조직 단소성 섬유종 환자들의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단소성 섬유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임상 기록, 자기공명영상,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가 4예, 여자가 2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5세(32-56세)였다. 한 명의 환자에서 광범위 절제술, 다섯 명의 환자에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4예에서 현미경적으로 절제연에 종양세포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추가적인 수술 및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절제술 후 조직학적 진단은 단소성 섬유종이 4예, 악성 단소성 섬유종이 2예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25.8개월(6-66개월)이었으며 국소 재발이나 원격 전이가 발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단소성 섬유종은 재발과 전이가 잘 되지 않는 중등도 종양으로 신경, 혈관, 뼈와 같은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에 종양이 근접한 경우 이를 보존하는 수술법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절제연 양성의 결과가 나왔을 경우 환자에게 국소 재발의 위험성이 높음을 주지시키고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Purpose: Solitary fibrous tumors (SFT) represent a rare entity of soft tissue tumors which are exclusively located in the thoracic cavity as pleural fibrous tumors. Extrathoracic SFT in the soft tissues are very rare. We analyzed the oncologic outcome of the soft tissue SF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4, we treated 6 soft tissue SFT cases. Patients’ clinical data, magnetic resonance imagings and pathologic findings were reviewed. Results: The patients included two women and four men.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5 years (range, 32–56 years). The mean tumor size is 7.2 ㎝ (range, 3.5–13.0 ㎝). One patient received wide excision of the tumor and remaining 5 patients marginal excision. After the excision, pathologic report confirmed that 4 patients showed margin positive. However, no patient received further surgery or adjuvant treatments. After the immunohistochemistry, 2 out of 6 patients identified as malignant soft tissue SF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5.8 months (range, 6–66 months). Although 4 patients revealed margin positivity, no subsequent local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was observed. Conclusion: Since the SFT are categorized as intermediated biological potential with a low risk of metastasis and recurrence, marginal excision can be a one of the surgical options for these tumors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vital structures. However, close observation is needed because local recurrence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e patients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s.

      • KCI등재

        신생아의 치조제에 발생한 양성 종물

        이제호,김소화,윤정훈,최병재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2

        신생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연조직 종양으로는 신생아의 구개 및 치은 낭종(palatal & gingival cyst of the newborn), 선천성 치은종(congenital epulis), 혈관종(hemangioma), 기형종(teratoma), 화농성 육아종 및 자극성 섬유종(pyogenic granuloma & irritation fibroma)이 있다. 이렇게 신생아의 치조계에서 발생한 연조직 종양은 대부분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치료하며, 치료하지 않는 경우 흡인(aspiration)으로 인한 기도 폐쇄 및 호흡 곤란, 구강으로 수유시 불편감, 비강으로 수유시 구토가 불가능해 흡인폐렴(aspiration pneumonia) 유발 가능성이 있다. 본 증례는 신생아의 치조제에 발생한 연조직 종양으로,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치료하였으며, 조직 검사 소견상 화농성 육아종 및 자극성 섬유종과 유사하였지만 다핵형 거대세포(multinucleated giant cells)가 관찰되었고 선천적으로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 종물의 병리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으며 어떤 특정 질환으로 포함시키는 데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soft tissue tumors that occur commonly in newborn infants include palatal and gingival cyst of the newborn, congenital epulis, hemangloma, teratoma, pyogenic granuloma, and irritation fibroma. Such soft tissue tumors in the alveolar ridge of newborns are usually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If untreated, they can cause air-way obstruction and breathing difficulty due to aspiration. They also cause discomfort during oral feeding. If nasal feeding is tried, since vomitting is impossible, there is a risk of aspiration pneumonia. In this case, a newborn infant visited our hospital with soft tissue tumor as chief complaint, and the infant was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It appeased to be similar to pyogenic granuloma and irrtation fibroma upon histologic exam. However, it was different from those diseases since multinucleated giant cel1s were observed and it was congenital. The pathologic process of this neoplasm is not clear. This case is reported, since it is difficult to classify it as a specific disease.

      • KCI등재

        외상후 등에 발생한 근육내 거대 지방종 - 증례 보고 -

        민학진,서재성,신성기,전성한,임병호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a giant intramuscular lipoma after a blunt trau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Lipomas are the most frequent benign tumor of the mesenchymal tissue. Although the etiopathogenesis is not complete understood yet, it is known that lipoma develope with a 1% rate after traumas in the related localizations. Traumata induce hematoma and initiates inflammatory reactions in fatty tissue and can trigger the development of lipoma. Materials and Methods: 2 years after a blunt trauma a 56years male patient developed a back mass. A massive lipoma was confirm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 total excis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was histopathologic confirmed. Conclusions: Patients who develop hematoma after a trauma need a close lipoma progress observation which decrease the invasive treatment of post-trauma hematoma.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타박상후 근육내 거대지방종발생 환자의 증례보고. 선행문헌의 요약: 지방종은 양성 간엽에서 유래한 종양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이다. 지방종의 발생원인,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지만외상 후 발생하는 지방종은 전체 지방종의 약 1%정도로 알려져 있다. 외상은 혈종 및 지방세포에서의 염증반응을 발생시키며 이는 지방종의 발생을 매개할수 있다. 대상 및 방법: 외상 2년후 등배부 종괴가 발생한 56세 남자환자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상 근육내 거대 지방종이 발견되었다. 결과: 지방종 전절제술 시행후 조직병리학적인 확진을 하였다. 결론: 외상후 혈종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에서 지방종으로 진행하는 것에 대한 주의깊은 관찰이 요구되며 외상 후 혈종에 대한 덜 침습적인 치료의 폭넓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심낭압전으로 발견된 원발성 심낭 섬유육종-1예 보고-

        임주영,박종빈,성규완,강길현,유동곤,김종욱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8

        심낭에서 발생한 원발성 섬유육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급격한 혈성 심낭 삼출을 유발한다. 평소에 간헐적인 흉부압박감을 느껴왔던 30세 남자 환자가 내원 하루 전 갑작스런 흉통과 심한 호흡곤란으로 근처 병원에서 협심증 진단 하에 전원되어 심초음파 검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검사 등 정밀검사를 시행받았고, 그 결과 심낭 기형종 파열에 의한 심낭압전의 진단하에 수술을 받았다. 수술소견 상 혈성 심낭 삼출액이 다량 있었고, 심낭 종괴는 완전 절제하였으나 동결절편검사 상 악성종양이 의심되었다. 수술 후 병리조직 검사상 심낭 종괴는 원발성 심낭 섬유육종으로 진단되었고 심낭 삼출액에서 암세포는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 후 전원되어 추가적인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다. 임상적으로 긴급을 요하는 심낭압전을 동반한 원발성 심낭 섬유육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