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설치미술에서 오브제의 공간 확장에 따른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최주현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4

        설치미술은 1960년대부터 미니멀리즘 이후 대두되기 시작한 미술의 한 장르로 주로 특정한 공간이나 장소를 위해 만들어진 입체작품을 말한다. 1970년대 비엔날레를 통해 미술사에서 처음으로 하나의 장르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이를 시작으로 오늘날까지 다양한 실험적인 사고를 통해 그 범주를 점차 넓혀가고 있다. 설치미술은 관람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한 관람자의 체험, 경험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러한 장르적인 특징은 관람자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하여 작가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다양한 소재 즉 오브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브제는 단순히 설치미술의 재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작가와 관람자간의 교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설치미술의 발전은 오브제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최근에도 설치미술은 다양한 실험적인 사고를 통해 그 범주를 점차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발전하고 있는 설치미술의 개념을 살펴보고 오브제의 정의와 그 변화에 따른 설치미술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설치미술의 기원과 개념 및 오브제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시행하였다. 둘째, 설치미술의 시대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작가들의 작품과 이에 사용된 오브제의 특징적 변화를 관람자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표본작가로 에르네스토 네토(Ernesto neto, 1964~)를 선정하여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분석하고 그의 작품이 설치미술의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 오브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근 설치미술의 동향 및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설치미술에서 오브제의 역할 및 그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양한 오브제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작가와 관람자들이 소통하고 참여하는 설치미술의 확장을 기대한다. Installation Art is a genre of art that began to emerge after minimalism in the 1960s, mostly three dimensional works created for a particular space or place. It first began to emerge as a genre in the history of art throughout biennale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expanded its boundary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al thinking to this day. Installation Art values the viewer's undergoing and experience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by the viewer, and these genre features have become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writer's work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y the viewer. These characteristics are achieved through a variety of materials, or objects. Therefore, the object will not simply be limited to materials of Installation Art, but will serve as an important medium for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viewer.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object, and has gradually expanded its category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Installation Art that is developing into a genre of Modern Art, and also the definition of an object and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as a result of the change.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origin, concept of Installation Art, and definition of an object. Second, to see the changing times of Installation Art,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artists’ works and the objects used were analyzed around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ird, I selected Ernesto Neto as a sample writer and analyzed his representative works and considered the effects of his work on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around the object. Based on these details, we also looked for recent trends in Installation Art and its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this study, we look 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object in Installation Art and look forward to the expansion of Installation Art in which writers and viewers interact and participate through active use of multi-sensory ob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공간과 관찰의 변증법 : 설치 미술(Installation Art)의 범주설정과 문제의식

        김승호 ( Kim Seung-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3

        이 논문은 21세기 전시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한 설치미술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국제전시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장르로서 설치미술에 관한 논쟁과 더불어 비평의 부재는 오늘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시각미술의 오랜 주제였던 공간개념에 관찰개념이 첨가되어 미술작품을 인식하는 기준이 변하는 것이 고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설치 미술을 해석하는 방법론은 차치하더라도 그것의 범주설정에는 침묵만 흐르고 있을 뿐이다. 역사적인 문맥에서 설치미술을 연구한 최근의 논문들은(영어권과 독일어권에서 연구되고 있음) 미학, 미술사, 예술철학, 미술비평을 통섭한다. 변화하는 미술계에적합한 이론적 모델이 확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각현상의 변화가 설치미술에서 읽혀진다. 최근 서구의 연구서는 방법론적 문제보다는 설치미술이 역사적으로 추진되는 과정과 유형 그리고 카테고리를 들여다보게 한다. 인문학으로서 미술이론이 성립되기 위한 조건은 방법론적 접근에서 시작된다. 관찰자의 역할이 설치미술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는 논리에 방법론적 접근이 성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간과 관찰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도구와 방법으로 관계를 맺는지 분석을 우선시 했다. 파노스프스키가 중세고딕에서 공간표현을 고찰하여 천상과 지상의 논리가 공간표현으로 포착되었고, 20세기 조각과 회화 간의 장르간의 경계를 해체한 역사적 아방가르드미술을 독해한 네오아방가르드작가들이 공간을 설치하여 새로운 조형예술의 장르로서 설치미술이 수면위로 부상한다. 이러한 역사적인 문맥이 설치미술의 유형을 가늠하는 수단에는 지각과 인식이 바탕을 이룬다. "주관적 전환(Subjektivist turn)"과 “전시가 미술을 생산”하고, 나아가서는 “전시가 관객을 조정”한다는 주장은 설치미술의 범주설정에 관한 문제의식으로서 기술과 변화의 근원을 하나의 개념으로 포착할 수없음을 반증한다. 발터 벤야민의 ‘생산자’와 ‘사회변화의 수용‘, 그리고 ‘현대미술시스템을 전시작가‘로 분석한 오스카 뵈치만, 올프강 캠프의 ‘동시대미술의 관찰자’는 미술전시가 담보한 최상의 조건을 인식하고 미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속한다. 그들의 이론적 모델들이 설치미술에 한정되지 않더라도 상징성과 은유에서 이탈하여 일상적 삶에 가깝게 밀착하는 설치미술을 방법론적으로 범주화하는데 화두는 남아있다. 설치미술이 미술전시에서 생명력을 획득하는 것은 1970년도에 들어와 본격화되었고, 21세기 최근의 비엔날레와 카셀 도쿠멘타 그리고 뮌스터 조각프로젝트는 새로운 관찰환경을 제시한다. 미술전시는 설치가 경험을 촉발하는 하나의 도구로서 관찰의 대상이 되어 관객을 조정하기 이른다. 공간과 관찰의 변증법은 설치미술을 조형예술로 온전하게 이해하는 길잡이로서 설치미술의 문맥을 재 고찰하는 방법이다. This article puts its emphasis on the study of researching conditions about installation art, which has arisen as a core of the twentieth century``s exhibition culture. While there have been so many international art exhibitions, it seems that the analysis and the criticism on the installation art in Korea have failed to put it on a desirable position. Some recent thesis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Germany, focusing on historical contexts of installation art, suggests theoretical models adequate to varying contemporary art world by blending traditional aesthetics, art history, philosophy of art, and art criticism. These studies on the changes of perceptual phenomenon in installation art rather than methodological matter lead us to look thoroughly into the historical process of it. Art theory``s condition as humanistic discipline starts, I assume, from methodological approaches. Therefore, I put my primary emphasis on analyzing how space and observation dialectically engage each other with what sort of tools and methods. On a historical look, Erwin Panofsky studied spatial expressions in Gothic art to apprehend the logic of heaven and earth, and Neo-avantgardists gave birth to installation art by interpreting historical avantgarde art that had destructed the boundary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should not be ignored on the basis of the measuring tools for installation art``s types in its historical context. Those concepts like ``producer`` and ``the acceptance of social changes`` by Walter Benjamin,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art system as artists`` by Oskar Batschmann, or the ``observers of contemporary art`` by Wolfgang Kemp, all appreciate the superlative conditions that an art exhibition guarantees, and present some methods for evaluating its aesthetic value. Even though their theoretical models are not limited within the boundary of installation art, they form a main point to categorize methodologically installation art which steps closer to our daily life. It was during the 1970s when installation art obtained its vitality among art exhibitions, but now it suggests new observative environment in recent biennales including Kassel documenta and Munster Sculpture Project of the 21st Century. Installation in art has been becoming an object of observation which triggers viewers`` experience now, as well as the dialectics of space and observation finally becomes a way to comprehend installation art which aims to ``control its viewers.``

      • KCI등재후보

        설치미술에서 나타나는 체험공간에 관한연구

        이숙진,김주연,김정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2

        설치미술은 다양한 장르와 인접분야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실제적인 시간과 공간을 작품의 조형요소로 삼음으로써 예술을 삶과 만나게 하고, 또 다른 공간으로 구조화 시킨다. 이러한 설치미술은 인간의 참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세계의 종합적인 감각체험으로 정립되어 공간의 예술적 감성을 체험적 공간으로 확산시킨다. 따라서 설치미술의 공간 표현 경향과 그 공간에서 나타나는 체험적 공간 연출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설치미술에서 나타나는 체험적 공간화 표현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설치미술 작품속의 공간을 조사한 결과, 오브제의 요소로서 공간으로 확장하여 사건적으로 발생하는 상황과 인간의 참여로 구성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고 예술자체를 일상적 환경의 공간 속으로 접근시켜 그 본질과 영역을 확장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다채로운 체험 공간을 연출해 새로운 예술적 공간으로 표현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Installation art gets art to meet life and structuralizes it as another space by covering a variety of genres and crossing boundaries of adjoining areas freely and by making actual time and space the formative elements of its work. Installation art has been defined as the comprehensive sensory experience of the physical and mental worlds through humans’ participation, and the artistic sensitivity of a space has been spread into an experiential spac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s of experiential space in installation art were examined in order to suggest the trend of spatial expression of installation art and the direction for the experiential space expressed through it. When the space in the works of installation art was investigated, the element of objets was expanded into a space and consisted of the situation occurred accidently and users’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nstallation art creates a new space and expands its essence and areas by making art itself approach the space of daily environment and expresses the space as a new artistic one by creating an interesting and diverse experiential space.

      • KCI등재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 연구

        조능혜 ( Zhao Linghui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화 현상으로 건축용지가 고밀도 개발과 활용으로 공간 용적률이 갈수록 높아져 필로티 공간의 활용은 건축이 차지하는 녹지와 활동공간을 효과적으로 채워주고. 그러나 실제적 필로티 공간에서는 공간구조의 모델화, 공간 분위기의 단일화, 문화와 예술적 콘텐츠가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로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서스펜디드 설치예술을 통한 필로티 공간을 연출하는 것은 공간의 표현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예술적, 미적 가치를 전달하여 공간예술에 더 큰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본 연구는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그의 요소들이 필로티 공간에 합리적 활용될 수 있는 제안을 제시하고, 필로티 공간의 활동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전달해 편안한 공간의 분위기감을 선사하고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필로티 공간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정의를 알아보고,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표현특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앞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특성을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공통적 다섯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재정립하여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의 표현 특성을 도출한다.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표현 특성을 기준으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을 통한 필로티 공간 연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의 다양한 디자인 제안 및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에 대한5가지 표현특성(기능적 다양성, 시각적 유도성, 공간적 표현성, 심리적 전달성, 전체적 조화성)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5가지 디자인 요소 중 공간적 표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각적 유도성>심리적 전달성>기능적 다양성으로 나타냈고 전체적 조화성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은 전통적 예술과 공간에 대한 이해를 깨뜨렸다. 인간은 공간의 체험자로서, 필로티 공간에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의 미적 기습을 받았을 때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지식 욕구를 풀어놓게 되고, 사람들이 수동적인 예술품 수용에서 능동적인 예술품 수용으로, 예술 공간과의 교류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은 사람들에게 독특한 시각체험을 선사하고 시각인식을 개척했다. 필로티 공간에 재미있는 공간 분위기를 형성하여 공간 환경의 편안함과 감상성을 높이고 있다.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필로티 공간에 대하여 더 많은 인기와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사람들은 공간체험을 하는 과정에 끊임없이 예술작품과 교류를 주고받으며 각자의 특별함이 있는 장소에서 정신과 문화적 가치를 전달해 공간예술에 더 큰 가능성을 열어준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the urbanization phenomenon, the spatial floor area ratio of building sites increases due to high densit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the use of piloti space effectively fills the green space and activity space occupied by architectu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piloti space lacks the modeling of the spatial structure, the unification of the spatial atmosphere, and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In addition,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piloti space, creating piloti space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not only increases the expressiveness of space but also conveys artistic and aesthetic values, providing greater possibilities for spatial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uggestions that his elements can be used reasonably in the piloti space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to deliver a unique visual experience while satisfying the active needs of the piloti space, and to study piloti space design that impresses visitors. (Method)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prior research a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definition of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and to analyz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it is analyzed and redefined from five common aspects to deriv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iloti space production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Ba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various case analysis, the effect on the direction of piloti space production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is investigated in the futur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 based on the derived characteristics, spatial express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design elements overall, visual inductivity > psychological transferability > functional diversity, and overall harmony was analyzed to be the lowest. (Conclusions)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have broken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 and space. Humans, as experiencers of space, relieve people's desire for knowledge in their minds when they receive the aesthetic surprise of suspension installation art in the piloti space, and change from passive acceptance of artworks to active acceptance of artworks and exchanges with art spaces. Filotti space production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gave people a unique visual experience and pioneered visual recognition. By forming an interesting spatial atmosphere in the piloti space, the comfort and appreciation of the spatial environment are enhanced. It is gaining more popularity and vitality in the piloti space while satisfying social needs. People constantly exchange works of art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space, delivering their spirit and cultural values in places with their own specialties, opening up greater possibilities for spatial art.

      • 설치미술로서의 화예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데시가하라 히로시, 다니엘 오스트, 크리스틴 보흐렌드를 중심으로-

        홍성덕 한국꽃예술학회 2009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2

        20세기 예술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회화, 조각, 사진, 영화 등 타 영역간의 경계가 허물어져가며 탈장르화 속에 매체의 상호관련이 강조되고 있다. 이것은 예술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디자인,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강조를 의미한다. 시대상황의 이러한 변화 속에서 화예디자이너는 환경예술가로 거듭나는 실험의식과 조형의지가 더욱 절실해진다고 하겠다. 현대인들은 생활환경의 질을 높이려는 관심이 기능성이나 경제성을 초월하여 미적인 측면과 고급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공간구성 요소로서 설치미술에서의 화예조형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크게 부각되고 있다. 예술 영역의 수평적 교류로 화예조형의 새로운 표현의 요구가 지대한 현 시점에서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의 상관성과 일상의 공간 점유라는 의미의 상통성 위에서 그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은 오늘날의 다양한 표현매체와 양식의 자유로운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첨단적인 미술의 개념을 함축하고 있으며 보다 확대된 현대미술의 시대적 산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의 매체로서의 결합의 사례를 일본의 데시가하라 히로시(勅使河原 宏), 벨기에의 다니엘 오스트(Daniel Ost), 노르웨이의 크리스틴 보호렌드(Kristin Voreland)의 꽃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해보려 한다. 또한 화예조형의 역사를 살펴보고 조형성을 분석, 설치미술에 도입함으로써 화예조형의 조형세계를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pursuing a quality of life based more on aesthetics than on mere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people are readily adapting the art of floral art by incorporating this genre as a means to enhance and improve their personal environments. In modern art, floral art remains an integral part of postmodernism. Installation art, which came to prominence in the 1970s, incorporates the use of any materials or media that create an environmental experience. As the realm of installation art expands, it is increa-singly embracing floral design within its auspices, an integration that continues to blossom. Floral art closely interrelates materials, spirit, religion, and individual cul-tures. Floral art, as part of the formative arts, addresses the methods necessary to ex-press form, structure, and configuration in a manner that is both creative and aesthe-tically appealing. With change both constant and rapid within the modern arts, floral artists must continually pioneer new trends and innovative formative styles.This study, the purpose of which is to examine floral art as a formative art, highlights and explains the bond shared by floral art and installation art, as it scrutinizes the commonality and complementary aspects between two genres.

      • KCI등재

        설치미술 공공전시 공간에 관한 연구

        시암 ( Chaiyan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7 No.-

        설치미술은 개방적 예술형태의 하나로, 도시 환경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다. 예술에 담긴 문화적 함의와 창작자의 감정표현은 대중 심리에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다. 환경요소는 설치미술의 공간적 표현 형태를 결정하며, 공간 전시 디자인 설치미술의 창조성 및 실천적 의의는 도시 건설에서의 공공 공간과 하나의 총체를 이룬다. 이처럼 각각의 예술효과는 전시공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관객과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볼때 서로 다른 집단간의 감정교류를 심화시킨다. 관객의 연령대에 따라 설치미술에 대한 이해가 각각 다르므로 디자인 작업 시, 공간 전시 설치미술의 합리적인 전달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공공전시 공간과의 교감을 통해 공공전시와 대중의 심미적 체험을 연구하고 도시와 우리 생활환경의 정신적 내면을 다양한 시각에 반영하여 사회의식과 문화교류의 가치 소재(所在)를 이해하고자 한다. 첨단기술의 출현은 새로운 사상의 디자인 추세가 나타나고 있는 오늘날 설치미술 공간 전시효과에 새로운 역량이 되고 있다. 다양한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공공공간전시에서 인터렉션 디자인에서 보편화된 설치미술의 다양한 연령대를 고려한 디자인의 중시를 비롯한 6가지 방안을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우리 생활환경의 존재 가치를 높이기 위해 설치미술 공공전시 공간을 새롭게 해석하고 이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공공전시 공간에 새로운 형태의 설치미술이 필요함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해, 공공전시 공간 디자인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인 설치미술 디자인의 형태와 효과를 참고하여 인간의 참여성 및 상호성과 환경간의 교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Installation art, an open art form, appears in every aspect of the urban environment. The cultural connotation of art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of creators also exert certain influence on the inner feelings of the public. Environmental factors determine the expression form of installation art in space. The creative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studying installation art in space exhibition design is to form a unified whole with public space in urban construction. Different artistic effects are applicable to different exhibition Spaces. At the same time, it deepens the ideological and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different groups in the interaction with viewers. The reasonabl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expression of the installation art space according to the age differences of the audience and different understanding levels of the installation art.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the public exhibition spac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new explanation of the public display space of installation art, which shows that the present and future public display space needs a new form of installation ar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ence of our living environment. Specifically, it provides a new way of thinking for the design of public display space from the aspects of human participation, interactivity and the blending of environment, and the form and effect of universal installation art design are taken as reasonable reference.

      • KCI등재후보

        설치미술의 장소성에 나타나는 다중 내러티브

        고경호(Ko, Kyung-ho),이현아(Ee, Hun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설치미술이 장소성의 의미변화를 통해 어떻게 다중의 서사성으로 확장하게 되는지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장소성과 그것의 시대별 변화를 통해 알아본다. 오늘날 예술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 방식의 확장을 시도함과 동시에, 다양한 장소에서 예술의 공간성의 지평을 확장하는 실험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을 해석하는 의미화의 장 역시 확장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술사 상에서 의미 확장의 소재적 출발점인 오브제 개념의 도입에서 보이는 언어적 확장성을 확인하고, 이어 장소성과 공간적 구성 요소들의 분석을 통한 설치미술의 의미 확장 가능성과 그에 따른 서사성을 살펴본다. 이어서 본고는 설치미술 작가들의 작품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설치미술이 장소성의 변화와 함께 작품의 의미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함께 살핀다. 오브제 도입을 중점으로 그것이 갖는 다의성을 살피고, 작품과 설치장소 사이에 발견되는 다성성의 개념을 확인해본다. 또한 이러한 다성성의 원리가 설치된 공간 안에서 어떻게 의미 분화되는지 기존 설치 작품의 예를 통해 알아본다. 이렇게 설치미술이 갖는 공간 구성 방식의 발전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설치미술의 새로운 미학적 해석 가능성을 열고, 결론적으로 다양한 매체의 설치가 가져오는 서사성의 확장을 짚어본다. 설치미술은 무엇보다도 지금까지의 순수 입체 조형 예술에 이용되어온 장소성과 관객의 능동적 해석이 결합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서사성의 확장을 바탕으로 성찰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expands its multi-narrative through changing meaning of its site-specificity. To do so, I look into site-specificity in the contemporary art and its historical changes. Today not only art has tried to expand its expression by applying various media, but also it has attempted its experiments of expanding its space in various venues. These experiments have also broadened textuality of art work. Thus this study will first research on linguistic expansion which newly introduced concepts of object in art history resulted in, and then explore its possibility of expansion of meaning in installation art and its narrative by analysing site-specificity and elements of space. Then by looking at various installation art works, this study examines how objects develop various meanings based on space. Focused on introduction of object, this study will review its diverse meanings and examine the concept of its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work and its space. Also by looking at some installation art works, I will explore how this ambivalence will be divided into various meanings. In doing so, this study will explore how installation art develops its various ways to construct its space and thus open up for new possibilities of aesthetic interpretation in installation art and confirm the expansion of narrative in installation art through introducing various media. More importantly, installation ar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its narrative brought out by combination of site-specificity and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 KCI등재

        패션아트에 있어서 설치미술 표현 특성 연구

        무윈 ( Mu Yun ),김순구 ( Kim Soonk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1

        “패션아트”(Fashion Art)말 그대로 패션과 관련된 예술이다. 패션아트는 하나의 예술 형식이며 이 예술 형식의 핵심적인 특징은 패션을 매개체 및 소재로써 개인의 감정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현대 예술의 한 종류이며 현대 예술 중 하나인 설치 미술과 함께 창조성, 사상성, 예술성 그리고 예견성의 특징이 있으며 패션 디자인을 이끌고 지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에서 패션 디자인은 현장 활동 속에서 “예술”이 ”패션”과 어우러지고 ”예술가”가 ”패션”에 어우러지는 하나의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 거듭났다. 이 예술은 창작자의 감정 태도, 생활 주장을 어느 정도 반영하였고 하나의 사회성의 문화 형태로 거듭났다. 패션아트는 20세기 60년도의 미국의 패션아트 운동에서 유래했으며 당시 미국에서 활발했던 현대 예술은 패션아트의 전파와 발전에 가능성을 주었다. 20세기 중반은 현대 예술이 활발해지고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따라서 패션아트는 탄생할 때부터 현대 예술의 수많은 관념 그리고 철학적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설치 미술 또한 20세기 60년도에 시작되었는데 하나의 예술로써 60,70년도의 “팝아트”, “미니멀아트”, “개념미술”등과 연관이 있다. 평론가 마이클 킴멜 만은 설치 미술이 현대에서 발전한 것은 문헌으로 기록되는 기능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방면에 대한 설치 미술의 잠재력은 회화, 조소 그리고 촬영 등의 예술 형식을 훨씬 뛰어넘는다. 설치 미술과 패션아트의 결합은 현대 사회만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것이며 패션미래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것은 우리가 중시해야 할 가치가 있으며 또한 깊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설치미술의 형태의 집중 분석을 통해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내고, 이러한 특성과 패션예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설치미술의 실물성, 관념성, 상호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확장성이란 7개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낸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결과라 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패션예술의 많은 작품 사례들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뒤, 설치미술의 공통적인 표현적 특성 중 관련도가 가장 높은 특성으로는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그리고 매개 다양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다섯 가지의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과 패션예술을 융합하고, 또 이를 창작의 출발점으로 삼으면, 패션에 더욱 풍부한 시대적 특징이 담긴 참신함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사회 사상의 형태를 반영하는 변화 능력을 부여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새로운 창작 형식으로 이어져 당대의 패션문화를 해석할 수 있다. 창작자들을 위해 새로운 예술 각도로 패션을 자세히 살펴보게 되면, 전통적인 사고관념을 부수고, 상상력을 더하며, 창작능력을 활성화하여 패션산업과 유행에 더욱 많은 영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화의 창의적인 산업발전의 촉진이라는 큰 의미를 낳을 수 있다. Fashion art known as Fashion Art in English stresses art related with fashion. It is originated from Fashion Art Movement in 1960s of the United States when contemporary art was active making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fashion art possible. Installation art similarly prevailing in 1960s is also closely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art. The combination of installation with fashion is the particularly new thing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t deserves great attention and in-depth researches. Through analyzing the modeling features of installation art, this article has firstly obtained seven manifestation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substantiality, conceptualization, interactivity, region-specificity, temporality and medium diversity, expansivity. Then after the in-depth researches on a large amount of examples of fashion art, the article has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also exist in fashion artworks. Through researches and interview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by using five-point measurement method, it proved that fashion art has five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substantiality, conceptualization, interactivity, region-specificity, and medium diversity. Integrate these five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with fashion art, and then with it as the starting point of creation, endow fashion with innovation of time features and transformation capacity to reflect social ideological form so as to extend new innovation mode for explanation of fashion art in contemporary era. This research can help creators view fashion from the brand new artistic perspective, break through traditional thinking model, activate imagination and stimulate creativity, and infuse more inspirations to clothing industry and fashion industry so that it has the great significance of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y.

      • KCI등재

        한스 하케(Hans Haacke)의 『게르마니아(GERMANIA)』(1993) - 국가 사회주의 이후 의식의 매니저로서 베니스 비엔날레-프로젝트 -

        김승호 ( Kim Seung-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1

        한스 하케(Hans Haack)는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에 「게르마니아(GERMANIA)」 작품을 선보인다. 하케의 베니스 비엔날레 설치작품은 미술과 정치, 미술과 광고, 미술과 경제, 미술과 산업 사이의 연관관계를 다양한 오브제로 가시화한 공간설치작품이다. 하케는 이 설치작품으로 ‘예술가로서 뒤샹 보다 더 파괴적이다’라는 평가도 받는다. 한스 하케는 ‘시스템을 지닌 레드메이드를 다루고 현시함으로써 마침내 미술사에 적응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인간과 실제적 본질 사이의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이다’라고 프라이(Edward F. Fray)는 화답한다. 하케에게 있어서 작업의 조건은 시스템에서 사고하는 것이고 시스템을 생산하고 현존하는 시스템을 파악하고 그것을 가시화하는 것이다. 페트라 키프호프 (Petra Kipphoff)는 주간지(Die Zeit)에 “독일 파빌리온의 메인 공간에서 읽게 되는 게르마니아라는 작품제목은 차갑고 과격한 개명의 예술가적 행위로서 하케의 이전의 작업이나 비엔날레에서 비교조차 어려운 것이다”라고 평가한 반면, 그라스캄프(Walter Grasskamp)는 주간지 (Die Woche)에 “정치가 더 개념적 일수록 개념미술은 더 정치적이 된다”라고 종합한다. 이 연구는 개념작가인 한스 하케의 「GERMANIA」설치작품을 분석하여 21세기 미술전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100년이 넘는 베니스 비엔날레라는 제도로서의 미술전시에서 나치시대에 설립된 전시공간이 미술작품으로 전환되어 21세기 미술사 서술과 비판적 학문으로서 미학에 소중한 화두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미술제도로서 베니스 비엔날레와 비엔날레의 미술작품에 대한 연구논문이 속속들이 출간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박사학위논문 (2008년 출간된 Marylene Malbwert의 Les realtions artistiques internationals a‘ la biennale de Venise, 1948-1958; 2009년 출간된 Jan May의 La Biennale di Venezia. Kontinuität und Wandel in der venezianischen Ausstellungspolitik 1895-1948)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설립된 동유럽의 베니스 비엔날레 참여국가관(유고슬라비아, 폴란드, 루마니아, 헝가리, 러시아) 연구소(Schweizerisches Institut fur Kunstwissenschaft “Focus Projekt”)는 서유럽과 북미중심이던 미학적 논쟁에 구)동구권까지 포함한다. 냉전시대의 종식에도 불구하고 베니스 비엔날레는 백여년간 국가관을 지속한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국가)관과 동아시아관이 첨가되어 2017년 제57회 베니스 비엔날레는 73개 국가관이 참여한 글로벌전시로 발전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20세기 유럽과 미국이 주도하던 미술계가 와해되기 시작했고, 글로벌 경제와 글로벌 미술은 글로벌전시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예술개념에 국가개념 그리고 정치개념이 미술제도에 첨가되어 의미의 층이 다채로워진다. 이 연구에서는 베니스 비엔날레가 촉진시킨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에 두고 한스 하케의 「GERMANIA」(1993) 설치작업에 초점을 맞춘다. 한스 하케는 백남준과 함께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작가로 참가하여 그들의 독일관(Deutscher Pavilion)은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황금사자상을 수여 받는다. 하케는 다양한 오브제와 파괴한 메인 전시장의 건축적 상황을 설치작품으로 전환하여 가깝게는 통독 이후 독일국가와 민족의 정체성, 역사적으로는 나치시대의 예술정치와 20세기 말 경제개념을 내포한다. 나치시대에 세워진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파빌리온(1934)이라는 측면과 분단된 국가에서 통일된 국가(1989/90), 베니스 비엔날레의 역사 사이의 상호작용은 베니스 비엔날레 국가관 전시의 역사에서 가장 뛰어난 사례에 포함된다. 이 연구의 본문에서는 하케의 「GERMANIA」에 구조화된 예술가적 방법론과 그 설치 작품에 은닉된 예술, 정치 그리고 경제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베니스 비엔날레의 국가관을 예술가적 프로젝트로서 해석할 조건을 구체화한다. 이 연구는 부연설명조차 필요 없는 미술사적 방법론의 부재에서 출발할 뿐만 아니라 이벤트 행사로 남을 수밖에 없는 비엔날레에 대한 미학적 연구가 제외되어있다는 사실-비엔날레에 대한 비평을 초월하거나 비엔날레에 대한 제도적 연구도 포함-도 전제한다. 그리고 이 연구는 하케의 「GERMANIA」는 베니스 비엔날레 전시기간이 끝난 후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소장품이 아니라 기억과 기록으로만 남아 있다는 시간적 문제도 고려한다. 베르너 스피스(Werner Spies)가 일간지(FAZ)에 한스 하케의 「GERM ANIA」를 “명작”으로 평가한 반면에, 라즐로 글로저(Lazlo Gloser)는 언론(Suddeutsche Zei tung)에 “스팩터클한 역사극복” 그리고 페터 이덴(Peter Ideen)은 신문 (Frankfurt Rundsc hau)에 “비엔날레의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한다. 그들은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전시에 출품된 작품을 비교-특히 Ilja Kabakov의 “Red Pavillon”와 비교-한 평가이지만 이 연구의 핵심작품인 게르마니아는 하케가 1960년도 후반부터 추구한 정치, 경제 그리고 예술개념의 관계망을 확장하고 그 의미의 층을 다층화한 설치작품이다. 나치시대의 건축물인 독일관을 활용한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게오르그 바젤리츠(Georg Baselitz)와 라인하르드 무차(Reinh ard Mucha)와 비평적 비견을 넘어 하케의 경우는 아우슈비츠 이후의 설치미술로서 미술전시의 역사적 사례로 평가 받아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생존작가의 설치작품에 내포된 파괴와 역사, 정치와 미술, 산업과 미술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도상학적 분석을 통해 아우슈비츠 이후 하케의 베니스 비엔날레-프로젝트(1993)에 대한 미학적 위상을 현재화하여 우리의 현실에서 바라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작가의 주관심사인 ‘의식의 매니저’가 나치즘 이후 개념미술에서 어디까지 해석될 수 있는지, 미술사의 방법론인 작품분석은 더욱더 세밀해져야 할 것이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Biennale di Venezia has often been the subject of art historical investigations and technical discussions in regard with the exhibition system and the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pavilions. Most recently, the doctoral thesis of Marylène Malbert of 2006, "Les relations artistiques internationales à la Biennale de Venise (1948-1958)," and Jan Andreas May's dissertation in 2009, "La Biennale di Venezia. Continuity and change in Venetian exhibition politics 1895-1948". Meanwhile, a research project entitled Focus Project at the Swiss Institute for Art Research in Zurich, is dedicated to the contributions from Eastern European countries such as Yugoslavia, Poland, Romania, Hungary or Russia. The long history of the Biennale over one hundred years provides for a discussion regarding its role as an institution of international art and cultural policy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of national pavilions as the places for national, cultural and representational strategies. It is not just about the issue of artistic confrontation, but also focuses on art historical methodologies which would not occur any longer, especially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period and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Unlike Joseph Beuys, Georg Baselitz or Reinhard Mucha, all of whom exhibited at the Venice Biennale, the German conceptual artist Hans Haacke (*1936) addresses the cultural policy with art politics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German National Pavilion in his contribution 「GERMANIA」 in the 1993 German Biennial Pavilion as a uni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o this end, the artist incorporated the representation building characterized by Naziism since 1934 as well as a black-and-white photograph by Adolf Hitler and Benito Mussolini into his work. The marble floor of the main exhibition room was completely smashed by Haacke, so that the visitor could only enter the location with a caution due to the uneven ground. In this way he makes his installation dependent on the architectural conditions. Hitler had specially designed the floor of the German pavilion in 1934 with marble, and had the lettering "GERMANIA" and a swastika with an eagle attached to the building entrance. With his political partner Mussolini, he visited the exhibition in the German pavilion on 14 June 1934. A souvenir photo can be found in Haacke's installation with the note "LA BIENNENALE DI VENEZIA 1934" again. Overall, the artist chose the marble floor, the inscription, the photograph and a 1-DM coin with minting year 1990 for his work. The connections among National Socialist art policy, German pavilion, the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and art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become visible and tangible in Haacke's work. The present study does not focus on the reference of the individual exhibition objects to the German pavilion of 1934, whereby Haacke transforms the visualization of the past into the critically questioning of the present and makes it so tangible. His installation is, according to the Italian philosopher and German philosopher Angelo Bolaffi, to be understood as a symbol of the historic mortgage of the Federal Republic "which Auschwitz has as a founding myth." In the context of this essay, Haacke's art contribution for the 1993 Biennale di Venezia is conceived as a spatial arrangement after Auschwitz, and regarded as a novel interpretation approach to the German pavilion. However, a new method of interpretation for the internationally oriented Biennale, which concerns its function as a place of primary national representation, should not be worked out. In view of the more than 100-year history of the renowned art exhibition, the installation is to be interpreted in contrast to a spatial representation of Joseph Beuys' < Demonstration Auschwitz > (1956-64). The marble floor, the lettering, the black-and-white photograph and the modified 1-DM coin were deliberately included in the overall concept for 「GERMANIA」 as fixed components of the work. The question whether promoters and critics of the artist are in dialectical relation to each other-this was emphasized by Haacke himself in his written statement < remarks on cultural power > in 1970-can be indeed discussed in the discussion about 「GERMANIA」 as a national contribution at the Biennale di Venezia initiated. It can be broadened and substantiated precisely, however, by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cultural and art policy of Nazi propaganda and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as well a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the globalization of art and business. The work 「GERMANIA」(1993) is indispensable as a remembrance of the artist Hans Haacke after the end of national socialism.

      • KCI등재

        실내 공공 공간(Interior Public Space)에서의 섬유 설치미술의 표현 형태 연구

        한지에,이수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섬유 소재의 유연한 특성은 건물의 차가운 경관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며, 실내 공공 공간의 친화력과 편안함을 강화한다. 섬유 설치미술을 매개로 하여 공간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예술가들에게 창작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섬유 설치미술은 실내 공공 공간의 품질과 체험을 개선하여 방문객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들의 사고와 감정에 공감을 자극한다. 더불어, 섬유 설치미술은 건축의 전반적인 형태에 다양성을 더하여 설치미술의 발전에 기여하며, 공공건물의 시각적인 이미지를 제고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 공공 공간에서 섬유 설치미술의 포괄적인 표현 형태와 표현 방법에 관여한 사례를 분석하여, 섬유 설치미술이 실내 공공 공간에 작용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섬유 소재, 설치미술, 실내 공공 공간의 정의를 한다. 둘째, 섬유 설치미술의 개념과 형성 과정을 분석한다. 실내 공공 공간에 섬유 설치미술을 적용하는 것을 기점으로 작품의 공간 표현 유형과 공간 관계를 분석한다. 셋째, 디자인 사례를 기반으로 천연섬유 7점, 인조섬유 6점, 발견된 물건 4점을 비교 분석하고,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실내 공공 공간에서의 섬유 장식의 표현 형태와 방법을 도출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소재 면에서는 천연섬유 > 인조섬유 > 발견된 오브제 순으로 발견되었다. 공간 표현 유형으로는 매달리는 유형의 작품이 가장 많으며, 다른 유형은 보통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주로 매달리는 유형과 결합하는 형식으로 존재한다. 감각유형 관점에서는 시각 감각이 모든 작품의 가장 직접적인 특징이며, 다음으로 촉각과 청각이 나이다. 후각은 비교적 적게 나타낸다. 작품의 주된 목적은 공간을 꾸미고 작가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며, 일부 작품들은 실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결론) 실내 공공 공간에서의 설치미술은 섬유의 독특한 표현 형태와 재료 특성을 결합하여 혁신적인 소재와 디자인을 통해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시각, 촉각, 청각, 후각과 관객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간에 대한 사고와 감정을 자극한다. 섬유 설치미술은 건축과 실내 공공 공간의 디자인에서도 창의적인 잠재력을 보여주며, 매달리는 유형(Hanging), 부설 유형, 직립 유형, 동태 유형의 재구성 및 결합을 통해 새로운 건축언어를 형성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