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라감영 복원의 의미와 과제

        홍성덕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60

        In October, 2020, Jeollagamyeong was restored. This paper is going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restoration of Jeollagamyeong since 1996, and suggest the meanings of the restoration and problems to be solved henceforth. The restoration of Jeollagamyeong has an important meaning in Jeollabuk-do society that it not only spotlights the history of Jeollabuk-do, but also recovers Jeonju city’s identity. The project to restore Jeollagamyeong was bound to connect to the ways of revitalizing Jeonju’s downtown area, and it took 24 years to get agreements. Restoring Jeollagamyeong, the discussion processes between Jeollabuk-do and Jeonju city could be evaluated as a model of governance administration. The restoration committee has been entrusted with exclusive rights and decided to restore Jeollagamyeong not by the governments’ will but by respecting the ideas of experts and citizens. They proceeded the excavation and study of the restoration site in order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restoration, and thus recorded the results of excavation of the site including the building (the old province hall). While restoring the gamyeong, provincial hall of the Joseon era, they intended to create the double space-time while including the build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One thing to keep in mind for the practical use of the restored buildings is that even though Jeollagamyeong is restored based on Joseon style, it will be used by the present citizens. It means though the restoration should be done based on the buildings and cultures of the Joseon, it should have present senses. To achieve the goals, the restored Jeollagamyeong has urgent things to decide: the main body of its management, scale of further restoration, visions for practical use and decisions of future businesses. Further, as done during the process of its restoration, the solutions for the problems should be solved under the same governance system. I suggest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Restoration and Re-creation Committee of Jeollagamyeong should be maintained, and the project should be proceeded step by step based on the agreements of all the related to set management rules and future visions according to historical and cultural viewpoints. 2020년 10월 전라감영이 복원 준공되었다. 본 논문은 1996년부터 시작된 전라감영 복원 논의 과정을 살펴보고 복원의 의미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전라감영 복원은 전라북도 역사재조명과 전통문화중심도시 전주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차원에서 지역사회 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감영 복원의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도시가 팽창함에 따라 협소한 도청사의 신축 과제가 제시되면서부터이다. 1996년 신축 도청사 부지가 결정되면서 청사 이전 이후 구청사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하였고, 전라감영의 수부로서 전라감영의 복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감영 복원 문제는 구도심 활성화 방안과 연계되었고 논의를 모아가는 과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복원 논의 과정은 전라북도와 전주시의 거버넌스 행정의 모범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복원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에 복원 과정에 대한 일체의 권한을 부여한 것이다. 위원회는 관 중심의 복원이 아닌 전문가와 시민 중심의 합의를 도출하였다. 복원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사 연구와 발굴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철거되어 사라질 근현대 유산(구 도청사)에 대한 기록화 작업을 병행하였다. 조선시대 감영을 복원하지만 근현대라는 중층의 시공간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복원된 건물은 전라감영 중 감사영역에 해당하는 선화당, 관풍각, 연신당, 내아, 내삼문 등이었다. 복원 건물에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설비를 갖추었다. 활용과 관련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조선시대 감영 건물을 복원하였으나 그 건물을 활용하는 것은 조선시대가 아닌 현재라는 점이다. 이는 감영 건물의 활용에 대한 비전과 방향에 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활용은 감영의 본질 즉 조선시대의 감영·감영문화를 기반으로 하되 현재적 의미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제 복원 준공된 감영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운영의 주체, 추가 복원의 규모, 활용 비전·사업의 정립 등이다. 복원 과정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거버넌스체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전라감영복원재창조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조직 편의 논리가 아닌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운영과 미래 비전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그에 앞서 당면한 운영 문제는 전문성을 가진 단체 또는 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전주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도시재생 -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홍성덕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8 No.-

        최근 10년 사이에 가장 주목할 만한 도시재생의 사례로 손꼽을 수 있는 곳 중의 하나는 전주한옥마을이다. 1977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된 이후 1995년 미관지구가 해제됨에 따라 무분별한 개발이 예정되었던 공간이 전통문화 지구단위 계획으로 단순 ‘보존’에서 특색있는 ‘개발’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본 논문은 한옥보존지구 지정으로 슬럼화한 한옥마을이 한국을 대표하는 ‘한옥마을’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전주한옥마을의 개발은 한옥보존지구의 해제와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도시 지정이 맞물리면서 기획되었다. 지구단위 계획을 통해서 재개발된 전주한옥마을의 성공요인은 한옥이라는 전통 주거공간과 조선왕실문화, 유교문화, 종교문화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이 반경 5백미터 이내에 밀집된 역사문화자원이 토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통문화중심의 도시화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한 결과이기도 하다. 사업 추진 및 협력 주체로서 전통문화중심도시추진단은 모범적인 민관거버넌스였다. 한옥마을 공간 내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은 진정성을 강화하는 방향, 전통문화상품 개발 및 판매를 촉진하는 상품화 확대방안, 숨어 있는 콘텐츠를 발굴 알리는 체험과 교육의 콘텐츠 구축방안 등 세 영역으로 진행되었다. 공공영역이 민간영역의 활성화를 뒷받침하는 균형점을 이루었다.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은 도시정체성으로 연결되었다. 한옥마을 내에 담은 역사문화자원과 전통문화는 전주의 도시정체성으로 발전해 나갔다. 한옥마을의 공간적 확대가 불가피 하며 그 대상은 마을 밖의 구도심이다. 전라감영 복원으로 대표되는 도시재생이 이어질 계획이다. 한옥마을의 성공은 새로운 도시재생 공간의 득이 될 수도 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재생의 성공여부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a study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of Jeonju Hanok Village which had gradually become slums while it had remained as a hanok preservation zone for 20 years. Jeonju Hanok Village seems a dense area where over 700 hanoks are clustered, but, actually, it is not a traditional one but a modernized urban town.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cultural resources clustered from l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and other religions. The real urban regeneration of Jeonju Hanok Village was begun when Jeonju was designated as a city of the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 The urban regeneration proceeded focussing on three directions: to keep the authenticity of the cultural heritages in the village, make th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goods favourable on the market, and develop relatively unknown contents.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governance, like the Project Team of Traditional Culture-centered City, was a critical factor of its success. As a result, Jeonju Hanok Village has grown up to a famous tourist destination which over six million tourists visit a year. For everlasting success of the village, there have been lively discussions on the identity of the city. Based on the Jeonju citizens' consensus of 'the Jeonju spirit', urban regeneration of the parts which have been lagged behind is on the way again. The success stories of Jeonju Hanok Village have suggested new visions toward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success of new projects is as clear as day light.

      • KCI등재후보

        전주향교 완영책판(完營冊板) 보존현황 및 활용방안

        홍성덕,김철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5 고문화 Vol.65 No.-

        본 연구는 전주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完營冊板에 대한 조사연구이다. 완영책판은 조선시대 전라감영에서 서적을 간행할 때 사용하던 책판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朱子大全』『性理大全』 등 총 11종 4,290판이 보관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조사한 결과 769개가 많은 총 10종 5.059개의 책판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주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완영책판의 종류는 『資治通鑑網目』, 『東醫寶鑑』, 『朱子大全』, 『栗谷全書』, 『性理大全』, 『增修無?錄諺解』, 『史記』, 『史略』, 『湖南三網錄』, 『朱書百選』 등 총 10종이다. 이들 서적을 모두 제작할 경우 책판은 10,621개 21.238면이 필요하다. 이를 기준으로 볼 때 장판각 소장 완영책판의 현존율은 책판 47.6%. 面數 46.3%이다. 또한 중복된 면이 219면이므로 실제적인 면수 현존율은 45.2%이다. 육안조사에 의한 충해피해의 정도는 5.51% 258개이며, 90.19%의 책판 4,562개에서는 쪼개짐이나 균열의 피해가 조사되었다. 이런 이유는, 책판 좌우에 있는 마구리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무리한 압력을 가하여 책판과 마구리를 고정하였던 철심부를 중심으로 가로로 쪼개지거나 균열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마구리의 不存率이 92.2%인 점과 연관되어 있다. 탈첨자와 같은 補刻의 흔적은 2.89%인 292면에서 발견되었으며. 보각한편 4점이 책판 이송과정에서 수습되었다. 복각의 경우 총 216면이 2개 이상 복각되었고, 동일책판이 2개 복각된 것은 213개, 동일책판이 3개 복각된 것은 3개가 각각 보존되어 있다. 완영책판은 조선시대 지방 관청에서 사용한 책판으로는 유일한 것으로 문화재적 가치는 매우 크다. 특히 전라도 지역의 기록문화전통과 연계해 볼 때 완영책판의 효율적인 보존관리와 심도있는 조사연구가 요망된다. This study researches the publishing circumstances and the woodblocks used in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Jeollado in Joseon dynasty. Wanyung woodblocks indicate the printing blocks which were used in Jeolla local office. Known so far, there were 11 sorts of 4,290 blocks existing there, including Seongridaejeon and Jujadaejeon. Actually, there has 10 sorts of 5,059 blocks been kept. They are Jachitonggam, Dongeuibogam, Jujadaejeon, Yulgokjeonseo, Seongridaejeon, Jeungsuwonrokeonhae, Sagi, Saryak, Honamsamgangrok, and Juseobaekseon. To print and bind all of the books mentioned above, 10,621 woodblocks and 21,238 pages are needed. Judging from this results, the current existing rate of jangpangak woodblocks is 47.6% of blocks and 46.3% of pages each. Considered the 219 redundant pages, the actual page rate is 45.2%. Damage from insects are investigated as 5.51 % and 90.19% of the woodblocks have been splitted or cracked by the examination of the naked eyes. The woodblocks were splitted or cracked by strong pressure around the nail on them when they were removed, and it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absence rate of the handles of them, 92.2%. The traces of added or omitted words were discovered on 292 pages(2.89%), 3 revised letters were collected during transporting them. 216 pages of blocks were newly producted, 213 blocks were redundant, and 3 of them had 3 pages. Wanyung woodblocks are the only blocks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had in Joseon dynasty, so its value as cultural treasure is enormou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Jeonju with the record culture tradition of Jeollado, the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and in-depth study is imperative.

      • KCI등재

        Ge2Sb2Te5 박막의 상변화에 의한 기계적 물성 변화

        홍성덕,이홍림,정성민,김성순 한국세라믹학회 2005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2 No.5

        Phase transformation effect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Ge2Sb2Te5, which is a promising candidate material for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were studied. Ge2Sb2Te5 thin films, which was thermally annealed with different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XRD, AFM, 4-point probe method and reflectance measurement. As the temperature and the dwelling time increased, crystallity and grain size increased, which enhanced elastic modulus and hardness. Furthermore, N2 doping, which was used for better electrical properties, was proved to decrease elastic modulus and hardness of Ge2Sb2Te5.

      • KCI등재
      • 설치미술로서의 화예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데시가하라 히로시, 다니엘 오스트, 크리스틴 보흐렌드를 중심으로-

        홍성덕 한국꽃예술학회 2009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2

        20세기 예술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회화, 조각, 사진, 영화 등 타 영역간의 경계가 허물어져가며 탈장르화 속에 매체의 상호관련이 강조되고 있다. 이것은 예술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디자인,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강조를 의미한다. 시대상황의 이러한 변화 속에서 화예디자이너는 환경예술가로 거듭나는 실험의식과 조형의지가 더욱 절실해진다고 하겠다. 현대인들은 생활환경의 질을 높이려는 관심이 기능성이나 경제성을 초월하여 미적인 측면과 고급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공간구성 요소로서 설치미술에서의 화예조형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크게 부각되고 있다. 예술 영역의 수평적 교류로 화예조형의 새로운 표현의 요구가 지대한 현 시점에서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의 상관성과 일상의 공간 점유라는 의미의 상통성 위에서 그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은 오늘날의 다양한 표현매체와 양식의 자유로운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첨단적인 미술의 개념을 함축하고 있으며 보다 확대된 현대미술의 시대적 산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 설치미술과 화예조형의 매체로서의 결합의 사례를 일본의 데시가하라 히로시(勅使河原 宏), 벨기에의 다니엘 오스트(Daniel Ost), 노르웨이의 크리스틴 보호렌드(Kristin Voreland)의 꽃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해보려 한다. 또한 화예조형의 역사를 살펴보고 조형성을 분석, 설치미술에 도입함으로써 화예조형의 조형세계를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pursuing a quality of life based more on aesthetics than on mere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people are readily adapting the art of floral art by incorporating this genre as a means to enhance and improve their personal environments. In modern art, floral art remains an integral part of postmodernism. Installation art, which came to prominence in the 1970s, incorporates the use of any materials or media that create an environmental experience. As the realm of installation art expands, it is increa-singly embracing floral design within its auspices, an integration that continues to blossom. Floral art closely interrelates materials, spirit, religion, and individual cul-tures. Floral art, as part of the formative arts, addresses the methods necessary to ex-press form, structure, and configuration in a manner that is both creative and aesthe-tically appealing. With change both constant and rapid within the modern arts, floral artists must continually pioneer new trends and innovative formative styles.This study, the purpose of which is to examine floral art as a formative art, highlights and explains the bond shared by floral art and installation art, as it scrutinizes the commonality and complementary aspects between two genr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