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 필자의 설득적 글에 나타난 쓰기 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환류 -작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김규훈,전용숙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writing protocol analysis’ of the ‘persuasive writing’ produced by learning writers in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the completed persuasive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 writing protocol model for process analysi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model, the ‘medium upper’ and ‘medium lower’ courses were selected from th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15 persuasive writings were analyzed for writing protocols, and the thinking process was confirmed through post-learner interviews. As a result, 30 persuasiv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based on this, the peculiarities and tendencies of the activity process and results of each writing stage appea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of the learn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persuasive writing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rrection feedback stage was approached in more detail.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rrec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should be applied.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필자가 생산한 ‘설득적 글’에 대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글쓰기 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먼저 완성된 설득적 글과 글을 쓰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글쓰기 과정의 단계에 따라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프로토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글쓰기기초> 수업 가운데 연구진이 담당했던 수업에서 ‘중상’ 강좌와 ‘중하’ 강좌를 선별하였고, 각 15편의 설득적 글을 대상으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학습 필자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사고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편의 설득적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필자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쓰기 단계별 활동 과정 및 결과물의 특이점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득적 글쓰기 교육과정 개선안을 마련하고 첨삭 피드백 단계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그것은 <글쓰기기초>의 교육 내용이나 피드백 내용 및 방식에서 학습 필자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첨삭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 KCI등재

        양태 범주의 문법 교육적 위상 제고를 위한 시론

        신희성 ( Shin Heeseong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4

        최근 양태 범주에 대한 담론이 국어학이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맞춰 문법 교육에서도 양태 범주 교육에 대한 논의가 조금씩 시작되고 있다. 이는 분명 양태 범주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에 비해 현행 문법 교육에서 양태 범주의 위상은 미미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양태 범주의 문법 교육적 가치를 짚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위상을 제고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양태 범주는 본래 양상 논리에서 파생된 논의였으나 실제 언어생활에서 대인적 기능을 적극 담당하여 쓰이고 있다. 따라서 양태 범주에 대한 교육은 문법 교육뿐 아니라 국어교육 전반에서 유의미하게 작용할 수 있다. 양태 범주를 현행 문법 교육에서 수용하는 방안은 기존 체계에 병렬적으로 양태 범주를 더하는 방법, 체계를 조정하여 보다 표현론적인 관점을 강화하여 수용하는 방법, 대안적으로 입장 개념에 포함하여 수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grammar educational value of the modality and examines how to improve the status of grammar education based on it. The modality concept was originally derived from the modal logic, but it is used in actual language by actively handling the interpersonal function. Therefore, modality as a category can be meaningful not only in grammar education but also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whole. In order to accept modality in current grammar education is to add the modality in parallel to the existing system, to adjust the system to strengthen the more onomasiological approach, or to accommodate it in the alternative concept of 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