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과 적화제로써 석회유황합제의 꿀벌 및 기타 방화곤충에 대한 독성

        김동원,최상욱,김선빈,정철의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꿀벌을 비롯한 화분매개 곤충의 농업과 자연생태계에 기여하는 공익적 가치는 꿀벌이 생산하는 일차생산물의 약 140여 배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 과수 생산 농민들의 고령화로 인한 적화 및 적과에 대한 노동력 부담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적화 및 적과의 생력화 방안으로 화학적 적화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석회유황합제는 이의 중요한 대안이다. 이에 사과원 화분매개 곤충 중 꿀벌에 대한 석회유황합제의 실내 독성 평가와,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 처리 전후 화분매개 곤충 밀도 및 곤충상 조사를 통해 석회유황합제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석회유황합제 처리에 의한 꿀벌 실내 독성은 3가지 조합의 lime sulfur를 이용하여 처리 후 3시간, 12시간, 24시간에 평가된 사망률은 추천 농도를 포함한 대부분 농도에서 미국환경청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 25%미만으로 꿀벌에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의 처리 전후 방화곤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한 결과 처리 전 꿀벌의 밀도는 0.18마리였으며, 처리 후 밀도는 0.34마리로 나타났다. 꿀벌과의 다른 종들은 처리 전 육안 조사가 되지 않았으나, 처리 후의 밀도가 0.05마리였다. 트랩을 이용한 방화곤충상 조사에서 주요 벌목 곤충은 처리 전후 밀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리목의 꽃파리과는 처리 이후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또한 트랩에 포획된 방화곤충은 총 6목, 40과, 635개체이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는 꿀벌 및 화분매개 곤충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 농식품 환경 분야(PF) : PF-02 ; 석회유황합제와 기계유유제 혼용 살포가 단감과원의 병해충 발생과 수체에 미치는 영향

        최성태 ( Seong Tae Choi ),김성철 ( Seong Cheol Kim ),김은석 ( Eun Seok Kim ),신현열 ( Hyun Yul Shin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단감 무농약 재배를 시도하는 농가가 많아지고 있으나 병해충 방제에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연구는 무농약 재배 ‘부유’ 단감과원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자재인 석회유황합제와 기계유유제 혼용살포 효과를 조사하였다. 생육기에 약제를 전혀 살포하지 않은 무방제구와 5월부터 9월 중순까지 8회 화학농약을 살포한 관행 방제구를 두어 친환경 방제구(석회유황합제+기계유유제 살포)와 비교하였다. 친환경 방제구는 석회유황합제(보메 30°액)와 기계유유제(machine oil 95%, 유화제 5%)를 생육 시기에 따라 250∼700배의 같은 희석배율로 혼합하여 관행 방제와 같은 시기에 살포하였다. 친환경 방제구는 고온 다습했던 6월 중순에 500배액을 살포했을 때 7.5%의 잎에서 약해가 나타났다. 10월 하순 평균 엽면적은 친환경 방제구가 관행 방제구에 비해 14% 작았으나, 엽록소 함량(SPAD 값)은 23% 높았다. 흰가루병 및 둥근무늬낙엽병 피해율은 무방제구에서 각각 19.2%, 22.2%였으나, 친환경 방제구에서는 각각 4.3%, 0.3%로 현저하게 낮았으며 관행 방제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과실의 탄저병은 시험년도에 모든 처리구에서 발생이 미미하여 비교가 어려웠다. 감꼭지나방, 노린재류, 깍지벌레류, 잎말이나방류 피해율은 친환경 방제구가 관행 방제구보다 높았으나 무방제구보다는 낮은 편이었다. 친환경 방제구과실은 관행 방제구에 비해 과중이 10% 감소하였지만 적색도, 경도, 당도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잎 및 과실 생장에 미치는 부작용을 줄인다면 석회유황합제와 기계유유제 혼용살포를 통해 효과적인 병해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KCI등재

        적화제 및 적과제가 ‘감홍’ 사과의 착과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Jingi Yoo),강봉국(Bong Kook Kang),김대현(Dae Hyun Kim),이진욱(Jinwook Lee),이동훈(Dong Hoon Lee),권헌중(Hun-Joong Kweon),최인명(In Myung Choi),정희영(Hee Young Jung),정명근(Myoung-Gun Choung),최동근(Dong Geun Choi),강인규(In-K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1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감홍’ 품종에 석회유황합제(Lime sulfur), MaxCel(1.9% BA), Fruitone(3.5% NAA)을 처리하여 적과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년도 약제 처리에 의한 과총당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3회 처리구는 0.82개, MaxCel(10mm) 처리구 역시 1.15개로 무처리구 1.74개에 비해 유의하게 적어 적과 효과가 인정되었다. 과총당 과실의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또는 MaxCel(10mm) 처리 시 단일과 착과율이 각각 47.9%와 48.7%로 무처리 36.0%에 비하여 높았고, 3개 이상 과실 착과율이 각각 1.4%와 5.8%로 무처리 22.9%에 비해 낮아 좋은 적과 효과를 보였다. 액화아의 경우 석회유황합제 및 MaxCel(10mm) 처리구 0.36개와 0.50개로 무처리구 1.20개에 비하여 낮아 정화아에서와 비슷하게 우수한 적과 효과를 보였다. 2년차 적과 효과는 무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적과 효과를 보였고, 약제 처리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 또는M axCel 혼용처리보다 단용처리만으로도 착과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ower and fruit thinning agents on fruit set and harvested fruit quality attributes in ‘Gamhong’ apples. Lime sulfur, MaxCel (1.9% BA), and Fruitone (3.5% NAA) were applied either at post-bloom or fruitlet stages to mature ‘Gamhong/M.9’ trees. In 2011, the numbers of fruits per cluster in terminal flowers were 1.74, 0.82, and 1.15 for the control, lime sulfur, and Maxcel (applied at 10-mm fruit stage) treatments,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single fruit per cluster were 36.0, 47.9, and 48.7% for the control, lime sulfur, and Maxcel (10 mm) treatments, respectively, while the percentages of clusters with three fruits per cluster were 22.9, 1.4, and 5.8%. In lateral flowers, fruit numbers per cluster were 1.20, 0.36, and 0.50 for the control, lime sulfur, and Maxcel (10 mm) treatments, respectively. In 2012, all the thinning treatm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flower and fruit thinn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Moreover, the treatment with thinning agents did not affect fruit quality.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a single application of flower or fruit thinning agents would be sufficient, rather than the mixed application of thinning agents, based on the observed decrease in fruit set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