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양개 Ⅵ지구 후기 구석기시대 도끼형석기의 연구

        최동혁,이헌종 한국박물관학회 2020 博物館學報 Vol.- No.39

        The Chisel Type Tool is a stone tool manufactured by biface technology, which was appeared in latter of the Upper Paleolithic. In the Upper Paleolithic in Northeast Asia, a various tools were emerged in the transition to Neolithic, and one of them was the Chisel Type Tool. It is shown that the Chisel Type Tool was widely distributed over all Northeast Asia, including Russia, Siberi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However, the number of excavated Chisel Type Tool in the Korean Peninsula so far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regions. However, as a result of recent excavations, the Chisel Type Tool was excavated in company with the micro-blade and leaf shaped Point in multiple layer 2 of Suyanggae Loc.VI. As these are all types of artifacts that was appeared at the transition period and are important artifacts that show the tool change of human, the research of Chisel Type Tool at cultural layer 2 of Suyanggae Loc. VI is necessary. Hence, the writer would like to take the Chisel Type Tool, which was excavat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major research target. Because the number of excavated Chisel Type Tool on the Korean Peninsula so far was small, there has not been performed properly for the analysis of the Chisel Type Tool's type or technical form. As a result of recent excavations, the Chisel Type Tool, which has been excavated in large numbers at Suyanggae Loc.VI, is an example for the largest number of excavated within a single relic site on the Korean Peninsula up to no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isel Type Tool of Suyanggae Loc.VI, the materials of the Chisel Type Tool used flake mainly, and the elongate flake and debris were used as the next alternative. The planar shape was identified that an ellipse type was a completion type, and the blades were manufactured to a single side or bi-side. It was shown that the hole portions were also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As the manufacturing technique, it is assumed that it was done a steep diagonal flaking to get the materials and the vertical flaking and vertical perfusing to get the shape. In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ime that the Chisel Type Tool was appeared at the period of 28,000 BP to 18,000 BP, from the Songcheon-dong relic site, Jeonju, where the absolute age value was the earliest, to Suyanggae Loc.Ⅵ. In other sites except for the Suyanggae relic site, only 1 to 3 pieces of the Chisel Type Tool was appeared, which seems to have been used restrictive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In the Suyanggae site, the Chisel Type Tool was mainly used as leather manufacturing use together with burin or end-scraper. However, seeing through previous researches, the Chisel Type Tool also seems to be used for wood manufacturing use besides leather manufacturing use. It is shown that the Chisel Type Tool emerged later in the Upper Paleolithic and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excavated patterns are distributed all over Northeast Asia. Stone tools manufactured with biface technology, such as the Chisel Type Tool, seems to be used later in Neolithic by transformed and survived, as well. When becoming the middle of Neolithic, the hunting tools had been changed as follows; the Chisel Type Tool, which was manufactured by biface technology, was transformed into axes and digging tools, and the Point was transformed into with arrowheads. The Stone Age culture of the latter of Upper Paleolithic, which was appeared together with the Chisel Type Tool, is a stone tool culture that spread along with respective cultural characteristics all over Northeast Asia, including Siberi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shape was gradually changed and survived until Neolithic. In the Korean Peninsula, various stone arrowheads are appeared at Gosan-ri site of Jeju, while axes and digging tools manufactured by biface technology is appeared at Danghasan site of Jangnyeon-ri, Hampyong, and Jingneul site, Jinan, which are relic sites of ... 도끼형석기는 후기구석기시대 후반에 등장하는 양면박리기법으로 제작한 석기이다. 동북아시아의 후기구석기시대에는 신석기시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도구들이 등장하게 되는데 도끼형석기도 그 중 하나이다. 도끼형석기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본열도 등 동북아시아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반도 내에서 도끼형석기의 출토 수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적다. 그러나 최근 발굴성과로 수양개 Ⅵ지구 2문화층에서 세형돌날과 나뭇잎모양의 찌르개와 더불어 도끼형석기가 출토되었다. 수양개 Ⅵ지구의 도끼형석기를 분석하여 본 결과, 도끼형석기의 소재는 주로 횡장격지를 이용하였으며 차선으로 종장격지, 파편 등을 사용하였다. 평면형태는 타원형이 완성형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날은 단면 혹은 양면으로 가공하였다. 필요에 따라 기부도 여러 형태로 가공한 것이 보인다. 도끼형석기가 등장한 시기는 한반도의 경우는 절대연대 값이 가장 이른 전주 송천동 유적에서부터 수양개 Ⅵ지구까지 28,000 BP~18,000 BP가량의 시기에 등장한다. 수양개 유적을 제외한 타 유적에서는 도끼형석기가 1~3점 정도만 나타나는데, 이는 사용목적에 따라 제한적으로 소비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수양개 유적은 도끼형석기를 새기개나 끝날긁개와 함께 가죽가공용도로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도끼형석기는 이전 연구사례를 통하여 본다면 가죽가공용도 외에 목재가공용도 등으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끼형석기는 후기구석기시대 후반에 등장하여 오랜 기간 활용되었으며, 동북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는 출토양상을 보여준다. 도끼형석기와 같은 양면박리기법으로 제작한 석기들은 후에 신석기시대에도 형태가 변화되어 존속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과 일본 구석기 연구의 이슈와 성과

        이기길(Gi-Kil Lee) 한국구석기학회 2021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4

        2000년 이후 한국과 일본의 구석기 연구에서 중요한 변화가 두드러진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활발해진 유적 조사를 통해 축적된 풍부한 고고 자료를 바탕으로 구석기 유적과 석기군의 이해 및 편년에 진전이 있었다. 나아가 기존의 방식뿐 아니라 원산지 분석 같은 새로운 방법을 적용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한·일간 교류를 포함하여 현생인류의 확산과 행위 등의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여 적잖은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3년에 발간된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구석기시대 편-’은 50년 구석기고고학사에서 획기적인 이정표로 평가된다. 한편, 일본에서는 전·중기구석기 날조 사건으로 인해 구석기시대의 인류 거주는 약 4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정설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일본학계는 2010년부터 “네안델탈인에서 현생인류로의 교체극”과 “팔레오아시아 문화사학”이란 제목으로 현생인류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10년간 수행하였고, 현생인류의 행위, 후기구석기 초기의 양상을 주제로 아시아구석기학회를 개최하며 날조 사건 이후 새 길을 적극 모색하였다. 또한 일본열도의 구석기문화와 주민의 형성을 규명하기 위해 인접한 한국의 구석기 연구 성과에도 큰 관심을 기울였다. Significant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in Paleolithic studies of Korea and Japan since 2000. In Korea, abundant archaeological data accumulated by active surveys after the 1990s have been analysed with new method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the origin sources, and the results have been 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on the movement and behaviors of Modern Human, including Korea-Japan cultural exchanges. Besides, fairly progress was made in establishing the Paleolithic chronology and in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lithic assemblages. Futhermore, the Korean Paleolithic Dictionary, published in 2013, is considered an outstanding milestone. Due to the hoax of Early and Middle Paleolithic, the view that human occupation was started after ca. 40,000 years become a prevalent view in Japan. From 2010, the Japanese academic society has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es on Modern Human such as “Replacement of Neanderthals by Modern Humans” and “Cultural History of PaleoAsia” for 10 years. And the Japanese Paleolithic Research Association held the annual meeting of the Asian Paleolithic Association on the subject regarding the Modern Human behavior and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rrival of Modern Human and relation with that of Korean Peninsula, various efforts were paid to know the accomplishments of the Paleolithic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청주 오송 만수리와 봉산리 구석기 유적군의 후퇴적과정에 대한 시론적 일고찰

        윤병일(Byeongil Yun) 한국구석기학회 202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1

        이번 연구는 청주 오송 만수리와 봉산리 유적군 일대의 형성시기 및 유적의 연대에 대하여 검토해보고 새로운 해석 방법을 시도 하고자 하였다. 유적군의 퇴적층은 절대연대측정 결과로 미루어 보아 최소 10만년 전∼1.5만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각 유물층간 석기의 제작기술적인 차이가 거의 없다. 고인류가 다기간동안 점유하여 폐기된 석기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석기 문화층이 형성된 것 보다는 최소 약 10만년 전, MIS 5기 이상의 이른 시기에 유사한 석기 문화를 가진 인류의 점유가 이루어 졌고, 그 시기동안 집중적으로 석기 사용이 이루어졌음이 추정된다. 그리고 그 석기들이 폐기된 후 여러 층에서 재퇴적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석기들의 이동이 이루어 졌음이 확인된다. 그 근거로는 구석기유적의 변형과정 및 유적형성모델에 따라 석기유물의 집중도와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소형석기 비율 역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석기 제작과 관련하여 석기제작소라 할 만한 석기집중부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을 뿐더러 부합유물 또한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부합 유물은 지역 일대 전체 유물의 약 0.006% 정도로 매우 소량 확인되었는데, 부합유물 중 일부는 약 2만년의 시간차를 둔 것으로 추정되는 서로 다른 퇴적층에서 69m 거리에 떨어져 확인된 바도 있기 때문에 유적의 형성과정에서 석기의 이동이 발생했다는 근거를 더하여 준다. 석기의 이동의 근거는 석기 표면에 발생한 마모도에서도 확인되었다. 오송 봉산리 유적에서 실시한 마모도 분석 결과 상부 퇴적층 유물의 마모도가 하부 퇴적층 유물의 마모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구석기 유적은 대부분 수 만년 동안의 자연변화를 겪은 퇴적층과 잔류성 유물의 집합적인 문화유산이다. 앞으로 후퇴적과정을 통해 형성된 유적의 해석이 대한 다양한 고고학적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Miho stream is the largest of the tributaries joining the main stream of the Geum River where a large number of Paleolithic sites are located. The Cheongju Basin and the Miho Plain are developed in the middle of Miho Stream near the Mansu-ri and Bongsan-ri Paleolithic sites where have long been a fertile ground. Many of the Paleolithic artifacts which are occupied with typical large core tools in Middle Paleolithic are found around in this area. In particular, the Mansu-ri and Bongsan-ri sites were developed during the Middle Paleolithic more than 100,000 years ago. The majority of sedimentary layers have been post-depositional processes due to the influence of rivers predominantly on slopes and erosion. This study is presented the results of attempted to analyze the Post-depositional process of the Mansu-ri and Bongsan-ri sites. It is new attempt at an interpretation about the formation period from the post-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Mansu-ri and Bongsan-ri sites in Osong-eup, Cheongju. Regarding the OSL dating results are not agree with the stratigraphic consistenc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show a reversal age. It is not unusual phenomenon because a large number of sediments had received a long light exposure but some sediments were without being exposed to ligh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ites formed by the sediments re-deposited process. The sedimentary layer is have been formed between from about 15,000 to 100,000 years ago through dating methods.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artifacts between each sedimentary(cultural) layer are not large, It is estimated that rather intensively performed during the period than sequentially inhabitants with subsequently deposited. After discarding artifacts, it was re-deposited on several layers, and other artifacts were moved in this process with them. According to the dating analysis of transformation process and the formation model, the concentrated distribution and density of artifacts were relatively low, and the proportion of small artifacts were also very low. These results are confirmed similarly to the cultural layers in floodplain deposits and slope deposits sediment. Accordingly, this site is formed in the process of high energy sedimentation or continuous progress. It consistent with the study conclusion that these sites have a possibility to be a place where no traces of the inhabitants behavior. Besides the refitted lithic artifacts have been identified small quantities about 0.006% and very rare lithic concentrations workshop in the sites. Even some of artifacts have been identified in different sedimentary layers which is estimated to have a formed timely difference of about 20,000 years at a distance of 69 meters that adding evidence that artifacts movement occurr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ites. The basis for the movement of artifacts were also confirmed by abrasion damage on the surface of artifacts. As a result of abrasion analysis conducted at the Bongsan-ri Paleolithic site, the abrasion damage of artifacts from upper sedimentary layer were more worn than artifacts from lower sedimentary layer. These phenomena are are due to the post-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sites. The site formation is organized b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rtifacts are remained from discarding to finding in current. It is expected that more practical approach with specific research methodology is intended to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서울 암사동유적의 석기제작기술과 체계

        윤정국(Yoon, Jeong-guk) 한국신석기학회 202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42

        서울 암사동유적은 한반도 중남부의 신석기시대 문화상을 이해하는 첫걸음으로, 반세기 동안에 여러 차례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10여 권의 보고서로 출간되었고, 다양한 저 널을 통해 연구성과가 공개되었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 석기의 분류와 현황, 기술적인 검토는 이 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고는 암사동유적 출토 석기 현황을 정리하고, 석기제작기술의 특징과 체계를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암사동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를 검토하고, 석기분류와 기종별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보고된 석기는 25종으로 총 1,011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석기 제작과정에 따라 제작기술을 검토 하였다. 돌감은 유적 주변의 강자갈을 획득하였다. 44종의 돌감의 종류와 주변 지질도를 비교한 결과 유적은 돌감획득의 최적지에 입지하고 있었다. 몸체마련은 자갈돌몸체가 약 81%로 중심을 이루지만, 격지몸체도 약 16%로 소량 확인된다. 이것은 최종적으로 완성된 석기 형태를 고려하여 몸체마련을 적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기종별 석기제작에 대한 검토에서는 각 석기의 형태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제작과정 은 3가지의 제작체계 속에서 6가지의 흐름으로 나타났다. 즉 암사동유적의 석기제작은 돌감획득에서 몸체마련, 성형, 완성에 이르기까지 제작기술의 효율성(또는 제작과정의 최적화)을 극대화하 는 방향으로 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석기제작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암사동유적은 다양한 돌감과 제작기술에 대한 제작 실험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이것은 이후 침선문계 토기의 확산과 함께 석기제작의 제일성(齊一性)를 이루는 인큐베이터 같은 장소로서 역할을 가진다고 추정한다. This article serves two purposes. One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 of stone tools excavated from the Amsadong site. Seco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making technology of the Amsa-dong site. As a result of the review, 25 types of stone tools and 1,011 pieces were excavated from the Amsadong site. And the site are located in the best place for obtaining raw material through the comparison of 44 types of stone material and geological maps. For preparation body(matrix), gravel-preparation body was used a lot at 81%. And the flake-preparation body is 16%.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reparation body is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final finished stone tools type. and The types of stone tools at the Amsadong site were fir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n addition, raw material, preparation body, shape and size,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were review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review data, all stone tools appeared in a way that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ir production. In addition, in Stone tool Production, six production processes were derived from three groups. In summary, the production of stone tools at the Amsadong site applied optimal techniques in the manufacturing stages, such as obtaining raw material, preparation body, shape making, and grinding. It can be said to be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technology or optimiz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 KCI등재

        보령 관산리 구석기유적 출토 석기 분석

        한창균,서인선,김경진,김기태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0

        Several stone tools dated to the Middle Paleolithic, which include a biface, a polyhedron anda notch, were founded in the Gwansan-ri site in Boryeong. Of them, the rhyolite biface isthe most remarkable artifact. Considering geological and archeological contexts in this site, itis high possibility that the raw material was acquired in the primary source or the secondarysource. It can be supposed that the knapper intentionally chose a blank with flat ventralface and slightly convex dorsal face for making this biface. This fact shows that the knapperaimed to make effective stone tools with the minimum of effort. Experimentation that weconducted proved that the biface was shaped by soft-hammer percussion. It can be detectedthat the biface founded in the Gwansan-ri site was made by unique production techniquesthat has rarely been observed in bifaces uncovered in Korea. Differently from bifaces of othersites that both edges are symmetrical form on a longitudinal axis of tools, this collected inthe site is designed that ventral and dorsal faces arrange an convex symmetrical form onthe ridge. Several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the stages in the process of shaping thisbiface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al attributes of it. The interpretation of active edgeand prehensile part analogized by techno-morphological approach corresponds to use-wearanalysis. Use-wear analysis results of the biface found in this site provide data to understandpossibility that it was used for butchering animals. In addition, traces that are inferred toscrape or trim wood branches or antlers are remained in the notch. 보령 관산리유적에서는 중기 구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양면석기, 여러면석기, 홈날 등이 발견되었다. 이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것은 유문암을 이용하여 제작된 양면석기의 존재이다. 관산리유적의 지질학적, 고고학적 배경을 통하여 살펴볼 때, 이와 같은 돌감 종류는 1차 산지 또는 2차 산지에서 획득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양면석기는 배면(아랫면)이 편평하고, 등면(윗면)이 약간 볼록한 형태의 몸체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만들어졌다. 몸체의 선택에는 최소의 노력을 가하여 효율성이 뛰어난 석기를 만들려는 의도가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실험고고학 방법에 의하여, 양면석기는 무른 망치 떼기에 의하여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산리 양면석기에서는 종래 한국의 양면석기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독특한제작방법이 관찰되었다. 다시 말해서, 석기의 길이축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 날이 대칭 관계를 이루도록만든 것이 아니라, 날을 중심으로 배면과 등면이 서로 볼록한 대칭면을 이루도록 하였다. 양면석기의 제작단계에서 고려된 여러 가지 특징은 이 석기의 기능적 속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술-행태적 접근 방법으로 유추된 사용날과 잡이 부분에 대한 해석이 쓴자국 분석 결과와 일치되어 관심을끈다. 양면석기의 쓰인 자국 분석 결과는 이 석기가 짐승의 해체 과정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이해하는데도움을 준다. 한편 홈날의 경우, 뿔 또는 나뭇가지를 긁거나 다듬는 데 쓰였을 것으로 판단되는 흔적이 남아있었다.

      • KCI등재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군 구성의 양상과 진화 시론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1 No.-

        이 글은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유물군의 조성을 비교 검토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특정 석기 형식의 존부나 퇴적층에 대한 기술(記述)에 치중하여, 구석기 유물군의 전반적인 조성 및 그러한 석기군들의 상호 비교에 대해서는 별다른 분석적인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층위를 이루며 복수의 유물층을 가진 유적들을 검토하여 한국 구석기 기술체계의 전반적인 양상와 진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가능하면 많은 층위 유물군 자료를 종합하고 정리함으로써 석기군 구성의 패턴을 인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주먹도끼-찍개-다각면석기를 중심으로 하는 석기군과 둘째, 소형 석영암 석기 중심의 석기군, 셋째, 돌날석기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군, 넷째, 잔석기가 주도하는 석기군이라는 네 가지 석기군의 유형, 곧 기술전통(체계)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토양쐐기를 가진 구석기 퇴적층의 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 석기군이 어떠한 층위적 분포를 가지고 있는지를 논하고, 더불어 최근 절대연대값들의 축적에 따른 진전된 편년관과도 대비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구석기시대 석기군의 구성의 양상과 변화를 구체적으로 적시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성을 모델로 제시하고, 결코 단석적인 시각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and its change through time, although few, if any, analytical works have been devoted to this important aspect. Beginning with a sketchy review of stratigraphic assemblage sequence from representative sites, the present essay provides large scale comparative data of lithic assemblages throughout the middle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an attempt to recognize patterns of Paleo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Four assemblage types, representing technological systems or traditions of Paleolithic technology, are recognized: (1) Handaxe-chopper-polyhedral traditional, (2) Small quartzite artifact dominant tradition, Blade and tanged point dominant tradition, and finally (4) Microlithic tradition. Distributions of these four assemblages types along the stratigraphic sequence are also discussed along with recent progess in Paleolithic chronostratigraphy based on absolute dates and tephrachronology. The compa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a unilinear model, such as three period system embracing the concept of Middle Paleolithic, is not adequate to describe and explain diversity and changes in Paleolithic assemblages. Rather, the evolu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sequence can be modeled focusing on the coexistence and differential persistence of alternative lithic technological systems.

      • KCI등재

        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 흑요석을 중심으로

        장용준(Chang, Yongjoon)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50

        후기구석기시대에 있어 주로 세석인을 사용했던 사람들은 흑요석을 중요한 석재로 인식하였다. 흑요석은 2.8~2.5만 년 전부터 철원, 연천, 포천, 인제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고, 세석인기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남부 각지로 옮겨졌다. 백두산 주변과 함경북도의 두만강 주변지대가 백두산 흑요석의 중요한 공급처였지만, 한반도 중부와 남부지역에서는 산지를 기반으로 한 원산지공급지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백두산 흑요석은 작은 석기나 예비 소재의 형태로 추가령 구조곡이 있는 중부지역으로 유입되었고, 이 지역을 거점으로 남부지역으로 백두산 흑요석은 퍼져갔다. 흑요석이 출토된 후기구석기유적은 연천, 인제, 철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과 그 주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를 검토한 결과, 추가령 구조곡 내 용암대지는 후기구석기시대의 핵심교통로이었음을 처음으로 파악하였다. 동북지역에서 남하하던 인류는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로 접어들면 구조곡 내 평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 지역이 바로‘추가령 구조곡의 도보길’이었다. 선사시대부터 추가령 구조곡은 흑요석 네트워크로 미루어 볼 때 한반도의 북부와 중남부지역을 잇는 가장 중요한 교통로였다. 후기구석기시대에 백두산 흑요석 루트는 A~C 루트(철원 루트, 인제-홍천 루트, 동해안 루트)가 있었으며, 철원 루트는 철원-포천 루트, 철원-연천 루트로 세분할 수 있었다. 후기구석기시대의 흑요석로 본 광역네트워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구석기인은 흑요석 네트워크를 통해 집단 간의 다양한 생존기술과 정보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한반도 중부지역에서는 추가령 구조곡을 중심으로 한 광역네트워크가 다른 지역보다 발달되어 있었다. 후기구석기인은 흑요석을 매개로 하여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공유하면서 서로의 정보와 소식을 나누는 무형의 공간을 창출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In the Upper Paleolithic, people who mainly used microblades recognized obsidian as an important stone tool. From 28,000 years ago, obsidians were intensively excavated from Cheolwon, Yeoncheon, Pocheon, and Inje in Korea. These spread together as the microblade technique spread to the southern regions. The area around the Duman River in North Hamgyeong Province was an important source of obsidian from Mt. Baekdu. However,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ource-based supply zone could not be confirm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wher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s located, obsidians from Mt. Baekdu were brought in as small stone tool(blades, burins, microblades and microblade cores, endscrapers, flakes, smalls cores) and blanks. It was first identified that the lava plateau with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as a key migratory route for the Upper Paleolithic. When hunter-gatherers came down from the northeastern region to the southern region, they could move from Wonsan to northern Gyeonggi-do and northern Gangwon-do along the plain(lava plateau) in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n important way. This area was the ‘Path of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re were A-C routes (Cheolwon route, Inje-Hongcheon route, and East Coast route) in the obsidian route of Mt. Baekdu, and the Cheolwon route could be subdivided into Cheolwon- Pocheon route and Cheolwon-Yeoncheon route. The significance of the wide area network in terms of obsidian is as follows. First, people in Upper Paleolithic shared various survival skills and information among groups through the obsidian network. Secon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widearea network centered o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as more developed than in other regions. It is presumed that people of the Upper Paleolithic accumulated experiences through obsidian and created an intangible space where they could communicate information while sharing it.

      • KCI등재

        논문(論文) : 중국 천진(天津) 지역 구석기 유물의 새로운 발견과 연구

        왕춘설,진전가,성립섭,임야붕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91 No.-

        천진(天津) 계현(계縣)은 천진시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00년 월부터 월까지 천진시문화유산보호연구중심(天津市文化遺産保護硏究中心)이 천진지역 구석기 조사를 전개하여 구석기 유적지 ;개소를 발견하였다. 조사시 석기 발굴 지점의 공간적 분포 범위 및 지형적 특징에 근거하여 구석기 유적지 `개소의 구석기 유적층으로 정리하였는데, 주로 계현 주위에 집중되어 있고 각종 석기 천여 건이 출토되었으며, 약간의 세석기도 출토되었다. ;00년 중하순에 이 기관이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고인류연구소(中國科學院古脊椎動物與古人類硏究所)와 함께 이 지점들에 대해 재조사를 실시하여 석기가 나온 층을 확정하고 주변 지형을 고찰하였다. 천진지구 구석기 유적이 부단히 증가하면서 그 학술 연구적 가치는 증가하게 되었다. ;00년 월부터 월까지 연합고고팀이 조직되어 계현 동영방(東營坊) 지역에서 정식 발굴을 실시하여 대량의 석기를 출토함으로써 천진 지역 구석기시대 문화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였고, 환발해(環渤海) 지역의 고대 환경 변화와 고인류의 적응 생존 과정 연구에 대해서도 소중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천진지역에서 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에서 진행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이 지역 구석기시대 후기 석기 공업 유형과 그 기술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고인류의 기술과 적응 생존 방식 관련 자료를 찾아내어 이 지역 구석기시대 문화의 연구 성과가 동아시아 상고사 이해에 중요한 의의가 있을 것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Archaeological surface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have been carried out since ;00. As a result, ` Upper Paleolithic localities were reported and ; sites were excav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ttribute and technology of lithic industry in this area, and based on the faunal and palynological research conducted in it, we can obtain that they have been termed generally as microblade based micro-tool industry and the Flake-tool industry. We can deduce that there are some consanguineous cultural relationships by compar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technology and typology during the Upper Paleolithic among adjoining regions.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provides a stable and comfortable circumstance for the range of behavioral and adaptive strategies of tool fabrication and daily activity adopted by human beings at the sites. According to the above analyses, it provides important data for studying behavioral options adopted by hominids in this area. Furthermore, they provide meaningful and important materials to explore dispersal of early hominids in East Asia.

      • KCI등재

        석장리 구석기유적의 생활상 복원 연구 : 석기의 쓴자국 분석을 중심으로

        김경진(Kyungjin Kim) 한국구석기학회 202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1

        선사시대 인간이 보편적으로 제작하고 사용하였던 도구인 석기는 인류의 물질문화와 진화를 파악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연구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므로 현재 고고학자들은 선사인들에 의해 남겨진 석기를 바탕으로 그들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쓴자국 분석(use-wear analysis, traceology)을 통한 기능 연구는 당시 선사 사람들이 다양한 작업 활동에서 사용하였던 석기에 남겨진 미세 흔적들을 현미경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선사 도구의 쓰임새를 유추학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석기의 기능 연구는 당시 선사인들의 삶의 모습과 생계 방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준다. 공주 석장리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 가운데 416점을 선별해 석기 쓴자국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47점 (약 11.3%)에서 사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 흔적들이 관찰되었다. 단단한 동물재료와 관련된 흔적들은 긁개, 밀개, 새기개, 격지 등 여러 종류의 석기에서 관찰되었으며, 부드러운 동물재료는 밀개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도구의 사용 방법으로는 긁기, 자르기, 다듬기 등 여러 형태로 사용되었다. 한편, 잔손질석기의 경우 장시간 사용되면서 흔적이 형성되는 반면, 격지의 경우 필요에 따라 단시간 일회성으로 사용되어 잘 발달한 흔적이 드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및 유럽의 다른 유적에서 실시한 석기 쓴자국 분석과 비교한 결과 석장리 유적은 선사인들에게 장기간 점유된 거주 중심의 유적으로 볼 수 있다. The stone tool, produced and used by prehistoric human being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subject in understanding human material culture and evolution. Archaeologists are currently apply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o restore their life based on stone tools left by prehistoric people. Use-wear analysis (traceology) can infer and interpret the use of prehistoric tools by analyzing microscopic traces left in stone tools. Therefore, the functional study of stone tools provides a clue to reconstruct the life and livelihood of the prehistoric people at the time. 416 stone tools excavated from the Seokjang-ri site, were selected for use-wear analysis. Among them, 47 stone tools (approximately 11.3%) showed traces that could be formed by use. Traces related to hard animal materials have been observed in several types of stone tools, including scrapers, end-scrapers, burins, flakes, etc. Soft animal materials have been identified mainly in end-scrapers. In the case of the retouched stone tools, traces are formed while being used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well-developed trace was rare because it was used as a short-term one-time use if necessary.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use-wear analysis of stone tools conducted in other sites, Seokjang-ri site can be seen as residential site occupied by prehistoric people for a long time.

      • KCI등재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정미경(Mee-Kyung Ch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을 탐색함으로써 의생활 교육의 인문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와 복식,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기의 복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는 문헌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는 석기의 발달을 기준으로 올도완, 아슐리안, 무스테리안 문화로 발전하였다. 복식의 경우, 의복은 호모에렉투스의 허리덮개, 네안데르탈인의 망토, 엉성하게 상하의를 갖춘 정도였으며, 네안데르탈인이 인체와 모피의 안쪽에 채색장식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신구는 호모사피엔스가 타조알 구슬, 조개목걸이 등을 사회적 상징으로 착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리나시안 문화는 후기구석기의 첫 번째 시기로, 4만 3,000년~2만 4,000년 전에 주로 서유럽에서 시베리아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문화는 발달된 석기와 골기가 나타하며, 쇼베 동굴벽화, 최초의 비너스와 플룻, 사자인간과 같은 예술품이 등장하는 문화 혁신의 시기였다. 셋째, 오리나시안의 복식은 남녀 모두 가죽을 기본으로 채색, 프린지, 구슬장식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은 풀오버셔츠와 바지, 여성은 기본형의 원피스 형태로 착용되었다. 장신구는 상아로 만든 펜던트, 구슬, 반지와 동물의 뼈나 조개껍질로 만든 목걸이 등이었다. 장신구는 미적 기능과 함께 집단의 소속, 지위와 부 등을 나타내는 사회적 상징으로서 표현적 기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오리나시안기는 단순한 의복에 장식을 더한 복식개념으로의 전환기로서, 복식이 소속과 지위, 부 등을 표현하는 사회적 상징물로 확고히 자리하는 시기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복식의 표현적 기능의 원류이자 사례로서 의생활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그라베티안, 막달레니앙기의 복식에 관한 연구가 후속되길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lothing education by exploring Aurinasian culture and its clothing practices. The content focuses on culture and clothing in the pre-Upper Paleolithic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Arinasian culture, and Arinasian clothing.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pre-Upper Paleolithic cultures evolved into Oldowan, Acheulean, and Mousterian cultures based on stone tool development. In the case of clothing, Homo erectus used a waist cover, while Neanderthals wore capes and loose top and bottom garments. The evidence suggests that Neanderthals began coloring the human body and interior with fur covering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Homo sapiens wore accessories such as ostrich egg beads and shell necklaces as social symbols. Second, the Aurinacian culture, dating between 43,000 and 24,000 years ago, marked the initial stage of the Upper Paleolithic and spanned mainly from Western Europe to Siberia. This period was marked by cultural innovation, featuring advanced stone and bone tools as well as exquisite artworks like the Chauvet Cave paintings, the first Venus and flute, and the Lion Man. Third, Arinasian clothing is presumed to be based on leather for both men and women, with coloring, fringe, and bead decoration. Men wore pullover shirts and pants, while women wore simple dresses. Jewelry items included pendants, beads, ivory rings, and necklaces made of animal teeth or shells. Accessories were found to have not only aesthetic value but also served as expressive symbols representing group membership, social status, and wealth.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urinacia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ransitioning toward a clothing concept that introduced decorations to simple clothes. Moreover, this era marked the establishment of clothing as a social symbol, reflecting not only belonging but also status and w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