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석기 제작기술과 석재 분석 :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재에 대한 예비적 고찰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39 No.-

        그 동안 한국 구석기고고학 연구에서 석재에 대한 분석은 별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특히 구석기 유물을 기술하면서, 비슷한 석재를 여러 용어로 지칭함으로써 연구자들 사이에 적지 않은 혼란이 있었다. 남부지방의 유적들에서 출토된 돌날이나 세석기 유물의 제작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정질의 암석은 이암, 혼펠스, 안산암, 유문암, 반암, 응회암 등으로 상이하게 분류되었으나 실제 외관 및 재질 상 유사한 종류의 암석으로 보인다. 이 글은 석재에 대한 초보적인 분석과 아울러 분석 결과의 고고학적인 의미를 논의하였다. 먼저 몇몇 시료를 지화학적으로 분석하고 암석의 성인에 대한 논의를 통해 대상 암석을 잠정적으로 규질응회암(또는 규질셰일)이라 판정하였다. 그리고 암석화 과정에 대한 개괄을 바탕으로 암석은 한반도 남부지방에는 많이 분포하지만 중부지방에는 상대적으로 희소하다고 추론하였다. 이 같은 차별적인 석재 분포는 구석기시대 석기 제작기술, 특히 세석인 제작기법의 지역성을 가져온 일차적인 요인이었다고 생각된다. Lithic raw material analysis is a largely unexplored field in Korean Paleolithic studies. Continuing use of various terms, such as mudstone, hornfels, andesite, rhyolite and tuff, on seemingly the same rock type heavily exploited in manufacturing such small and formalized artifacts as microblades during the terminal Pleistocene reflects poor understanding of the lithic raw material and its properties and availability. Focusing on rock identification and general ideas on its distribution, the present study represents the first step toward the examination of raw material economy in later Paleolithic Korea. XRF and EPMA analyses of selected samples from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demonstrate very similar geochemical properties of the lithic raw material. A preliminary observation of the raw material distribution suggests that its availability, especially in the mid-Peninsula, may have been one of key factors in the later Paleolithic transition to blade and microblade industries. Also, the proposed regional variability of the microblade core technology is likely closely related to the unequal raw material distribution in the middle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군 구성의 양상과 진화 시론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1 No.-

        이 글은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유물군의 조성을 비교 검토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특정 석기 형식의 존부나 퇴적층에 대한 기술(記述)에 치중하여, 구석기 유물군의 전반적인 조성 및 그러한 석기군들의 상호 비교에 대해서는 별다른 분석적인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층위를 이루며 복수의 유물층을 가진 유적들을 검토하여 한국 구석기 기술체계의 전반적인 양상와 진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가능하면 많은 층위 유물군 자료를 종합하고 정리함으로써 석기군 구성의 패턴을 인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주먹도끼-찍개-다각면석기를 중심으로 하는 석기군과 둘째, 소형 석영암 석기 중심의 석기군, 셋째, 돌날석기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군, 넷째, 잔석기가 주도하는 석기군이라는 네 가지 석기군의 유형, 곧 기술전통(체계)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토양쐐기를 가진 구석기 퇴적층의 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 석기군이 어떠한 층위적 분포를 가지고 있는지를 논하고, 더불어 최근 절대연대값들의 축적에 따른 진전된 편년관과도 대비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구석기시대 석기군의 구성의 양상과 변화를 구체적으로 적시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성을 모델로 제시하고, 결코 단석적인 시각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and its change through time, although few, if any, analytical works have been devoted to this important aspect. Beginning with a sketchy review of stratigraphic assemblage sequence from representative sites, the present essay provides large scale comparative data of lithic assemblages throughout the middle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an attempt to recognize patterns of Paleo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Four assemblage types, representing technological systems or traditions of Paleolithic technology, are recognized: (1) Handaxe-chopper-polyhedral traditional, (2) Small quartzite artifact dominant tradition, Blade and tanged point dominant tradition, and finally (4) Microlithic tradition. Distributions of these four assemblages types along the stratigraphic sequence are also discussed along with recent progess in Paleolithic chronostratigraphy based on absolute dates and tephrachronology. The compa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a unilinear model, such as three period system embracing the concept of Middle Paleolithic, is not adequate to describe and explain diversity and changes in Paleolithic assemblages. Rather, the evolu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sequence can be modeled focusing on the coexistence and differential persistence of alternative lithic technological systems.

      • KCI등재

        Three Sides of a Handaxe: Costly Signaling, Wasteful Advertising and Functional Utility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구석기학회 202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1

        논문은 구석기시대 주먹도끼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진화이론의 시각에서 검토하고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주먹도끼는 아프리카와 유럽, 그리고 아시아에서 장구한 시간 동안 여러 돌감으로 만들어지고 쓰였다. 주먹도끼라는 석기형식에도 폭넓은 변이가 있다. 특히 후기 아슐리안 석기전통의 여러 유물은 단순히 기능적인 효율성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들 만큼 정교하고 균형 잡힌 형태를 갖추고 있다. 몇 유적에서는 양면으로 가공했으면서도 쓰이지 않은 것이 분명한 유물이 놀랄 만큼 많이 있기도 하다. 이 같은 일견 모순된 현상을 설명하고자 몇몇 연구자들은 성선택이나 인지능력의 진화와 같은 측면을 강조한 바 있다. 이 글은 여기서 더 나아가 진화이론에 입각한 설명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값비싼 신호(costly signaling)”와 “낭비적 광고(wasteful advertising, 또는 과시적소비)” 모델과 개념을 바탕으로 과잉디자인과 지나치게 많은 유물의 문제에 접근한다. 값비싼 신호와 신뢰를 얻는 행위는 동물 및 영장류에서도 널리 보이기에 초기인류의 행위패턴으로 자리 잡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르면, 사회적 경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값비싼 신호, 그리고 과도한 물적 소비와 전시 행위는 사회적 위신이나 짝짓기 기회를 높일 뿐 아니라 집단의 규모, 곧 인구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예측하기 힘든 환경에서 “낭비 행위”는 그렇지 않은 행위보다 더 적응도가 높다. 당장의 비생산적 영역에 투여하는 행위는 일견 낭비적일 수 있지만, 예측할 수 없이 좋지 않은 환경조건이 지속된다면 어렵지 않게 생산적 행위로 전환할 수 있기에 진화적으로도 안정된 전략(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그토록 오랜 시간, 광대한 지역에서 다양한 돌감으로 만들어진 기본토대는 “다용도 기능”을 가진 도구이자 격지 생산에도 유용한 몸돌이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and explores various recent interpretations of Paleolithic handaxes, especially those related debates over the overdesign, extravagance and supposed functions, three sides of a handaxe. Models derived from evolutionary theory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prehistory, and costly signaling theory and the concept of waste can be applied to explaining the elaboration of morphology and an excess number of bifacially worked artifacts with no trace of use. Stressful conditions such as growing social competition and recurring environmental perturbations provide a basis on which such costly and wasteful behaviors associated with material display evolve. Honest and costly signals of good health conditions enhance trustworthiness and social prestige. Studies show such seemingly wasteful behaviors have higher mean fitness value than “non-wasteful” behaviors especially in uncertain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s. The behavior is developed and embedded in behavioral practice as an 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 as such signaling and wasteful behaviors can easily be converted to subsistence and reproductiv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wide distribution and extremely long persistence of handaxes in prehistory, also show their exceptional functional utility for multipurpose tools including butchering animal carcasses and cutting plants and wood as well as for cores detached for producing flakes usable for various tasks.

      • KCI등재
      • KCI등재

        석장리유적 발굴과 구석기고고학의 과제와 전망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1

        이글은 석장리라는 중요한 구석기 유적을 통해 한국 구석기고고학을 학사적으로 조망한 것이다. 학사적인 시각을 통해 유적이 언제 조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연구의 시대적인 배경과 당시의 학문적인 패러다임을 궁구한다. 1964년 석장리 유적 발굴은 한국 고고학사의 획기적인 일이었으며, 이로써 연구 자료를 갖춘 구석기고고학이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학사적으로는 이미 일제강점기부터 구석기시대에 대한 관심과 자료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시각이 있었으며, 석장리 발굴이 지닌 의의 역시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석장리 유적 발굴은 구석기고고학의 성장을 압축해서 보여주면서도 오늘날 연구자에게 많은 과제를 던져주기도 한다. 한국 구석기고고학에서는 유적의 자연 및 문화적인 형성과정에 대한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고고학사와 이론의 발전에서 구석기고고학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고려할 때 한국 구석기 고고학 역시 이론과 방법론에 더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석기 및 유물군을 이해하는 데 자료를 남긴 수렵채집 사회에 대한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시각이 중요하다. 정지된 물적 자료로부터 역동적인 과거 인간행위에 대한 진술을 하고자 하는 고고학자에게 현존 수렵채집 사회에서 관찰되는 식생활과 이동, 공간 점유, 사회네 트워크와 관련된 패턴은 중요하고도 필수적인 도구이며, 이를 토대로 구석기고고학 관련 자료를 더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세부 편년을 세우고 수렵채집민의 이동성과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후기 구석 기시대 유적 점유의 역동성을 연구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essay attempts to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at Seokjang-ri which began in 1964. While a disciplinary history may take a form in which a series of important events were chronicled, this essay emphasizes paradigmatic movements and sociopolitical settings in which a specific discovery was made and accepted by the scientific community. It is suggested that the discovery of Paleolithic materials and subsequent excavations can better be understood from the long history of interests in the Paleolithic from the early 20 th century. The excavation of the first Paleolithic site at Seokjang-ri in South Korea provided archaeologists tangible material evidence for the first time. Many issues still remain unsolved, however, and we need to critically evaluate the legacy of the Seokjang-ri excavation. Especially, natural and cultural site formation processes are need to be fully understood and carefully discussed in the archaeological reports and papers. Furthermore, understanding of hunter-gatherer society and behavioral patterns and diversity, such as subsistence economy, mobility, and social networks, is always a required tool for Paleolithic archaeologists who try to make sense out of static material remains. We also need to reconstruct and explain detailed chronology and occupational history during the Late Paleolithic.

      • KCI등재

        중부지방 구석기고고학의 쟁점과 유적형성과정의 이해

        성춘택(Seong, Chuntaek),김태경(Kim, Taekyeong)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1

        2000년대 들어 구석기시대 고고 자료의 양적 성장에 맞춰 구석기시대 문화변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도 진전이 있었다. 이 글은 그동안 발굴된 중부지방(서울ㆍ인천ㆍ경기, 강원)의 구석기 유적을 종합하고, 기존의 연구경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특히 후기 구석기문화의 자료와 문화를 이해하는 틀을 점검한다. 뗀석기를 비롯해 유물의 분포, 복수 유물층의 판단 등에서 구석기고고학의 대상인 물질 자료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를 학문적 엄격성을 견지하면서 논증하는 접근방법이 중요하다. 만년이 넘는 시간 척도를 다루는 구석기고고학에서 유적이 잘 보존돼 있음을 전제하는 것보다 비바람과 동식물, 그리고 동결, 점토교란작용 등 자연현상의 결과일 가능성을 가설(영가설)로 삼고 이를 반증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자료는 이동 수렵채집민이 남긴 것이기 때문에 그 이동성과 사회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후기 구석기문화의 확산과 전개를 분석할 수 있다. 이 시각에서 경기도와 강원도의 구석기 유적과 출토유물을 개괄하면서 드러나는 몇 가지 지역적 패턴은 단순히 과거 문화의 단면이라기보다 상이한 유적형성과정과 조사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덧붙여 이 논문은 슴베찌르개와 세석기, 양면찌르개, 돌화살촉을 비롯한 여러 중요한 석기형식의 등장과 소멸, 그리고 규질셰일과 규질응회암, 혼펠스, 흑요석 같은 정질 암석의 획득과 사용 등 중요한 이슈에 접근하는 분석 틀을 제안한다 This essay discusses current issues of Paleolithic archaeology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study of Jungbu region (Seoul, Incheon, Gyeonggi and Gangwon) based on critical reviews of previous research trend. Issues such as analyses of chipped stone artifacts, artifact distributions and determination of multiple cultural horizons at individual sit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cientific reasoning of how the human behavior’s material remnants of tens of thousand years ago underwent complex formation processes. In addition to vagaries of climate related processes, the archaeological record went through bioturbation, cryoturbation and argillioturbation even after the deposition. The scientific reason starts with a null hypothesis that all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artifacts were results of natural processes and tries to falsify the hypothesis. In this ve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te distribution across the Jungbu region is likely the result of site formation processes rather than cultural differences during the Paleolithic. Late Paleoltihic culture change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lithic assemblages focusing on the emergence and disappearance of tanged points, microliths and bifacial points. Also, the technological transi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quality raw materials such as silicified tuff, shale and obsidian that were to have been obtained from distance sources. The rapid dispersals of the microlithic along with the use of obsidian are discussed with a special emphasis placed upon the climatic change during the final Pleistocene.

      • KCI우수등재

        한국 방사성탄소연대 이상연대치의 선별과 검증

        김장석(Kim, Jangsuk),황재훈(Hwang, Jaehoon),김준규(Kim, Junkyu),오용제(Oh, Yongje),안승모(Ahn, Sungmo),성춘택(Seong, Chuntaek),최종택(Choi, Jongtaik),이창희(Lee, Changhee) 한국고고학회 2018 한국고고학보 Vol.0 No.107

        본 연구에서는 기보고된 탄소연대 측정결과 중 오류 가능성이 의심되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동일 시료에 대한 재측정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연대측정결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잘못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였다. 서울대와 다른 기관 사이의 연대 차이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재검토한 결과, 서울대가 일관되게 다른 기관보다 이른 연대치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서울대와 지질자원연구원의 측정결과 중, 특정 보고일자에 이상측정치들이 집중되는 패턴이 간취되었다. 이에 문제의 데이터가 측정상의 오류에서 기인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세 단계에 걸쳐 재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재측정 결과, 서울대와 지질자원연구원의 특정 일자 보고치에서 반복적 오류가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문제의 일자를 제외한 서울대 측정치에는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금번 재측정실험에서 오류로 판정된 지자원과 서울대의 일부 데이터는 폐기되어야 하며, 이 결과가 편년 연구에도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방사성탄소연대자료에 대한 합리적인 연구는 연대측정결과에 대한 무조건적 불신이 아니라 데이터와 편년안에 대한 신중한 재점검을 통한 체계적인 활용이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paper, we examine potential errors of already-reported radiocarbon dates of Korea, by re-dating the same samples. We compared multiple dates from the same features to asses the dataset and find problematic dates. Evaluation of the radiocarbon dataset revealed that among radiocarbon dates measured by SNU and KIGAM, anomalous dates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dates. A series of re-dating experiments confirmed our suspicions, although the general accuracy of the SNU radiocarbon dates did not have problems. We suggest that the erroneous dates that we found from re-dating be aband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