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 대구화단의 서화론 연구

        김취정 ( Kim Chwi-jeo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전통 서화론(書畵論)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서화 이해에 기반을 둔 것으로서 19세기 전반까지 서울화단에서 주도하였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서울화단의 전통서화론은 점차 쇠퇴하며 자취를 감추고 지방화단으로 계승되어 발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을 잘 보여주는 화단이 바로 대구화단이다. 근대기 대구화단 형성의 연원은 1922년 ‘교남시서화연구회(嶠南詩書畵硏究會)’ 개설 시점으로 올라간다. 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 1862-1935)가 설립하여 주도해 오던 교남시서화연구회는 1934년 이후 그의 제자 죽농 서동균(竹儂 徐東均, 1903-1978)이 이어받아 운영하게 된다. 현재에도 ‘교남시서화연구회’의 후신인 ‘죽농서단’이 대구 서화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근대기 대구화단은 조선 말기 맥이 끊겨 가던 문인화풍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대구화단에서 새로운 문인화의 경지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서화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구가 밑바탕에 있었기 때문이다. 근대기 대구화단의 서화론 중에서 중요하게 여겨진 것은 ‘사의(寫意)’, ‘서화일치(書畵一致)’, ‘신운(神韻)’, ‘천작(天作)’등이다. 특히 ‘사의’와 ‘천작’이 강조되어 왔는데 이는 ‘창의(創意)’와 그 궤를 함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근대기 대구화단이 개성적인 문인화풍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창작의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예술가로서의 정신이 살아 있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근대기 대구화단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조명하는 한편 대구화단의 서화론이 어떻게 계승되고 발전되어 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근대기 지방화단의 일면은 물론 조선 말기의 서화가 어떻게 근대기 서화로 이어졌는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Up until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art world in Seoul played a central role in formulating the traditional discourses on painting and calligraphy based on East Asia’s universal understanding of the two highest forms of art. As the traditional discourses on painting and calligraphy, led by the Seoul art world, declined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provincial art communities succeeded the tradition and managed to develop them further. The Daegu art world is one good example of this development. The Daegu art world dates back to 1922 when the Gyonam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oetry, Painting, and Calligraphy was established. The association, established by Seo Byeong’o (1862-1935), was taken over by his student Seo Donggyun (1902- 1978) in 1934. Even today, the Juknong Calligraphic Association established in honor of Seo Donggyun, the successor of the Gyonam Association, is active in Daegu. The Daegu art worl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yle of literati painting that went out of fashio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reason why the Daegu art world came to revive the style of literati painting is that it possessed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painting and calligraphy. Amo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theory are saui (writing ideas), sin’un (divine resonance),’ and cheonjak (heavenly creation or heavenly masterpiece).’ In particular, saui and cheonjak have been greatly emphasized, as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artistic creativity. The Daegu art world achieved one of the most original styles of literati painting because it kept alive the artistic spirit for creativity. This essay sheds light on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Daegu art world in the modern period. It also explores how the Daegu art world’s theory of painting and calligraphy has developed. This research not only examines how regional art communities were formulated in modern Korea, but also highlights the evolu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o the modern era.

      • KCI등재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서화론에 관한 미학적 고찰 - 삐에르 부르디외의 ‘구별짓기’를 중심으로 -

        조민환 ( Jo Min Hwa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1 No.-

        이 논문은 삐에르 부르디외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에서 규정한 구별짓기 사유를 김정희 서화론에 적용하여 고찰한 것이다. 삐에르 부르디외는 문화귀족은 원래의 귀족과 마찬가지로 가지고 태어난 탁월성에 의해 남들과 구별되며, 예술적 정통성을 독점하는 사람들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는데, 이런 견해는 김정희의 ‘군자의 예술관’을 분석할 때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주자학을 존숭하는 유학자는 대부분 예술 행위 자체가 玩物喪志로 여겨지는 것을 경계하는데, 김정희는 예술이란 유가 格物致知의 학문이고 아울러 군자의 모든 행위는 모두 道를 표현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김정희가 주장하는 것처럼 예술을 유가의 격물치지 공부와 연계하여 이해하면 예술 행위는 더 이상 완물상지가 아니게 된다. 대신 예술 행위에 어떤 의미를 담아서 행하는 것이 올바른 것이고, 아울러 그런 행위가 정당성을 확보하려면 어떤 마음가짐에서 출발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또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 요구된다. 김정희는 이와 관련된 내용과 방법론을 단적으로 ‘군자가 행하는 예술’로 귀결짓는데, 그것에는 ‘구별짓기’가 작동하고 있다. ‘군자가 행하는 예술’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가 하는 질문을 했을 때 김정희는 예술 행위 이전에 毋自欺에 근간한 愼獨과 가슴속에 5천 권의 서책과 오천 자를 담는 것과 관련된 文子香과 書卷氣를 요구한다. 아울러 담아내야 할 이상적인 미의식으로 文質彬彬 차원에서 淸高古雅함과 方勁古拙함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는 ‘군자의 예술’은 서예의 법, 시의 품격, 그림의 정수가 묘경에서는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말하고, 아울러 ‘詩中有書’, ‘書中有詩’도 주장한다. 이런 것을 강조하는 것은 서화가 士氣를 표현하는 예술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김정희는 단순 기교의 工拙 여부를 따지거나 혹은 形似 측면의 ‘依樣의 미’를 표현하는 이른바 ‘畵匠’과 ‘書匠’ 풍의 예술창작을 止揚하고 ‘군자의 예술’ 차원의 인문예술을 志向하는데, 이런 사유에는 구별짓기가 작동하고 있다. 이같은 김정희의 서화론은 ‘군자의 예술’을 통해 군자 예술이 아닌 것과의 구별짓기를 시도한 것인데, 이런 구별짓기에는 서화를 특수한 집단과 계층에서 행해졌을 때 의미가 있다고 규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때론 유학자들이 玩物喪志로 배척하거나 혹은 末技로 여겨 경시했던 서화의 풍격을 ‘군자의 예술’로서 격상시키면서 철학과 예술의 동일성을 모색하는 ‘學藝一致’ 사유 및 서예의 법, 시의 품격, 그림의 정수에 담긴 동일성을 통해 문인예술을 총체적으로 묘합시킨 예술철학을 전개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considered by Pierre Bourdieu by applying the distinguishing reasons set out in 『distinction: sociology of culture and taste』 to Kim Jung-hee’s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Pierre Bourdieu states that cultural nobility, like the original aristocracy, are distinguished by innate excellence and monopolizes artistic legitimacy. This view can be applied when analyzing Kim Jung-hee’s nobleman's view of art. Most neo-confucian scholars are wary of what is considered sap one’s spirit by seeking pleasures, and Kim Jung-hee argues that art is the study phenomena to acquire knowledge of confucian scholars, and that all of nobleman’s actions express truth. As Kim Jung-hee argues, understanding art in connection with the study of neo-confucianism’s study phenomena to acquire knowledge will no longer be sap one’s spirit by seeking pleasures. Instea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it means to do art activities, and to find a way to solve them in order to secure legitimacy. Kim Jung-hee boils down to art performed by nobleman, which contains distinction. As for art performed by nobleman, Kim Jung-hee demands the following, in other words, it requires not to deceive oneself before an act of art, to refrain from being alone, to contain 5,000 books and 5,000 letters in one’s heart, and fragrance of words and bookish charm. It also presents clear, noble, old, elegant and upright, strong, old and humble as ideal aesthetic items to be captured. As a result, the emphasis on noble man’s art is based on the law of calligraphy, the dignity of poetry, and the essence of painting are the same in subtle ways, and Kim Jung-hee further argues that there is a taste of calligraphy in the poem and there is a taste of poetry in the calligraphy. Emphasizing this is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should be art that expresses the charm of literati. In response, Kim Jung-hee considers whether the technique is exquisite and inferior or expresses follow a model’s beauty in the be similar in form or apperance dimension. As a result, it aims for humanities art at the nobleman’s art level, which is why distinction works.

      • KCI등재

        중국의 애국주의교육과 역사허무주의 : -1988년 〈하상(河殤)〉의 방영에서 1994년〈애국주의교육실시강요애국주의교육실시강요(愛國主義實施綱要)〉선포까지-

        김인희(KIM, In-Hee)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본고는 1988년 <하상>의 방영부터 1994년 <애국주의교육실시강요>가 선포되는 과정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중국정부가 애국주의교육을 실시한 원인과 애국주의교육에서 역사가 지배이데올로기 강화를 위하여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개혁개방 이후 1980년대 문화열이 일어났는데 가장 급진적인 개혁파는 전반서화론자였다. 전반서화론자들은 중국문명은 이미 요절하였으니 서구문명을 받아들여 완전히 개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공유제는 중국에 맞지 않는다고 하며 사유제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전반서화론자들은 이러한 내용을 <하상>이란 제목의 다큐멘터리로 제작하여 1988년 6월 중국 CCTV에서 방영하였다. <하상>이 방영된 1년 후, 1989년 6월 4일 톈안먼 사건이 발생하였다. 톈안먼 사건이 발생한 이유가 <하상>이 주장한 전반서화론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한 공산당은 <하상>에 대해 민족허무주의 또는 역사허무주의라고 비판하였다. 덩샤오핑과 장쩌민은 톈안먼 사건이 발생한 원인을 사상교육을 제대로 시키지 못한 것에서 찾았고, 애국주의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1994년 <애국주의교육실시강요>를 선포하였다. 이 시기 중국 애국주의교육의 특징은 기존의 국가와 당과 사회주의에 대한 사랑을 삼위일체로 보는 관점에서 더 나아가 국정과 근현대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국가와 당에 대한 희생을 강조하며, 아동시기부터 세뇌교육시키며, 애국의 실천에 있어 지행일치를 강조한 것이다. 애국주의교육 중 고대사와 근현대사 교육을 강조하였다. 고대사 교육을 통하여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위대한 문명임을 증명하여 민족적 자부심을 한껏 고양시키고자 하였다. 근대사 부분에서는 위대한 중국문명이 야만적인 서구 제국주의에 침탈당하였음을 강조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자기연민적 역사관을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절망에서 중국을 구한 것이 공산당임을 강조함로써 공산당의 지배를 정당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중국 공산당은 역사를 활용하여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였으나, 관 주도의 역사교육은 역사과잉을 낳게 되었고, 결국 많은 분노청년을 양산하게 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ause of patriotism education of Chinese government and utilization of history in patriotism to reinforce dominant ideology through discussion over broadcasting of <Hasang> in 1988 and the process of proclamation of <Forced patriotism education> in 1994. Since reform and opening, Munhwayeol(文化熱) occurred in 1980s, and Jeonbanseohwaronja(全般西化論者), most radical reformers, insisted that Chinese civilization died young and must be completely reformed by accepting western civilization. Jeonbanseohwaronja produced a documentary, <Harang>, based on this content, and broadcasted it on Chinese CCTV in June, 1988. 1 year after broadcasting of 〈Hasang〉, Tiananmen massacre occurred on June 4, 1989. The Communist Party determined that the cause of Tiananmen massacre was Jeonbanseohwaron of <Hasang> and criticized <Hasang> for its national nihilism or historical nihilism. Deng Xiaoping and Jiang Zemin determined the cause of Tiananmen massacre was insufficient ideological education and proclaimed <Forced patriotism education> in 1994. During this period,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patriotism education reinforced education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modern history, beyond the existing view of trinity of love for nation, party, and socialism, emphasizing sacrifice for the nation and the party, brainwashing since young, emphasizing consistency of knowledge and action for practice of patriotism. In respect of patriotism education, ancient history and modern history education was particularly emphasized. Also, they intended to enhance national pride by proving ancientness and excellence of Chinese civilization in the world through ancient history education. In modern history, they intended to boost adolescents to have self-pitying historical view by emphasizing the point that great Chinese civilization was plundered by savage western imperialism. Also, they made the adolescents acknowledge justification of domination of the Communist Party by emphasizing the point that the Communist Party saved China from such despair. Chinese Communist Party reinforced dominant ideology by utilizing history, however government-driven history education brought about excess history and young people of wrath, accordingly.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사상 흐름에 대한 한국 철학계의 연구 동향 - ‘문화열’과 ‘중국학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이철승(李哲承)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5

          1978년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사상계는 ‘실천이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라는 관점 아래, 중국 사회를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실사구시’와 ‘사상해방’을 주장하며, 신‘백화제방’ㆍ‘백가쟁명’의 시대를 열었다. 경직된 사회 구조에서 벗어난 중국의 지식인들은 1980년대에 더욱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면한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을 펼쳤다. ‘문화열’이란 학계의 이러한 동향을 지칭한 말이다.<BR>  중국의 사상계는 또한 1989년의 이른바 ‘6ㆍ4 천안문 사태’를 경험한 후, 이 사건의 사상적 배경을 ‘문화열’ 때 확산된 서구의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조의 만연으로 여기고, 중국의 정체성 회복과 새롭게 펼쳐지는 국제 질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에 ‘신중화사상’을 토대로 하는 ‘중국학열’을 조성시켰다.<BR>  오랫동안 중국의 현대 사상에 대한 연구보다 전통 사상에 대한 연구에 치중했던 한국의 철학계는 1990년대 초부터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유 체계의 확립을 철학의 중요한 역할로 여기는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중국 현대 철학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BR>  그들은 그동안 한국의 철학계가 중국 사상을 연구하면서 비실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킴으로 인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면에 한계를 노정시킨 것으로 평가하고, 현대 중국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와 합리적인 한중 관계의 정립에 이론적인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BR>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문화열’과 ‘중국학열’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현대 사상의 연구 경향에 대한 한국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여, 균등하면서도 평화로운 한중 관계의 지속에 필요한 사상적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 신문화 운동에 대한 신유학자들의 인식 연구 -량수명(梁漱溟)의 동서문화철학(東西文化哲學)과 하린(賀麟)의 중서문화융합론(中西文化融合論)을 중심으로-

        김주성 ( Joo-sung Kim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哲學論考(철학논고) Vol.2 No.-

        5.4 New Cultural Movement is political and cultural enlightenment movement with the purpose of construction of new china in 1910’s and 20’s. Westernizers such as Chen duxiu(陳獨秀) or Hu Shi(胡適) strongly advocated of western scientific mind and democracy to modernize chinese people culturally and ideologically so they tried to exclude chinese traditional confucianism. In the other hand, new-confucianists who are based in confucianism planed close harmony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so it was possible to accept 5.4 New Cultural Movement in a reasonable way. Liang Shuming(梁漱溟), one of early new-confucianist, believed that confucianism must be modified with self-reflection and came up with comparis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s a method of self-reflection. He could, therefore, adhere to confucianism and accept scientific mind and democracy at the same time in his east and west philosophy of culture called theory of cultural development. He Lin(賀麟) evaluated 5.4 New Cultural Movement as a turning point of development of confucianism. He believed that his theory of the coalition of chinese and western culture is not westernizing confucianism, but it is changing western culture with confucianism in outstanding ways. He tried to fill chinese culture with western culture to make totally new culture based in confucianism. Liang Shuming and He Lin created new paradigm of philosophy of culture that unite both culture to find out the third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