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를 생각하는 생태학교 시범 사업의 효과 분석 - 용인시 중학생의 생태전환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이성희,김인숙,장지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4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4 No.1

        이 연구는 용인시의 생태전환 교육 사업이 중학생의 생태전환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용인시는 2개의 중학교에 환경교육을 전담하는 환경교육사를 파견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생태전환 교육을 하도록 지원하였다. 생태전환 교육에 참여한 중학생 670명을 대상으로 생태전환 교육 사전과 사후에 생태전환 소양 검사를 하였고 사후에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의 점수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생태전환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생태전환 소양 점수가 증가하였다. 집단면담을 통해 수집한 학생들의 생각은 에서 도 생태전환 소양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볼 때, 용인시의 생태전환 교육 사업은 학생들의 생태전환 소양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roject in Yongin City o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Yongin City hired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in two middle schools to provid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o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 total of 670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thereafter, a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ome student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re- and post-test scores reveal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creased their ecological transformation literacy scores. The students’ thoughts, collected through group interviews, also affirmed the enhancement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roject in Yongin City appea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cological transformation literacy.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생태전환교육 관심도 분석

        박현진,서순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중심주의를 기반으로 한 생태전환교육의 도입과 확산이 진행 중임에 따라 초등 예비교사의 생태전환교육 관심도가 어떠한지, 그리고 배경 변인에 따라 관심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초등 예비교사 320명에게 관심 단계 설문지를 오프라인으로 투입하였다. 미회수 및 불성실한 응답 24부를 제외한 296부의설문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단계별 원점수합산 평균을 구해 그것을 SoCQ 백분율 환산표에 대입하여 변환 값을 산출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생태전환교육 관심 수준은 개인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업무⋅효과 차원점수는 낮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생태전환교육 관심도를 비교한 결과 남녀 학생 모두 비사용자 집단 프로파일 형태를 보였으나여학생의 관심도 점수가 남학생 점수보다 높았다. 셋째, 생태/환경 주제 선호도에 따른 생태전환교육 관심도 프로파일과 친환경 실천 정도에 따른 생태전환교육 관심도 프로파일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 양성기관에서는 학생들의 생태전환교육 무관심 정도를 줄여나가기 위한 노력을우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성별에 의해 생태전환교육 관심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사 양성 교육과정 설계및 운영 전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셋째, 생태/환경 주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그것이 생태전환교육 관심도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한다. Objectives In elementary education,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s in full s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rn sta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est level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Method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oCQ) was distributed offline to 320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296 surveys, excluding 24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the average of the raw scores for each stage was calculated, and the average value was converted to a percentage value using the SoCQ conversion t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 sta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remained in the ‘self’ cluster, and the score in the ‘task’ or ‘impact’ cluster was low.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concern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y gende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 profil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onuser group, but female students' concern score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scores. Third, the profile of concern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ccording to preference for ecology/environment topics and degree of eco-friendly practice appeared in a similar form.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in education need to make primary efforts to reduce students' unconcerned stage abou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Second,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overall design and oper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o prevent differences in concern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depending on the gender. Third, various practica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increase students' ecological/environmental preferences, and ultimately, it should affect students' interest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박현진(Hyeonjin Park),고현국(Hyunkook Ko),권동택(Dongtaik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공식 문서에 기재된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생태전환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literature review)이다. 자료 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이루어졌고 학술지에 등재된 학술논문이 수집되었다. 문헌 선정 기준은 일반교육 범주에서 생태전환교육을 다루고 있는 연구이고, 눈덩이 표집(snow balling) 전략을 사용해 배제되는 논문이 없도록 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 내용은 자체 제작한 코딩 표에 정리하여 코딩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초까지 꾸준히 진행되어왔으며, 시기마다 ‘홀리스틱 교육’, ‘지속가능성 교육’ 등 연구의 중점이 조금씩 달랐다. 둘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중등교육보다 유아교육이나 초등교육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었고, 학교 간 연계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보다 문헌 연구 방법으로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2020년대 이후 발간⋅출판되는 연구 동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고, ‘지속가능’, ‘변화’, ‘변혁’ 등 대체 주제어를 사용하여 문헌 고찰을 수행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연구 시기와 대상, 연구 방법 기준이 아닌 다른 기준이나 변수를 설정하여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Sinc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as used in official docu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the term are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set with the purpose of systematically identifying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riving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ata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The literature selection criterion was whether it deals with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general education category, and a snowballing strategy was used to ensure that no papers were excluded.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contents were organized in a self-made coding table,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by comparing coding valu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20s, and the focus of research wa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period, such as ‘holistic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Second,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relatively more activ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elementary education than in secondary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Third,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conducted mor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an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it. Second, based on this study,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by focusing on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ublished after the 2020s. Third,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review literature using alternative keywords such as ‘sustainability’, ‘change’, and ‘transformation’. Fourth,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y setting new standards or variables.

      • KCI등재

        교사의 생태패러다임 관련 경험을 통한 교육의 생태적 전환 방향 모색

        목정연,남미자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the dire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through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cological civiliz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To this end, seven high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on the subject of new ecological paradigm. Studies have shown that teacher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ecological civilization are "emphasis on trust and ethical responsibility for human existence", "awakening ecological sense and habit formation for ecological life", "the reality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more urgent than ecological crisis", and "ecological education impossible only with will and pa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roadmap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were presented as 'Step1: Reflective education on the modernity', 'Step2: Hidden curriculum as arrangement of network', 'Step3: Mapping curriculum as contextual and emergent', and 'Step4: Education as becoming, not representation'.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생태전환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의 생태적 전환은 인간과 자연이라는 이분법적 시각 속에서 인간과 자연 사이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생태적 관점으로 인간 존재와 삶을 지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존재와 관련짓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에서 교육의 역할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근대문명과 생태문명 사이에서의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문명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관련 교육 경험을 통하여 교육의 생태적 전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교사 7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생태패러다임을 주제로 면담을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생태문명에 대한 인식과 교육 경험은 ‘인간 존재에 대한 신뢰와 윤리적 책임 강조’, ‘생태 감각 깨우기와 생태적 삶을 위한 습관 형성’, ‘생태위기보다 시급한 대학입시라는 현실’, ‘의지와 열정만으로 불가능한 생태교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의 생태적 전환을 위한 로드맵을 ‘1단계: 근대성에 대한 성찰적 교육’, ‘2단계: 관계망의 배치로서 잠재적 교육과정’, ‘3단계: 맥락적이고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서 지도그리기’, ‘4단계: 재현이 아닌 생성으로서 교육’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생태전환 체육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상은,박상봉 한국초등체육학회 202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생태전환 체육 수업 프로그램의 탐색 및 개발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 요소를 탐색하고, ADDIE 모형, 나선형 실행 연구 방법에 기반하여 생태전환 체육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생태전환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심층 면담 등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 사례 기록 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생태적 정체성 관점에서 평가한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변화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긍정적,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며 생태환경을 감성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 둘째, 생태환경의 존재를 유의미하게 인식하며 생태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셋째, 생태환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실생활 맥락에서의 생태형 스포츠 실천 욕구와 환경보호 의지가 촉진되었다. 2022 개정 체육과교육과정은 생태전환교육을 수용하여 자연 친화적 태도 함양을 추구할 뿐 아니라 실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생태형 스포츠를 실천할 수 있는 실천 기반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체계적인 움직임 기술 습득하여 자연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생태형 스포츠 영역을 신설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여가 활동을 계승 및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22 개정 생태전환 체육 수업 프로그램은 기존의 여가활동을 계승하고 발전 및 활성화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cological conversion Physical Education Program to revitalize Ecological conversion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based on the reflection aspects of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s,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nd spiral action research stage. The data such as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etc were collected, and as the research method,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case record analysis method were applied. The change of students through the program,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identit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emotionally accept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Second, students significantl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improved their right attitude toward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ird, students acquired knowledge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desire to practice ecological sports in real life and to protect the environment were promoted. The 2022 revised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has inherited and expanded the existing leisure activities in that it not only pursues the cultivation of nature-friendly attitudes but also provides a practical foundation for continuously practicing ecological sports in real life and establishes a new ecological sports area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through learning systematic movement skills. In this context, the 2022 revised Ecological conversion Physical Education Program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inheriting and revitalizing leisure activities.

      • KCI등재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적용 방안

        이한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effectively apply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o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concept formation and progress of eco-conversion education and the contents related to eco-conversion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ora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holistic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local regional office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eco-conversion education in order to come up with a plan to effectively reflect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Results Although som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linkage and systemicity between school levels was found to be low.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two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grade group based on the core ideas and questions in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rea presented by the researchers of the 2022 revised moral and curriculum. Conclusions It is urgent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systematically practic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 development stage by school level and the sequence of learning contents,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element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suitable for the 2022 moral and curriculum, and to elaborate and pres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ly.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기후 위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생태전환교육을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개념 형성과 추진 경과, 그리고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고, 생태전환교육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홀리스틱 교육과 국내 시도교육청 교육과정을 탐색한다. 이를 토대로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반영될 생태전환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제안한다. 결과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 요소가 일부 반영되어 있지만, 학교급간 연계성과 체계성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자들이 내놓은 ‘자연과의 관계’ 영역의 핵심 아이디어와 질문에 기초하여 학년군별 2개의 성취기준을 개발⋅제안하였다. 결론 학교급별 학생 발달단계와 학습 내용의 계열성을 고려하여 생태전환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이 시급하며, 2022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생태전환교육 내용 요소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성취기준도 정교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생태패러다임(NEP)의 관점으로 본 고등학생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남미자,목정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이 논문은 생태문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교육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 학교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생태 관련 교육 경험을 생태패러다임(NEP)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면담을 활용한 질적연구이다. 학교교육을 통하여 형성된 학생들의 생태 패러다임을 파악하고자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1명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 생태위기 등 생태 관련 인식 등을 면담하고,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생태위기, 자연의 균형, 반인간예외주의, 반인간중심주의, 성장의 한계를 포함한 생태패러다임을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결과 학생들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은 ‘개인적 실천 중심 교육’과 같이 협소한 이해와 개인 수준의 실천에 머물렀으며,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또한 인간을 지구생태계 내에서 가장 우월적 존재인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과 인식의 기저에는 ‘생태위기보다 중요한 대학입시’가 자리 잡고 있어 생태위기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실천이어려웠다. 이들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의 의미를 생태패러다임(NEP)에 초점을 맞추어 ‘생태위기의 지엽적 이해’, ‘성장이데올로기에포섭’, ‘공고한 인간예외주의’, ‘인간중심적 이원론’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생태문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교육은 근대적 패러다임을 토대로 한 사회, 경제, 문화의 구조 전반에 대한 비판과 성찰을 토대로부터 시작되어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육과정 내용분석을 통한 생태전환교육 방향 탐색

        박수련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3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총론 주요사항에서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핵심 소양으로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의하고 생태적 전환을 위한 교육을 강화할 것을 명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환경 및 생태교육 관련 내용의 성격과 특징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생태전환교육이 구현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공통 교육과정 중 사회과, 과학과,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전환교육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사회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환경과 삶의 관계 파악,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개인적·사회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행 사회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내용과 창의적 체험활동은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을 이해하고, 환경문제 및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현대사회 다양한 환경문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내용과 활동을 중점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설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으로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최진경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전환교육으로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능성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생태전환교육은 생태와 연결되고, 공존하고, 일치하는 ‘확대된 자아실현’을 지향함으로써, 근대적 개념의 인간 중심주의 탈피를 핵심으로 한다. 이에 연구자는 체화인지에 토대를 둔 실천적 음악교육이 세계와 연결되고, 관계를 맺고, 참여하는 음악적 자아를 통해 세계로의 ‘확장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으므로, 생태전환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실천적 음악교육은 몸과 행위로 체화하고, 실연하는 자율적인‘음악적 자아’를 통해 인간이 자연과 생태에 속하는 존재임을 일깨워주며, 음악적 상상력과 공감으로 생태계의 다양한 존재들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자연과 생태를 음악적 풍경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음악적 감수성과 음악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류적 공동선에 생태 문제를 포함함으로써 예술적 시민성을 확장할 수 있다. 덧붙여, 몸, 행위, 상상력과 공감으로 세계와 연결되는 실천적 음악교육의 음악적 자아는 인간을 중심으로 세계와 관계 맺음으로써, 생태와 인간의 기계적 평등으로 오도될 수 있는 생태전환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 가치 있다.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조성미(Sung Mi Cho),박미정(Mi Jeong Par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2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해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에서 활용하고 있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직 중학교 가정 교사 6인에게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분석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S-CVI 값이 0.97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242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영역에 따른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 가장 많았고, ‘자원 관리와 자립’ 영역,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시민성 요소의 범주에 따라서는 가치⋅태도, 과정⋅기능, 지식⋅이해 범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구성 체계별로는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가 그림, 본문, 활동, 보충 자료의 순으로 추출되었고, 출판사에 따라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의 수가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이나 해석, 집필 방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의 생태전환 교육 도입을 위한 생태시민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새로운 지향점에 부합하는 생태시민성 교육을 가정교과에서 실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히는 동시에 가정교과에서의 생태시민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nd analyze ecological citizenship elements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us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 was validated by six experts who are incumben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S-CVI value was 0.97, ensuring the validity of the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242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extracted from home economics textbook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 of the 2015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rea had the highest presence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followed by the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area and the ‘home life and safety’ area. Among the categories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value⋅attitude’ wa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process⋅function’ and ‘knowledge⋅understanding’. For each textbook composition system, ecological citizenship elements were extracted in the order of pictures, text, activitie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number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among publisher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textbook writers' perception, interpretation, and direction of writing.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ecological citizenshi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pplicable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presented.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practicing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in line with the new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Furthermore, it provides valuabl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xtbooks for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