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장편서사시 『생의 노래』 연구

        金洛炫(Kim, Nak-hyeon)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노동을 소재로 한 최초의 장편서사시로 평가된 趙基天의 『생의 노래』(1950)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장편서사시 『생의 노래』는 초기 북한문학의 특성을 총체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생의 노래』는 초기 북한문학의 특징인 고상한 사실주의의 특성, 대중적 영웅주의에 따른 노동 영웅의 형상화, 국제주의사상의 출현에 의한 朝?蘇 親善思想을 모두 담고 있는 작품이다.『생의 노래』는 고상한 사실주의의 핵심적인 창작방법론이었던 긍정적인 인물형과 부정적인 인물형의 대립, 낡은 것과 새 것의 대립구조를 지니고 있다. 교양적 기능이 매우 강조되었던 『생의 노래』는 새 국가 건설 과정에서 노동영웅을 형상화하여 일반 대중들에게 모범을 보이고자 하였다. 『생의 노래』는 서정과 서사의 유기적인 조화가 뛰어나 다른 재래의 북한 서사시들과 변별된다. 서정과 서사의 조화는 『생의 노래』가 성공적인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요인이 되었으며, 이는 조기천 시의 주요한 특징이기도 하였다. 『생의 노래』는 原詩와 달리 改作되었다는 점에서 문제를 초래한다. 주체사상이 대두된 이후에 출판된 텍스트는 소련에 관계된 내용이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삭제되었다. 소련에 관계된 내용은 『생의 노래』의 중요한 창작배경과 핵심적인 서사구조의 전개양상, 그리고 창작의도 등과 관련된다. 『생의 노래』가 개작된 근본적인 요인은 1956년 ‘8월 종파사건’을 계기로 어떻게든 소련의 영향에서 벗어나려는 북한 당국의 정치적 노력에서 비롯된 주체사상의 결과였다. 아직까지 『생의 노래』는 남한 연구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북한문학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생의 노래』는 초기 북한문학의 특성을 총체적으로 담고 있는 작품으로서, 초기 북한문학의 특성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지형도와 같은 구실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Song of life』(1950) by Jo Gi-cheon, evaluated as the first long epic poetry whose material is labor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 long epic poetry,『Song of life』 is the work feat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North Korean literature overall. 『Song of life』 is the piece of work, which incorporates the character of noble realism in the early North Korean literature, the embodiment of labor hero along with mass heroism and goodwill idea between Korea and the Soviet Union on the ground of the advent of the internationalism idea.『Song of life』 features the antagonism between a positive character and a negative character which was the key writing methodology of noble realism and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the old and the new.『Song of life』 highly emphasized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intended to set an example for the general public, embodying a labor hero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ountry. Outstanding for the organic harmony of lyric and epic, 『Song of life』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North Korea long epic poetries. The organic harmony of lyric and epic is not only the fundamental factor of 『Song of life』being evaluated as successful work but also the important feature in Jo Gi-Cheon’s poetry. 『Song of life』 becomes a subject of discussion in that it was adapt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work. The subject related with the Soviet Union was completely deleted from the text published after the rise of self reliance ideology. The subject related with the Soviet Union is concerned to the significant writing background,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key epic structure, and the intention of writing poetry etc. The fundamental reason of 『Song of life』 being adapted was the consequence of self reliance ideology that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 North Korea strived to escape the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somehow with ‘August Denomination event’ in 1956. Until now, 『Song of life』 has not been well-known to researchers in South Korea yet, but it has been evaluated as a work of great significance. 『Song of life』 as a piece of work feat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North Korean literature overall plays an important role such as a topographical map compressively demon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North Korean literature.

      • 태어남의 과정에 대한 불교적 이해

        배형진(Hung-jin Ba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0 불교와 사회 Vol.12 No.1

        본 논고는 ‘태어남(生有)’을 토대로 새 생의 성립에 작용되는 시점에서 근원적인 의미를 알아보고, 이어 새 생의 현상 원리를 천착하여 시대별 한역 불전에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연기법에 따라 지배받는 생명 존재인 유정 중생들은 업력에 의해서 후생의 몸을 받으며, 삼세에 걸쳐 삼계와 육도사생을 윤회전생한다는 관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를 하고 있다. 윤회하는 인간은 전생의 업력으로 인한 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생(四生) 가운데 인간으로 대표되는 태생(胎生)은 부모의 교합과 중음(中陰)의 삼사화합(三事和合)으로 인하여 수태(受胎)가 된다. 이와 같은 개념적 사고는 새 생에 대한 연기의 논리로서 삼사가 화합하여 새 생이 성립되는 그 시점과 조건도 업식에서 연유한다. 이렇듯 식에 대한 해명은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상속할 수 있는 수태의 근원적 요소로 나타내고 있다. 초기불교에서 생명은 오온(五蘊)과 육근(六根), 식(識)의 변화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고, 부파불교 경론에서는 이를 토대로 하여 명근(命根)의 주체는 중유(中有)라 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사유(四有)의 개별 존재로 새 생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유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전개과정에 나타난 새 생에 대한 이해를 더욱 발전시켜서 삼계육도에 윤회하는 주체를 아뢰야식으로 변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삼사화합의 생명 발생 이론은 아뢰야식의 이론으로 이어지면서 전생(轉生)의 원리를 총체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 생에 대한 원리와 의미는 생의 시작되는 시점의 문제와 새 생의 성립 조건의 문제로 구분하여 수정에서 착상 사이 어느 순간임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에서는 ‘생’에 대한 논의를 목적에 두고, 시대별 한역 불전에서 나누어 정리하였다. 먼저 초기불전에서는 새생의 시작점을 삼사화합의 조건으로서 식이 모태에 결합하는 생의 주체로 간주되어 부모의 교합과 정혈의 존재, 향음의 존재 등을 조건으로 한다. 부파불교 경론에서는 오온상속을 통한 중유설의 정립으로 중유가 전생 업을 상속하여 건달바(健闥婆)가 사와 생의 중간과정을 연결시키는 주체로 설정되었다. 대승불교 경론에서는 아뢰야식이 중간 생명체로서 전환원리가 되는 건달바와 중유의 개념을 포괄하고, 부모의 탐애심으로 인한 정혈과 일체종자식인 아뢰야식의 화합으로 성립된다는 점이다. 결국 논점은 불교의 경론들에 근거하여 새 생의 성립에 작용되는 시점은 수정과 가까운 시간에 일어나는 수태 과정이라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수태는 부모의 교합과 정혈의 발생과 같은 시점에 삼사의 조건이 동시에 갖추어짐으로써 새 생이 수정의 시점에 있는지 또는 착상에 가깝게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seeks to find out the fundamental meaning at the point of time when it is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life based on ‘birth(生有)’, and then to take into account the phenomena and principles of new life and consider them in the Buddhist scriptures of Buddhist scriptures by period sattva (中生). The life being governed by Pratīya-samutpāa (緣起) is under the body of the Afterlife by karma force (業力), presenting more concretely the idea of Samgye and yukdosasaeng being Samsara across Sams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a life caused by karma force in the previous life, Viviparity (胎生) represented as a human in the catvāro yonayaḥ (四生) becomes a impregnation due to his parents’ intercourse and trika-saṃipāta (三事 和合) in antarā-bhava (中陰). This conceptual thinking is pratityasmamutpada’s logic of new life, and the timing and conditions at which samsa is harmonized to form a new life are also derived from karmic (consciousness, 業識). As such, the explanation of the forconsciousness (識) is represented as a fundamental element of the concept that can be inherited from one life to another. In early Buddhism, life i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pañca-skandha (五蘊), ṣaḍ indriyāṇi (六根) and consciousness, and in Sectarian Buddhism(部派佛敎)’s scriptures, the subject of jīvitendria (命根) is called jung-yu(中有) more specific. In particular, the role of antarābhava (中有),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ew life as an individual being of catvāro bhavāh (四有) is emphasized. Mahayana Buddhism further developed an understanding of the new life that appear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nged the subject that circled tri-dhātu ṣḍdhāavaḥ (三界六道) to alayavijnana (阿賴耶識). Trika-saṃipāta’s theory of life generation leads to the theory of alaya-vijnana and explains the principle of samsara in a holistic way. Therefore, the principle and meaning of a new life are divided into problems at the beginning of life and problems at the conditions of the new life, indicating which moment is between fertilization and implantation. As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discussion of ‘life’ in the Buddhist scriptures of Korean translation by period. First of all,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starting point of a new life is regarded as the condition of trika-samnipata, and thus as the subject of life that vijjnans binds to motherhood, so it is conditional on the presence of Intercourse and the menstruse, and gandharva (香陰) of the parent. In the Sectarian Buddhism scripture, the theory of antarābhava, through the inheritance of the pañca-skandha (五蘊), inherited karma of the previous life and set gandharva (乾達婆) as the main subject linking death to the middle course of life. In the scriptures of Mahāyāna Buddhism (大乘佛敎), alaya-vijnana encompasses the concept of gandharva and antarābhava which are converted as middle creatures, and it is achieved by the harmony of menstruse and (sarvabījakavijñāna, 一切種子識) alaya-vijnana due to parental greed. After all, based on Buddhist scriptures, it is symbolically shown that the timing of the formation of a new life is the impregnation process that takes place in a time close to fertilization. Thus, the impregnation looked at whether the new life was at the point of fertilization or close to the implantation by having (saṃipāta’s, 三事) conditions at the same time as the occurrence of the parent’s intercourse and the menstruation.

      • KCI등재후보

        생의 의미수준에 따른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강혜원,김영희 아시아교정포럼 2011 교정담론 Vol.5 No.2

        본 연구는 생의 의미수준에 따라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비행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청소년 비행에 영항을 미치는 중요요인들을 확인하고 세분화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사용변인은 생의 의미, 우울, 자아존중감, 비행성향 및 비행행동이었다. 대상은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남녀 학생 602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생의 의미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생의 의미수준이 높으면 우울정도가 낮고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둘째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생의 의미수준에 따라 비행성향에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생의 의미수준이 낮은 집단은 우울만이 영향력이 있었고, 생의 의미수준이 높은 집단은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모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비행행동에는 생의 의미수준이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우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우울은 생의 의미수준에 상관없이 비행성향과 행동과 가장 큰 영향력이 있으며, 생의 의미수준이 높은 경우는 자아존중감이 우울과 함께 비행성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비행성향과 행동을 낮추거나 예방하기 위해 생의 의미수준에 따라 개입프로그램을 분화할 필요성이 있음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생의 의미와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김영희,강혜원 아시아교정포럼 2010 교정담론 Vol.4 No.2

        본 연구는 생의 의미와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를 탐구하여, 청소년 비행을 줄이거나 예방하는 중요요인으로 생의 의미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사용변인은 생의 의미와 비행성향 및 비행행동이었다. 대상은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남녀 학생 602 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의 의미수준은 성별 차이는 없으나 학교급간 차이가 있었는데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생의 의미가 더 낮았다. 둘째, 비행성향은 성별,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비행행동은 학교급간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 차이가 있었는데,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비행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넷째, 생의 의미와 비행성향 및 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는데, 생의 의미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생의 의미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비행성향과 비행행동이 더 낮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비행성향과 행동을 낮추거나 예방하기 위해 생의 의미수준을 높이는 것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그리고 생의 의미 중 어떤 측면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는 연구와 청소년의 생의 의미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 유가적 삶(生)의 의미에 관한 소고

        임명희(林明熙)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8 No.-

        이 글은 生, 生育, 生命, 生意, 仁의 다섯 가지 주제어를 통해 유가에서 말하는 삶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유가적 삶이 보여주는 상생, 공존, 조화, 화합, 살림의 의미를 되새기고, 투쟁, 억압, 소외, 상호 비방으로 피폐해진 현대인들의 삶에 윤리적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本文是分析儒家思想所說的"生"、"生育"、"生命"、"生意"、"仁"等核心觀念,以考察儒家人生觀的現代意義。在此,筆者指出儒家生命觀裡面的"相生"、"共存"、"和諧"、"團結"、"關照"的道德含義,並向蔓延於鬥爭、壓迫、冷落、互相誹謗的現代社會提出道德倫理意識的必要性。

      • KCI등재

        헤겔에 있어서 ‘생’과 예술

        권정임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61 No.-

        This study researches the concept of life in Hegel’s writings consider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that he emphasized in relation to life. Hegel defined life as love, object of self-conscious desire, pure idea, other-idea, and idea of beauty. Among these,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life for Hegel was living things, especially the idea of spiritual life, which is constantly dividing and uniting at same time. In fact, the idea of spiritual life is within living things. According to Hegel, the idea can be true only when it is embodied and must appear to us. He thought this idea can be given shape through the beauty of art and recognized by intuitive artistic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newly contemplating Hegel’s definition of art and beauty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and reexamin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which enables us to intuit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life in the present day. 헤겔에 있어서 생은 초기 통합적 삶에 대한 사유에서 출발하여 정신현상학, 논리학, 자연철학을 거쳐 예술철학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그의 사유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헤겔이 초기와 후기에 이르기까지 사유한 생의 의미를 살펴보며, 헤겔이 생과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고찰한다. 초기 사유에서 헤겔은 삶의 통합을 추구하며 주관적 종교와 사랑에서 그 가능성을 찾았다. 이후 『정신현상학』에서는 생은 자기의식의 욕구 대상으로서 이분과 이에 대한 부정을 통한 통일, 그리고 이에 대한 반성을 통해 자신으로 복귀하는 생명체로 규정된다. 이러한 생은 『논리학』에서 ‘순수이념’, 『엔치클로페디』의 자연철학에서는 ‘이념의 외화’ 내지 ‘이념의 타자’, 『예술철학』에서는 ‘미의 이념’으로 규정된다. 이와 같은 규정들에서 헤겔이 중요시하는 것은 지속적인 이분을 생성하면서도 통일을 이루는 ‘생명체’, 특히 ‘정신적 생’으로의 이념이다. 정신적 생으로서의 이념은 생명체 내에 관념성으로 내재되어 있는데, 헤겔은 이것이 ‘구체화’될 때 비로소 참된 이념이며, 우리에게 현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더불어 그러한 생명체의 본질인 ‘내적인 주관성’, ‘관념성’, ‘이념’이 어떻게 인식될 수 있는지가 예술에 대한 헤겔 논의의 출발점이 된다. 그는 ‘예술미’를 통해 미로서의 정신적 생의 이념이 구체화 될 수 있으며, 예술의 직관적 의식을 통해 이에 대한 인식이 가능함을 서술함으로써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핵심으로 하는 본 연구는 헤겔이 규정하는 예술 및 예술미의 의미를 생이라는 측면에서 새로이 고찰한다는 데 일차적인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무엇보다 오늘날에도 인간 삶에서의 생의 구조와 의미들에 대한 직관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재조명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한국현대 急進哲學에서의 '生의 感情'과 '轉換'

        이규성(Lee, Gyu Su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신남철은 한국의 급진주의 철학에서 맑스주의 계열에 속하는 대표적 사상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일제 식민지 상황과 해방 후의 혼돈된 현실을 사회적 문제로 받아 들였다. 그는 자신의 현실을 역사적으로 주어진 전체적 상황으로 보았으며, 이 전체성을 자신이 과학적 방법이라고 믿었던 유물 변증법의 방법으로 인식하고자 했다. 그것은 일종의 해부학적이고 발생론적인 방법이었다. 이 방법으로 인식된 전체성을 구체적 전체성이라 불렀다. 그는 또 한편 현실이 인간의 인간다운 生을 부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상실된 생의 풍요한 충실성이 실현된 세상을 희망하였다. 개인의 자발성과 다양한 인간성의 구현에 대한 열망의 감정인 생의 감정은 그의 역사 사회에 대한 인식을 추동하는 주체적 동력이 되었다. 그는 서구의 르네상스 운동과 낭만주의적 신 르네상스의 인문주의적이고 인도주의적인 사상에 깊이 감동받았다. 그의 생의 감정은 이러한 인문주의적 교양을 소망하는 감정이었고, 이 감정을 토대로 진보적 민주주의를 실현함으로써 생의 전환을 이루고자 했다. 그러나 객관주의적 태도를 필요로 하는 과학적 역사관과 주관적인 낭만주의적 정열은 가까이 밀착하면 할수록 서로 분열되는 고뇌를 주는 것이었다. 신남철의 사상은 분열과 고민 속에서도, 역사적 사회를 인식하여 변형하고자 했으며, 동시에 생의 감정에 기초한 자유의 인간성을 현실화하려는 종합적 사고를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그의 생 철학적 측면과 역사 사회관을 그 긴장관계에서 종합적으로 다룬다. 그리고 글을 진행하는 가운데 철학적 논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현대적 의의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Nam Chul Shin is one of the major thinkers who advocate Marxism in radical philosophy of Korea. He accepted the difficult and heavy situations after becoming independent from Japan as a social wholeness. He tried to cognize the wholeness as a method of the materialistic dialectic he had believed as a scientific way. That was a kind of anatomical and genetic method. The wholeness appreciated by this way was called the concrete wholeness. Also, since the real world disturbed people living like a human being, he was eager to be realized an abundant fullness in our life which was once lost. The affection for life which is a strong desire for the realization of spontaneity and various human natures motivated his awareness of historical society. He was deeply touched by the Renaissance movement and the humanistic and humanitarian thoughts of the romantic neo Renaissance. Through his life, he wished such affections risen by the atmosphere of humanistic culture and he wanted to get a revolution of life by realizing the progressive democracy through those affections. However, the scientific historical view based on the objective attitude and the romantic affection derived from the subjectivity were looked terribly incompatible. The more they were getting close, the more conflict and agony was there. Although he was always in such agony, he tri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ociety and struggled to reconstruct that. And also he wanted to make the humanity of freedom based on the affection of life become real in his comprehensive thought. In this matter, this article covers his thoughts of the philosophy of life and of the view on the historical society in the level of tension on the whole. In addition, if there is a necessity of more discussion, there will be a critical demonstration, while, for the part that has a important meaning in this time, more clear interpretation will be claimed.

      • KCI등재

        피히테 후기 철학에서 생과 지식의 관계

        권기환 한국헤겔학회 2022 헤겔연구 Vol.- No.51

        이 글은 피히테의 후기 철학, 특히 학론에서 생과 지식의 관계를 존재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러한 점에서 피히테에게 있어 생과 지식의 문제는 사실상 그의 후기 철학 전체를 관통한다. 더 나아가 생과 지식의 관계는 첫째 근본적으로 자아존재론과 절대적 자아의 관계를 절대자로서 상정함으로써 출발한다. 둘째, 비록 지식에 대한 자기반성으로서 생 개념이 존재와 지식의 종합으로서 절대지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통해 설명되더라도, 생 개념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는다. 셋째, 그와 같은 생의 불확실성은 현실적 생과 절대지의 종합을 위한 가능성으로서 신앙과 지식, 신적 생으로서의 개체성의 의미에서 신앙을 통해 해명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피히테가 생과 지식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고 했지만 난관에 봉착하고 만다는 데 있다. 그것은 의식의 종합으로서의 절대지가 현실적 생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이 문제에 대한 피히테적 해결은 생과 지식의 문제를 신앙과 지식의 연관성을 통해, 지식보다 신앙에 우위를 둠으로써 현실적 생으로부터 신에 의한 생으로 고양함으로써 성립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영미,조헌하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선행연구에서 단편적으로 제시된 생의 의미 영향변인인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진로성숙도를 예측변수로 하여 이들 변수들간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규명함으로써 청소년의 생의 의미 증가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8 윤영미·조헌하DOI: 10.4094/www.childnursing.or.kr jkachn.2011.17.1.31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중학교와고등학교의 남녀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3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0년 4월 5일부터 6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거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일부도구는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 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적 통계,ANOVA,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생의 의미 정도는 평균평점 2.99점으로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평균평점 2.61점, 자기통제력 2.81점, 부모의 양육태도 2.90점, 가족만족도 2.89점, 학교생활 적응2.71점, 진로성숙도 2.84점으로 6가지 예측변수 모두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의 의미와 예측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만족도,학교생활 적응, 진로 성숙도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자아존중감, 가족 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부모의 양육태도, 진로성숙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이 생의 의미를 5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설명력이 높은 변수로는 자아존중감으로 42.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하는 주요변인은 자아존중감임이 확인되었고 가족 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부모의 양육태도, 진로성숙도 또한 고려해야 할 영향변인임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에게 생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스스로를 존중하고 가치있게 여기는 것이며, 청소년을 둘러싼 주요환경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접근과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부모지지중재, 부모의 의사소통능력 향상,학교적응 및 진로 성숙도를 촉진시키는 프로그램 등이 청소년의생의 의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직·간접적인 간호중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中庸 미학에서 生生 미학으로 ― 『시경』을 중심으로 ―

        辛正根 ( Shin Jeong-geun ) 동양철학연구회 2022 東洋哲學硏究 Vol.110 No.-

        동아시아에 원래 美學의 학문이 없었지만 美의 탐구가 없었다고 할 수 없다. 동아시아 미학을 연구하면서 그 근원을 美 개념의 어원과 용례 파악으로만 한정되면 미학의 연구 범위가 크게 축소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미학이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만족(쾌감)의 정체나 특성을 밝힌다면, 生과 樂 개념 등도 미학의 맥락에서 탐구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生의 원초성과 야생성 맥락에서 『詩經』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경』에 生 개념이 많이 쓰이지 않더라도 그 안에 “원초성과 야생성으로서 생”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生은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가치 규범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지만 생명을 생명이게 하는 약동과 활기를 나타낸다. 사람은 이 약동과 활기를 통해 삶의 활력과 의미를 지속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이 활력과 의미는 문자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춤과 노래 등 예술의 활동으로 수행되면서 더욱더 고양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시경』에 나타나는 生의 원초성과 야생성이면서 또 『시경』의 언어가 다른 문헌의 언어에 볼 수 없는 독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이러한 언어를 “中庸 미학”이 아니라 “生生 미학”으로 명명하며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In East Asia, there was originally no study of aesthetics, but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was no exploration of beauty. If we study the aesthetics of East Asia and limit the source to grasping the etymology and usage of the concept of beauty, the scope of aesthetics will inevitably be greatly reduced. In general, if aesthetics reveal the identity or characteristics of satisfaction(pleasure) that can be universally sympathized with, the concepts of sheng生(life) and le樂(satisfaction) can also be explored in the context of aesthetic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analyze the Shijing in the context of the origin(primacy) and wildness of life. This is because even if the concept of sheng生(life) is not used a lot in the Shijing, it contains abundant data on “the origin(primacy) and wildness of life.” At this time, life is not directly related to value norms, whether innate or acquired, but it represents the movement and vitality that make life alive. Through this vitality, one can continuously discover the vitality and meaning of life. This vitality and meaning are not limited to the literal meaning, but can be said to be enhanced by performing art activities such as dance and singing. This can be said to reveal the primacy and wildness of life, and it can be said to be a uniqueness that cannot be seen in the language of another literatur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proceed with the discussion by naming these languages as “life aesthetics,” not “middle path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