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광주의 모던 상하이 체험 관련 시 연구

        김교령,김철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아시아문화연구 Vol.58 No.-

        Kim Kwang-ju entered Shanghai in autumn 1928 and has been a bilingual writer in areas such as literature creation, Chinese literature review and translation, and film review. Kim Kwang-ju spent 15 years in China, the longest of which in Shanghai. During his stay in Shanghai, Kim Kwang-ju actively works as a propagator of Chinese journalism achievements while also presenting a number of novels, essays and poems while creating literature. In terms of quantity, although Kim Kwang-ju's poetry is not prolific, like his novels and essays, it reproduces the exotic experience, era distress and era characteristics of colonial intellectuals between Shanghai, China and Korea in modern space. Therefore, it has important research value. Unfortunately, the current academic research focuses on Kim Kwang-ju's novel creation, Shanghai experience and his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but there is no sufficient discussion on his poetry creation.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reation of Kim Kwang-ju's novels in academia, research on the creation of poems has yet to be properly discovered and The skepticism and criticism of the colonial modernity of Shanghai's urban space projected in Kim Kwang-ju's poem, the anguish and nostalgia of asylum intellectuals, and the sympathy of the lower classes all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of strangers. Based on Kim Kwang-ju's experience in Shanghai, this paper aims to reconfirm its value, significance, and statu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examining in-depth the meaning, trends, and aesthetic features of his original work. 김광주는 1928년 가을 경에 중국 상하이에 진출하여 문학 창작, 중국문학 평론과 번역, 영화 평론 등 영역에서 이중 언어 글쓰기를 한 특유한 경력의 지식인이다. 김광주는 중국에서 15년이란 짧지 않은 생애를 보냈으며 그중 상하이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냈다. 상하이에 거류하는 동안 김광주는 중국 신문학 성과의 전파자로 활발히 활동하는 한편 문학 창작도 병행하면서 다수의 소설과 수필, 시들을 발표한다. 김광주의 시는 양적으로 볼 때, 비록 다작은 아니지만 그의 소설이나 수필과 마찬가지로 근대적 공간으로서의 중국 상하이와 한국을 넘나들며 획득한 식민지 지식인의 이국 체험과 시대적 고민, 시대적 특징을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적 가치를 갖고 있다. 아쉽게도 현재 학계의 연구는 김광주의 소설 창작과 상하이 체험 관련 연구, 중국 현대문학 번역에 편중되고 있고 시 창작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김광주의 시에 투영된 상하이 도시공간의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회의와 비판, 망명 지식인으로서의 고뇌와 향수, 중국 하층민중에 대한 동정 및 한・중 연대의식 등은 모두 이방인으로서의 체험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김광주의 산문에서도 자주 표출된다. 본 논문은 김광주의 상하이 체험을 바탕으로 그의 시작품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와 경향 및 특징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그 가치와 의의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새롭게 규명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이광수의 시베리아 망명지 경험과 기억하기의 역사성과 정치학

        차혜영 ( Cha Hyeyo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3

        본고는 1914년 이광수의 대륙(상하이, 목릉, 블라디보스토크, 치타) 체류 경험을, 긴 시간이 지난 후 그 경험을 기억하고 다시 쓰는 역사적·정치적 맥락을 시기적으로 구분해서 연구했다. 왜 어떤 방식으로, 원체험인 대륙 체험을 고백하는가· 어떤 방향으로 서사화하는가· 어떤 방향으로 과거사를 처리하며 미래 방향을 모색하는가·라는 관점에서, 이광수의 ‘대륙 체험’의 기억하기와 서사화를 살펴보았다. 이는 이광수 문학연구에서, ‘대륙 체험의 장소=공간인식’, ‘체험의 고백=자서전적 글쓰기’로 이원화된 연구 경향을, ‘기억하기의 역사성의 실체와 의미’를 묻는 연구로 전환하고자 한 것이다. 논의를 통해 본고는 그의 1914년 망명지 대륙 체험은 다음 세 가지의 역사적 전환 시기에 기억-서술되었음을 밝혔다. ①1925년 「민족적 경륜」이 보여준 친일 자치론자라고 공격받던 시기, ②1937년 동우회 탄압이 야기한 부르주아 민족주의 운동의 좌절의 배경하에, 이광수 자신의 민족운동자도자로서의 체념과 황국신민 신봉자로 다시 태어나는 전환의 시기, ③1948년 분단의 확정과 단독정부 수립기, 반민족 친일파라는 오명에서 반공민족주의 지도자로 전환하는 시기이다. 이 과정에서 1914년 해외 독립운동 근거지의 망명독립지사들에 대해서는 당파적 분열에 열중하는 무능한 지도자들이라는 인식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편 ‘과거 체험의 사실성’ 및 ‘고백의 진정성’이라는 기제를 통해, 그리고 각 시기마다의 새로운 에피소드의 창출을 통해, 해외 망명지 조선인 동포 및 조선민족의 미래에 대한 조망을 변경했다. 그리고 이 해외 조선인 동포를 보는 각 시기별 시선 변경은, 사실은 식민지 조선의 통치체제의 변화, 조선 내 민족의 생존과 미래에 대한 당시 이광수의 입장과 긴밀히 연동되어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periodically studied the experiences of Lee Kwangsu in the continent (Shanghai, Moorung, Vladivostok, Cheetah) in 1914, and the historical·political context in which he remembered and rewritten the experience after a long period of time. Why, in what way, is it confessing the experience of the continental experience· How did he handle past history and look for future directions· From the point of view, I examined the memory and narrative of Lee Kwang-soo’s ‘continental experience’. In the Lee Kwang-soo literature study, the study tries to convert the research tendency that has been diverted to “the place of continental experience = space recognition” and “the confession of experience = autobiographical writing”. Through this discussion, I found that his 1914 experience of the Asiatic Continent was remembered during the following three historical transition periods: 1) the period when the “national economic dispatch” demonstrated by the “national economic dispatch” in 1925, 2) the background of the frustration of the bourgeois nationalist movement caused by the suppression of the 1937 dong-woo society, and the rebirth as ‘pro-Japan collaborator’ of Lee Kwang- The timing of the transition, and 3) the transition from the stigma of the division of 1948 to the establishment of a sovereign government and ‘anti-national pro-Japanese’ tactics to ‘anti-communism nationalist leaders’. In this process, it was consistently perceived by 1914 as the incompetent leaders who were enthusiastic about partisan division in the exiled independence crusaders of the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base. Lee Kwang Soo changed the view on the future of Korean refugee Koreans and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mechanism of ‘reality of past experience’ and ‘authenticity of confession’, and by creating new episodes for each period.

      • KCI등재

        요코미쓰 리이치(橫光利一)의 《상하이(上海)》와 제국주의적 국민주의

        김양수 한국중문학회 2023 中國文學硏究 Vol.- No.90

        Yokomits Riichi stayed in Shanghai for a month from April 1928, and wrote the novel “Shanghai” from November 1928 to November 1931 and published it in the magazine “Gaizo(改造)”. Yokomitsu’s stay in Shanghai was a transition period from Daisho(大正) to Showa(昭和), and the era of war that led to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Pacific War began after the brief period of Daisho Democracy, and the Japanese cultural community changed rapidly from internationalism to nationalism. In this paper, among the motifs in the novel, four expressions that can be interpreted as international relations are summarized. (1)The relationship between Miyako and men shows a lineage between countries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2)Olga, a Russian woman who is expelled from her country and not protected in other countries, shows the duality of the nation’s state. (3)Sanki and Osugi, who give up their identity as citizens, want to become the “Remains” of the Nation State. (4)Sanki, who fell into the a garbage carrier, is asking about the value of Japanese nationality or the exchange value of the human body in the international city of Shanghai. The novel “Shanghai” did not express a “historical outlook” even though it imposed sanctions on the May 30th Movement in 1925. A kind of “all of a piece” format, in which both Sanki and Osugi, who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the novel, is an indication that the two are the owners of the novel, and when reading the novel in that direction, a new reading called “Nation State and its Remains” could emerge. Their perception of society and humans is also changing as Osugi, who is turning into a prostitute, and Sanki, who is unemployed and falling into a swamp of poverty, loses economic and social privileges linked to their nationality. In that respect, this work can be said to be a novel that considers the meaning of imperial nationalism against the backdrop of the international space of Shanghai. The process of Sanki and Osugi’s fall can be expressed as a “Colonial guilty” which is a kind of self-reflection as an imperialist nation, which could not be fully understood in the existing Left-wing literature that used to target imperialism as evil. 요코미쓰 리이치는 1928년 4월부터 1개월 간 상하이에서 체류했고, 1928년 11월부터 1931년 11월까지 소설 《상하이》를 써서 잡지 《개조(改造)》에 연재했다. 요코미쓰가 상하이에 체류했던 시기는 다이쇼(大正, 1912-1926)에서 쇼와(昭和, 1926-1989)로 넘어가는 교체기였다. 잠시 반짝했던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가 저물고 만주사변과 태평양전쟁으로 이어지는 전쟁의 시대가 다시 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본 문화계의 지형도 내셔널리즘적으로 급속히 재편되어갔다. 본고에서는 소설 《상하이》에서 국민국가적 문제점을 표현해낸 모티브들을 대략 네 가지로 정리했다. (1)미야코(宮子)와 남성들의 관계는 국제사회 내에서 국가 간의 계서(階序)를 보여준다. (2)자기 나라에서 추방되고 남의 나라에서도 보호받지 못하는 러시아 여성 올가(Olga)는 국민국가의 이중성을 보여준다. (3)국민으로서의 아이덴티티를 스스로 포기하는 산키와 오스기는 국민국가의 ‘잔여’가 되고자 한다. (4)오예선에 빠진 산키는 국제도시 상하이에서 일본인 내셔널리티의 가치, 혹은 인간 육신이 가진 교환가치에 대해 묻고 있다. 소설 《상하이》는 1925년의 5.30운동을 제재로 하면서도 ‘역사적 전망’을 표현하지는 않았다. 소설의 초입에 등장했던 산키와 오스기 두 사람이 소설의 마지막에도 똑같이 등장하고 있는 일종의 ‘수미일관’적 형식은 이들 두 사람이 소설의 주인공이라고 하는 암시이다. 그런 방향으로 소설을 읽을 때, 이 소설에는 ‘역사적 전망’과는 전혀 각도가 다른, ‘국민국가와 그 잔여(殘餘)들’이라는 새로운 독법이 생겨나는 것이다. 윤락여성으로 변해가는 오스기와 실직 후 빈궁의 늪으로 빠져가는 산키가 자신들의 국적과 연결된 경제적, 사회적 특권을 상실해감에 따라 사회와 인간에 대한 그들의 인식도 변해간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이 작품은 상하이라는 국제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제국주의적 국민주의가 갖는 의미를 생각하는 소설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산키와 오스기가 추락해가는 과정은 ‘식민지적 죄의식(Colonial Guilty)’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제국주의 국민으로서의 일종의 자성(自省)과 같은 것으로, 제국주의를 악(惡)으로 대상화하던 기존의 프로문학에서는 충분히 파악될 수 없던 지점이기도 하다.

      • KCI등재

        김광주 소설에 나타난 탈경계의 의미-1930년대 상하이 체험을 중심으로

        이양숙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7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ransnational aspect of Kwang-ju Kim’s novels in the 1930s and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the transnational subject in the era of imperialist global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been proceeding in two major directions. One is the tendency of research to evaluate his works from the point of view of extens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is case, Kim is regarded as a writer who shows a type of ‘Shanghai Diaspora’ and a disillusionment of Shanghai's duality and pseudo-revolutionaries, a writer who has expressed his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his nostalgia for his homeland. The other is the studies emphasizing the locality (urbanity) of Shanghai while criticizing the existing researches to be overly ideological or political. In this case, the double-sidedness of the international city Shanghai is superimposed on the works, and Kim, Kwang-ju's novels remain in the texts showing the hybridity and diversity of the city of Shanghai. This paper focuses on Kim, Kwang-ju's literary character, which was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researches that was attempted in the direction of nationalism or de-nationalism, but was overlooked in their research. In the 1930s Kim, Kwang-ju's novels were directed to the Joseon society and the Koreans in Shanghai, but in his works 'Joseon / Korean' did’t function as a positive sign of national independence or national character. It is an interesting point that they could not completely escape the framework of the Koreans in that they were Koreans and use Korean language, but they had some kind of opacity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single ethnic frame of Korea. If the globalization of modern society is positively driven by transnational actors and networks, transnational actors of Kim, Kwang-ju's novels were the heroes who had to face the nation and the transnational reality only by the power of the individual without the horizons of the nation/state. His works dealt with the way human beings were thrown into the transnational contexts and the various human conditions they pursued. In that sense, the meaning of his works contain a point comparable to today's reality. 이 글에서는 1930년대 김광주 소설의 트랜스내셔널한 특징을 살핌으로써 제국주의적 세계화 시대의 초민족적 주체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천착해보고자 한다. 김광주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나는 한국 근대문학의 외연확장이라는 관점에서 그의 작품을 평가하는 연구 경향이다. 이 경우 김광주는 ‘상하이 디아스포라’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작가로서 상하이의 이중성, 사이비 혁명가들에 대한 환멸을 그린 작가로 평가되거나 중국 근대 민족주의 문예운동에 관심을 가지면서 고국에 대한 그리움과 유랑민의 삶을 통해 강한 민족의식을 형상화한 문인으로 평가된다. 다른 하나는 기존 연구가 지나치게 이념적/정치적 성격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상하이라는 지역성(도시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다. 이 경우 국제도시 상하이의 양면성이 작품에 중첩되어 김광주 소설은 상하이라는 도시의 혼종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는 텍스트에 머물게 된다. 이 글에서는 민족주의 혹은 탈민족주의의 방향에서 시도되었던 김광주 연구의 성과에 기초하면서도 이들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김광주 문학의 특징에 주목하고자 한다. 1930년대 김광주의 문학세계는 상하이의 조선인 사회와 조선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그의 작품에서 ‘조선/인’은 민족의 독립이나 민족적 특징을 드러내는 적극적 기표로 기능하지 않는다. 이들이 조선인이며 조선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조선민족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지만 조선이라는 단일 민족의 프레임으로 설명될 수 없는 일종의 불투명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흥미로운 지점이다. 현대사회의 세계화가 초국가적 행위자와 네트워크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동된 것이라면 김광주 소설의 초국가적 행위자들은 민족과 국가의 지평이 보이지 않고 오로지 개인의 힘으로 초민족, 초국가적 현실을 감당해야 했던 주인공들이다. 그의 작품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초민족/국가라는 상황에 내던져진 인간들의 생존방식과 이들이 추구하는 다양한 인간조건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현실과 비교될 만한 지점을 담고 있다.

      • KCI등재

        김광주 초기소설의 디아스포라 글쓰기 연구

        진선영 ( Sun Young 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5

        김광주는 청춘의 절정기를 상해에서 보낸다. 자발적으로 선택한 상해 행에서 이주민 청년은 열정과 낭만, 새로운 이상향을 발견하며 세계주의에 참여하지만 실시간으로 검열 당하는 계급적, 종족적 한계는 디아스포라라는 삶의 조건을 차별과 배제로 인식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가의 상해 체험을 다룬 6편의 소설을 분석해 봄으로써 상해라는 공간 체험과 1930년대라는 시간 체험이 작가의 디아스포라적 글쓰기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김광주가 보여주는 1930년대 상해 디아스포라 현실은 1920년대 상해행이 목적하는 혁명과 이념적 지향이 상실된 정신적 디스토피아로 그려진다. 소설은 조선 디아스포라 집단의 공동체 의식을 파괴하는 분파주의와 개인적 영웅심, 지사 놀이에 대한 환멸로 가득 차 있다. 항일 지사라는 아름다운 가면을 쓰고 코리맨의 정체성을 상실해가는 ‘코리-상하이언’들의 향락적인 삶을 거침없이 파헤침으로써 상해 디아스포라 사회를 진단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포스트식민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김광주가 모국으로 끊임없이 소설을 실어 나른 디아스포라 글쓰기의 목적이다. 김광주의 지사 놀이에 대한 환멸과 대항적 주제 의식은 여성이면서 디아스포라 난민이라는 이중적 타자의 위치를 갖는 조선 디아스포라 여성을 통해 실천된다. 이들이 타락한 혁명가들에게 던지는 선언은 진정한 혁명이란 개인적 야심을 버린, 전 민중이 함께하는, 민중을 위한 ‘행복’이란 것이다. 혁명은 이론적,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상해에서의 사상적 위장은 포즈에 지나지 않음을 비판하고 진정한 독립은 모국에서만 가능하다는 인식을 드러낸다. 또한 거시적 차원에서 볼 때 ‘사람이란 남을 지배하고 싶어 하면 불행해진다’, ‘사람으로 져서는 안 된다’는 복선적 명제를 통해 일본 나아가 세계적으로 확장되던 제국주의에 일침을 가한다. 김광주는 조선 디아스포라 여성의 적극적이고 목적론적인 삶을 통해 식민성을 탈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Kim, Gwang-ju spent his young age in Shanghai. This young immigrant who had chosen to go to Shanghai voluntarily found passion, romance, and new utopia, and he participated in globalism. However, what the limit of his class and tribe had been censored simultaneously makes him realize the conditon of his life to discrimination and elimination. Through analyzing his 6 stories, this study discovers how the space in Shanghai and 1930`s period had been in his Diaspora writing. Kim, Gwang-ju`s 1930s Shanghai Diaspora reality described 1920`s revolution to go to Shanghai and distopia that lost ideological aim. His story is filled with disillusionment of factionalism which destroy community spirit, personal hero`s mind, and patriot play. He exposed cori-shanghaian`s pleasure seeking life who was losing cori man`s identity with a mask of anti-Japan patriot and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new post-colonialism. This is the main purpose of Kim, Gwang-ju makes efforts day and night to write a story to his motherland continuously. His disillusionment and counter thematic consciousness comes out with Chosun Diaspora woman character who is a female and a Diaspora refugee status simultaneously. These women characters announce to corrupted revolutionists that the real revolution is to throw away personal ambition, to be with all people and to do something happy for all people. Because revolution can`t be progressed theoretically and stably, his work criticizes their ideological camouflaged is just a show and the real independence is possible only in motherland. And with macroscopic view, his stories take deliberate jabs at colonialism that not only to Japan but also to the World with stories` foreshadows, are like ``human being meets with misfortune when they want to rule other people`` and ``do not be defeated by human``. Kim, Gwang-ju suggested new purpose that could be out of colonialism and overcome it through Chosun Diaspora women`s aggressive and purposiv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