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유형

        주지영(Joo, Jiyoung) 돈암어문학회 2015 돈암어문학 Vol.28 No.-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이 갖는 의미 연구를 통해 1960년대 소설의 한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권력통제에 대한 도전이며, 체계가 지닌 억압적이고 강제적인 통합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는 의도된 죽음을 다루는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1960년대 소설 나 타나는 죽음은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충동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에는 죽음의 계기로서 작동하는 상징계의 모순이 단편적인 한두 가지 사건이나 삽화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인식이 구조적이고 본질적 측면에 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현상에 한정 되어있음에 기인한다. 그 결과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과 내적 필연성을 갖고 밀접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다분히 우연적이고 충동적인 측면을 띠게 되며, 죽음을 통해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다만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단편적 인식과 파괴에의 욕망에 의한 충동적 죽음만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둘째 , 역설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인식이 단편적 측면을 넘어서 구조적 측면으로까지 나아가고 있다. 이 구조적 인식에 의해 상징계의 본질적 모순이 포착되고, 그러한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죽음의 계기로 작동 하는 상징계의 모순은 여러가지 사건단위들을 통해 다각적으로 제시되고 있고, 더불어 각각의 사건들은 유기적으로 결합 되어 하나의 전체 사건으로 통합된다. 이를 통해 사건이 전개 될수록 상징계의 모순은 점점 강화되고,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과 내적 필연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죽음을 통해 상징계의 모순을 비판하면서, 그러한 모순이 극복된 상징계의 ‘자아이상’을 지향한다. 따라서 이 유형의 죽음은 겉으로는 상징계의 모순에 패배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패배를 통해 모순극복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역설적 죽음의 의미를 띤다. 셋째 , 초월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구조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상징계가 나아갈 올바른 역사방향성을 문제 삼고 있다. 이 유형의 작품은 죽음의 계기로 작동하는 상징계의 모순을 여러가지 사건단위들을 통해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그러한 모순이 극복된 세계를 지향한다. 그런데 그 세계는 상징계가 아니라 상상계이다. 곧 죽음을 통해 상징계의 모든 사회 문화 규범 체계를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어머니의 자궁속과 같은 상상계를 강렬히 지향한다. 그러한 상상계에서의 ‘이상적 자아’의 회복은 상징계의 인간으로서는 실현불가 능 한것이지만, 주체의 소멸과 무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회귀해 야 할 원초적 고향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지향성으로 인해, 이 유형의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을 가장 강력하게 전복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죽음은 상징계에서 상상계로의 초월적 죽음에 해당된다. The works dealing with death in 1960’s novel have difference in method of social contradiction-conquest. this difference depends on what the work want to restore through the death do, that is ‘le Je-ide´al’ of l"imaginare or ‘l"ideal du moi’ of le symbolique. By this standard, the death in 1960’s novel fall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impulsive death. In this work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letting the character die is presented in fragments. As a result, this works haven’t suggested an alternative that can conquest the social contradiction and suggest the desire that destroy le symbolique. The second type is the paradoxical death. In this works, the perception toward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has strengthened with structural dimension. As a result, this works have suggested an alternative that can conquest the social contradiction through the death and selected the death to secure self-identity in the new le symbolique. The third type is the transcendental death. this works have impeached the right directivity of history based on the structura perception toward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As a result, this works give all-out criticism le symbolique through the death and selected the death to secure self-identity in l"imaginare such as maternal uterus.

      • KCI등재

        <송곳니>: 상징적 거세의 우화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6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언어에 초점을 두고 <송곳니>를 분석하는 것이다. <송곳니>는 아버지의 독재와 자식들의 저항보다는 근본적으로 언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영화다. 영화에서는 담장을 경계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세계로 나누어져 있다. 그것을 나누는 기준은 이름이다. 담장 안에서 생활하는 가족 구성원들은 모두 이름이 없다. 아버지만 이름을 가지고 바깥세상과 집을 왔다 갔다 한다. 아들의 섹스 파트너 역할을 하기 위해 담장 밖에서 집으로 들어오는 크리스티나도 자기 고유의 이름이 있기에 일을 끝낸 후에는 담장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이것은 이름을 가진 자만이 담장 안과 밖의 세상을 오고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태어나자마자 최초로 갖는 것이 이름이고, 이름이라는 최초의 시니피앙을 가지는 것은 그 인간이 상징계로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징계로 진입한다는 것은 상징계의 특징인 차이와 결핍을 받아들인다는 말과 같다. 이름을 가지면 나와 너의 차이가 생긴다. 그런데 가족은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개와 사람 간에 차이가 없어지고 개와 사람이 같은 것이 된다. 그래서 모두 집을 지키는 개가 된다. 담장 안의 세상에서는 잔인하고 공격적이고 난폭한 행동이 난무하고 근친상간이 행해진다. 또 유아적 놀이와 물물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런 점에서 담장 안은 상상계이고 담장 밖은 상징계이며, 담장 밖에서 넘어 오는 고양이나 차에 묻어오는 흙은 상징계로부터 떨어져 나간 찌꺼기, 즉 실재계로 볼 수 있다. 큰딸은 ‘브루스’라는 이름을 스스로 가지게 된 후에는 상징계에 진입하게 된다. 큰딸은 상징계의 주요 특징인 차이를 받아들임으로써 옳고 그름을 인식하게 된다. 또 상징계의 결핍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송곳니를 아령으로 제거하고 담장 밖의 세상으로 탈출을 감행한다. 큰딸이 송곳니를 빼는 행위는 상징계로 들어가기 위한 결핍을 만드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ogtooth> with focusing on language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film <Dogtooth>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theme of language, rather than the dictatorship of the father and the resistance of his children. In the film, there are two worlds separated by the fence. The criterion for dividing them is the name. All family members living in the fence have no name except father. Only father who has his nam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house and the outside world. Christina who lives out of the fence enters the house to act as his son’s sex partner. She can go out of the fence after she finishes her job because she has her own name. It means only those who have name are permitted to come and go in and out of the fence. When a human is born, he gets his name at the very beginning. Having a name is having the first signifiant. It means he has entered the Symbolic. Entering the Symbolic means accepting the difference and lack that are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ic. Having a name makes a difference between you and me. All family members except father have no names, so they are not different from dogs. They become the same things as dogs. So everyone becomes a dog that keeps the house. Everyone acts like a dog. In the world inside the fence, cruel, aggressive and violent acts are rampant and incestuous sexual acts occur frequently. In addition, infantile plays and barters are carried out. In this regard, the house in the fence is the Imaginary, the outside world of the fence is the Symbolic. The cat and dirts on the car coming in the house from the outside of the fence can be regarded as the Real, the residue that has been removed from the Symbolic. The eldest daughter enters the Symbolic after she has the name ‘Bruce’ herself. She recognizes what is wrong and right by accepting the difference which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Symbolic. By accepting the lack of the Symbolic, she removes her dogtooth with a dumbbell and tries to escape to the world outside the fence. The act of her pulling out her dogtooth is to create a lack to enter the Symbolic.

      • KCI등재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에 나타난 이중적 소외, 억압된(소외된) 욕망(실재)의 귀환과 분열된 주체

        김일영 ( Il-yeong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2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를 모든 인간에게 숨겨져 있는 선과 악의 대립의 관점에서 보는 전통적인 비평 접근 방식과는 달리,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 소설은 하나의 주체가 되기 위해 인간이 겪어야 하는 이중의 소외에 의해 야기된, 분열된 인간 주체를 다루고 있다. 프랑스 철학자이자 정신분석가인 라캉에 따르면 주체는 상징계에 의해 상징계 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주체가 되어 인간 사회에 종속되기 위해서는 상징계의 요구대로 주체의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 이 상징계에 의해 금지 혹은 포기되도록 강요된 것을 라캉은 실재라고 부른다. 따라서 인간은 상징계적 주체가 되기 위해 실재를 포기하며 자신으로부터 소외 혹은 분열된 상태에 있을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더 나아가 인간 주체는 대타자이자, 상징계가 욕망하는 것을 자신의 욕망으로 인정/오인함으로써 자신의 실재계적 욕망으로 부터도 소외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인간 주체는 이중의 소외를 겪을 수밖에 없다. 지킬 박사는 젊은 시절 그로 하여금 “비정상적인 행위”를 저지르도록 이끈 “방탕한 기질”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명하고 선한 사람들이 받는 존경심”을 자신도 받기를 갈망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탕한 기질”의 체현(體現)으로서의 하이드는 상징계에 의해 억압받는 실재를 대변할 뿐만 아니라 금지된 혹은 소외된 욕망을 대변하고, 지킬 박사는 지킬이 자신의 욕망으로 인정/오인 하는 상징계의 욕망을 추구하는, 상징계에 의해 부여된 사회적 정체성의 상징이다. 따라서 지킬 박사는 지킬 자신의 욕망을 금지하고, 대타자의 욕망을 지킬의 욕망처럼 위장하는 상징계의 욕망에 의해 이중의 소외를 겪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지킬은 하이드의 사회적 가면이 되는 것이며, 하이드는 지킬의 소외된 욕망 혹은 그의 실재의 귀환을 대변하는 존재인 것이다.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 to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which examines it in terms of “the good-evil antithesis that lurks in all men”, the novella is concerned with the split human subject caused by double alienation which the human should undergo in order to be a subject. The subject, according to Lacan, is constituted in/by the symbolic order, so that, to be a subject, we should be subjected to the symbolic order/human society which demands the subject to give up parts of ourselves. What is prohibited by the symbolic order is called the real. The human subject, thus, inevitably remains split and alienated from himself. Furthermore, the subject is alienated from his own desire, since he desires what Other/symbolic order desires, (mis)recognizing Other’s desire as his own. In this sense, the subject inevitably undergoes double alienation. Jekyll has a desire for “the respect of the wise and good” as well as “impatient gaiety of disposition” which led him to do “irregularities” in his youth. Hyde as an embodiment of “gaiety of disposition” represents prohibited/alienated desire as well as the real repressed by the symbolic order/Other’s desire, while Jekyll is a figure of the social identity given by the symbolic order whose desire Jekyll (mis)recognizes as his own. Jekyll, thus, is doubly aliened from his own desire by Other’s desire which represents Jekyll’s desire, forbidding Jekyll’s own desire. Hyde, in this sense, represents the return of the real/Jekyll’s alienated desire, whereas Jekyll is Hyde’s social mask.

      • KCI등재

        〈무진기행〉의 정신분석적 독해 : ‘사랑’이라는 인간의 운명적 ‘증상’

        이은애(Lee Eun-A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본 논문은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에 대한 정신 분석적 독해를 목표로 한다. 김승옥의 〈무진기행〉에 대한 연구는 다각도로 전개되어 왔는데, 본고는 포괄적으로는 그러한 연구의 축적에 바탕을 두되, 실제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전적으로 정신분석학이라는 한정된 방법론에 입각해서 〈무진기행〉을 해석해 나갈 것이다. 이와 같은 정신 분석적 입장에서 〈무진기행〉을 분석해 나가는 작업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진기행〉은 작가 김승옥의 언어에 대한 자의식을 잘 드러내 주는 작품이다. 그의 소설 작업의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생명연습〉에는 두 부류의 인간 유형이 등장하는데, 하나는 상징계(the Symbolic)의 질서에 무난히 내입하여 ‘살아남은’ 상징계에 위치하는 자들이며, 다른 하나는 상징계로의 편입에 실패하여 자살하는 상상계(the Imaginary)의 인물들이다. 살아남은 자들은 상징계의 진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내었지만, 그 대가로 언어 속에 갇혀 언어로 사물을 표상해야 하는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감당해야 한다. 왜냐하면 상징계는 언어로 작동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김승옥은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기호와 언어가 실재하는 ‘사물(das Ding, la chose, thing)’을 표상하지 못하고 오히려 인간을 억압하는 수단이 된다고 인식하게 되며 이러한 언어 자체의 자율적 법칙에 대한 통찰은 그대로 그의 소설 〈무진기행〉에 연결되어 형상화 된다. 〈무진기행〉에는 언어의 한계로 말미암아 온전하게 표상되지 못하는 세계에 대한 작가의 위와 같은 자의식 및 안타까움이 잘 스며있다. 둘째, 〈무진기행〉의 ‘무진’이라는 공간을 상징계, 상상계, 실재(the real)의 경계에 위치한 환상의 공간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안개’로 상징화 되는 무진이라는 공간이 가져다주는 이미지 및 기능을 라캉(Lacan)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의 이론적 틀을 빌어 분석해 나가고자 한다. 셋째, 소설 〈무진기행〉은 남, 녀의 사랑의 비대칭성과 남, 녀 주체의 사랑의 향유방식의 어긋남을 잘 드러내며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본고는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 윤희중과 하인숙의 만남 및 관계 즉, 무진에서의 그들의 하룻밤의 정사를 포함한 사랑의 관계를 라캉의 성이론(성차) 공식을 이용하여 해명해 내고 나아가 남, 여의 ‘성관계는 없다’는 그의 명제에 대한 통찰을 숙고해 보고자 한다. 넷째, 〈무진기행〉 속에 등장하는 남,여 주인공의 사랑의 행위에 대한 불완전성을, 라캉이 체계화한 불어의 고유한 의미의 함축인 ‘주이상스(jouissance)’라는 개념의 측면에서 점검하고 분석하여, 완전히 산화되지 못한 ‘주이상스’에의 열망이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으로 회귀되어 돌아오는 메카니즘을 정신분석적으로 해독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MuJinKiHaeng〉 in a psychoanalytic way. There have been various different studies on this novel and they will be acknowledged, however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sychoanalysis way of reading. Firstly the novel, 〈MuJinKiHaeng〉, shows the identity of writer, Kim Seung Ok. His previous novel 〈SaengMyongYeonSoup〉 shows a prologue of two human characters. One 'survivors' of 'the Symbolic' world and the other 'the Imaginary' characters who failed in attempted suicide. In the novel, the survivors survive but they had to suffer through a symbol of language. In his novel, 'the symbol and the language' are a way of repression without representing 'Thing'. In 〈MuJinKiHaeng〉, it shows the authors sadness which can not be symbolized by language and symbol. Secondly to figure out the 'Mujin' space on the line among the symbolic, imaginary and the reality. In the novel 'Mujin' is symbolized by the 'Mist' and through this study I will analyse these images and functions with the theory of Lacan's Imaginary, symbolic and reality. Thirdly, A way to figure out the sex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relationships with Lacan's sex theory, also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hesis 'there is no sex-relation'. The fourth aim of the study will be to gain an understanding of 〈MuJinKiHaeng〉 with the same concept of 'Jouissance'(French), which explains the characters' act of love and it's incompleteness. As well as using a psychoanalysis of the mechanism used co alter 'Jouissance' into shyness.

      • KCI등재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2

        This research looked deeply into how an ego forms as a subject in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world that Jacques Lacan proposed and has a purpose of find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process. The first world that Jacques Lacan proposed was the imaginary world. In the imaginary, the ego formats itself equates as the image reflected by the mirror. The ego that was formed from an illusion and misconception has tendency to be aggressive and also has tendency of narcissism. The ego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he Oedipus and reforms into the symbolic subject. The ego receives the father’s name and enters the symbolic world of law, norms, and language structure and becomes subjective. Segmented ego desires for its parts of existence that was lost when the ego entered the symbolic world and pursuits it endlessly in the symbolic world. The moment when the part of existence that was lost appears in the symbolic world, Lacan names the real world and emphasis that the desire is headed to realistic. The theory that Jacques Lacan shows changes the existing awareness of desire and induces the human’s thoughts of process of forming a genuine subject. The desire heading to realistic does not fully satisfies so the desire chain that headed to realistic is also impossible, but experience sublimation is possible to enhance the object in “thing” position only in fantasy. The sublimation of Lacan is absolute desire aiming for “thing” and it is a new creation. Many discussions appear in aesthetics about Lacan’s sublimation that creates new creations and makes art possible but the meaning becomes certain on the moral education side. The influence of the moral education created new emotion inside of a human that was not existed before and because of that, not just one side of life but the whole life changes and gets influences in moral changes is the most coincident with the meaning of sublimation that Lacan indicates. Lacan’s psychoanalysis provides new interpretation of desire that existing education thought as virtue of temperance and makes possible to new attempts and provides a theory of human’s subject formation which implied a great deal in moral education. 본 연구는 자크 라캉이 제시한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에서 자아가 주체로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한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크 라캉이 제시한 사유의 첫 세계는 상상계이다. 상상계에서 자아는 거울 속의 이미지에 자신을 동일시하며 형성된다. 착각과 오인의 구조에서 형성된 자아는 공격적 성향을 갖게 되고, 나르시시즘의 성향을 갖게 된다. 자아는 오이디푸스 과정을 겪으며 상징계의 주체로 거듭나게 된다. 자아는 아버지의 이름을 받아들이며 법과 규범, 언어의 구조로 되어 있는 상징계에 진입하게 되고 주체화된다. 자아가 상징계로 진입하며 주체가 되는 과정에서는 어쩔 수 없이 소외가 일어나고 주체는 분열된다. 분열된 주체는 상징계에 진입하면서 상실된 자신의 존재 일부를 찾으려는 욕망을 갖게 되고 상징계에서 끝없이 이를 추구한다. 주체가 잃어버린 존재의 일부가 상징계에서 나타나는 찰나의 순간, 그 공간을 라캉은 실재계라 칭하며, 욕망은 실재를 향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자크 라캉이 제시하는 이론은 욕망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바꾸게 하며, 진정한 주체의 형성을 위한 과정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인간의 사유를 요구한다. 실재를 향하는 욕망은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주체는 끊임없이 실재를 향하는 욕망의 연쇄가 계속됨에도 상징계를 넘어서는 것이 불가능한데 오직 환상 속에서 대상을 ‘물(ding)’의 위치에 고양시키는 체험적 승화가 가능하다. 라캉의 승화는 ‘물’을 지향하는 욕망의 절대성이며, 새로운 것의 창조이다. 새로운 창조를 낳으며 예술을 가능하게 하는 라캉의 승화는 미학에서 논의되는 경우가 많지만, 도덕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그 의미는 더 확실해진다고 할 수 있다. 도덕교육의 영향으로 인간의 내면에서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정서가 만들어지며 그로 인해 삶의 한 측면이 아닌 삶 전체가 변화되고 영향을 받게 되는 도덕적인 변화야말로 라캉이 가리키는 승화의 의미에 가장 부합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기존의 교육에서 욕망이나 욕구에 대한 명확한 구분 없이 두 가지 모두 절제되어야 더 아름다운 인간의 본능적인 면이라 생각되던 부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도덕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하며, 인간의 주체 형성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면서 도덕교육에 시사한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와 라캉의 ‘상징계’

        김영희 한국T.S.엘리엇학회 2016 T.S. 엘리엇 연구 Vol.26 No.3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에서 화자 프루프록은 상징계의 주체이자 욕망의 결핍을 느끼는 현대인의 전형, 탈주를 꿈꾸는 자이다. 그는 타인/대타자의 욕망에 의해 소외되어 있는 한, 진정한 자신, 진정한 주체로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주체가 상징계에 들어갈 때 존재는 타자적 이미지와 언어에 의해 소외된다. 그리고 주체탄생이란 소외를 댓가로 지불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미켈란젤로, 여인, 인어는 프루프록의 주체에 대응되는 대타자로서 시니피앙의 연쇄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엘리엇은 억압된 인간의 욕망이 끊임없이 무의식의 구멍/환상으로 출몰하여 미끄러지는 상징계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대상 a와 실재계로서, 이들은 환상적 형태로 상징계에 침투하였다.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값싼 식당과 호텔, 여인들의 방, 바닷가, 바다 소녀의 방의 배경을 따라, 노란 안개, 향기, 베개, 복숭아, 인어의 노래 등으로 재현되는 대상 a등을 소개한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시적화자/주체가 대상 a를 통하여 상징계의 틈을 발견하고, 자신의 쾌락을 추구하여, 시니피앙에 의하여 자신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언술행위의 주체/진정한 주체의 해방을 이루는 상징계의 연쇄작용을 효율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 그림책 『그름빵』에 나타난 주인공의 욕망형성 과정 분석

        신혜선 ( Hye Seon 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Lacan의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유아그림책 ‘구름빵’ 에 나타난 주인공의 욕망형성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욕망이론의 주요개념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세가지 측면에서 주체의 분열과정을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 상상계에서 아이들은 구름을 손에 넣는 순간 상징계에 있는 엄마와 아빠를 상상계에 편입시켜 자신들의 생각에 동조하게 만든다. 상징계에서 엄마가 아빠를 걱정하는 모습은 아이들에게 아빠를 돕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키고 이 욕망은 상상계에서 만든 구름 빵을 통해 충족된다. 실재계에서 아이들은 구름 빵을 또 먹음으로써 상징계로의 복귀를 회피하며 계속 상상계에 머문다. 왜냐하면 아빠를 돕고자 하는 주체의 욕망 충족은 상징계가 아닌 상상계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다시 상징계로 돌아 왔을 때 주체는 충족되지 못한 결핍이 생기기 때문이다. 결국 상상계와 상징계의 통로 역할을 해주었던 구름 빵은 아이들에게 욕망의 충족과 결핍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고 또 다른 욕망을 갈망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urse of the main character`s desire formation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 Cloud Bread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s desire theor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ourse of the subject`s division on the sides of the three main concepts in the desire theory, the imaginary, the symbolic order and the real ord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out that children made their mother and father who initially exist in the symbolic order enter the imaginary to agree with them when they lay hold of clouds in the imaginary. Mother`s concern about father in the symbolic order provokes children`s desire to help him, and this desire is met by the cloud bread created in the imaginary. Children continue to stay in the imaginary abiding their return to the symbolic order by eating the cloud bread again in the real order. This is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desire is fulfilled in the imaginary rather than in the symbolic order, and when returning to the symbolic order, the subject suffers deficiency and dissatisfaction. After all, the cloud bread, which plays the floe of a channel between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order, make children feel satisfied and deficient at the same time, and serves as a motivation for yearning another desire.

      • KCI등재

        조선적인 것과 ‘모노노아와레’ — 식민지에서 상징계 구축하기 —

        심희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0 일본사상 Vol.0 No.39

        이 글은 일본정신분석에 관한 가라타니 고진과 박규태의 연구를 참조하여 식민지조선의 지식인들이 ‘조선적인 것’의 상징계를 구축해나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가라타니는 음독과 훈독에 착안하여 일본에서는 상징계로의 진입에 필요한 거세가 배제되었다고 논하고 그 특징을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모노노아와레’에서 찾는다. 한편 세계제국 중국과 가까운 위치에 있었던 조선은 중국보다도 더욱 강력한 거세와 억압을 추진했다고 한다. 다만 조선은 근대 이후 제국일본의 식민지가 되었고, 이때 국민국가라는 상징질서 구축을 위한 거세가 배제되었던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박규태는 모노노아와레를 라캉 이론의 대상a에 빗대어 설명하고 타자와의 제로거리를 꿈꾸는 모노노아와레적 공동성(共同性)이 자칫 타자성을 삭제하는 모노노아와레적 공동성(空洞性)의 위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지적한다. 이 글에서는 양자의 논의를 참조하여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상징질서를 구축하려고 했던 식민지조선 지식인들의 논의가 상징계 바깥에 있는 대상a를 욕망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9세기 중반 이후 역내 시스템의 거대한 변화와 함께 국민국가의 고유성을 발견하려는 논의가 등장하지만, 기존의 중심이었던 중국을 완전하게 상대화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박은식과 신채호는 초월적 대타자 ‘조선’을 상정하고 이를 통해 제국일본의 상징질서에 균열을 일으키고자 했다. 이때 박은식과 신채호는 과거 노리나가가 그랬던 것처럼 목적론적 문헌학과 어원론에 의거했다. 그러나 이들의 기획은 대타자를 하나의 점에 고정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고, ‘조선’은 끝없는 기호의 환유 속으로 빠져 들어갔다. 최남선은 3.1운동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모노노아와레적 감수성에 입각하여 개념화·원리화되지 않는 작은 것들에서 ‘조선’을 발견하고, 이를 ‘밝’이라는 최종심급에 위치시킴으로써 조선적인 것을 상징계에 진입시키고자 했다. 하지만 상징계로의 진입은 거세의 과정을 수반하는바, ‘조선’은 자신의 피를 그 대가로 치르지 않으면 안 되었다. 여기에는 타자와의 합일을 통한 존재의 완성이 아니라 너와 나를 익사시키는 모노노아와레적 공동성(空洞性)의 폭력만이 가득했다.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by which intellectuals in colonial Chosun build up The symbolic of “A things of Chosun”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Kojin Karatani and Gyu-Tae Park on Japanese psychological analysis. Karatani analyzes that castration necessary for entering The symbolic has been excluded in Japan by focusing on reading Kan-bun, and the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Motoori Norinaga’s “Monono Aware”. Meanwhile, Chosun which was close to the world empire China, promoted stronger castration and repression than China.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Chosun became a colony of imperial Japan after the modern era, and castration to establish a symbolic order of nation-state was excluded. Park Gyu-tae explains the monono-aware by comparing it to the object petit a of Lacan’s theory, and the synergism of monono-aware dreaming of a zero distance from the other is the cavitation of monono-aware that eliminates the otherness. Point out that it can create a crisis. In this article, with reference to the discussions between the Karatani and Park, the discussion of the intellectuals of colonial Chosun who tried to establish a symbolic order in a unusually situation of colonization looked at the process of desire for object petit a outside The symbolic. Since the mid-19th century, discussions have emerged to discover the uniqueness of the nation-state along with huge changes in the regional system, but it was not easy to completely relativize China, which was the center of the civilization. In the midst of this, Park Eun-sik and Shin Chae-ho assumed a the Other “Chosun,” and tried to crack the symbolic order of imperial Japan. At this time, Park-Eunsik and Shin-Chaeho were based on teleological philology and etymology, as Norinaga did in the past. However, their plans had a hard time fixing the the Other to one point, and “Chosun” fell into the metonymy of endless preferences.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failed, Choi-Namsun discovered “Chosun” in small things that were not conceptualized and principled based on sensibility of mononoaware, and placed it in the final level of “bright” to enter the Symbolic of Chosun. However, entering the Symbolic entails a process of castration, and “Chosun” had to pay his own blood in return. Here, not the completion of existence through unity with the other, but only the violence of cavitation of monono-aware that drowns everyon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김승희 시에 나타난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문제

        이유정 ( Yu Jeong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2 No.-

        들뢰즈·과타리의 욕망론은 주체의 욕망이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가능성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들뢰즈·과타리의 욕망이론을 수용하여 1980년대 김승희 시에 나타난 주체, 이데올로기, 욕망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1980년대 김승희의 시는 억압하는 힘과 벗어나려는 힘 사이의 긴장관계에 주목하며 타자적 삶을 살아가는 주체들의 비판적 성찰을 담고 있다. 본고는 시인이 욕망과 이데올로기에 대한 상반된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보고, 그의 시에 나타난 주체의 욕망에 대한 상징계의 작동에 주목하고자 했다. 우선 시인은 욕망이 생산되는 과정에서 무수한 코드화의 작용이 벌어짐을 보여준다. ``국가-자본-가족``이라는 초코드화의 메커니즘은 시적 주체의 욕망을 상징계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만든다. 이에 시적 주체들은 억압적 상징계가 절대적인 힘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도 권력에 대한 반항력을 무의식 속에 감추거나 권력의 규율에 자발적으로 순응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주체들이 갖고 있는 비동일성의 의식은 기존의 상징계로부터 발생된 구조의 효과에 불과하기에 저항의 힘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다. 한편, 김승희는 기존의 상징계와 상이한 코드의 시공간으로 탈주하는 시적 주체를 그려 내어 모든 인간이 지배담론의 이데올로기에 종속되기만 하는 존재는 아님을 반증한다. 시적 주체의 욕망이 만들어 내는 탈주의 공간들은 상징계들 간의 권력관계에 있어 열세에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무력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상징계란 이질적이고 차이적인 힘들이 함께 공존해야 할 공간임을 말하고 있다. 김승희가 시적 주체의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그려내는 상반된 방법들은 우리 사회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주체의 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한편, 1980년대 한국여성시의 표현면의 혁신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bject, ideology, the desire of Kim Seung-hee`s poetry. Kim Seung-hee`s poetry has contained critical reflection on the life of others. The poet recognizes the practical requirements to prevent the success of the subject. This time Kim Seung-hee has an interest in the strength and power of resistance. Desires and ideology appears to be contradictory in 1980s Kim Seung-hee`s poetry. This desire will aris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action of countless coded. overcoding mechanism is suppressed desire of the poetic subject. Poetic subject conceal the rebel forces to power in the unconscious. The poetic subject is adapted to power. Subject have the non-identity consciousness. But this is just the effect of the structure. Therefore, no power of resistance. Meanwhile, Kim Seung-hee writes poetic subject that escaped from the symbolic. This is the meaning of every human being does not depend on ideology. The disadvantage of breakout space than a symbolic one. So there is no real possibility of a breakout space. This means that not the absolute symbolic. It is a symbolic space of coexistence with the forces of heterogeneous and differences. Thi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type of a variety of subjects. The innovative aspect of the expression of the 1980s female poetry.

      • KCI등재

        유식불교로 읽는 말라르메 : 라깡의 "상징계"에 대한 번역가능성과 탈경계의 생태성

        장정아 ( Jung-a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6

        말라르메와 불교, 라깡의 세계 인식은 모두 빈 언어, 즉 대상과의 관계에서 탈동기화된 언어에 기초해있다. 말라르메에게는 언어가 실체로서의 지시대 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자각의 경험이 있고, 그러한 빈 언어는 곧 시인의 시적 궁극이 된다. 그리고 유식불교의 변계소집이 빈 언어임을 모르고 그 대상을 실체화하여 생겨나는 것이고, 그 비실체적인 의타기를 여실히 보면 그것 그대로가 무아와 공으로 표현되는 원성실성이므로, 말라르메와 불 교는 비교가능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말라르메와 불 교의 언어관은 라깡의 상징계로 연결되어, 말라르메와 불교의 궁극이 라깡의 상징계에 대한 번역가능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라깡의 상징계에서 주체 는 존재로서가 아니라 의미로서만 탄생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빈 언어에 있어, 언어에는 어떠한 존재도 담겨질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언어에 담겨지지 않는 존재가 바로 실재계의 것으로서, 결국 실재계는 언어로서 표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징계에서 주체는 자기 존재로부터 ‘소외’되어 있어, 실재계를 향한 무의식적인 욕망의 주체로 탄생하고, 그것은 언어의 재현이 실체로 서의 긍정적 대상과 무관한 것에서 기인하는데, 라깡의 주체 구성에 있어 탈 소외화 과정인 ‘분리’를 말라르메와 유식에 기초하여 재조명함으로써 상징계 와 실재계의 상호긍정의 ‘원융’을 드러내는 것, 이것이 본 논문의 방향이 되는 것이다. 이때, 언어의 한계, 언어에 의한 분별의 경계, 즉 나와 너의 경계를 넘어서는 탈경계의 생태 하나도 본 논문을 통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sciousness of the world in Mallarme, Buddhism, Lacan is based on the empty word, the immotivated word, i. e, the word of the arbitrary relation with the referent. The Neant of Mallarme, the parikalpita-svabhava of the Vijnaptimatra, the Symbolic of Lacan are the expressions of the immotivated word concluding the consciousness the limit or the world of the languages. This world of the word is the obstacle of the reach to the real, for example, the alienation of Lacan is the result of this characters of these words. And the alienation is inevitable. But the aims of Mallarme and the Buddhism in the poetic and religious horizon can show the possibility of the emancipation of the alienation. The seperation in the world of Lacan is called the attempt for seeking the freedom from the alienation. This article will be therefore the one of the reading of the seperation of Lacan as a sort of the epistemological transition for receiving the Symbolic as it is with the Rien of Mallarme and the Buddhism, especially the tri-svabhava(parikalpita-svabhava, paratantra-svabhava, parinispanna-svabhava) and the transition of the Vijnaptimatra. As a result of this reading, We can accept the Symbolic as a perfect world of the words and the Real as a perfect world of the beings in the universe of Lac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