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상계(imaginary)의 역사성과 동아시아 상상계의 유형

        박현수 ( Hyun Soo Park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4 No.-

        본고는 상상계의 문제를 문화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토하여, 동아시아의 상상계의 유형을 설정하고 그것의 본질적 의미를 다루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상상계(imaginary)는 상상력이 작동하는 기반이 되는 각종 요소들의 총체를 말하는데, 그 내용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상상계의 유형 분류 중에서 뒤랑의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그의 분류학이 심리적·논리적 차원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실증적인 차원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뒤랑의 이런 시각은 동아시아의 문화사적 실증성을 바탕으로 상상계의 유형을 구성할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동아시아의 상상계는 크게 화하적(華夏的) 상상계, 묘만적(苗蠻的) 상상계, 동이적(東夷的) 상상계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고대 동북아의 문화사적 구도와 관련이 있다. 화하적 상상계는 주나라의 인문정신에 기반한 합리성과 코스모스, 논리성, 현실주의 등을 그 특징으로 지니며, 묘만적 상상계는 괴력난신과 같은 비합리성, 카오스, 초논리성, 낭만주의 등을, 동이적 상상계는 그것의 종합으로서 카오스모스를 그 특징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상계의 근원적인 차이는 초월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부터 발생한다. 화하적 상상계는 초월을 인정하지 않고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해결 방식을 선호하며, 묘만적 상상계는 외재적 초월을 추구하며, 동이적 상상계는 내재적 초월을 인정한다. 이런 상상계는 상극의 관계가 아니라 상생의 관계에 놓여 있다. This paper aims to set the type of the imaginary of East Asia, and deals with its essential meaning by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imaginary through cultural studies. Imaginary is the totality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are the basis for the imagination to work. Various classifi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its content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imaginar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scussion of Gilbert Durand. He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psychological and logical levels, also the empirical level. Durand`s vision will suggest the possibility to configure the type of imaginary in East Asia. The imaginary of 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Hwaha imaginary, Myoman imaginary and Dongyi imaginary. It is related to the cultural historic structure of the ancient East Asia. Hwaha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osmos, logicality, realism, humanity based on the spirit of rationality, Myoman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 illogicality, surrealism. And Dongyi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mo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hree imaginaries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 of transcendence. We can not find any transcendence in Hwaha imaginary, and we can find an extrinsic transcendence in Myoman imaginary. But we can find an immanent transcendence or ``beyond-here``, in Dongyi imaginary. These imaginaries are auxiliary to each other.

      • KCI등재

        이성적 상징계와 몽환적 상상계의 혼융 - ‘팔루스적 언어’를 벗어나는 남성작가 정찬 -

        박선경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8

        본 연구는 정찬 작가가 다른 남성작가들처럼 기존 체제에 대한 부정 및 저항인식을 보여주며 해체작업을 벌이나, 폭력적 현실 재현보다는 카오스적 서사 재현과 ‘온기’와 ‘희망’ 등 남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고, 또 남성작가로서 ‘남근성’에 대한 해체를 시작한다는 점에 주목하며 정찬 작가의 서사기법과 인식, 작품의 서사적 의미를 밝혀 보았다. 정찬 작품의 고유성은 인물설정과 서술방식, 서사공간(상상, 인식영역)에서 다기(多技)적으로 얽히며 구성되고 있었는데, 단순히 ‘난해성’으로 일갈(一喝)하기 보다는 더욱 자세한 분석이 요구되는 복잡다단한 것이었다. 분석의 결과, 정찬 작가는 다른 남성작가와는 달리, ‘팔루스’의 특권을 내려놓고 ‘남성중심주의’에 대한 남성적 한계를 벗어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탈주체, 탈근대, 해체주의가 결국 ‘남근이성중심주의(Phallogocentrism)’에서 탈주하는 것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실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즉 정찬의 인물들은 ‘탈이성중심’적 행동과 정신(환상, 몽상)공간으로 왕래하였고, 동시에 아버지, 남성의 특권적 힘을 내려놓고 아이와 어머니에게 기대어 살거나 상상계로 회귀하는 남성 남성, 아버지의 이름은 상징계를 구성하며, 아이와 여성은 상상계에 속함을 라깡에 기대어 환기할 수 있겠다. 인물들을 통하여 ‘탈-남근이성중심주의’를 재현하는데 일정 성과를 거두고 있었다. 더불어 작가는 ‘해체’작업에 그치지 않고 상상계로의 영역 확장에 이어, 탈주체 이후의 ‘새로운 주체’를 탐색하는 실험으로 한층 더 서사영역을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찬 작가는 ‘세계가 고통이다’라는 명제를 전제로, 해체 이후의 이야기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탈주체 이후 자아들이 살아가는 모습과 ‘새로운 주체’ 구성의 문제에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까지 이르고 있었다. 이러한 작가의 세계에 대한 판단과 인식을 전제로, 이야기들은 이성중심적 언어와 체제의 사유 경계를 허물고, 몽롱하고 몽환적인 상상공간을 서사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몽상, 환상, 영혼 등 상상계로 인식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었다. 상상계로 진입하는 서사 방법으로 작품들에는 연극, 배우, 무대가 자주 동원되었는데, 연극의 극중인물과 배우인물, 그리고 작품의 인물들은 영혼 간의 잦은 교류와 혼융됨으로써, 작품세계는 몽환을 넘어 ‘몽롱함’의 상상공간을 재현하는데, 이는 현실과 상상계를 시뮬라시옹으로 혼융시키는 포스트모던적 서사기법의 일환이라 하겠다. 그리고 ‘아버지 이름’의 이성적 상징체계 즉 ‘팔루스’적 현실 질서를 버리고 ‘아이, 어머니’ 등의 상상계로 귀의하는 모습에서 남성 가장(家長)들은 더 이상 힘을 가진 존재가 아니었으며, 구원자도 되지 않았는데, 이는 근자의 팰로고센트리즘이 해체되는 상황을 함의하고 있었다. 또 상징계의 어른이 환상과 몽상 등 상상계로 되돌아 간다는 점과 ‘아이’에게서 구원과 희망을 찾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의 순환적 역사관, 자연순환론적인 인식을 짚어낼 수 있었다. 해체나 붕괴를 ‘실패’와 부정주의로 인식하는 근대의 발전적 사관에서 벗어나, 해체를 또다른 ‘생성’과 ‘혼융’으로 연계시키는 순환론적 인식을 마주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 method, perception, and narrative meaning of Jeong Chan's work. It looks at how he shows the perception of negation and resistance to existing frameworks, as do other male writers, but how he also creates a unique atmosphere. He uses a chaotic narrative reenactment and 'warmth' and 'hope', rather than a violent reality reenactment, and he has begun to disassemble 'Phallus' as a male writer. The uniqueness of Jeong Chan's work is in how it is composed of multiple intertwines in character, setting, narrative style, and narrative space (imagination, recognition area) that require more detailed analysis than simply "difficulty." The analysis identifies Jeong Chan as a writer who, unlike other male writers, is attempting to repress the privilege of 'Phallus' and to escape the masculine limits of 'Phallocentralism'. This shows how the postmodern experimental perception of de-construction, post-modern, and deconstructionism eventually escape from the 'Phallogocentralism'. In other words, Jeong Chan's characters exhibit 'de-rational' behavior and mental (fantasy, dreaming) space, and at the same time perform a certain achievement in reproducing 'Phallocentralism', as his male characters do not use the privileged power of fathers and men but lean on their children and mothers or return to the imaginary world. In addition, the author looks at the expansion of the realm of imagination, not just "disband"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 narrative realm by exploring "new subjects" after defection. Writer Jeong Chan focusses more on the post-dismissal story, on the premise that "the world is suffering." The narrative even suggests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of how selves live after defection and the formation of a "new subject." On the premise of such a writer's judgment and awareness of the world, the stories break down the rational-oriented language and system's ideological boundaries and narrate a dreamy imaginary space. This extends the realm of perception to the imagination, such as dreams, fantasies, and souls. In the image of abandoning the rational symbolic system of 'Father's Name', that is, the 'Phallus' real order, and returning to the imaginary world such as 'child, mother', the male head (family) is no longer a power and savior, which implies that in this situation, the Phallogocentism of modern people is dismantl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reveals the circulation of the artist's view of history and the perception of natural circulation in that the adult of the symbolic world returns to the imagination, such as in fantasy and dreaming, and seeks salvation and hope from the child. The study discerns the cyclical perception that dismantling and collapse are linked to another ‘generation’ and ‘mixing’, separate from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modern times, which recognizes ‘failure’ and negativism.

      • KCI등재

        줌파 라히리의 『네임세이크』와 이주시대의 상상계

        배미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60

        The term ‘the imaginary’ was first registered as meaning personal illusion or phantasy by Jacques Lacan, but it was appropriated later and its usage was expanded to social imaginary by Charles Taylor and Arjun Appadurai. After ‘the death of God’, nationalism took the task of granting identity and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individuals replacing religions and it has become a nation-building ideology of both Western and non-Western countries since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Manfred Steger properly points out, nationalism gives birth to sub-nationalism or variants such as socialism, communism and fascism. Even now when many proclaim ‘the end of ideologies' and post- nationalism we still witness nationalism is referred again and again, which makes us doubt that it possibly is the meta-ideology. But facing terrorism vs. anti-terrorism and reality vs. virtual reality, we're being asked to search for global imaginaries that go hand in hand with national imaginaries. Amartya Sen also suggests an individual should be allowed to have plural identities instead of a single identity. In this sense the U.S. is the best place for a post-national immigrant setting, which a Bengali American novelist Jhumpa Lahiri's The Namesake shows quite well.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o- existence of national and global imaginaries in terms of identity and sense of place of an individual. 찰스 테일러와 아르준 아파두라이는 사회 집단이 공유하는 어떤 이해이자 실천을 유발하는 것으로 ‘상상계’의 의미를 확장했다. 서구 근대 이전 종교가 담당하던 정체성과 소속감 부여 임무는 근대 이후 민족주의가 담당하게 되고, 민족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국민국가 수립의 기본 이데올로기가 되어 거의 최초의 전 세계적 상상계가 되었다. 맨프레드 스티거의 지적대로 민족주의는 사회주의, 공산주의, 파시즘과 같은 하위나 변종 민족주의를 낳았을 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의 죽음이 공공연히 선언되고 탈민족적 담론이 확산되는 가운데에도 여전히 요청되고 언급된다. 이것은 민족주의가 메타이데올로기라는 추측까지 하게 한다. 그러나 테러-대테러 상황과 실제와 가상의 이주가 일반화되고 있는 오늘날, 민족주의라는 민족상상계가 완전히 극복할 수 없는 것이라면 민족상상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상상계를 고민해야 한다. 이것은 아마르티아 센이 단일 정체성의 위험을 지적하면서 개인의 다중 정체성을 인정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이성적 추론을 통해 자유로이 정체성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하는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 미국은 가장 적절한 탈민족적 이주의 장소이며, 영국 태생 인도인이자 미국시민인 줌파 라히리의 『네임세이크』는 미국 보스턴으로 이민한 벵골인들의 이야기이다. 이 작품에서 정체성과 장소성이라는 상상계가 민족적 차원과 글로벌 차원에서 어떻게 서로 작용하며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자 한다.

      • KCI등재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를 바탕으로 한 연극치료의 상징분석과 진단적 가능성 모색

        조희진 ( Hee Jin Cho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2

        이 논문은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연극치료 작업에서 이미지와 상징의 흐름과 구조 파악의 분석틀로 사용하여 보고, 그것이 연극치료에서 진단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다양한 이미지들은 그의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적 정보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참여자에 대한 진단과 연극치료 작업의 방향 설정 및 치료사의 개입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이용하여 연극치료 실제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흐름과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3월 9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된 총 9회기의 연극치료 작업에 참여한 연구자 본인이다. 작업 전체를 하나의 큰 흐름으로 볼 때 프로그램이 대상의 내면에 대립되는 이미지들을 통합하고 성장시키는 종합적 구조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구체적인상상계의 구조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환자는 상상계의 어느 한 영역에 고착되어 있거나 왜곡된이미지를 보여줄 가능성이 많은 반면, 건강한 사람은 때에 따라 다양한 상상의 영역을 오가며 이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이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를 진단하고 개입할 수 있는 세부적인 정보와 작업의 목표 및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큰 구조적 틀을 제공하는 중요한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 심리학 이론의 선형적이고 유형화된 틀을 벗어나 인간 존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의미론적 맥락의 진단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역동성과 다의성으로 인해 논리적인 학문영역에서 배척당하고 문학이론으로 치부되어온 상상계의 방법론이 실제인간 심리를 다루는 치료 영역에서도 그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구조들을 통한 연극치료 작업 분석 결과, 연극 활동에서 상상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이 심리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utilize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as an analysis frame of the image and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n, to examine its feasibility how it could be utilized in the drama therapy process. Due to the fact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on various images expressed by a participant is crucially symbolic information to show the participant’s inner side, it is an essential point for a participant’s diagnosis, a design of the drama therapy and therapist treatments in the drama therapy. This study thus is to analyse participant’s images and to figure out its flow and frame in the actual work via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An object of this study is a researcher’s own who participated 9 times drama therapy from March 9th to June 2nd in 2010.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a detail imaginary structure was progressed in the working process. In overall process, it can be shown that this study made conflicting images proceed into a synthetique construction to integrate and develop them. Throughout the analysis, it can be known that a patient tend to set in an area of the imaginary and show distorted images, while a sound person is able to freely explore over the imaginary and suitably express it. As previously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is able to be a systematic approaches to precisely diagnose participants and come up with a frame of detail information and an accurate working aim to a therapist in a drama therap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cludes: 1) To come up with the sematic context basis to precisely understand human beings beyond the linear and stereotypic territory of previous psychological theories 2) To offer proof that a methodology of the imaginary, that is only keeping alive within a literary theory apart from the logical academy areas due to its being polysemy and dynamic, could be applicable as a treatment in the psychological area. 3)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ighly imaginary usage process in a drama activity based on a result from a drama therapy via the Gilbert Durand’s imaginary structures systematic and logical.

      • KCI등재

        유아 그림책 『그름빵』에 나타난 주인공의 욕망형성 과정 분석

        신혜선 ( Hye Seon 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Lacan의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유아그림책 ‘구름빵’ 에 나타난 주인공의 욕망형성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욕망이론의 주요개념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세가지 측면에서 주체의 분열과정을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 상상계에서 아이들은 구름을 손에 넣는 순간 상징계에 있는 엄마와 아빠를 상상계에 편입시켜 자신들의 생각에 동조하게 만든다. 상징계에서 엄마가 아빠를 걱정하는 모습은 아이들에게 아빠를 돕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키고 이 욕망은 상상계에서 만든 구름 빵을 통해 충족된다. 실재계에서 아이들은 구름 빵을 또 먹음으로써 상징계로의 복귀를 회피하며 계속 상상계에 머문다. 왜냐하면 아빠를 돕고자 하는 주체의 욕망 충족은 상징계가 아닌 상상계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다시 상징계로 돌아 왔을 때 주체는 충족되지 못한 결핍이 생기기 때문이다. 결국 상상계와 상징계의 통로 역할을 해주었던 구름 빵은 아이들에게 욕망의 충족과 결핍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고 또 다른 욕망을 갈망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urse of the main character`s desire formation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 Cloud Bread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s desire theor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ourse of the subject`s division on the sides of the three main concepts in the desire theory, the imaginary, the symbolic order and the real ord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out that children made their mother and father who initially exist in the symbolic order enter the imaginary to agree with them when they lay hold of clouds in the imaginary. Mother`s concern about father in the symbolic order provokes children`s desire to help him, and this desire is met by the cloud bread created in the imaginary. Children continue to stay in the imaginary abiding their return to the symbolic order by eating the cloud bread again in the real order. This is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desire is fulfilled in the imaginary rather than in the symbolic order, and when returning to the symbolic order, the subject suffers deficiency and dissatisfaction. After all, the cloud bread, which plays the floe of a channel between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order, make children feel satisfied and deficient at the same time, and serves as a motivation for yearning another desire.

      • KCI등재

        <뱀파이어 헌터 D: Bloodlust>의 상징 구조와 이미지

        양진호(Jin Ho Yang),장영란(Young Ran Cha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1

        현대사회는 합리성이 중시되는 사회이며 상징과 이미지가 천대받는 시대다. 하지만 동시에 이미지로 이루어진 영상 콘텐츠가 넘쳐 나는 시대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미지와 상상력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상상력과 이미지의 복권에 힘써 왔던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 논의를 방법론으로 수용하여 <뱀파이어 헌터 D: Bloodlust>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이 작품이 많은 다양한 상징들과 이미지들을 통해 전달해 주는 점들이 많아서 뒤랑의 상징론을 적용할 때 작품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뒤랑의 상상계 구조는 낮의 체제와 밤의 체제의 두 체제와 분열적 구조, 신비적 구조, 종합적 구조의 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뱀파이어 헌터 D: Bloodlust>에 나타나 있는 적대적인 대립 구도를 분석하여 각각 밤의 체제의 괴물들과 낮의 체제의 영웅들로 구분하여 서로 대립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이로 인해 뱀파이어와 뱀파이어 헌터의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속성을 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콘텐츠 속에서 뒤랑의 세 구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제각기 ‘배타성’, ‘완곡화’, ‘모순성’이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뱀파이어 헌터 D: Bloodlust>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 작품이 제작 당시부터 수출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동양적 상상력과 서양적 상상력을 모두 포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뒤랑은 바슐라르를 비판하면서 자신의 이론이 보편적인 상상계를 포괄하고 있다고 했다. 동양과 서양의 상상력을 포괄하고 있는 이 작품은 뒤랑의 상상계를 적용하기에 가장 알맞은 콘텐츠라고 생각한다. 뒤랑의 상상계를 작품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스토리텔링 분석 도구가 간과하고 있는 이미지에 대한 고찰 역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Modern society has been a society that emphasizes rationality and devaluates the symbols and images. Nevertheless it is the age that the image is overflowed in public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symbols and images to understand contemporary culture.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images and symbols of <Vampire Hunter D: Bloodlust> by Gilbert Durand"s imagination theory. He has striven for rehabilitation of the imagination with Gaston Bachelard in modern time. Durand"s imaginary is divided two order or systems which are consisted of the diurnal order of the image and the nocturnal order of the image, and three structures that are consisted of divisive structure, mystical structure, systematic structure. First, I could divide into heros of the diurnal order and monsters of the nocturnal order by analyzing the opposite composition in the <Vampire Hunter D: Bloodlust>. So I could explain clearly about symbols and images that vampires and vampire hunters have. Then, I have analyzed how Durand’s imaginary theory is applied in the <Vampire Hunter D: Bloodlus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mechanics of “exclusion”, “euphemism”, and “contradiction”. The reason which I choose <Vampire Hunter D: Bloodlust>is that implies a lot of symbols and images as a work that encompasses bo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imaginary. Futhermore I expect to insight on images which are overlooked in traditional storytelling analysis tool by applying Durand"s imaginary theory.

      • KCI등재

        일본의 신화적 상상계와 전통공간디자인의 상징적 구조

        박경애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Myths and architectural spaces are cultural products symbolizing ideologies and objects respectively. Myth has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a unique view of the world that reflects thoughts and representations of the nationalities. This study is about 'the spaces of the memory' adapted by the mythic tradition among many aspects of the Japanese traditio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mentions the concept of Gilbert Durand's mythic imaginaries and prototype with the method on how the myth is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spaces in the cultural context. Secondly, It clarifies basic meaning arrangement of the Japanese traditional spaces related to the myth. It shows sourceful 'prototipical system' that lies in the relation between thoughts and representations, regarding the shinto's spaces in terms of mythical imaginaries and Japanness. Thirdly, it ascertains mythical structure represented in the traditional space designs on terms with 'prototype' from symbolic system of the myth. It selects the cases among Japanese contemporary architects's works designed after 1960's, and analyses the meanings. In conclusion, it clarifies that this way can be a suggestion as the space design method combining the human's imaginary property with the time-stratigraphic region, and offering creative ideas for the strategy of the space design brand image that embraces a wide range of culture, ecology, and sensibility. 신화와 건축은 상상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으로서 각 민족의 독특한 세계관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신화적 상상계를 중심으로 일본의 전통공간디자인을 고찰함으로써, 신화에 의해 재현된 공간의 상징적 의미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신화적 상상계로서의 신토(神道)와 전통건축공간, 그리고 이와 관련된 전통공간디자인의 상징적 재현체계를 논하는데 있어, 첫째, 신화적 상상계와 원형, 이미지, 그리고 구조의 개념을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로부터 알아본다. 둘째, 신화와 관련된 일본 전통공간의 근원적 의미배치에 대해 살펴본다. 신토의 공간-신사, 노, 정원, 다실, 목욕탕-으로부터 상상계의 측면에서 원형과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셋째, 원형과의 관계에서 전통공간디자인에 나타나는 신화적 구조를 살펴본다. 사례는 1960년이후의 일본 현대건축가의 작품 중에서 신화적 관련성을 중심으로 선정, 그 의미를 고찰한다. 이러한 방식은 인류의 상상적 유산을 지역의 지층에 쌓인 시간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창조로 이끌어내는, 문화‧생태‧감성을 아우르는 공간 브랜드이미지 구축전략에 창의적 아이디어를 확대하는 공간디자인방법론의 하나로 제안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오인과 국가적 상상계

        정진만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9 현대정신분석 Vol.21 No.2

        This essay explores the striking motif of ‘misrecognition’ in F. Scott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 mainly focusing attention on two characters: Nick Carraway and Jay Gatsby. Quite favorably, Nick as a narrator elaborates and colors Gatsby as great, admiring the hero’s seemingly unsurpassable pursuit of American dream, love, and ‘Manifest Destiny’. Gatsby also idealistically and narcissistically conceives himself as the son of God and appeals to the big Other like Manifest Destiny as a guarantor of his successful achievement of desire. In order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isrecognition motif, this essay refers to Jacques Lacan’s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imaginary’, for it would help us adequately to consider both the mechanism of miscrecognition ( méconnaissance on a specular level) and its influence over the false, alienating construction of the American self. Additionally, this essay employs another term ‘the national imaginary’: a further psycho-political application of Lacan’s notion of the imaginary into a national level. This essay detects the disparate textual voices that disrupt, in a self-deconstructive manner, the personal and national misconception by suggesting its unsustainable impossibility while promoting it simultaneously. The textual inner inconsistency, a manifestation of the Lacanian real, reveals Fitzgerald’s complex attitude toward his contemporary American ideal and desire such as American Dream, American Adam, and expansionism. This essay would lead us to see that, while admiring such ideal and desire, Fitzgerald still interrogates how much they are viable, as he is within and without them. 이 글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에 두드러지는 ‘오인’의 모티프를 두 인물(닉 캐러웨이와 제이 개츠비)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한다. 닉은 상당히 우호적이고 친밀한 태도로 미국적 꿈, 사랑, ‘명백한 운명’을 탁월하게 추구하는 것 같은 개츠비를 위대한 인물로 공들여 채색한다. 개츠비 역시 자신을 신의아들로 여기는 이상주의적이고 자아도취적인 생각에 빠져 있으며, 자신의 욕망의 성공적 성취에 대한 보증자로서 명백한 운명같은 대타자에 호소한다. 오인의 모티프를 밝히기 위해, 이 글은자크 라캉의 ‘상상계’ 이론을 참조한다. 왜냐하면 이 이론은 (거울상의) 오인의 메커니즘, 그리고 그것이 미국적 자아에 대한허위의, 소외된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 글은 라캉적 상상계를 심리-정치적으로 국가적 차원에 적용시킨 ‘국가적 상상계’ 용어를 활용한다. 이 글은 개인적, 국가적 오인을 부추기면서도 그것이 유지될수 없는 불가능성을 암시하여 오인을 자기해체적으로 와해시키는 텍스트의 이질적 목소리들을 추적한다. 라캉적 실재계의 표명인 텍스트의 이런 내재적 불일치는 미국적 꿈, 미국적 아담, 팽창주의 같은 동시대의 이상과 욕망에 대한 피츠제럴드의 복합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이 글은 우리로 하여금 피츠제럴드가이런 이상과 욕망의 안에도 있고 밖에도 있기에 이런 것을 찬미하면서도 그것의 실행 가능성을 여전히 심문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와 일제강점기 <향령무(響鈴舞)>의 상상계 비교 연구

        최미연(Choi Mi-Yeon)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1 No.-

        이 글은 조선후기 <향령무>와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궁중춤 무성영화인 「조선무악(朝鮮舞樂)」(1931)에 남겨진 <향령무(響鈴舞)>의 상상계를 비교하여 살펴본 것이다. <향령무>는 조선후기 순조대 효명세자에 의해 베풀어진 창덕궁 연경당 진작례(1828)에서 초연된 것으로 『의궤(儀軌)』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에 그 기록이 상세히 남겨져 있다. 이 글의 연구방법인 문화인류학적인 상상계 이론은 문화가 지층처럼 층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장 심층부에는 민족의 신화가 존재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상상계 이론으로 보면<향령무>의 가장 깊은 층위에는 한국의 원시종교인 샤머니즘에서의 방울의 심상이 새겨져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한국 굿의 의례와 신화에서 방울은 천신(天神)을 부르고 기쁘게 하며, 방울 소리로 인간 세상을 정화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시대적으로는 조선 후기의 <향령무>는 창작 당시 순원왕후의 생신을 축하하며 순조의 병환이 쾌차하기를 바라는 효명세자의 기원이 담긴 효(孝)의 의미가 담겨져 있으며, 헌종시대의 <향령무> 또한 순원왕후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져 있었다. 일제강점기의<향령무>는<처용무>와 두 작품을 같은 장소에서 연행했다는 점에서 조선후기에 유행했던 방울을 주인공으로 한 고전소설인 『금령전(金鈴傳)』과 연결시켜 볼 때, 서사적으로 각각 전통적인 여성적·남성적인 이미지로 대비를 이루면서 우리 민족이 일본의 침략을 비롯한 대내외적 액(厄)을 물리치고 평화와 안녕을 되찾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yangryongmu” in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by analyzing the layers of images contained in the danc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is a film record of “Hyangryongmu”, which was created in 1828, during the period of an interim overseer of dynastic governance of a crown prince Hyo’myeong during the reign of Sunjo in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ll was believed to drive away evil spirits and diseases from the shamanism perspective and arouse the good energy of heaven. Hyangnyeongmu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s the hope that parents love each other and live a healthy life. Hyangryongmu in Japenese Colonial period was about a heroine who saved the country with extraordinary power and dearly loved her parents, although she had a weird appearance, a bell. Considering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 “Hyangryongmu” was also believed to drive away evil spirits and diseases just like “Cheoyongmu”. While “Cheoyongmu” embodied the appearance of a heavenly deity with masculine dance moves, “Hyangryongmu” can be seen as having a feminine divine power. Moreover, it was highly likely that it was paired with “Cheoyongmu” because Geumbangul, the heroine, was a wife of a son of the Dragon King in “Geumbanguljeon”.

      • KCI등재

        영화 <파이트 클럽> 주인공의 정신질환과 극복과정

        전범수(Bum Sue Chun)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정신분석학자 라캉은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의 정립을 통해 우리가 살면서 갖는 욕망의 생성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상계는 어린시절 어머니에 대한 애착으로 인해 어머니의 욕망이 곧 본인의 욕망이 되는 단계이고, 상징계는 아버지에 의해 어머니와의 애착관계가 분리되어 사회의 규범를 익히며 새로운 쾌락과 욕구를 배워가는 단계이다. 그리고 실재계는 사회의 규범과 억압을 극복하고 “죽음충동”을 통해 끊임없이 자신만의 참된 욕망을 탐구해가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여정에서 상상계로부터의 분리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이중잣대의 특징을 보이는 도착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분리가 아예 일어나지 않게 되면 환각증세를 보이는 정신병이 생기기도 한다. 영화 <파이트 클럽> 초반의 주인공 잭 (에드워드 노튼 역)은 시한부환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상상계의 충동적인 쾌락을 추구하지만 거짓된 신분을 통해 진정한 인간관계를 피하려는 이중적인 도착증 환자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그의 거짓정체가 탄로 날 위기에 처하자 잭은 타일러더든(브래드 피트 역)이라는 가상 인물을 설정하는 환각증세를 보이며 정신병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영화 후반에서는 잭이 본인의 자유를 속박하는 타일러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액션영화의 영웅과 같은 모습으로 정신병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영화는 주인공 잭이 상상계와 상징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재계로 진입하는 과정을 허구적 흥미요소를 더하면서 극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어려울수 있는 주제를 대중에게 쉽게 풀어서 보여준다. Jack, the protagonist of <Fight Club>, suffers from insomnia, and is tired of his daily routine in a capitalist society. After encountering his own alter ego, Tyler Durden, he founds the Fight Club in order to start a violent revolution in attempt to mock and resist the materialistic world. Jacques Lacan establishes three stages in human psyche: the Imaginary, Symbolic and the Real. Each stage explains the mechanics of human desires. Most of us experience the Imaginary, then transition to the Symbolic stage. However, incomplete separation of oneself from the Imaginary in transition to the Symbolic causes paraphilia, and absence of any separation from the Imaginary inflicts one with psychosis. <Fight Club> shows Jack’s psychological journey that travels from paraphilia, psychosis and all the way to entering the Real. Particularly, by portraying Tyler Durden and Marla Singer as two opposite forces around Jack, the film alludes to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traits of psychosis and the Real. Furthermore, as a commercial movie from Hollywood, the film successfully packages its plot and characters into the three act structure and heroism, prevalent in Hollywood action movies, making its psychological theme more accessible to general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