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간삼천리』 피폭조선인 기사를 통해 본 일본 지식인의 탈식민 담론 실천의 단층

        오은정(Oh Eunj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Founded in 1975 in Japan, “Quarterly Magazine Samcheon-ri” is a literary magazine published in Japanese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re was a steady, if not a lot, publication of articles related to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in the magazine.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re are not enough records of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such articles have important historical value in themselves for ‘thick reading’ or ‘ethnographic reading’. This paper takes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the articles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in the “Quarterly Magazine Samcheon-ri”, while also noting that these articl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reviewing fault line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post-war and post-colonial discourse of Japanese intellectuals. Those who contributed articles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to the magazine were mostly Japanese who had been working in the media and education in Hiroshima to support the atomic bomb victims. Accordingly, the articles in the magazine mainly consisted of reports on the status of “the bombed Koreans” and critical reviews of Japan’s post-war peace discourse. This illustrates that the existence of the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was an important symbol for the Japanese intellctuals to use when questioning historical responsibility of the Imperial Japan and its colonial rule. On the one hand the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were a reminder of the history of war and defeat, and a charge against continuing Imperial Japan’s colonial history on the other. Meanwhile, the time when the magazine was published from 1975 to 1987 overlapped the period of Japanese high growth and internationalization efforts, Korean dictatorship, and the Cold War order in East Asia. Thus, the articles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shed light on historical strata where the existence of the exposed Koreans has piled up and submerged in the societies of Korea and Japan. In the layers of the strata are dissolved social and discursive practices as historical obstacles that came from post-colonialism, Cold War, the shadow of devided Korea, cooperation/conflict and solidarity/cracks in Korea, Japan and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refore, these articles on Korean survivors clearly reveal the limitations of post-war peace discourse in Japanese society during this period. In Japan s domestic political context, political differences between divided anti-nuclear peace groups interlocked with structural constraints faced by Korean atomic bomb victims, creating quite a few blind spots in looking at each other s situations. Political differences within Japan s anti-nuclear peace discourse have also emerged as a competition for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symbol of exposed Koreans. As a result, the lack of a delicate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in East Asia and the political oppression structure of the divided Korea in the 1970s and 1980s delayed responding to calls for a discourse on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and made the existence of the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drifted as a symbol of “peace” in rhetoric of de-politicized “humanitarianism”. 1975년 창간된 『계간삼천리(季刊三千里)』는 재일조선인이 편집위원이 되어 일본어로 발행한 문예 잡지다. 이 잡지에는 비록 많지는 않지만 피폭 조선인과 관련된 기사가 꾸준히 게재되었다. 피폭 조선인에 대한 기록이 충분하지 않은 현실에서 이러한 기사는 그 자체로 ‘두텁게 읽힐’ 사료적 가치를 지니며, 이러한‘두텁게 읽기(thick reading)’는 이 글이 기고된 시기에 피폭 조선인이 지나온 역사적 맥락 속에서의 해석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은 『계간삼천리』에 기고된 피폭 조선인 관련 기사가 지닌 이러한 중요성을 고려하면서, 한편으로는 이 기사가 일본 지식인의 전후 탈식민 담론의 단층과 그 변형 과정을 검토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에 주목한다. 『계간삼천리』에 피폭 조선인과 관련된 글을 기고한 이들은 주로 히로시마 지역 언론이나 교육계에 종사하면서 피폭 조선인 지원 활동을 해오던 일본인이었다. 또한 『계간삼천리』의 피폭 조선인 기사는 피폭 조선인의 실태를 보고하거나 일본의 전후 평화 담론에 대한 비판을 가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계간삼천리』에 기고된 피폭 조선인 기사는 일본 지식인에게 피폭 조선인의 존재가 제국 일본과 식민지배의 역사적 책임을 추궁하는 탈식민 담론 실천의 표상이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이들에게 피폭 조선인은 패전과 전쟁의 역사를 상기시키는 존재이자 제국 일본의 식민 역사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고발하는 존재였던 것이다. 한편, 이 잡지가 발간된 1975년에서 1987년까지는 일본의 고도성장과 국제화 노력, 한국의 독재 정권, 그리고 동아시아의 냉전 질서 등이 겹쳐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계간 삼천리』에 기고된 피폭 조선인 관련 기사는 이 시기 한국과 일본이라는 두 사회에 피폭 조선인의 존재가 축적되고 침잠되어 있는 역사적 지층의 단면들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이 지층의 단면에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재일조선인 사회 내에 드리운 포스트 식민과 냉 전, 분단의 그림자, 그 속에서의 협력과 갈등, 연대와 균열이 그려낸 역사적 옹이들이 그 대로 아로새겨 있다. 피폭 조선인을 주제로 한 이들 기고문은 이 시기 일본 사회의 전후 평화 담론의 한계 또한 드러낸다. 일본의 국내정치적인 맥락에서 분열된 반핵평화단체 사이의 정치적 견 해차가 한국 원폭피해자가 처한 구조적 제약과 맞물리면서, 이들 간의 연대 과정에서 상 호 간의 처지를 살피는 데서 적지 않은 사각지대(blind spot)가 생겨났다. 일본의 반핵평 화 담론 내부의 균열이 피폭 조선인이라는 상징이 갖는 정치적 효과에 대한 경쟁으로 나타난 것도 또 다른 예다. 요컨대 전후 일본의 평화 담론은 역사적 책임의 문제 보다는 ‘인도주의’라는 탈정치화된 수사들 속에서 재생산되는 가운데 피폭 조선인의 존재를 탈역 사화된 ‘평화’의 표상으로 부유(浮游)하게 했다

      • KCI등재

        끝없는 열정의 기업, 삼천리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고영희(Young Hee Ko),조수민(Su Min Jo) 한국경영학회 2011 Korea Business Review Vol.15 No.1

        삼천리는 국내 최대 도시가스 공급회사로서 창업 이래 52년 간 지속적으로 매출 신장과 흑자를 보여 온 대표적인 건실 기업이다. 1960년대 시작된 정부주도의 경제개발정책 하에 삼천리는 인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창업자를 중심으로 우수한 원료확보, 기술개발, 생산성 혁신 등을 통해 창업 20년 만에 연탄업계 1위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이후 80년대부터 시작된 정부의 환경친화적 에너지 정책과 소비자 선호 등의 외부환경 변화는 삼천리로 하여금 도시가스사업자로 전환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후발주자로서 도시가스사업에 진출한 삼천리는 성공적인 M&A와 공급권역 확장, 적극적인 배관망 설치와 기술 투자, 산업용 수요 개척 등의 전략을 통해 도시가스 산업의 선두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과정에서 사람을 중시하는 인화의 기업문화와 진실된 경영철학에 기반한 조직 내부의 변화 역시 경쟁력이 되어 왔다. 하지만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경영 환경 속에 삼천리는 내외부적으로 생존가능성과 지속성장을 위한 또 다른 도전과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삼천리는 에너지에서 환경까지, 미래를 창조하는 삼천리비전을 수립하고 에너지산업 중심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다각화를 강력하게 추진해 가고 있다. As the largest city gas supply company in Korea, Samchully has shown consistently a profit on revenue growth and a profitable business since its establishment 52 years. Beginning in the 1960s, under government-l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nd public, Samchully had grown as a top company in the coal industry around the founder`s entrepreneurship through a procurement of raw materials,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ivity innovation in 20 years after foundation. Since the ``80s the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had been begun with the government`s eco-friendly energy policy, including changes in consumer preferences, and Samchully converted briquettes business into gas. Even though Samchully entered as a newcomer to the city gas industry, Samchully has become a leading company in that industry through strategies such as a successful M&A, expansion of supply domain, aggressive investment in pipelines installation and technology, and pioneered industrial demand. In addition, Samchully`s corporate culture and business philosophy also has been very competitive. However, because of the increased uncertainty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amchully is being requested another challenge and change for the sustainable growth. Samchully has pushed strongly to diversify the business to have a dynamic force for new growth standing on baisis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energy industry with .the vision from the energy to the environment, Samchully which creates the future.

      • KCI등재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연구

        이영호(Lee, YoungHo)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1

        『계간 마당(季刊まだん)』은 1973년 10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1975년 6월에 6호를 마지막으로 종간한 종합잡지이다. 『계간 마당』은 잡지의 부제를 『재일조선·한국인의 광장(在日朝鮮·韓国人のひろば)』으로 정했으며 재일조선인들의 문화, 생활, 결혼, 교육문제를 지면에서 다루었다. 또한 남북 어디에도 기울지 않은 정치적 중립을 강조했다. 때문에 지면에서 의도적으로 남북 이데올로기 문제를 배제했으며 재일조선인 사회 내부의 문제를 다루는데 집중했다. 동시에 내부 결속의 단합 도모를 위해 가해자 일본, 피해자 재일조선인의 구도를 보였다. 이러한 『계간 마당』의 성향은 동시대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삼천리(季刊三千里)』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으며 때문에 두 잡지간의 지상논쟁(紙上論爭)이라는 상징적 사건이 발생한다. 이처럼 『계간 마당』은 재일조선인 사회 내부에 관한 다양한 담론을 만들었으며 『계간 삼천리』와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계간 마당』의 특성과 지면에서의 내용을 통해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이 보였던 폭넓은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었다. Quarterly Madang was a general magazine that was first published in October 1973 and ceased publication with the final issue, no. 6, in July 1975. It covered the culture, life, marriage, and education issues of the Korean residents of Japan. To promote internal unity, it portrayed the Koreans as victims and the Japanese as their assailants. Quarterly Madang was very different from Quarterly Sanzenri, another magazine for Korean residents of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so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a symbolic battle between the two magazines. Quarterly Madang supplied diverse discourses on the Korean community and had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it from Quarterly Sanzenri. Quarterly Madang established a broad spectrum of topics that interested the Korean residents of Japan in 1970s.

      • KCI등재

        1960년대 문화방송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의 문화적 위상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전설연재물과의 비교를 통해서-

        최원오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0 No.-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1960년대 문화방송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가 차지하는 문화적 위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통시적 관점에서 검증되어야 하기에, 1920~30년대 동아일보 가 기획하였던 전설연재물을 비교 대상으로 정하였다. 동아일보 의 전설연재물, 문화방송의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는 시대 및 수용 상황, 그리고 전달 매체는 달랐지만, 둘의 문화적 위상과 영향력은 대단히 유사하다. 즉 신문이라는 인쇄매체와 라디오라는 전파매체, 읽기라는 시각적 수용과 듣기라는 청각적 수용의 상황,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라는 시대적 상황은 달랐지만, 전설로써 우리 민족의 전통정신과 정서를 발굴하고 부흥시키자는 지점에서 상통한다. 동아일보 가 전설연재물을 기획하여 민족운동을 하였다면, 문화방송은 ‘전설따라 삼천리’ 방송을 통해 대중문화 운동을 했던 것이다. 또한 ‘전설따라 삼천리’는 동아일보 의 전설연재물이 강조하였던 증거물, 그리고 ‘귀신과 신불(神佛)의 세계, 자연의 세계, 인간의 세계 등 전설의 범주를 더욱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둘은 시대를 뛰어넘는 상호 연관성을 밀접하게 보여준다. 한편, 문화방송의 ‘전설따라 삼천리’는 음악 및 효과음의 적절한 사용, 아나운서-해설자-성우들의 층위 구분과 그에 따른 극적 전개, 핵심 내용 전달 위주의 편극(編劇) 등 3가지 점에서 고유한 특징들을 만들어 냈고, 이것들은 이후 ‘전설을 소재로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 전설의 고향’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음악 및 효과음의 적절한 사용은 ‘소리 서사’로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해설자-성우들의 층위 구분과 그에 따른 극적 전개는 ‘극 해설’이라는 클리셰를 만들고 다중적 목소리의 힘을 느끼게 해 주었다. 또한 핵심 내용 전달 위주의 편극은 문화치유적 글쓰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문화적 의의를 가진다. The study examines the cultural status of the 1960s cultural broadcasting radio drama Three thousand miles following the legend. To understand this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legendary serials planned by Dongailbo in the 1920s and 1930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comparison. Dongailbo's legendary serial and Munhwa Broadcasting's radio drama Three thousand miles following the legend were set in different eras, acceptance, and delivery media, but their cultural status and influence are very similar. In other words, although the media used-newspaper and the radio-are very different, as are the visual reception of reading and auditory reception of listening, and the time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post-liberation, they share their aim of discovering and reviving the traditional spirit and emotions of our people through legends. While Dongailbo launched a national movement by planning legendary serials, Munhwa Broadcasting began a popular culture movement through the broadcast of Three thousand miles following the legend. In addition, Three thousand miles following the legend further specified the evidence emphasized in Dongailbo's legend series and the categories of legends such as "the world of gods(Includes ghosts) and Buddha,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humans." In this respect, the two show a close interconnection that transcends time. Meanwhile, the radio drama Three thousand miles following the legend has three unique characteristics: appropriate use of music and sound effects, division of the announcer-commentator-voice actors into different levels and the resulting dramatic development, and polarization focused on conveying key content. These three characteristics later had a great influence on "movies based on legends" and television dramas such as Hometown of Legends. The appropriate use of music and sound effects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into "sound narrative", and the division of layers between narrator and voice actors and the resulting dramatic development created the cliché of "play commentary" and made one feel the power of multiple voices. In addition, the polarization focused on conveying core content has cultur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cultural healing writing.

      • KCI등재

        『삼천리』 편집후기의 텍스트성과 ‘대안적 공론장’으로서의 대중잡지

        허민 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50 No.-

        일반적으로 편집후기는 잡지 등의 말미에 편집자가 써 넣은 기사, 편집방침, 편집상의 뒷이야기, 앞으로의 포부, 편집진의 프로필이나 짤막한 감상 등을 말한다. 하지만 『삼천리』의 편집후기는 식민지기 검열에 대한 당대의 감각이나, 역사적 사실, 출판시장에 대한 해석, 저널리즘의 식민지적 책무 등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했던 ‘텍스트’였다. 그런 만큼, 『삼천리』의 편집후기는 편집인의 독백, 편지글, 감사와 사죄, 일기, 선언문, 제안문, 선동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서술되어 있다. 『삼천리』의 편집후기는 잡지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상업적 기반과 피식민자들의 매체로서 기능해야 할 사회적 책무 사이의 긴장을 해소할 수 있는 ‘텍스트적 장치’로서 작성된 것이다. 편집후기는 다른 기사들처럼 매체 내부에 존재하면서도 그러한 기사들의 ‘진술 가능성의 조건’을 명시할 수 있는 ‘텍스트화 이전의 텍스트’이다. 따라서 삼천리가 편집후기에 유독 집중했다는 사실을 통해, 이들이 텍스트로 재현된 세계와 식민지의 사회적 현실 간의 ‘매개적 기능’을 전략적으로 중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삼천리』의 관료적 자기 인식과 연동되어 ‘대안적 공론장(alternative publicsphere)’이라는 대중잡지의 정치적 수행성을 가능케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잡지 삼천리 의 ‘만국부인’ 기획

        허예슬 반교어문학회 2022 泮橋語文硏究 Vol.- No.60

        Wives over the World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ves) is a women's magazine published on October 1, 1932 under the planning of Samcheonri Company. In this paper, the Wives founding process itself was reviewed for the Wives founding issue, the Wives combined in the November 1931 issue of Samcheonri, and the articles for about a year between the combined vers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women-related articles," which were difficult to find in articles before Choi Jeong-hee joined the company, were also starting in the form of "world orientation," which was characteristic of Samcheonri.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the Joseon Women's Movement and articles on the world's women's movement began to appear between the merged Wives and the founding issue of Wives, but gradually decreased. Unlike the combined Wives, Wives tried to position a Korean woman between "women from all over the world" similar to Samcheonri's gender view. Unlike the combined Wives, which shook Samcheonri's gender perception by reporting the history or current status of the world women's movement and emphasizing the need for the Joseon women's liberation movement, voices about the reality of Korean women were omitted or deleted from Wives. In addition, it made women in Joseon face the "women of all nations" who played the role of "head of households" through labor. This can be confirmed once again in articles idealizing foreign female students who look at the 'great' rather than as the subject of the women's movement. In summary, in the early days, like women's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they were aware of the status and reality of Joseon women as the subject of the women's movement and pursued their liberation. However, in Wives,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the main body of the national movement, which is not separated by the "women's movement," is required by Korean women. Furthermore, this paper argued that through this, the Wives founding process itself needs to be meaningful as a kind of "each axis" that shows the strange aspects of competition in the "intersection" where "world orientation" and "women's movement" meet. 만국부인 은 삼천리사의 기획으로 1932년 10월 01일에 발행된 여성 교양 잡지이다. 본고에서는 만국부인 창간호를 비롯하여 삼천리 1931년 11월호에 합집된 「만국부인」 및 「만국부인」 합집호 이후 만국부인 창간 이전까지의 약 1년 간의 기사들을 대상으로 만국부인 창간 과정 자체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최정희 입사 이전의 기사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던 ‘여성 관련 기사’ 역시 삼천리 의 특징이었던 ‘세계지향성’이 기입된 형태로 출발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합집 「만국부인」과 만국부인 창간 사이에 조선 여성운동의 현황과 세계 여성운동에 대한 기사들이 실리기 시작하다가 점차 감소하였다는 점 역시 확인했으며, 합집 「만국부인」과 달리 만국부인 은 삼천리 의 젠더관과 연동하는 방식으로 ‘만국 부인들’ 사이의 조선 여성을 위치짓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회’했음을 밝혔다. 세계 여성운동의 역사 혹은 현황을 전하고 조선 여성해방운동의 필요성을 ‘돌출적으로나마’ 역설하여 삼천리 의 젠더 인식에 파열음을 냈던 합집 「만국부인」 및 그 이후 얼마간 실렸던 글들과는 달리, 만국부인 에서 조선 여성의 현실에 대한 목소리는 생략 혹은 삭제되며, 조선의 여성들로 하여금 노동을 통해 ‘가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만국부인’을 직시하게 만들었다. 이는 여성운동의 주체로서가 아닌, ‘대의’를 바라보는 외국 여학생들을 이상화하는 글들에서 또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건대, 만국의 여성단체들처럼 여성운동의 주체로서 조선 여성의 지위와 현실을 자각하고 그 해방을 추구했던 초기와는 달리 만국부인 에서는 ‘여성운동’으로 분리되지 않은 민족운동의 주체의 역할이 조선 여성에게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이를 통해 ‘세계지향성’과 ‘여성운동’이 만나는 ‘교차로’에서 벌어졌던 묘한 경합의 양상들을 보여주는 일종의 ‘각축장’의 양상으로서 만국부인 창간 과정 자체를 의미화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전설에서 공포로, 한국적 공포물 드라마의 탄생

        문선영(Moon, Sun-young)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5

        〈전설 따라 삼천리〉, 〈전설의 고향〉은 라디오와 텔레비전에서 각각 장기간 방송된 인기 프로그램 중 하나이며 우리에게는 공포물로 강하게 인식되어 있는 드라마이다. 공포의 원형으로 기억되며 대중적으로 큰 호응을 불러일으켰던 이들 드라마는 방송극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두 드라마 모두 초기 방송에서는 공포물로 제작·기획된 것이 아니었으며, ‘전설을 통해 민족고유의 정서를 문화적으로 환기’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들 드라마가 획득한 공포물이라는 이미지는 대중의 반응이나 시대, 문화적 영향으로 형성되고 정착되었던 것이다. 두 드라마 모두 처음부터 ‘전설’과 ‘공포’가 결합된 것은 아니었으나, 대중들의 기대와 호응에 따라 각 시대에 맞는 공포물로 탄생되었다. 옛이야기에 대한 믿음과 향수를 가졌던 시기 ‘전설’은 대중들에게 공유할 수 있고 함께 듣고 보는 공포물과 결합하였다. 라디오 〈전설 따라 삼천리〉의 익숙하고도 낯선 이야기는 공포감을 조성하는 음향적 효과 기술에 힘입어 청취자를 공포물 드라마의 세계로 빠져들게 했다. 라디오에서 텔레비전으로 전환된 1970년대 후반, 라디오 〈전설 따라 삼천리〉의 전통을 이어 받아 영상화한 〈전설의 고향〉의 탄생은 한국 방송극에서의 공포물 장르를 정착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력이 되었다. 〈전설의 고향〉은 한국 방송 공포물 드라마의 관습과 성격을 형성하며 2000년대까지 그 원형적 이미지를 꾸준히 행사하고 있다. 라디오 드라마 〈전설 따라 삼천리〉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전설의 고향〉까지, 전설과 공포의 결합은 공포장르에 대한 감각의 변화와 다양한 매체의 영향 속에서 반복되고 또 다른 공포물로 변형되고 있다. 〈Samcheon-ri along legends〉, 〈Home of the Legends〉 is a broadcast drama as one act play series based on Korean legends and folktales. It was first aired in 1977 from KBS and there has been borrowed from this drama in a variety of genres such as books and movies as the name of this series securing its popularity and awareness of the public. In this context, this is a representative work for Korean horror genre. but 〈Samcheon-ri along legends〉, 〈Home of the Legends〉 from the first horror genre was not. Two drama is ethnicity, and Tradition started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general public, however, did not like. like a horror story the public. Drama settled into the horror genre. The radio legend 〈Samcheon-ri along legends〉 of a horror story aired. Interested in the story and listeners are familiar with. Radio drama 〈Samcheon-ri along legends〉 is filmed being converted to television drama 〈Home of the Legends〉. TV serial drama 〈Home of the Legends〉 is a representative narrative based on Korean folktales, trying to change its narrative in the range of undestroyed folktales basic move with combining the original motifs. The TV drama 〈Home of the Legends〉 is to form the popular customs of the horror genre. And remember to make the properties of Korean horror genre to the public. 〈Home of the Legends〉 is a public that was remake twice became popular. Since 2000, new change. And constant practice the tradition.

      • KCI등재

        「어머니를 차저 三千里」의 원작과 번안 문제 연구

        송하춘 ( Ha Choon Song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8 No.-

        이 글은 「어머니를 차저 三千里」의 원작과 번안 문제에 관한 연구이다. 이 소설의 원작「꾸오레(CUORE)」는 1886년 이탈리아의 아미치스(EDMONDODE AMICIS)가 쓴 세계적으로 유명한 어린이 소설이다. 「꾸오레(CUORE)」에서 「어머니를 차저 삼천리」가 나오기까지, 원작과 번역과 번안의 문제는 아주복잡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이 소설의 모본이 된 「꾸오레」의 번역현황과, 그 가운데 <이 달의 이야기>에 대한 소개와, 다시 그 가운데 「압뺀니니산맥에서 안데스산맥까지」와 그것의 번안인「어머니를 차저 삼천리」의 번역현황을 파악하였다. 「압뺀니니산맥에서 안데스산맥까지」의 번역 혹은 번안은 1902년 일본의 번안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어머니를 찾아 삼천리」라는 제목은 원작과 상관없이 동양적 관념에 따라 일본에서 탄생한 순정소설의성격에 따른 것임을 알았다. 그 동양적 사고라는 것은 원작의 민족애, 조국애를 탈피하여 이 소설이 순전히 감상적인 모자상봉 설화에만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근대소설 형성기에 있어서 번역과 번안은 엄격히 구분되어야 할 문제이지만 지금까지 그것들은 동일한 범주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그것은 번역이면서 완전한 번역에 미치지 못하는 잘못된 번역행위 정도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번안을 번역에 종속된 변형된 결과물로 인식할 경우 번안소설에 투영된 작가의 창작 의식은 폄훼되거나 무의미하게 간과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오히려 번안은 번역의 기능을 일정 부분 충실하게 수행하면서 작가의 창작 의식을 아울러 반영할 수 있는 또 다른 차원의 결과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This is study on comparison between adaptation and translation of <3000 Leagues In Search Of Mother>. The original of <3000 Leagues In Search Of Mother> is loosely based on a small part of the novel <Cuore> by Edmondo De Amicis, i.e. the monthly tale <From the Apennines to the Andes>, widely expanded into a 52-episode epic. <Cuore>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Isabel F. Hapgood in 1887. The English version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by Sgitani daisui(杉谷代水) in 1902. Bao Tianxiao(包天笑) translated Japanese version into Chinese in 1905 selecting the <3000 Leagues In Search Of Mother> of Cuore, which is <兒童修身之感情>. Lee Bosang(이보상) translated Chinese version into Korean in 1908, and he entitled "an Italy boy(伊太利少年).Since then, <Cuore> was translated into Korean partially numerous times. Lee Jungho(이정호) made a complete translation which was <사랑의 학교> in 1929 firstly. Lee wonkyou(이원규) adapted <3000 Leagues In Search Of Mother> of Japanese version to Korean circumstances in 1947. The themes of the original work were atriotism and racial love, but Lee`s work empathized the reunion with hero, Marco`s mother and his filial love. In short, an adaptation was different from a translation in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 novel but they was compartmentalized. An adaptation was not a reflection of the original text but the product of writer`s creation at that times.

      • KCI등재

        『계간 삼천리』로 보는 1970년대 한·일 시민연대운동

        강성우 ( Sungwoo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이 글의 목적은 『계간 삼천리』를 바탕으로 1970년대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한·일 시민운동의 연대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규명하는데 있다. 1970년대 한·일 시민연대는 재일조선인과 일본지식인, 사회 활동가 들을 주축으로 한 일본시민사회의 주도에 의해 전개되었고 이는 한국의 민주화과정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했다. 한·일 시민사회 연대는 시민사회와 국가, 국제적인 조직을 연결하여 민주화와 인권과 같은 가치를 수호하고 발전시키는데 국내적으로나 초국가적인 시민사회연대로 의미가 있고 정부 간에 협력과는 다른 측면에서 양국 간의 관계를 조망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된다. 특별히 한일 상호 이해와 연대의 가교의 역할을 자임했던 『계간 삼천리』는 재일조선인과 일본 지식인들에 의해 창간되어 1970년대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일본과 한국 시민연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계간 삼천리』를 통해 1970년대 한국의 민주화 과정 속에서 한·일 간에 시민연대운동의 양상을 살피는 것은 다양한 시사점들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solidarity movement of grassroots activism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1970s through the lens of the quarterly magazine Samcheolli (Three Thousand Leagues). In the process of solidarity mov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e Japanese civil societies among Korean residents (Zainichi) in Jap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and activists initiated to support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trans-border alliances are meaningful both trans-nationally and domestically. In particular, the quarterly magazine Samcheolli, which was intended to publish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and organizing the solidarity movements two countries. The further research is needed especially to explore the trans-border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process of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