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국 향교의 내삼문․외삼문에 그려진 삼일태극(三一太極)∙음양태극(陰陽太極) 문양의 배치 유형 연구

        우실하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2

        ‘Hyang-gyo(鄕校)’ is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is the National Institutes of Confucian Education. There are two kinds of gates in ‘Hyang-gyo’. One is ‘Outer 3-door Gate(外三門)’ and the other is ‘Inner 3-door Gate(內三門)’. In general, each gate have 3 doors, many gates are decorated with various kinds of Taiji patterns. Today, there are (1) 234 ‘Hyang-gyo’, (2) 228 ‘Outer 3-door Gates(外三門)’, and (3) 230 ‘Inner 3-door Gates(內三門)’ left in Korea. Of the 458 Outer or Inner 3-door gates, 361 gates have many kinds of Taiji pattern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combined types of Taiji patterns on the total of 458 gat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bined types of ‘Yin-Yang Taiji(陰陽太極, )’ and ‘Sam-il Taiji三一太極: , Three-in-one Taiji)’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15 kinds of types. Second, among the 361 gates(excluding 97 gates without Taiji patterns), (1) the most common type is ‘Type 8’ which has ‘3 Yin-Yang Taiji’(196 gates, 42.79%), (2) ‘Type 13’ which has ‘1 Yin-Yang Taiji’ is the second one(77 gates, 16.81%), (3) and ‘Type 1’ which has ‘3 Sam-il Taiji’ is the third one(50 gates, 10.91%). Third, among the 361 gates, (1) 56 gates(15.51%) have ‘3 Sam-il Taiji’, (2) 67 gates(18.56%) have ‘only 1-3 Sam-il Taiji’, and (3) 83 gates(22.99%) have ‘any pattern with Sam-il Taiji’. Fourth, This situation shows that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clearly recognized and used the ‘Sam-il Taiji’ as a distinct symbol from the ‘Yin-Yang Taiji’. Fifth, among the 361 gates (excluding 97 gates without Taiji pattern), (1) 198 gates(54.85%) have ‘3 Yin-Yang Taiji’, (2) 276 gates(76.45%) have ‘only 1-3 Yin-Yang Taiji’, and (3) 247 gates(68.42%) have ‘any pattern with Yin-Yang Taiji’. Sixth, in terms of regions, the proportion of the ‘Yin-Yang Taiji’ is relatively high in Gyeonggi, Chungnam, Jeonbuk, and Kyungbu provinces. And the proportion of the ‘Sam-il Taiji’ is relatively high in Gangwon and Chungbuk provinces. In the end, ‘Sam-il Taiji’ and ‘Yin-Yang Taiji’ are coexisted on the gate of Hyang-gyo in Korea. And they were clearly distinguished as different symb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Sam-il Taiji’ in various field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in the past. 향교는 유교를 교육시키던 국립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각각 3개의 문으로 구성된 외삼문과 내삼문이 있는데, 이들 문에는 다양한 태극 문양이 그려져 있다. 현재 한국에는, (1) 234개 향교에, (2) 외삼문 228개와 내삼문이 230개 총 458개의 문이 남아 있다. 이들 458개의 문에 그려진 태극 문양의 배치를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외삼문 228개, 내삼문 230개 총 458개의 문의 태극 문양의 배치 유형은 제1유형부터 제15유형까지 15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458개 중 태극문양이 없는 97개를 제외한 361개의 문들 가운데, (1) 음양태극이 3문에 다 그려진 제8유형(2․2․2)이 196개 42.79%로 가장 많고, (2) 음양태극이 1곳만 그려진 제13유형(0․2․0 혹은 ×․2․×)이 77개로 16.81% 두 번째로 많으며, (3) 삼일태극이 3문에 모두 그려진 제1유형(3․3․3)이 50개 10.91%로 세 번째로 많이 보인다. 셋째, 태극 문양이 없는 97개를 제외한 361개의 문들 가운데, (1) 3문에 모두 삼일태극만 그려진 것이 56개로 15.51%, (2) 1-3개의 문에 삼일태극만 그려진 것은 67개 18.56%, (3) 삼일태극이 1개라도 그려진 것은 83개로 22.99%이다. 넷째, 이러한 정황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삼일태극을 음양태극과 구별되는 상징으로 분명히 인식하고 사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섯째, 361개의 문들 가운데는, (1) 3문에 모두 음양태극만 그려진 것이 198개로 54.85%, (2) 1-3개의 문에 음양태극만 그려진 것은 모두 276개 76.45%, (3) 음양태극이 1개라도 그려진 것은 모두 247개로 68.42%이다. 여섯째, 지역별로 보면, (1) 경기, 충남, 전북, 경부 지역에 상대적으로 음양태극 문양의 비율이 높고, (2) 강원, 충북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삼일태극 문양의 비율이 높다. 성리학을 가르쳤던 국가 교육기관인 향교에서 삼일태극과 음양태극 문양이 공존하였고, 이 둘을 분명히 다른 상징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동안 연구가 미진했던 삼일태극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현행 정부기(政府旗)의 태극(太極) 디자인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실하(Woo, Silha)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정부기’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국기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근본적인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현행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의 바탕은 ‘음양태극도’인지 ‘삼일태극도’인지가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1)‘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 3가지 색을 사용하고 있어서 언뜻 보기에는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 같지만 면 분할이 3등분 되어 있지 않고, (2) ‘진한 파랑’과 ‘선명한 빨강’을 하나로 묶어서 ‘흰색’과 비교해보아도 음양태극도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면 분할이 비대칭적이다. 둘째, 역사적으로 발견되는 모든 태극 관련 도상들은 모두 음양 흑은 천지인 삼재(三才) 사이에 균일한 면 분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음-양, 혹은 천-지-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우위에 있거나 한 것이 아니라 이 둘 혹은 셋의 기(氣) 사이의 어울림과 조화를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 정부기가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하였든, 삼일태극도클 바탕으로 하였든 균등한 면 분할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1) 태극도처럼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태극도라고 볼 수 없으며, (2)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셋째, 현행의 정부기 디자인이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면적의 분할로 볼 때 ‘진한 파랑’, ‘횐색’만으로 표현되었어야 하며, (2) ‘진한 파랑’과 ‘흰색’이 음양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분할된 면적은 당연히 같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3) 중간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라는 철학적 의미와 연결된 아무런 의미도 없다. 넷째, 현행 정부기 디자인이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의 면 분할이 3등분으로 균등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2) ‘진한 파랑’의 꽁무니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의 한 중앙에서 보면 독자적으로 배당된 면적도 없이 ‘진한 파랑’ 부분에 결들여져 있어서, (3) 삼일태극도로 볼 수도 없다. 다섯째, 결론적으로 현행 정부기는 그간 태극, 음양태극, 삼일태극 등에 대한 여러 학문 분야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전혀 참고조차 하지 않고 디자인된 그야말로 “어느 한순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정부 차원에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국가나 정부를 대표하는 상징들이 더이상 이런 식으로 디자인되어서는 안 된다. ‘The government flag’ is another flag us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legislatu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judiciary.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currently in use has many fundamental problems.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basis of the Taegeuk design of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 or the ‘Samil Taegeukdo(三一太極圖)’. This is because (1) the three colors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are used, so it seems to be based on the Samil Taegukdo at first glance, but the face is not equ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2) the face is asymmetrical beyond the Yinyang Taegeukdo. Second, all historically discovered Taegeuk-related drawings are divided evenly between Yinyang or chcon-ji-in(天地人) Samjae(三才). This is because either the yin-yang, or the Samjae, is not superior, but symbolizes the harmony between these two or three. Whether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based on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or the ‘Samil Tacgeukdo(三一太極圖)’, there is no equal division of the plane. Thus,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not (1) fundamentally Taegeuk, but (2) it is only artificially made. Third,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1) it should have been expressed as ‘dark blue’ or ‘white’ in terms of area division, (2) if ‘dark blue’ and ‘white’ symbolize yinyang, then (3) ‘clear red’ in the middle means nothing. Fourth,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Samil Taegukdo(三一太極圖)’, (1) the face division of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should be evenly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or (2) ‘dark red’ is independently allocated from the center of Taegeukdo, (3) so It may not be considered to be the extreme of ‘Samil Taegukdo’. Fifth, in conclusion,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only an artificially designed design that is designed without reference to the achievements of scholars in various fields of study on Taegeuk, Yinyang Taegeuk, and Samil Taegeuk. The current government flag should be reviewed at the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symbols representing the state or government should no longer be designed this way.

      • KCI등재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과 삼파문三巴紋의 유형 분류 - 다양한 삼태극 문양의 활용을 위하여

        우실하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이글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삼태극이라고 불리는 문양의 기원인 삼파문의 다양한 형태를 최초로 유형화하여 9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삼파문의 9가지 유형은, (1) 제1유형: 원 안에 ‘C’자 형 단선單線 3개가 있는 것, (2) 제2유형: 파문巴紋 3개의 삼파문, (3) 제3유형: 파문巴紋 3개의 머리 부분을 동심원으로 한 것, (4) 제4유형: 원 안에 화려한 화염문 3개가 있는 것, (5) 제5유형: 제4유형의 머리를 새머리 모양으로 변형한 것, (6) 제6유형: 제4유형의 또 다른 변형문으로 ‘화염문의 꼬리가 생략되고 씨(C)자형 고리 3개로 표현한 것’, (7) 제7유형: 우리나라의 삼태극처럼 원을 3등분한 것, (8) 제8유형: 제7유형에서 파문의 머리 부분에 3점을 찍은 것, (9) 제9유형: 제8유형에서 3점을 키우고 꼬리를 단 것 등 9가지이다. 이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삼태극 문양 이전에 보이는 유사한 문양을 ‘삼파문三巴紋’이라고 구별하였다. 9가지 유형의 삼파문은 우리나라의 삼태극 문양의 원형이므로, 다양한 현대적 디자인에 활용될 수도 또 활용되기를 필자는 바란다. In general, ‘Taegǔk(太極)’ means ‘’Yin-yang Taegǔk(陰陽太極)’ that spreads out 1(Taegǔk: 太極) - 2(Yin-yang: 陰陽) - 4(Sa-sang: 四象) - 8(Pal-goe: 八卦). As you seen above, ‘Yin-yang Taegǔk’ branches into two(Yin-yang: 陰陽) that mean the cosmic dual forces. But ‘Sam Taegǔk(三太極)’ or ‘Sam-won Taegǔk(三元太極)’ branches into three(Tien 天, Di 地 and Ren 人). These ‘three’ are called ‘Sam-jae’(三才) that means the cosmic triple forces.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first concept of ‘Taegǔk(太極)’ is ‘Sam Taegǔk / Sam-won Taegǔk’. And this kind of situation continues until Dang(唐: 618- 907) dynasty. The concept of ‘Sam Taegǔk’ is based on ‘3.1 philosophy’. Moreover I suggests that 3.1 philosophy has its origin in north-eastern Shamanism. In north-eastern Shamanism ‘3, 9, 81’ is regarded as a sacred number. And north-eastern Shamanism has an unique mathematical logic that spreads out 1-3-9-81.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north-eastern Shamanism as a philosophical background of ‘3.1 philosophy’ and the concept of ‘Sam Taegǔk’ / ‘Sam-won Taegǔk’.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shape of ‘Sam Taegǔk(三太極)’ or ‘Sam-won Taegǔk(三元太極)’ has its origin in 'a flame flared up inside the sun'. Therefore, original design of ‘Sam Taegǔk’ or ‘Sam-won Taegǔk’ represents the shape of sun in which sun-flame is whirling strongly. And in this paper, I classify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into 9 types. The 9 type patterns are on the one hand very similar on the other hand very different. I wish that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will be used in Korean modern design.

      • KCI등재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과 삼파문三巴紋의 유형 분류

        우실하(Woo,Sil-Ha)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In general, 'Taeguk(太極)‘ means 'Yin-Yang Taeguk(陰陽太極)’ that spreads out 1(Taeguk: 太極) - 2(Yin-yang: 陰陽) - 4(Sa-sang: 四象) - 8(Pal-goe: 八卦). As you seen above, 'Yin-yang Taeguk' branches into two(Yin-yang: 陰陽) that mean the cosmic dual forces. But 'Sam Taeguk(三太極)‘ or 'Sam-won Taeguk(三元太極)’ branches into three(Tien 天, Di 地 and Ren 人). These 'three' are called 'Sam-jae'(三才) that means the cosmic triple forces.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first concept of 'Taeguk(太極)‘ is 'Sam Taeguk / Sam-won Taeguk'. And this kind of situation continues until Dang(唐: 618-907) dynasty. The concept of 'Sam Taeguk' is based on '3.1 philosophy'. Moreover I suggests that 3.1 philosophy has its origin in north-eastern shamanism. In north-eastern Shamanism '3, 9, 81' is regarded as a sacred number. And north-eastern Shamanism has an unique mathematical logic that spreads out 1-3-9-81.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north-eastern Shamanism as a philosophical background of '3.1 philosophy' and the concept of 'Sam Taeguk' / 'Sam-won Taeguk'.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shape of 'Sam Taeguk(三太極)’ or 'Sam-won Taeguk(三元太極)‘ has its origin in 'a flame flared up inside the sun'. Therefore, original design of 'Sam Taeguk' or 'Sam-won Taeguk' represents the shape of sun in which sun-flame is whirling strongly. And in this paper, I classify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into 9 types. The 9 type patterns are on the one hand very similar on the other hand very different. I wish that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will be used in Korean modern design. 이글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삼태극이라고 불리는 문양의 기원인 삼파문의 다양한 형태를 최초로 유형화하여 9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삼파문의 9가지 유형은,(1)제1유형:원 안에 ‘C’자 형 단선單線3개가 있는 것,(2)제2유형:파문巴紋3개의 삼파문,(3)제3유형:파문巴紋3개의 머리 부분을 동심원으로 한 것,(4)제4유형:원 안에 화려한 화염문 3개가 있는 것, (5)제5유형:제4유형의 머리를 새머리 모양으로 변형한 것, (6)제6유형:제4유형의 또 다른 변형문으로 ‘화염문의 꼬리가 생략되고 씨(C)자형 고리 3개로 표현한 것’,(7)제7유형:우리나라의 삼태극처럼 원을 3등분한 것,(8)제8유형:제7 유형에서 파문의 머리 부분에 3점을 찍은 것,(9)제9유형:제8유형에서 3점을 키우고 꼬리를 단 것 등 9가지이다. 이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삼태극 문양 이전에 보이는 유사한 문양을 ‘삼파문三巴紋’이라고 구별하였다.9가지 유형의 삼파문은 우리나라의 삼태극 문양의 원형이므로, 다양한 현대적 디자인에 활용될 수도 또 활용되기를 필자는 바란다.

      • KCI등재

        도교와 민족종교에 보이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우실하(Woo Sil-Ha) 한국도교문화학회 2006 道敎文化硏究 Vol.24 No.-

        수렵ㆍ유목 문화에 기반한 북방 샤머니즘의 사유체계의 특징은 ‘3수 분화의 세계관’에 있다는 점을 필자는 여러 논문과 책을 통해 논의했었다. 이것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한 여러 나라들의 기층문화와 사상에서 그 흔적들이 발견된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동복아시아의 모태문화’라고 부른다. 중국에서 북방 샤머니즘의 ‘3수 분화의 세계관’은 도교 계통으로 이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도교 경전 특히, (1) 장군방 『운급칠첨』 「삼일결」ㆍ「현문대론삼일결』, (2) 『단경(丹經)』 전수 의례 절차, (3) 노자 『도덕경』의 체계, (4) 양웅(揚雄) 『태현경(太玄經)』 등에서 보이는 수리체계가 모두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한편 한국에서 북방 샤머니즘의 ‘3수 분화의 세계관’은 선도 계통과 민족종교 계통으로 이어져 왔다. 이글에서는, (1) 『한단고기』에 보이는 「천부경」과 「삼일신고」의 수리체계, (2) 고 성세영 선생의 『일청사고(一晴私稿)』와 『부인경(符印經)』에 등장하는 여러 도상들은 모두 이런 사유체계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이 도교와 선도 계통 그리고 민족종교 계통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고, 『한서』「율력지」에 보이는 ‘태극원기 함삼위일(太極元氣 函三爲一)’이라는 최초의 태극 관념인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관념이 나온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3수 분화의 세계관’은 이렇게 철학적으로 승화된 것은 물론, 북방의 여러 소수민족들의 신화, 전설 등에도 많이 남아 있다. 이런 까닭에 필자는, (1)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될 뿐만이 아니라, (2) 셋이 각각 셋으로 분화되어 완성수 9를 이루고, (3) 완성수 9의 제곱수인 81로 우주적 완성수를 삼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이라고 부른다. In many papers and books, the author suggested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that is spreaded out 1-3-9-81.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is unique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The Holy numbers 3, 9 and 81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are already seen in the Neolithic Age ‘Hong-san(紅山) culture’ in North-east Asia. So,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that is spreaded out 1-3-9-81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In this paper, the author explain concretely that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Holy numbers(3ㆍ9ㆍ81) are also seen in Chinese/Korean Taoism and Ethnic religions of Korea. On the one hand,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handed down in the philosophy of Taoism in China. So, the author explain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Holy numbers(3·9·81) in, (1) Jang gun-bang(張君房)'s Woon-gub-chil-chem(雲?七籤), (2) the inheriting process of Dhan-jing(丹經), (3) Lao-tze(老子)'s Dao-de-jing(道德經), (4) Yang-woong(揚雄)'s Tai-xuan-jing(太玄經). On the other hand,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handed down in the philosophy of Korean Taoism and Ethnic religions of Korea. So, the author explain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Holy numbers(3ㆍ9ㆍ81) in, (1) Cheon-bu-jing(天符經), Sam-il-shin-go(三一神誥) in Han-dan-go-gi(桓檀古記), (2) Sung-sae-young(成世永)'s Il-cheongsa-go(一晴私稿) and Bu-in-jing(符印經).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concept of Sam-Tai-ji(三太極) / Sam-won-Tai-ji(三元太極) that has it's origin in the north-eastern Sham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