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최희철,김영미,김혜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in paid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were four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job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Fourth,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Method: The data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came from the 1st to 4th wav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PESD). The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 the previous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ubsequent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reviou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Third, all cross-lagged effects of previous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Fourth, all cross-lagged effects of previous lif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reciprocal.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4가지였다. 첫째, 본 연구는 직무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를 알아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삶의 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를 알아보았다. 셋째, 본 연구는 직무만족이 장래 삶의 만족에 미치는 교차지연 효과를 알아보았다. 넷째, 본 연구는 삶의 만족이 장래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대한 자료는 한국장애인 고용패널 2차웨이브 조사(PESD)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 자료에서 추출되었다.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두 변인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와 교차지연 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구조방정식 모형 즉,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구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하는 직무만족은 후행하는 직무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선행하는 삶의 만족은 후행하는 삶의 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선행하는 직무만족이 후행하는 삶의 만족에 대해 미치는 모든 교차지연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선행하는 삶의 만족이 후행하는 직무만족에 대해 미치는 모든 교차지연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가 일방향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순환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전라북도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을 중심으로 -

        최예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개인 요인과 지역 요인들을 중심으로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 하여 전라북도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건강 측면, 가정생활 측면, 전반적인 측면으로 세분화 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 과, 전라북도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첫째, 개인요인에서는 교육수준과 월평균소득수준이 모든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나이와 직업은 건강측면의 삶의 만족도에만 각각 부(-)와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여가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유 수준은 모든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역요인 중 물리 적인 공간(지역환경)을 의미하는 시군여부와 지역인프라 중 문화여가환경은 가정생활 측면 과 전반적인 측면에서 삶의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이에 비해 주민편의시설환경 은 두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지역인프라 중 주택환경은 모든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의료환경은 가정생활 측면에, 사회안전환경은 건강 측면의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요인 중 지방정 책적 요인인 문화관광 발전은 건강측면과 전반적인 측면의 삶의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 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전라북도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제 고하기 위하여 의료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질적으로 주택환경을 개선하며, 주거환경 중 녹 지환경과 편의시설 접근성, 사회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환경 중 문화여 가환경을 균형있게 조성하고 이용부담을 줄이면서 편의성을 증대하는 것이 요구된다. 마지 막으로 전라북도의 강점인 문화관광정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기타 기반시설 강화, 농 식품 확대, 지역산업 정책 등도 강화하여 균형잡힌 지역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determining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In order to analyze, theoretical rationale on life satisfaction ar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regional infrastructur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actors. As a result of analysis, education, economic incomes, occupation, facility convenience, housing, medical service, security infrastructures, culture and tourism development policy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But age, region, culture and leisure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Policy im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oriented regional infrastructure such as housing, medical service, greenland, facilities, security should be built. Secon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including culture and tourism development policy are to be more facilitated.

      • KCI등재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한곤(Kang Han G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4

        최근 치안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민간경비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의 저변확대와 민간경비원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양질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로써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 이용된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 그리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의견을 반영하였다. 실태조사는 2008년 7월 20일에서 8월 20일까지 설문지를 통한 자기기입방법으로 삶의 질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시설경비, 호송경비, 기계경비, 신변보호경비, 특수경비 등의 경비업체 중에서 근무하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등의 4개 지역에서 근무하는 400명의 민간경비원을 다단계층화집락표집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특히 민간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특수경비원으로 구분되며, 일반경비원은 다시 시설경비, 기계경비, 호송경비, 신변보호로 구분되므로 이러한 경비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여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 영역별 만족도가 민간경비원의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의 영역별 만족도 중 건강만족도, 주거가족만족도, 재정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가 전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만족도, 주거가족만족도, 재정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민간경비원의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는 높았다. 따라서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기 위해서는 건강만족도와 주거가족만족도, 재정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건강만족도는 삶의 질에 있어서 기본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건강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직장생활에서 오는 부담감을 해소하거나 경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주거가족만족도 및 여가생활만족도 역시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판명되어 직장생활을 하면서 동시에 가족과 친구들과 관계를 개선시키고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지원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재정 만족도와 관련하여 민간경비원의 낮은 보수는 가구재정의 열악성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주거생활에 대한 불만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보수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These days, demands for private security services are increasing. Thus, the research would identify the life qua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s, corroborate the extent of the quality, consequently suggesting the ways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ose private security guards. For the research and experiment the paper conducted a research on written documents, interviews on security guards and experts.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uly 20th, 2008 and August 20th, 2008, and the method was spreading the questionnaire. The sample was taken through questionnaire spreaded to 400 guards working at private companies to assistant facility guards, transportation guards, machine guards, body guards, specialized guards through out four regions of Korea at Seoul, Incheon, Daegu, and Busan. Especially private security guards are categorized into regular securities and specialized securities and those regular securities are again categorized into facility guards, machine guards, transportation guards, body guards. The result granted through the experiment is following. The research on overall satisfaction levels on life qualities affected by satisfactions levels on each categories showed satisfaction levels on health, housings, financial matters, leisure affects overall satisfaction levels. In another wor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levels on overall life quality and satisfaction levels on health, housings, financial matters, leisure was direct and proportional. As a result, it is evident that to improve overall life quality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s of health, housings, financial matters, and leisure. Specifically it is essential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s of health, for the quality is a basic quality that affects basic life quality. To do so, it is necessary to set fundamental, or institutionalized, policy that helps private security guards to relieve stresses from the workplace. As well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time spending on leisure activities to improv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friends after getting out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the increased amount of salary is needed to prevent private bankrupt situation of those security guards caused from lack of funding because of low levels of salary, which leads to lowering of satisfaction levels on financial matters. In fact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lowering the life quality of security guards as well as workers from other fields of industries was low levels salary. Consequently South Korean government has set an institutional policy to help workers having opportunity to get fair judgement on their ability and level of salary. Unlike the ideal, the research proves that the salary level of those private security guards is still too much underestimated.

      • KCI등재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다집단분석

        하규영,이민영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7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정서행동문제(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모구성(부모, 한부모)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네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를 매개요인으로 설정하여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4 패널 데이터 중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둘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모구성과는 상관없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셋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공격성)의 매개효과는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은 모든 집단에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 및 경로계수를 지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oeconomic statu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parental composition,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all of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on KCYPS panel data. The results showed four major patterns. First, family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only when the student has two parents and when the student’s parents have high life satisfaction. Second, family socioeconomic status only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when parents had low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parental composi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student life satisfaction was only significant when the student had two-parents and when the student’s parents’ had low life satisfaction. Fourth, depression was the variable most stronly correlated with student life satisfac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ations of its results about how to improve students’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축소도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강은택(Kang, Eun Taek) 대한부동산학회 2020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8 No.4

        This study explored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shrinking cities in Korea with a sharpe population decline in the near future. The 77 citie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continuously shrinking cities, temporary shrinking cities, temporary growing and stable cities, and continuously growing and stable citie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ected life satisfaction after 5 yea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life satisfaction 5 yea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Second, with respect to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the residents in temporary growing and stable citi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overall life than those living in continuously shrinking cities. Third, the results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in the continuously shrinking cities were the lowest among the four types of the cities in terms of the expected life satisfaction after 5 years. 본 연구는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 인구가 급속하게 감소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축소도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77개 도시를 대상으로 지속적 축소도시, 일시적 축소도시, 일시적 성장ㆍ안정도시, 지속적 성장ㆍ안정도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축소도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현재의 삶의 만족도와 5년후 삶의 만족도 예상 측면에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소도시 유형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5년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기초통계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전체 도시에서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보다 5년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지속적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에 비해 일시적 성장ㆍ안정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년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축소도시 유형별 변수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지속적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일시적 축소도시, 일시적 성장ㆍ안정도시, 지속적 성장ㆍ안정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5년후 예상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중년기 삶의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배나래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의 울분과 계층의식, 주관적 건강이 이들의 행복감인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동시에 이러한 관계 속에서 자원봉사활동과 기부활동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주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구조모형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의 울분감은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원봉사활동과 기부활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의 울분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과 의미는 감소되나 자원봉사활동과 기부활동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 자원봉사활동과 기부활동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의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와 삶의 의미 그리고 자원봉사활동과 기부활동 역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관적 건강은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 기부활동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원봉사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의 점수가 높을수록 스스로에 대한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함을 의미하는 것을 볼 때, 중년기에 자신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 그리고 기부활동 역시 낮아짐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활동은 삶의 만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삶의 의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기의 자원봉사활동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 역시 증가함을 의미한다. 또한 기부활동은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기의 기부활동이 많을수록 이들의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iddle-aged people’s resentment,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health affect their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 of life, and at the same time, to determine whether volunteering and donation activitie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is is to take a look at.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set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iddle-aged resent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 of life, but had a positive effect on volunteer activities and donation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resentment among middle-aged people, the lower the satisfaction and meaning of life, but the increased volunteer and donation activities. Next, class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meaning of life, volunteer activities, and donation activities. This means that as the class consciousness of middle-aged people increases, life satisfaction, meaning of life, volunteer activities, and donation activities also increase. Subjective health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meaning of life, and donation activities, but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volunteer activities. Considering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core, the more negatively one perceives one’s own health status, the worse one’s subjective health status is in middle age, the low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e meaning of life, and donation activity. do. Lastly, volunteer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not on the meaning of life. This means that the more volunteer activities one does in middle age, the more life satisfaction increases. In addition, don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 of life. This means that as middle-aged people engage in more donation activitie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 in life also increase.

      • KCI등재

        중장년층의 일과삶의균형이 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력만족과 은퇴준비도의 매개효과

        이종찬(Jong Chan Lee),김민규(Min Gyu K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24 職業 敎育 硏究 Vol.4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일과 은퇴의 생애개발차원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력만족과 은퇴준비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중장년층의 일과 은퇴의 생애개발차원에서 일과 삶의 만족을 높이고자 경력개발과 직업교육 맥락에서 바람직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집단의 확률표집인 층화군집비율 표집을 실시하여 만 45∼59세 중장년층 902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정규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 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은퇴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과 삶의 균형은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경력만족은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은퇴준비도는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여섯째, 경력만족은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일곱째, 은퇴준비도는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저출산・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중장년층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이를 위해 이들의 생애개발과 경력개발 차원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경력만족을 통하여 삶의 만족을 추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atisfaction and retirement read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ife development dimension of work and retirement among middle-aged adults. In doing so, the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career develop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to increase work-life satisfaction in the life development dimension of work and retirement among middle-aged adults. To this end,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on 902 middle-aged adults aged 45 to 59 years old using stratified cluster proportion sampling,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ork-life bal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Second,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retirement readiness. Third,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care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retirement readi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ixth, career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Seventh, retirement readines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ole of middle-aged adults has become important in the era of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ursue life satisfaction through work-life balance and career satisfaction in their life and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자택소유 및 자택유형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초기값 및 변화율의 영향을 중심으로 -

        조원희,한창근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over the life courses. For these analyses, this study combines all the KReIS data set which are the first wave through the sixth wave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home-ownership and housing types using latent growth model.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intercept and slope of housing typ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lope of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the intercept and slope of home-own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cept and slope of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It implies that the residence environment may mak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housing welfare program and the community based social services need to enhance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사는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에서 구축한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2005년)부터 6차(2015년)까지의 Panel데이터를 결합하여 자택소유여부 및 거주주택유형과 삶의 만족도 궤적 간 관계를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65세 이상 남녀노인으로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중단하지 않고 모든 조사에 참여한 총 1,650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주거환경변수 중 하나인 자택소유 초기 값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택소유변화율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종단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주택소유에 변화가 많을수록 노인들의 살의 만족도 수준이 더 크게 변화함을 의미한다. 둘째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분류한 주택유형의 초기 값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기울기(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택유형의 변화율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종단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경우보다 삶의 만족도가 시간이 흐르면서 더 높아지며, 거주하는 주택유형의 변화가 많을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자택을 소유한 노인이 초기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장기적으로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삶의 만족도가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들의 주거환경이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장기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관련된 정책적 함의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골프장 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삶의 질과의 영향관계 연구 -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

        김지흔 ( Kim Jiheun Heun ),정민주 ( Chung Min Joo ) 한국유통경영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골프장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삶의 질 관계에서 여가 만족과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골프장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하여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측정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요인은 가족중심 지향형, 외적활동중심지향형, 개인주의 중심지향형, 여가문화 중심지향형, 쾌락중심지향형으로 5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은 삶의 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정결과, 라이프스타일의 모든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외적활동 주심지향형, 개인주의 중심지향형, 여가문화 중심지향형, 가족주의 중심지향, 쾌락중심지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은 삶의 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정결과, 라이프스타일의 모든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외적활동 주심지향형, 개인주의 중심지향형, 여가문화 중심지향형, 가족주의 중심지향, 쾌락중심지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은 여가만족과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정 결과, 라이프스타일의 모든 요인이 여가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영향력 크기는 비교해 본 결과 개인주의중심지향, 외적활동중심지행, 가종중심지향, 여가문화중심지향, 쾌락중심지향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은 삶의 만족과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정 결과,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 가족중심지향, 외적활동중심지향, 여가문화중심지향, 쾌락중심지향 요인이 삶의 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주의중심지향은 유의적이지 못하였다. 이들의 영향력 크기는 비교해 본 결과 쾌락중심지향, 여가문화중심지향, 외정활동중심지향, 가족중심지향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만족, 삶의 만족도는 삶의 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정결과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여가 만족과 삶의 만족은 유의적인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검정결과 1단계와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이고 3단계의 독립변수와 4단계의 매개변수가 유의적이어서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切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golf player7s lifestyl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for each group by dividing golf player7s lifestyle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The surveys were prepared and collect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 an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for the lifestyle, 5 factors were derived `family oriented type`, `outdoor activity oriented type`, /individualism oriented type`, leisure and culture oriented type`, and `pleasure oriented type`. First, the result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life sty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showed that all 5 factors of life style had an effect on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s of influen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fluences in the order of outdoor activity oriented type, individualism oriented type, leisure and culture oriented type, family oriented type, and pleasure oriented type. Second, the result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lifesty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facto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s of influen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fluences in the order of individualism oriented type, outdoor activity oriented type, family oriented type, leisure and culture oriented type, and pleasure oriented type. Third, the result 切 prove the hypothesis that lifesty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family oriented type, outdoor activity oriented type, leisure and culture oriented type and pleasure oriented type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actors but the individualism oriented type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s of influen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fluences in the order of pleasure oriented type, leisure and culture oriented type, outdoor activity oriented type and family oriented type. Fourth, the result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초 4에서 고 1

        박상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for 1st(2010, 4th grade, primary school), 4th(2013, 1st grade middle school) and 7th(2016, 1st grade, high school) year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1,645 adolesc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T1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2 ego-resilience. Also, T2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3 ego-resilience. Namely,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later ego-resilience. Second, the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table across six year. Final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for our classroom settings were discussed. 연구배경 및 목적환경의 스트레스와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반영하는 개별적 특성인 자아탄력성(Block & Block, 1980)은 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들은 환경의 변화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더 잘 적응하고, 필요에 따라 행동을 변화시키며, 문제해결 전략을 유연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는 반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적응 능력이 낮으며, 스트레스 조절에 어려움이 있고, 정신적 충격 등에 의한 회복이 늦다(Block & Block, 2006; Taylor & Jones, 2019; Taylor, Sulik, Eisenberg, Spinrad, Silva, Lemery‐Chalfant, & Verrelli, 2014). 삶의 만족은 자아탄력성과 긍정적 관계를 보이는 변인이고,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은 이 후의 사회적 행동 및 삶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Gilman & Huebner, 2006; Goldbeck, Schmitz, Besier, Herschbach, & Henrich, 2007), 학생들의 삶의 만족에 관심이 필요하다. 자신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삶의 만족(Diener, & Diener, 1996; Pavot & Diener, 2008)은 신체적, 심리적 건강(Grant, Wardle, & Steptoe, 2009; Pavot & Diener, 2008), 사회적 관계(Diener & Seligman, 2002) 등과 정적 관련을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삶의 다양한 영역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자아탄력성은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으나 대부분이 횡단연구로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의 종단적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적 정서는 자아탄력성을 예측하는 변인이라는 주장(Cohn et al., 2009)로 볼 때, 삶의 만족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특정 학교 급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학교생활에 있어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적응력의 기반으로 볼 수 있는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기에 초‧중‧고등학생으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안정성 또는 변화경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간 흐름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각 변인의 안정성 또는 변화 경향을 파악하여 학생의 자아탄력성 또는 삶의 만족의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1. 연구대상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1차(4학년, 2010년)과 4차(중학교 1학년, 2013년) 및 7차(고등학교 1학년, 2016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응답대상은 총 2,378명이었으나, 결측치 또는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최종 1,645명(남: 50.9%, 여: 49.1%)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방법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와 각 변인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먼저, 종단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종단적 측정모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이때 요인분석을 통해 자아탄력성의 문항군을 형성하였으며, 자아탄력성은 4개의 관찰변수로, 삶의 만족은 3개의 문항 각각을 하나의 관찰변수로 구성하였다. 이때, 각 측정시점별 동일 관찰변수 간 오차공분산 경로를 설정하였다. 다음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